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1 No.2 pp.249-257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9.21.2.249

Comparison of Visual Quality with Ocular Higher-Order Aberrations in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and Soft Contact Lens Wear

Jeong-mee Kim*
Dep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Professor, Eumseong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eong-Mee Kim Dep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Eumseong TEL: +82-43-880-3826, E-mail: kijeme@hanmail.net
May 22, 2019 June 19, 2019 June 24, 2019

Abstract

Purpose :

To compare visual quality with ocular higher-order aberrations (HOA) in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 and soft contact lens wear for myopia.


Methods :

Eighty eyes of 40 subjects who had undergone LASEK, 40 eyes of 20 subjects who have successfully fitted soft contact lenses and 38 eyes of 19 emmetropes were enrolled. The subjects’ criteria were best unaided monocular visual acuity of 20/20 or better. High and low contrast visual acuities (HCVA and LCVA) test, and contrast sensitivity test were measured under photopic and mesopic conditions. Ocular HOAs were measured using Wavefront Analyzer (KR-1W, Topcon) for 4 mm and 6 mm pupils.


Results :

HCVA and LCVA under photopic condition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LASEK and contact lens wear groups compared with an emmetropic group. However, HCVA and LCVA under mesopic condition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HCVA; p=0.031, LCVA; p=0.025,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rast sensitivity at 6, 12, and 18 cpd both under photopic and mesopic conditions between LASEK and contact lens wear groups (6cpd; p=0.000, 12cpd; p=0.000, 18cpd; p=0.000, red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ular HOAs for both 4 mm and 6 mm pupils between LASEK and contact lens wear groups (total HOAs; p=0.000, coma; p=0.000, spherical aberration; p=0.000).


Conclusion :

LASEK, soft contact lens wear and emmetropic groups could not affect the quality of vision under photopic conditions. Nevertheless, the higher pupil size in the LASEK, the larger the amount of HOAs, the more likely it w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visual quality during the night.



라섹수술안과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안에서 고위수차에 의한 시력의 질 비교

김 정미*
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음성

    Ⅰ. 서 론

    눈의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방법이 다양해지면서 시력 교정이 필요한 사람들은 일반적인 안경착용보다 정시안 처럼 보일 수 있는 콘택트렌즈 착용이나 레이저 각막굴 절수술과 같은 교정 방법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이러 한 교정 방법의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시력교정의 주된 목표인 선명한 망막상을 얻기 위해, 레이저 굴절교정수 술이나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은 근시와 난시의 굴절이 상을 교정한 후 눈의 고위수차를 교정함으로써 시력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해왔다.1-4)

    파면수차의 기술발달과 더불어 눈의 고위수차(HOAs) 를 진단할 수 있는 기기의 등장은 많은 연구자들이 고위 수차가 시각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수 있게 되 었고 우리의 시각 체계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5,6) 우리 눈의 광학적 시스템은 다양한 고 위수차들이 결합되어 망막상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으며,7) 구면수차가 망막상의 질을 감소시키는 가장 주된 고위수 차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8) 이러한 기술적 진보와 눈 의 광학적 지식은 현재 임상에서 눈의 고위수차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레이저 각막굴절교정수술, 인공수정체렌 즈, 콘택트렌즈 등에 적용되고 있다. 콘택트렌즈의 경우, 렌즈 제조사들은 구면수차를 감소시켜 시력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 콘택트렌즈 디자인에 비구면 광학을 적용시 켰다.9,10) 한편, 레이저 각막굴절교정 수술에서는 수술 후 여러 요소가 원인이 되어 구면수차를 포함하는 고위수차 가 수술 전의 상태보다 증가되어 시력의 질에 영향을 준 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11-13) 수술업계에서는 수술방법의 변화나 성능이 향상된 엑시머 레이저 기기를 사용하여 수술 후 증가되는 고위수차를 줄이거나 파면수 차를 분석하여 고위수차를 교정하기 위한 맞춤형 각막굴 절수술의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절이상의 교정 방법이 다른 라섹수술안과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안을 대상으로 고 위수차에 따른 시력의 질을 대조군인 정시안과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자 선정 기준

    본 연구는 각막굴절교정 수술안(라섹)과 소프트렌즈 착용안 그리고 대조군으로써 정시안을 대상자로 하였다. 정시안과 라섹수술안의 나안시력 및 소프트렌즈 착용자 의 교정시력은 단안 기준 1.0 이상으로 하였고, 라섹수 술안은 6개월 이상 경과한 자를 대상자에 포함시켰다.

    2. 시력의 질 비교를 위한 시기능 검사

    1) 대비시력 (Contrast Visual Acuity)

    나안시력 및 소프트렌즈 착용안의 교정시력 검사는 ETDRS 시력표를 이용하였다. 고대비시력(대비도 100%, HCVA)과 저대비시력(대비도 10%, LCVA)을 밝은 조명 (photopic, 340 Lux)과 어두운 조명(mesopic, 1 Lux) 상태에서 각각 수행하여 Log MAR 시력으로 결과를 나 타냈다. 4 m 검사거리에서 단안으로 측정하였다.

    2) 대비감도 (Contrast Sensitivity)

    대비감도 검사는 공간주파수 3, 6, 12, 18 cycles per degree(cpd)을 나타내고 있는 CSV-1000E (Vector Vision, Dayton, USA)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나안 및 소프트렌즈 교정한 상태로 각각 밝은 조명(photopic, 340 Lux)과 어두운 조명(mesopic, 1 Lux) 조건에서 공간주 파수 3, 6, 12, 18cpd의 순서대로 검사하여 Log units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 거리는 2.5 m에서 단안 으로 측정하였다.

    3. 눈의 고위수차(Ocular higher-order aberration) 측정

    눈의 고위수차 측정은 Hartmann-shack 방식의 파 면 수차계인 Wavefront Analyzer (KR-1W, Topcon, Japa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고위수차(higherorder aberrations; HOA)는 4 mm와 6 mm의 동공 크 기에 따라 분석하였다. 고위수차는 전체고위수차(total HOAs), 3차 고위수차(third-order)에 포함되는 코마 (coma)수차, 4차 고위수차 (fourth-order)에 포함되는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SA) 등을 본 연구의 분석에 이용하였다. 전체고위수차(total HOAs)는 양적 으로 표현하기 위해 Zernike 계수의 root mean square (RMS) 값으로 나타냈다.

    4. 통계 분석

    Window SPSS Version 21 (SPSS, Chicago, IL, USA)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정규분포의 적합도를 확인하 기 위하여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Kolmogorov-Smirnov) 검정을 실시하였고, 데이터의 결과는 평균(M)±표준편 차(SD)로 나타냈다. 두 그룹의 비교에는 독립표본 T검 정, 세 그룹의 비교를 위한 데이터 분석은 일원배치 분산 분석법(one-way ANOVA)과 세퍼(Scheffe) 보정법을 이용한 다중비교분석(Post-hoc multiple comparison) 을 통하여 유의성 검정을 시행하였고, p값이 0.05 미만 인 경우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의 데이터

    라섹에 의한 근시성 각막굴절수술을 한 40명(80안), 근시 교정을 위해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20명(40 안) 및 정시안 19명(38안)으로 총 79명이 연구에 참여하 였다. 참여자의 평균 나이는 라섹수술안; 23.2±2.5세, 소프트렌즈 착용안; 24.1±2.3세, 정시안; 22.6±1.8세 로 각각 나타났다.

    라섹수술안은 수술 후 6개월 이상인 대상자로 평균 수술경과 기간은 20.6±14.2 개월로 나타났고, 소프트 렌즈 착용안은 소프트렌즈 착용 경험이 없거나(4명) 현 재 소프트렌즈를 착용(16명)하고 있었으며 평균 착용 기 간은 30.6±20.8개월이었다. 소프트렌즈는 비구면 디자 인으로 이루어진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Biofinity, Cooper Vision)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고, 렌즈의 피팅상태가 적 절하지 않은 경우는 대상자에서 제외시켰으며 렌즈 착용 3시간 후에 검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에 대한 데이터는 Table 1에 정리하였다.

    2. 라섹수술안,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안 및 정시안의 시력의 질 분석

    1) 대비시력(Contrast visual acuity)과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분석

    밝은 조명(photopic)상태에서, 라섹수술안, 소프트렌 즈 착용안 및 정시안의 고대비시력은 각각 -0.03±0.07, -0.05±0.04, -0.04±0.05이었고, 저대비시력은 각각 0.15±0.07, 0.12±0.07, 0.13±0.08로 나타났다. 고 대비시력과 저대비시력 모두에서 소프트렌즈 착용안이 가 장 좋은 시력을 보였으나 정시안을 포함한 이들 세 그룹 사이에서 고대비시력(p=0.122)과 저대비시력(p=0.128)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able 2).

    어두운 조명(mesopic)상태에서, 라섹수술안, 소프트렌 즈 착용안 및 정시안의 고대비시력은 각각 0.21±0.08, 0.22±0.09, 0.17±0.07이었고, 저대비시력은 각각 0.50± 0.08, 0.50±0.07, 0.47±0.05로 이들 세 그룹 사이에 서 고대비시력(p=0.031)과 저대비시력(p=0.025)은 각 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라섹수술안과 소프트렌즈 착용 그룹 사이에서 고대비시 력과 저대비시력은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고대비시력; p=0.691, 저대비시력; p=0.818), 두 그룹 모두 대조군인 정시안과 비교한 결과는 각각 고대비시력 과 저대비시력 모두에서 정시안이 더 좋은 대비시력을 보이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able 2). 따라서, 대비 시력 검사는 밝은 조명상태에서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 력은 굴절이상의 교정방법에 따라 정시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어두운 조명상태에서는 두 교 정 그룹 모두 정시안보다 대비시력에서 차이를 보여 어 두운 조명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의 질을 좀 더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대비감도 를 이용한다. 밝은 조명(photopic) 상태에서, 3, 6, 12, 18(cpd) 각각의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검사한 대비감도 결과는 공간주파수가 증가하면서 감소하고 있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고, 라섹수술안, 소프트렌즈 착용안 및 정 시안의 세 그룹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3cpd; p=0.007, 6cpd; p=0.000, 12cpd; p=0.000, 18cpd; p=0.000) (Table 3). 라섹수술안의 대비감도는 소프트렌즈 착용안 및 정시안과 비교하여 모든 공간주파 수에서 감소하였고, 소프트렌즈 착용안이 3cpd의 공간 주파수를 제외한 나머지 6, 12, 18 cpd 공간주파수에서 대비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4 종류의 공간주 파수 중에서 6cpd는 우리 눈의 시각 인지에서 대비도의 차이를 가장 잘 인식할 수 있는 공간주파수로 세 그룹 모두 다른 공간주파수 보다 대비감도가 가장 높게 나타 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라섹수술안과 소프트 렌즈 착용안의 두 그룹 사이에서도 공간주파수 3cpd를 제외하고 나머지 공간주파수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 다(3cpd; p=0.147, 6cpd; p=0.000, 12cpd; p=0.000, 18cpd; p=0.000).

    어두운 조명(mesopic)상태의 대비감도는 정시안을 포 함한 세 그룹 사이의 분석결과, 3, 6, 12, 18(cpd) 각각의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cpd; p=0.037, 6cpd; p=0.000, 12cpd; p=0.000, 18cpd; p=0.000) (Table 3). 밝은 조명상태에서와 마찬 가지로 라섹수술안의 대비감도가 제일 낮게 나타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18cpd 공간주파수를 제외하면 소프트렌즈 착용안과 정시안 두 그룹사이에서는 대비감 도의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라섹수술 안과 소프트렌즈 착용안의 두 그룹 사이에서는 공간주파 수 3cpd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cpd; p=0.133, 6cpd; p=0.000, 12cpd; p=0.000, 18cpd; p=0.000).

    시력의 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스넬렌 시력표를 이 용한 결과보다 대비감도 측정 결과가 더 많은 시력의 질 적 변화를 제공한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 다.14-16) 대비감도 검사는 일상생활의 상황과 비슷한 조 건으로 주어진 공간주파수 범위 내에서 감소한 대비도의 민감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시력의 질적 변화를 좀 더 효 율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17)

    레이저 굴절수술 후 대비감도의 변화를 조사한 많은 연구들은 다양한 결과로 발표되었다. 굴절 수술 후 단기 간 동안은 대비감도가 감소하였으나 시간이 지나 안정되 면서 수술 전의 대비감도를 회복하여 수술 전 후의 대비 감도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던 연구결과들18-20) 이 보고 된 반면, 레이저 각막굴절수술 후 나타난 대비감도의 저 하는 시력의 질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한 연구들도 있었다.21-23) 많은 선행 연구들이 굴절수술 전과 후의 대비감도를 비교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정시 안을 기준으로 교정방법이 다른 라섹수술안과 소프트렌 즈 착용안의 대비감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 과에서 세 그룹 중 라섹수술안의 대비감도는 밝은 조명 과 어두운 조명을 포함하여 주어진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가장 많이 저하되었다.

    2) 눈의 고위수차(Ocular higher-order aberrations) 분석

    눈의 고위수차는 근시성 굴절교정수술을 한 라섹수술 안, 근시를 교정한 구면소프트렌즈 착용안, 그리고 정시 안에서 전체고위수차(total HOAs), 코마(coma)수차, 구면수차(SA)를 4 mm와 6 mm 동공 크기에 따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4 mm 동공에서, 고위수차는 정시안을 포함하는 세 그룹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전체고위수차; p=0.001, 코마수차; p=0.000, 구면수차; p=0.000)(Table 4). 라섹수술안의 전체고위수차, 코마수차, 구면수차량 은 나머지 두 그룹과 비교해서 가장 높은 반면, 소프트 렌즈 착용안은 정시안의 고위수차량과 비교해서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굴절이상의 교정방법이 다른 라섹수술안 과 소프트렌즈 착용안의 두 그룹사이에서도 고위수차량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고위수차; p=0.000, 코마수차; p=0.000, 구면수차; p=0.000).

    6 mm 동공에서, 세 그룹 사이의 눈의 고위수차는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전체 고위 수차; p=0.000, 코마수차; p=0.000, 구면수차; p=0.000) (Table 4). 라섹수술안과 소프트렌즈 착용안의 두 그룹 사이에서도 고위수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전체고위수차; p=0.000, 코마수차; p=0.000, 구 면수차; p=0.000). 동공의 크기가 커지면서 고위수차량 도 모든 그룹에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고위수차의 양은 동공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시력의 질에도 영향을 줄 것 으로 생각된다. 4 mm와 6 mm 동공 크기 모두에서 코 마와 구면수차를 포함한 고위수차량은 정시안과 비교하 여 라섹수술안에서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소프트렌즈 착 용안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구면 디자인의 소프트렌즈 착용안에서 구면수차의 양은 동공 크기에 상관없이 정시안이나 라섹수술안과 비 교하여 마이너스 값을 가지면서 거의 제로에 근접한 값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광학 설계가 발전함에 따라, 콘택트렌즈 제조사들이 구면수차 를 감소시키기 위해 비구면 광학을 소프트렌즈 디자인에 적용을 했기 때문이다.9,10) 각막굴절수술 후 상당한 양의 고위수차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이미 많은 선행 연구에 의 해서 밝혀졌으며,24-26) 이러한 고위수차의 증가량은 굴절 이상의 교정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7,28) 또 한, 구면수차의 증가량은 대비감도를 저하시켜 조명이 낮 은 상태에서는 시력저하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 고되었다.29) 구면수차가 망막상의 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고위수차 중 하나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각막굴절수술 후 구면수차는 밝은 조명에서는 대비시력에 영향을 미치 지 않지만 저대비 또는 조명이 낮은 상태와 관련하여 시 력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최근에는 시력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저대비시력이 나 대비감도 검사를 시행하는데,27,30) 특히 어두운 조명 (mesopic)상태에서 측정한 대비감도는 시력의 질의 상 세한 변화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임상적 검사로 고려되어 왔다.31) 본 연구에서 어두운 조명(mesopic)에서 측정한 대비감도는 18cpd 를 제외한 나머지 3, 6, 12cpd 공간 주파수에서 소프트렌즈 착용안과 정시안 두 그룹사이에 통계적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반면에 이들 두 그룹 은 라섹수술안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이러한 결과는 구면수차를 감소시킨 비구면 소프 트렌즈를 착용한 그룹에서 고위수차의 양이 세 그룹 중 제일 많이 감소하여 공간주파수가 다른 대비감도에 영향 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굴절이상의 교정 방법이 다른 라섹수 술안과 소프트렌즈 착용안 사이에서 광학적 측면의 시력 의 질을 비교하였으나 시력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건조감과 같은 생리학적인 요인들에 대해서는 고려를 하 지 않았다. 굴절수술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눈의 건조감은 시력의 질 및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요인이므로 이를 포함한 시력의 질의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Ⅳ.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굴절이상의 교정 방법이 다른 라섹수 술안과 소프트렌즈 착용안을 대상으로 고위수차에 따른 시력의 질을 대조군인 정시안과 비교하였다. 고대비 및 저대비시력은 어두운 조명상태에서 두 교정 그룹 모두 정시안보다 감소된 시력 차이를 보여 어두운 조명에 의 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면수차를 감소시키 기 위해 비구면 광학을 적용한 소프트렌즈 착용자에서 구면수차가 가장 적게 측정되었고 라섹수술안은 가장 크 게 나타났다. 이러한 구면수차량은 전체 고위수차량에 영향을 주어 콘택트렌즈 착용안에서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대비감도는 밝은 조명과 어두운 조명상태 모 두에서 라섹수술안의 대비감도가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여 이러한 결과는 고위수차의 증가에 따 른 영향이라고 생각되며, 3cpd 를 제외한 6, 12, 18cpd 공간주파수에서 라섹수술안과 소프트렌즈 착용안사이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라섹수술안, 소프트렌즈 착용안 및 정시안은 밝은 조명상태에서는 시력의 질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지만 동공의 크기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라섹수술안의 고 위수차량은 밤 동안에 시력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Table

    Demographics and clinical data of study subjects

    Log MAR distance visual acuity measured under photopic and mesopic conditions in the myopic refractive surgery group, contact lens group and emmetropic group

    The mean contrast sensitivity log values in the myopic refractive surgery group, contact lens group and emmetropic group under photopic and mesopic conditions

    The mean ocular higher-order aberrations for 4-mm and 6-mm pupil sizes, in the myopic refractive surgery group, contact lens group and emmetropic group

    Reference

    1. Cheng X, Himebaugh NL et al.: Validation of a clinical Shack-Hartmann aberrometer. Optom Vis Sci. 80(8), 587-595, 2003.
    2. Salmon TO, van de Pol C: Evaluation of a clinical aberrometer for lower-order accuracy and repeatability, higherorder repeatability, and instrument myopia. Optometry 76(8), 461-472, 2005. https://www.ncbi.nlm.nih.gov/pubmed/16150413
    3. Rae SM, Allen PM et al.: Increasing negative spherical aberration with soft contact lenses improves high and low contrast visual acuity in young adults. Ophthalmic Physiol Opt. 29(6), 593-601, 2009. DOI:https://doi.org/10.1111/j.1475-1313.2009.00678.x
    4. Pettersson AL, Mårtensson L et al.: Spherical aberration in relation to visual performance in contact lens wear. Cont Lens Anterior Eye 34(1), 12–16, 2011. DOI:https://doi.org/10.1016/j.clae.2010.08.008
    5. Porter J, Guirao A et al.: Williams DR. Monochromatic aberrations of the human eye in a large population. J Opt Soc Am A Opt Image Sci Vis. 18(8), 1793-1803, 2001. DOI:https://doi.org/10.1364/josaa.18.001793
    6. Castejón-Mochón JF, López-Gil N et al.: Ocular wave-front aberration statistics in a normal young population. Vision Res. 42(13), 1611-1617, 2002. DOI:https://doi.org/10.1016/s0042-6989(02)00085-8
    7. Liang J, Williams DR: Aberrations and retinal image quality of the normal human eye. J Opt Soc Am A. 14(11), 2873-2883, 1997. DOI:https://doi.org/10.1364/josaa.14.002873
    8. Salmon TO, van de Pol C: Normal-eye Zernike coefficients and root-mean-square wavefront errors. J Cataract Refract Surg. 32(12), 2064-2074, 2006. DOI:https://doi.org/10.1016/j.jcrs.2006.07.022
    9. Vaz TC, Gundel RE: High-and low-contrast visual acuity measurements in spherical and aspheric soft contact lens wearers. Cont Lens Anterior Eye 26(3), 147-151, 2003. DOI:https://doi.org/10.1016/s1367-0484(03)00025-0
    10. López-Gil N, Castejón-Mochón JF et al.: Aberration generation by contact lenses with aspheric and asymmetric surfaces. J Refract Surg. 18(5), S603-609, 2002.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361166
    11. Moreno-Barriuso E, Lloves JM et al.: Ocular aberrations before and after myopic corneal refractive surgery: LASIK-induced changes measured with laser ray tracing. Invest Ophthalmol Vis Sci. 42(6), 1396-1403, 2001.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328757
    12. Kohnen T, Buhren J: Corneal first-surface aberration analysis of the biomechanical effects of astigmatic keratotomy and a microkeratome cut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J Cataract Refract Surg. 31(1), 185-189, 2005. DOI:https://doi.org/10.1016/j.jcrs.2004.09.048
    13. Charman WN, Chateau N: The prospects for super-acuity: limits to visual performance after correction of monochromatic ocular aberration. Ophthalmic Physiol Opt. 23(6), 479-493, 2003. DOI:https://doi.org/10.1046/j.1475-1313.2003.00132.x
    14. Perez-Santonja JJ, Sakla HF et al.: Contrast sensitivity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4(2), 183-189, 1998. DOI:https://doi.org/10.1016/s0886-3350(98)80198-3
    15. Verdon W, Bullimore M et al.: Visual performance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 prospective study. Arch Ophthalmol. 114(12), 1465-1472, 1996. DOI:https://doi.org/10.1001/archopht.1996.01100140663003
    16. Ghaith AA, Daniel J et al.: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disability after radial keratotomy and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rch Ophthalmol. 116(1), 12-18, 1998. DOI:https://doi.org/10.1001/archopht.116.1.12
    17. Ginsburg AP, Cannon MW: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rapid determination of threshold contrast sensitivity. Invest Ophthalmol Vis Sci. 24(6), 798-802, 1983. https://www.ncbi.nlm.nih.gov/pubmed/6853111
    18. Mutyala S, McDonald MB et al.: Contrast sensitivity evaluation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Ophthalmology 107(10), 1864-1867, 2000. DOI:https://doi.org/10.1016/s0161-6420(00)00355-9
    19. Quesnel NM, Lovasik JV et al.: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or myopia and the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J Cataract Refract Surg. 30(6), 1209-1218, 2004. DOI:https://doi.org/10.1016/j.jcrs.2003.11.040
    20. Townley D, Kirwan C et al.: One year followup of contrast sensitivity following conventional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and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Acta ophthalmologica 90(1), 81-85, 2012. DOI:https://doi.org/10.1111/j.1755-3768.2009.01822.x
    21. Chan JW, Edwards MH et al.: Contrast sensitivity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one-year follow-up. J Cataract Refract Surg. 28(10), 1774-1779, 2002. DOI:https://doi.org/10.1016/s0886-3350(02)01499-2
    22. Lee YC, Hu FR et al.: Quality of vision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nfluence of dioptric correction and pupil size on visual function. J Cataract Refract Surg. 29(4), 769-777, 2003.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686247
    23. Kim JM: Comparison of contrast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degree of preoperative refractive errors in refractive surgery patients. Korean J Vis Sci. 20(3), 269-278, 2018. DOI:https://doi.org/10.17337/jmbi.2018.20.3.269
    24. Oshika T, Miyata K et al.: Higher order wavefront aberrations of cornea and magnitude of refractive correction in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Ophthalmology 109(6), 1154-1158, 2002. DOI:https://doi.org/10.1016/s0161-6420(02)01028-x
    25. Miller JM, Anwaruddin R et al.: Higher order aberrations in normal, dilated, intraocular lens,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corneas. J Refract Surg. 18(5), S579-S583, 2002.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361161
    26. Pallikaris IG, Kymionis GD et al.: Induced optical aberrations following formation of a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lap. J Cataract Refract Surg. 28(10), 1737-1741, 2002. DOI:https://doi.org/10.1016/s0886-3350(02)01507-9
    27. Yamane N, Miyata K et al.: Ocular higherorder aberrations and contrast sensitivity after conventional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nvest Ophthalmol Vis Sci. 45(11), 3986-3990, 2004. DOI:https://doi.org/10.1167/iovs.04-0629
    28. Kim JM: Analysis of corneal higher-order aberrations after myopic refractive surgery.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3(1), 72-77, 2019. DOI:https://doi.org/10.3807/COPP.2019.3.1.072
    29. Oshika T, Klyce SD et al.: Comparison of corneal wavefront aberrations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Am J Ophthalmol. 127(1), 1-7, 1999. DOI:https://doi.org/10.1016/s0002-9394(98)00288-8
    30. Tanabe T, Miyata K et al.: Influence of wavefront aberration and corneal subepithelial haze on low-contrast visual acuity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m J Ophthalmol. 138(4), 620-624, 2004. DOI:https://doi.org/10.1016/j.ajo.2004.06.015
    31. Hiraoka T, Okamoto C et al.: Mesopic contrast sensitivity and ocular higher-order aberrations after overnight orthokeratology. Am J Ophthalmol. 145(4), 645-655, 2008. DOI:https://doi.org/10.1016/j.ajo.2007.1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