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1 No.2 pp.181-19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9.21.2.181

Change in Refractive Power When Viewing through the Periphery of Plus Lens

Jong-Hwan Sa1), Dong-Sik Yu2), Hyun-Gug Cho2), Sang-Yeob Kim2), Byeong-Yeon Moon2)*
1)Dept. of Optome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tudent, Samcheok
2)Dept. of Optome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amcheok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Byeong-Yeon Moon Dept. of Optome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amcheok TEL: +82-33-540-3412, E-mail: bymoon@kangwon.ac.kr
May 8, 2019 June 25, 2019 June 25, 2019

Abstract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refractive power when an eye looks through periphery of a spectacle plus lens with gaze angles.


Methods :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s in refraction when viewing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plus lens with a gaze angle, the refractive power was measured using digital lensmeter while the optical axis of lens was tilted by gaze angle around a pivot which was placed 25 mm below from lens support of lensmeter. The effects on the refraction caused by changes of lens thickness and vertex distance with increase of gaze angle were also examined.


Results :

The thickness of plus lens was decreased and vertex distance was increased rapidly according to increase of gaze angle. The change in correction power by the varied thickness was less than 0.03 D and was negligible in refractive effect when +6.00 D lens was used with 30° gaze angle. As the gaze angle increases, the vertex distance became longer, and the (+) refractive power should be reduced so that the overcorrection does not occur. However, the measured refractive power tended to increase and for glasses wearer, the refractive power may be shown a weighted effect. The most significant effect was the change in refractive power due to astigmatism. It is thought that the wearer will feel discomfort due to the increase of the minimum refractive power and the cylindrical power at the gaze angle of 15° or more.


Conclusion :

The changes in refraction due to vertex distance and cylindrical power due to astigmatism should be considered when using peripheral area of spectacle lenses. Fitting process of face form angle can be helpful to reduce the perceptual changes when looking through peripheral area of lens.



볼록렌즈의 주변부 주시 시 굴절력 변화

사 종환1), 유 동식2), 조 현국2), 김 상엽2), 문 병연2)*
1)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 삼척
2)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삼척
    Kangwon National University

    Ⅰ. 서 론

    안경렌즈는 의료용구로 광학적 성질을 응용하여 비정시 교정, 조절력 보정, 양안시기능의 보조 및 강화에 사용된 다. 광학적 교정을 정확히 하기 위해서는 렌즈의 굴절력이 균일하여야 하고, 착용자에 맞는 조제 및 가공과 피팅이 이루어져야 한다.1-4) 프리즘 처방이 없을 경우, 렌즈의 광 학중심이 동공중심과 일치하여야 하고 경사각이나 안면각 등 회전점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프 리즘 영향에 의한 사위가 유발되며, 수차로 인한 상의 흐 림, 복시, 안정피로 등이 나타날 수 있다.5-8) 그러나 렌즈 의 광학중심이 동공중심과 맞게 조제 및 가공되었더라도 일상생활에서 광학중심 이외의 지점을 통해 물체를 주시하 게 되면 정점간 거리는 길어질 것이고, 광축으로부터 떨어 져 있는 물점의 상을 만드는 축외수차인 코마수차와 비점 수차가 망막의 주변부에 결상되어 주변시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이는 안경렌즈의 교정효과에도 영향을 준다.6,9) 안경렌즈의 설계에서 비점수차를 최소화하는 것은 필수 조 건이며, 비점수차는 체르닝 타원식(Tscherning ellipse)을 이용한 벤딩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렌즈의 주변부를 통해 주시할 때 발생하는 비점수차의 양은 측정된 굴절력과 기 준굴절력을 비교하면 알 수 있다.

    같은 제품, 동일한 굴절력의 렌즈를 사용하더라도 렌 즈가 삽입된 테에 따라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는 테의 경사각과 안면각의 차이로 인한 렌즈면과 주 시선이 이루는 각도차이가 한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 다. 본 연구에서는 (+)렌즈를 통해 축외수차가 발생할 수 있는 주변시를 할 때 주시각도에 따라 비점수차로 인 한 굴절력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주시각도별 렌 즈의 두께와 정점간거리의 변화량을 구하였으며 이 변화 가 굴절 변화에 미치는 정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주시각도에 따른 (+)렌즈의 굴절변화에 대한 정보 를 제공함으로써, 렌즈 선택과 안경의 피팅에 도움이 되 고자 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국내 시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3개 제조사 의 렌즈들 중 기준굴절력 +2.00 D~+6.00 D의 중굴절 률(1.55~1.56), 고굴절률(1.60~1.61), 초고굴절률(1.67) 렌즈 1매씩을 무작위로 구매하여 주시각도에 따른 굴절 변화를 조사하였다(Table 1). 렌즈 포장지에 제시된 굴절 력을 기준굴절력으로 하였으며, 주시각도는 안구의 회전 점에서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0~30゚로 설정하였다. 주시각도만큼 렌즈가 기울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디지털 렌즈미터(CL-300, Topcon, Japan)로 굴절력을 측정하 였으며, 광학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측정한 값을 비교하였 다(Fig. 1). 정확한 각도에서 굴절력을 측정하기 위해 렌 즈고정틀을 제작하였으며, 렌즈고정틀에 렌즈를 고정시 켜 광학중심부에서 뒷면이 렌즈미터의 렌즈받침부에 닿 도록 하였다. 주시각도 0゚에서의 정점간 거리는 12 mm, 안구 회전점과 각막정점 사이의 거리는 13 mm로 가정 하여 렌즈고정틀이 렌즈미터의 렌즈받침부 상단에서 아 래로 25 mm지점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 다(틸팅방법, Fig.1 (b)).10) 비교를 위하여 주시각도에 해 당하는 지점의 렌즈 뒷면이 렌즈미터의 렌즈 받침부에 닫도록 한 상태에서 굴절력을 측정하였다(콘택트방법, Fig. 1(c)). 굴절력은 0.01 D단위로 측정하였으며, 렌즈 를 돌려가며 4번씩 측정한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렌즈의 주변부를 통해 주시할 때 주시각도에 따라 시 선이 통과하는 지점에서 정점간 거리와 렌즈의 두께는 직접 측정을 할 경우 큰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아 래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측정된 렌즈의 면굴 절력은 곡률반경으로 환산할 수 있으며, 곡률반경을 이 용하여 시선이 지나는 지점에서 정점간 거리와 렌즈두께 를 구할 수 있다. 렌즈중심의 두께는 디지털 두께 게이 지(ID-S1012, Mitutoyo, Japan)를 사용하여 0.01 mm단위로 측정하였으며, 면굴절력은 커브게이지를 이 용하여 측정하였다. 커브게이지는 미세한 기울기에도 면 굴절력의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굴절력의 작은 오차 에도 곡률반경은 큰 오차를 보일 수 있다. 오차의 발생 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지대를 사용하여 렌즈광학중심에 서 렌즈면과 커브게이지가 수직이 되도록 유지한 상태에 서 측정하였으며, 눈금식(359-B, Shangha, China)과 디지털식(359-D CT 4405, Canton, China) 두 종류 의 커브게이지를 사용하여 오차를 확인하며 측정하였다. 두 개의 커브게이지로 렌즈를 돌려가며 각각 4회씩 측정 하여,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렌즈의 곡률반경 r

    D s = n 1 r
    (1)

    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11) 여기서 Ds′는 커브게이지 를 이용하여 구한 렌즈의 면굴절력이다. 앞면과 뒷면의 면굴절력을 각각 D1′, D2′, 앞, 뒷면의 곡률반경을 각 각 r1, r2 라면,

    r 1 = n 1 D 1 r 2 = n 1 D 2

    이다.

    주시각도 θ 에 따라 시선이 통과하는 지점에서 렌즈두 께의 변화와 정점간 거리의 변화는 Fig. 2를 통해 계산 할 수 있다. 주변부를 볼 때 렌즈의 광학중심에서 시선 이 렌즈를 통과하는 지점까지의 수평거리는

    Z sin θ = r sin Φ

    이며, Z′는 주시각도에 따라 안구회전점에서 렌즈면까 지의 거리이다.

    sin Φ = Z sin θ r 이며 , ( Z Z cos θ ) = ( r r cos Φ ) = r ( 1 cos Φ ) cos Φ = 1 Z Z cos θ r 이다.

    여기서 Z 는 주시각도 0゚에서의 정점간 거리 12 mm와 안구 회전점과 각막정점 사이의 거리를 13 mm로 하여 25 mm로 가정한다. 이 두 식을 sin2Φ + cos2Φ = 1 에 대입하면 Z'을 구할 수 있다. 앞면과 뒷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Z1′과 Z2′라 하면

    Z 1 = ( Z r 1 ) cos θ + ( r 1 Z ) 2 cos 2 θ Z ( Z 2 r 1 ) , Z 2 = ( Z r 2 ) cos θ + ( r 2 Z ) 2 cos 2 θ Z ( Z 2 r 2 )
    (2)

    이다.

    주시각도에 따라 실제 시선이 지나는 지점의 렌즈두 께 tθ

    t θ = Z 1 Z 2 + 중심부두께
    (3)

    이며, 정점간 거리 lθ

    l θ = Z 2 13 m m
    (4)

    이다.

    위에서 구한 두께와 정점간 거리를 잘 알려져 있는

    Δ D = Δ t n D 1 D 2
    (5)

    D = D 0 1 ( l θ l 0 ) D 0
    (6)

    에 대입하여 렌즈 두께의 변화에 의한 굴절력의 영향 ΔD ′ 와 정점간 거리 변화에 따라 필요한 교정 굴절력 D ′을 구 할 수 있다.9,11,12) 여기서 Δt는 렌즈의 두께 변화량, n은 굴절률이다. l0 는 기준 정점간 거리 12 mm로 가정하였으 며, lθ 은 주시각도 θ 로 주시할 때 변화된 정점간 거리, D0′는 기준 정점간 거리에서의 렌즈 굴절력이다.

    Ⅲ. 결과 및 고찰

    주시각도에 따른 굴절력은 Fig. 1(b)의 틸팅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굴절력의 변화는 Fig. 3에서 볼 수 있으며, 최대, 최소굴절력으로 나누어 나타내었다. 최소, 최대 굴절력은 각각 구결면 굴절력과 자오면 굴절력으로 생각 할 수 있으며, 최대굴절력과 최소굴절력의 차이는 비점 수차에 의해 발생한 원주굴절력으로 생각할 수 있다. 6.00 D이하의 렌즈에서 굴절력 허용오차 ±0.12 D를 기준으로 살펴보면,13) 최소굴절력이 광학중심에서 측정 한 굴절력에 비해 허용오차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전반적으로 주시각도가 25゚이상일 때인 것으로 보이나 C1.60은 모든 굴절력에서 주시각도 20゚이상일 때 허용 오차의 한계를 초과하였다. 최소굴절력의 변화가 가장 심한 경우는 주시각도 30゚에서 A1.56과 C1.60의 +6.00 D렌즈이다. 주시각도가 0゚일 때 각각 +6.04 D, +5.98 D였으나, 주시각도가 30゚일 경우 +6.52 D, +6.46 D로 0.48 D만큼 증가하였다. 최소굴절력의 오차는 기준굴절 력이 커질수록, 주시각도가 커질수록 증가하였으며, B사 제품이 가장 적은 오차를, C사 제품이 가장 큰 오차를 보 였고, 비구면 렌즈의 오차가 일반구면렌즈보다 적었다.

    원주굴절력의 경우 허용오차는 기준굴절력 3.00 D이 하에서는 0.09 D, 3.00 D 초과 6.00 D이하에서는 0.12 D이다. C1.56의 +6.00 D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들 은 주시각도 10゚까지는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소량 발생 하였으나, 대부분의 제품에서 15゚일 때 허용오차를 초과 하는 경우가 발생되었고, 20゚이상에서는 모두 허용오차 를 초과하였으며, 주시각도와 기준굴절력이 증가함에 따 라 원주굴절력이 증가하였다. 주시각도 10゚에서 가장 큰 원주굴절력을 나타낸 경우는 C1.56의 +6.00 D렌즈로 0.51 D가 측정되었으며, 주시각도 30゚에서 가장 큰 원 주굴절력을 보인 경우는 A1.56의 +6.00 D 렌즈로 3.30 D가 측정되었다. 비점수차에 의한 최소굴절력의 증가와 원주굴절력의 발생으로 주시각도가 15゚를 넘어가게 되 면 안경 착용자들은 불편함을 느낄 것으로 생각된다.

    Fig. 4는 주시각도에 해당하는 렌즈 뒷면을 자동 렌즈 미터의 렌즈 받침대에 올려놓고 콘택트방법으로 측정한 경우(Fig.1 (c))에 주시각도에 따른 굴절력의 변화를 보 여주는 그래프이다. 앞에서 본 것처럼 주시각도의 증가 로 정점간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과교정이 되지 않도록 렌즈의 굴절력은 감소하여야 하지만 A, B사의 1.67 렌즈 들만 굴절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굴절률 렌즈 의 경우 A, B, C사 모두 15゚까지는 원주굴절력이 발생 하지 않았으나, 20゚에서 A사의 경우 +4.00~+6.00 D에 서 0.04~0.06 D의 원주굴절력이, B사의 경우 +5.00 D 와 +6.00 D에서 0.04 D, 0.05 D가, C사의 경우에는 +5.00 D와 +6.00 D에서 각각 0.06 D와 0.13 D의 원주 굴절력이 발생하였다. 25゚와 30゚에서 A사는 0.03~0.28 D의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였고, B사의 경우 25゚에서 +2.00 D와 +3.00 D는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지 않았고 +4.00 ~+6.00 D에서 0.03~0.15 D의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였 으며, 30゚에서는 0.03~0.30 D의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였 다. C사는 25゚에서 +2.00 D와 +3.00 D에서는 원주굴절 력이 발생하지 않았고 +4.00~+6.00 D에서 0.04~0.12 D의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였으며, 30゚에서는 0.03~0.21 D의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였다. 세 개의 제조사 중 B사 의 +6.00 D가 30゚에서 0.30 D로 원주굴절력이 가장 높게 발생하였다. 고굴절률 렌즈의 경우 A사는 0~15゚, B와 C사는 0~20゚에서는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지 않았다. A사는 20゚와 25゚일 때 +5.00 D와 +6.00 D에서 0.03 ~0.08 D가, 30゚에서는 모든 굴절력에서 0.03~0.11 D 의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였다. B사와 C사는 25゚, +5.00 D, +6.00 D에서 각각 0.03 D, 0.05 D가, 30゚에서는 B사의 +4.00 D~+6.00 D 렌즈에서 0.04~0.18 D의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였으며, C사는 +4.00~+6.00 D 렌즈에서 0.03~0.20 D의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였다. 고 굴절률 렌즈에서 C사의 +6.00 D가 30゚에서 0.20 D의 원주굴절력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초고굴절률 렌즈 의 경우 C사의 +3.00 D를 제외하고 0゚에서 모두 원주 굴절력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C사의 +6.00 D를 제외한 나머지는 10゚에서부터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였으며, C사 의 6.00 D 또한 15゚에서부터 원주굴절력이 발생하였다. 초고굴절률 렌즈에서 B사의 +6.00 D가 30゚에서 0.96 D의 원주굴절력으로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세 개의 제 조사에서 고굴절률 렌즈는 기준굴절력과 별 차이가 없었 지만, 중굴절률 렌즈의 경우에는 주시각도가 증가할수록 굴절력이 증가하였고, 초고굴절률 렌즈의 경우 A, B사는 주시각도가 증가할수록 굴절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큰 감소를 보였다. 원주굴 절력은 C, A, B사 순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렌즈 앞면과 뒷면의 곡률반경은 Table 2를 통해 알 수 있다. 곡률반경은 커브게이지를 사용하여 앞면과 뒷 면의 면굴절력을 측정한 뒤 수식 (1)을 사용하여 곡률반 경으로 환산하였다. 렌즈의 굴절력이 증가할수록 앞면은 곡률반경이 감소하여 곡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또한 뒷면은 곡률반경이 증가하면서 곡률이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다. B사 제품의 경우 굴절률이 증가함에 따라 앞면과 뒷면의 곡률반경이 증가하였고, A사의 +3.00 D 렌즈와 C사의 +2.00 D와 +4.00 D를 제외한 나머지는 B사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주시각도에 따른 정점간 거리 변화는 Fig. 5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정점간 거리 변화는 수식 (4)를 이용해 구한 값이다. 이를 통해 주시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점 간 거리는 급격히 증가하며, 뒷면의 곡률반경이 커지거 나, (+) 렌즈의 굴절력이 커질 경우 약간의 증가가 있음 을 알 수 있다. 주시각도가 30゚일 때 가장 큰 값은 A, B, C1.67의 +6.00 D렌즈로 15.43 mm였다. 가장 작은 값은 B1.55의 +2.00 D 렌즈로 15.05 mm였다. 이를 통해 동일한 주시각도와 굴절력에 대해서는 렌즈 제품에 따른 정점간 거리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정점간 거리 변화에 대해 필요한 교정렌즈의 굴절력 은 수식 (6)을 이용하면 되는데, 정점간 거리가 멀어질 수록 (+)렌즈는 과교정 상태가 되지 않도록 굴절력이 감 소하여야 한다.6,9) 이 기준굴절력과 필요한 굴절력 사이 의 차이는 기준굴절력과 주시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할 것이다. 제조사에 상관없이 굴절률 1.67, +6.00 D렌 즈의 경우 주시각도 30゚에서 정점간 거리가 3.43 mm 증가한 것으로 약 0.12 D만큼 굴절력이 줄어든 +5.88 D의 렌즈가 필요하다. 주시각도 40゚에서는 정점간 거리 가 6.62 mm 증가한 것으로 약 0.23 D만큼 굴절력이 줄어든 +5.78 D의 렌즈가 필요하며, 기준굴절력 +5.00 D의 경우는 주시각도가 30゚와 40゚일 때 각각 +4.92 D, +4.85 D가 필요하다. 주변부에서 (+)렌즈의 교정 굴절력은 정점간 거리를 고려하면 감소하여야 하지만 측 정된 렌즈의 굴절력은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고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착용자에게 과교정된 상태로 볼 수 있다. 기준굴절력 +6.00 D 이하, 주시각도 30゚ 이 내의 경우 과교정되는 양은 굴절력 허용오차인 0.12 D 이내이지만 이 오차는 Fig. 3의 측정값에 가중치로 작용 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

    광학중심에서 렌즈의 두께는 중굴절률 렌즈 중 A1.56 의 +6.00 D 렌즈가 7.05 mm로 가장 두꺼웠으며, C1.56 의 +2.00 D 렌즈의 두께가 3.13 mm로 가장 얇았다. 고굴절률 렌즈 중에서는 C1.60의 +6.00 D 렌즈가 6.52 mm로 가장 두꺼웠고, B1.60의 +2.00 D 렌즈가 2.77 mm로 가장 얇았다. 초고굴절률 렌즈의 경우 A1.67 +6.00 D 렌즈가 5.71 mm로 가장 두꺼웠고, C1.67 +2.00 D 렌즈가 2.22 mm로 가장 얇았다. 주시각도에 따른 렌즈 의 두께는 Fig. 6에서 볼 수 있다. 주시각도에 따른 실 제 시선이 지나는 렌즈의 두께는 커브게이지로 측정된 앞, 뒷면 곡률반경을 수식 (2)와 (3)에 대입하여 계산할 수 있다. 주시각도가 커질수록 두께는 얇아지고, 기준굴 절력이 커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짐을 알 수 있으며, 굴절 률이 증가할수록 같은 굴절력의 렌즈라도 두께가 감소함 을 알 수 있다. 측정한 앞면과 뒷면의 곡률반경을 각 굴 절률에 따라 전면, 후면 굴절력으로 변환하여 수식(5)에 대입하게 되면 중심부에 비해 주변부에서 두께 감소에 따른 굴절력의 변화를 구할 수 있다. 광축을 따라 주시 를 할 때(주시각도 0゚)에 비해 주시각도 30゚일 때 두께 의 감소는 C사 1.56, 6.00 D가 1.12 mm로 가장 크지 만 이로 인한 굴절력의 변화는 0.015 D 이하이다. 주시 각도를 40゚까지로 확대하더라도 두께변화와 굴절력 변 화는 각각 2.33 mm, 0.03 D 정도이다. 따라서 주시각 도 증가로 인한 렌즈 두께의 변화는 교정굴절력의 변화 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Table 3).

    안경렌즈를 통해 주변부를 주시할 때 또는 중심시를 하 더라도 주변시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 는 광선이 광학중심이 아닌 주변부를 통과함으로써 발생 되는 축외수차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렌즈제작에 있 어 비점수차를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한다는 점을 반영하 여 제조사들이 설계를 하고 제조를 하지만 눈과 렌즈가 동심원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주변시에서 비점수차를 제거 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다. 렌즈면의 주변부를 통해 비 스듬히 입사하는 광선은 원주굴절력을 발생시키며, 최소 굴절력을 증가시켜 착용자의 굴절교정에 영향을 미칠 것 이다. 연구결과에 따라 주시각도의 증가는 렌즈 두께와 정점간 거리의 변화는 물론 굴절력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두께의 변화는 굴절교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보이며, 정점간 거리의 변화는 일부분 영향을 미치고, 착용자에게는 측정된 렌즈 굴절력에 가중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비점수차에 의한 굴절력의 변화이며, 실제 착용자가 느끼는 굴절력은 틸팅 방법으로 측정한 값일 것이다. 틸팅방법과 콘택트방법으 로 측정한 결과 굴절력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콘택 트방법으로 측정한 값으로 판단해서는 안될 것이다.

    렌즈의 주변부에서 발생하는 비점수차는 안면각을 조 정하여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좌,우 렌즈의 광 축이 이루는 각도를 증가시켜 뒷쏠림상태로 피팅을 한다 면 시선과 렌즈면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에 가까워지면서 비점수차를 줄이는 효과를 보일 수 있으며, 정점간 거리 의 변화도 줄어들어 기준굴절력과 필요굴절력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14) 그러나 안면각의 조정은 광학중 심부를 통해 중심시를 할 때 마틴식에 의한 비점수차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9) 추후 안면각의 변화와 주시각도 증가에 따른 비점수차에 의한 렌즈의 굴절 변화에 대한 임상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통 해 안경렌즈의 이해와 취급 그리고 편안한 안경의 제작 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Ⅳ. 결 론

    주시각도에 따른 (+)렌즈의 굴절력 변화에 대해 알아 보았다. 주시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렌즈의 두께는 얇 아지지만 주시각도 30゚, 6.00 D의 경우 두께변화로 인한 굴절력의 변화는 0.015 D로, 교정굴절력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주시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점간 거리도 멀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과교정 상태가 되지 않도록 (+)굴절력이 감소하여야 하며, +6.00 D렌즈의 경 우 주시각도 30゚에서 약 0.12 D만큼 굴절력이 줄어든 +5.88 D의 렌즈가 필요하다. 하지만 측정된 최소굴절력 과 원주굴절력은 주시각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착용자에게는 굴절력이 가중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가장 큰 영향은 보이는 것은 비점 수차에 의한 굴절력의 변화이며, 주시각도 15゚이상에서 최소굴절력과 원주굴절력의 증가로 착용자들은 불편함을 느낄 것으로 생각된다. 주시각도에 따른 굴절력의 변화는 안면각의 조정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안면 각의 변화와 주시각도에 따른 렌즈의 굴절 변화에 대해 추후 임상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2017 Research Grant from Kangwon National University(No. 620170139).

    Figure

    JMBI-21-2-181_F1.gif

    Measuring methods of refractive power at optical center (a), gaze angle of θ(b), and periphery (c) with a lensmeter.

    JMBI-21-2-181_F2.gif

    Changes of lens thickness and vertex distance according to gaze angle.

    l0 : vertex distance along the optical axis,lθ : vertex distance at the gaze angle of θ,O: center of rotation of the eye,OC: optical center of lensθ: gaze angle, r: curvature radius of lens surface,Φ: angle between optical center of lens and B, an intersection of line of sight and lens surface, at curvature center of lensZ: distance between O and lens surfaceZ': distance between O and lens surface at the gaze angle of θ

    JMBI-21-2-181_F3.gif

    Changes of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gaze angle in tilting method.

    As the gaze angle increases, the spherical power is divided by two refractive pow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wers can be considered as the cylindrical power.

    JMBI-21-2-181_F4.gif

    Changes of refractive power at the periphery of lenses in contact method.

    JMBI-21-2-181_F5.gif

    Comparison of vertex distance according to gaze angle for +2.00 D and +6.00 D lenses.

    JMBI-21-2-181_F6.gif

    Changes of lens thickness according to gaze angle.

    Table

    Lens specifications

    Radii of lens surface measured by using curve gauges (unit: meter)

    Difference of thickness and change of refractive power at gaze angle of 40゚

    Reference

    1. Cho HG, Lim BK et al.: Investigation of the distribution in refractive power on lenses. Korean J Vis Sci. 13(3), 177-185, 2011. http://www.riss.kr/link?id=A82689658
    2. Kim DN: A study on the fitting method for children’s spectacles. J Korean Oph Opt Soc. 1(1), 73-84, 1996. http://www.riss.kr/link?id=A104881409
    3. Kim SK, Sung AY: The clinical study on spectacle wearers of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Oph Opt Soc. 9(1), 19-27, 2004. http://www.riss.kr/link?id=A104881859
    4. Sim YC, Yu GC et al.: The effect of the optical points difference between finished-reading glasses and dispensing reading glasses. J Korean Oph Opt Soc. 13(3), 65-71, 2008. http://www.riss.kr/link?id=A103823925
    5. Michaels DD: Visual optics and refraction, 3rd ed., St. Louis, Mosby, pp. 560-575, 1985. http://www.riss.kr/link?id=M3236137
    6. Jalie M: Ophthalmic lenses & dispensing, 2nd ed., Oxford, Butterworth-Heinemann, pp. 28-32, 38-43, 1999. http://www.riss.kr/link?id=M11314073
    7. Brooks CW, Borish IM: System for ophthalmic dispensing, 2nd ed., Boston, Butterworth- Heinemann, pp. 62-69, 1996. http://www.riss.kr/link?id=M8174554
    8. Kim HD, Park EK et al.: Clinical evaluation between the optical center of spectacles and pupillary center. J Korean Oph Opt Soc. 8(2), 19-24, 2003. http://www.riss.kr/link?id=A104880832
    9. Sung PJ: Optometry, 8th ed., Seoul, Daihakseorim, pp. 56-61, 70-74, 2013. http://www.riss.kr/link?id=M13161199
    10. Moon BY, Sa JH et al.: Change of refraction while viewing through the periphery of spectacle lens. Korean J Vis Sci. 20(2), 137-149, 2018.
    11. Sung PJ: Geometric optics for optometrist, 5th ed., Seoul, Daihakseorim, pp. 89-97, 167-175, 2016. http://www.riss.kr/link?id=M14060068
    12. Kim JH, Lee HJ: Clinical estimation of corrected state with change in vertex Distance. J Korean Oph Opt Soc. 15(1), 25-30, 2010. http://www.riss.kr/link?id=A103823757
    13. ISO 8980-1: Ophthalmic optics-Uncut finished spectacle lenses, part 1: Specifications for single-vision and multifocal lens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eva, 2004. https://www.iso.org/standard/34274.html
    14. Benjamin WJ: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nd ed., St. Louis, Butterworth-Heinemann, pp. 1060-1061, 2006. http://www.riss.kr/link?id=M11062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