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1 No.2 pp.219-22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9.21.2.219

Comparison of Visual Acuity between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Jung-Eun Park1),2), Hyun-Soo Choi3), Seong-Jong Park3), Seok-Ju Lee3)*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Student, Daejeon
2)Dept. of Ophthalmic Optics, Cheongam College, Lecturer, Suncheon
3)Dept. of Ophthalmic Optics, Cheongam College, Professor, Suncheon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eok-Ju Lee Dept. of Ophthalmic Optics, Cheongam College, Suncheon TEL: +82-61-740-7443, E-mail: sjlee8282@nate.com
May 20, 2019 June 26, 2019 June 26, 2019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he visual acuity of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rast.


Methods :

The dominant eye of 60 adults (22.4±2.2 years) who had no ophthalmologic disease was determined using the Hole-in-the-card method. The differences between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were compared with high contrast visual acuity and low contrast visual acuity.


Results :

The mean of high-contrast visual acuity (contrast ratio 100%) of the subject was 0.07±0.05 logMAR, 0.11±0.13 logMAR, and the mean of low contrast visual acuity (contrast ratio 10%) was 0.31±0.09 logMAR, and 0.27±0.08 logMAR (p=0.049), respectively. The dominant eye was measured greater than non-dominant eye in high-contrast visual acuity and non-dominant eye was measured greater than dominant eye in low-contrast visual acuity (p=0.003). The visual acuity difference of 0.16±0.23 logMAR when the visual acuity in the same direction is excellently measured in the high contrast chart and the low contrast chart, and the difference in visual acuity of 0.05±0.00 logMAR when the visual acuity in the change direction.


Conclusion :

The dominant eye greater than non-dominant eye in high contrast visual acuity but low contrast visual acuity can be effected by the difference of binocular visual acuity in high contrast.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nvironment and vision life at the correction.



대비도에 따른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시력 비교

박 정은1),2), 최 현수3), 박 성종3), 이 석주3)*
1)을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전
2)청암대학교 안경광학과, 강사, 순천
3)청암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순천

    Ⅰ. 서 론

    우리의 신체는 정중 시상면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대 칭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좌측과 우측, 즉 양측이 존재하 는 신체기관의 모든 기능이 동일한 정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주로 사용하는 손에 따라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가 있듯이 우위가 존재하며 눈에 주도적으로 사용되는 눈 즉, 우성을 나타내는 눈이 있고 이를 ‘우세안’ 또는 ‘우세 안’이라 한다.1) 이는 1593년에 Giovanni Battista della Porta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물체를 주시하고 인 지하는 과정에서 우세안이 비우세안에 비해 한쪽 눈으로 부터 시각 정보를 얻으려는 성향으로 정의되고 있다.2)

    일반적인 우세안 검사 방법으로는 구멍이 뚫린 카드 를 이용하여 구멍을 통해 목표물을 주시하게 하고 좌, 우안을 가려가며 구멍에서 물체가 벗어남을 비교하는 Hole-in-the-card법이 주로 쓰이고 비슷한 원리로 측 정하는 양안을 뜬 상태에서 전방에 목표물을 손으로 가 리키게 하고 좌, 우안을 가려가며 물체가 벗어남을 비교 하는 조준검사법, 로젠바하법 등이 있다.

    우세안은 비우세안에 비해 시각을 대부분 담당하는 눈이며 그로 인해 우세안과 비우세안 간의 시기능에도 차이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시기 능을 비교한 선행연구는 주로 굴절이상, 난시도 등을 비 교하였고 그에 따르면 우세안은 비우세안에 비해 높은 굴절이상과 낮은 난시도를 갖으며, 근시의 진행정도가 크고, 대비감도가 우수하다고 보고하였지만, 이와 반대 되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고 우세안과 비우세안 간의 시 기능은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다.3-6)

    우세안이 이용되는 경우로 양안균형검사 시 좌 우안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울 경우 더 우세안을 더 잘 보이는 상 태로 처방하는 경우, 프리즘 처방 시 비우세안에 프리즘을 처방하는 경우, 모노비전 처방 시 비우세안에 근용 처방하 는 경우, 근용안경 또는 이중초점안경 처방 시 피검자의 생활 습관에 따라 우세안에 근용 부분을 맞추어 처방하는 경우 등이 있고 이러한 처방 뿐 아니라 백내장과 같은 안 과적 수술 시 수술안의 결정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우세안과 비우세안을 구분하여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시기능만을 비교하여 시각적 기여도 뿐 아니라 대비시력을 측정하여 대비도에 따라 우세안과 비우세안간의 어떤 관계 및 차이가 있는지 알 아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재료)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눈에 영향을 줄만한 전신 질환이 없고, 약 물 복용을 하지 않으며 안과 수술을 받은 경험이 없는 20대 성인 남녀 60명(남자 23명(38%), 여자 37명(62%), 22.4±2.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방법

    1) 시기능검사

    (1) 굴절이상도 측정

    굴절이상도 측정을 위해 자동굴절검사기기로 타각적 굴절이상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롭터와 chart projector를 사용하여 자각적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였고, 검사는 양안균형검사 전 단계까지 진행하였다.

    (2) 대비시력 측정

    대비시력은 원거리 완전교정 후 100%(High contrast visual acuity, HCVA) 및 10%(Low contrast visual acuity, LCVA) ETDRS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Precision vision, USA) 시표를 이용하여 검사거리 4 m에서 logMAR 단위로 측정하였 고, logMAR시력은 -0.3까지 갈수록 분각이 작아져 시 력이 우수하며 0.0 logMAR는 소수시력 1.0에 해당한 다. 학습효과로 인한 오차를 감안하여 좌, 우안 검사 순 서는 무작위로 하였다.

    2) 우세안 검사(Hole-in-the-card법)

    우세안은 검사들 사이의 상관도나 일치도가 높아 주 로 사용되고 있는 Hole-in-the-card법을 이용하여 측 정하였다.7,8) 피검자의 양손으로 검사용 카드를 잡고 양 팔을 전방으로 쭉 편 상태에서 눈높이까지 들어 올리게 한 다음 구멍을 통하여 5 m 전방의 단일 시표를 주시하 게 하고, 좌, 우안을 번갈아 차폐한 후 시표가 보이는 가 를 확인하였다. 가리지 않은 눈이 양안으로 주시하였을 때와 같이 구멍안의 시표를 주시한 경우 우세안으로 간 주하였다(Fig. 1). 검사의 정확도를 위해 우세안 검사는 총 5회 반복적으로 시행한 후 3회 이상 우세안으로 나온 눈으로 결정하였다.

    3. 통계처리

    Medcalc version 17.5.5(Medcalc Software, Mariakerke, Belgium)를 사용하였고, p값이 0.050 미만일 때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우세안의 방향 비교

    Hole-in-the-card법을 통한 우세안 검사 시 전체 대상자 중 우안이 우세안인 경우 80%, 좌안이 우세안인 경우 20%로 성별에 관계없이 우안이 우세안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2. 굴절이상과 우세안 방향간의 관계

    1) 구면굴절력

    대상자의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평균 구면 굴절력은 각각 -1.42±1.83 D, -1.38±1.91 D로 우세안이 더 높 게 측정되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p=0.913)(Table 2).

    2) 원주굴절력

    대상자의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평균 원주 굴절력은 각각 -0.69±1.02 D, -0.77±1.03 D로 비우세안이 더 높게 측정되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672)(Table 2).

    3. 우세안의 방향과 대비시력 비교분석

    1) 100% 고대비시력

    전체 대상자의 우안과 좌안의 평균 고대비시력(100%) 은 각각 0.08±0.06 logMAR, 0.09±0.13 logMAR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평균 고대비 시력은 각각 0.07±0.05 logMAR, 0.11±0.13 logMAR 로 우세안의 고대비시력이 비우세안에 비해 우수하게 측 정되었다(p=0.049)(Fig. 2[A]).

    2) 10% 저대비시력

    전체 대상자의 우안과 좌안의 평균 저대비시력(10%)은 각각 0.31±0.10 logMAR, 0.31±0.13 logMAR으로 나 타났으며, 대상자의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평균 저대비시 력의 각각 0.31±0.09 logMAR, 0.27±0.08 logMAR로 비우세안의 저대비시력이 우세안에 비해 우수하게 측정 되었다(p=0.003)(Fig. 2[B]).

    3) 대비도에 따른 우세안과 비우세안 시력 차이

    대상자의 고대비시력은 양안이 같은 경우 60%, 우세안 이 더 우수한 경우 25%, 비우세안이 더 우수한 경우는 15%였다. 양안의 고대비시력이 동일한 경우 중 대비도가 낮은 10% 저대비시표에서도 양안의 시력이 동일한 경우는 72%에 해당하였고, 비우세안의 시력이 더 우수하게 측정 된 경우는 28%, 우세안의 시력이 더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 는 발견되지 않았다. 고대비시력에서 우세안의 시력이 우 수한 경우 중 대비도가 낮은 10% 저대비시표에서 66.7% 는 여전히 우세안의 시력이 더 우수하였고, 나머지는 비우 세안의 시력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 때 고대비시력 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시력차이는 각각 0.16±0.23 logMAR, 0.05±0.00 logMAR로 여전히 우세안의 시력 이 우수한 경우가 더 큰 차이를 보였다. 고대비시력에서 는 비우세안의 시력이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 중 저대비시 표 대비도가 낮은 10% 저대비시표에서 66.7%는 여전히 비우세안의 시력이 더 우수하였고, 나머지 33.3%는 같은 정도의 저대비시력을 나타냈으며 비우세안이 더 우수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았다. Table 3

    Ⅳ. 고 찰

    우세안은 주시와 인지 시에 비우세안에 비해 한쪽 눈 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얻고자 하는 성향으로 정의되고 있다. 때문에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시기능을 비교하는 선행 연구가 여럿 보고되었으며, 우세안과 비우세안이 결정되는 요인 또는 우세안과 비우세안이 각각 어떤 특 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굴절이상도, 안압, 조절반응 량 등을 비롯한 시기능에 대하여도 보고하고 있다.4,8)

    본 연구의 결과는 좌안보다 우안이 우세안인 경우가 80% 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Handa10) 등, 국내에서 연구된 Shin11) 등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 였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우안이 우세안인 경우가 높게 보고되었고, 우세안의 방향 이 우안, 좌안으로 단정 지어지는 본 연구와 달리 Porac7) 등은 전체 대상자의 2%, Shim12) 등은 4.65%에서 방향성 이 없이 정중앙이었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 해 대상자를 늘려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우세안은 시생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므로 지속적 인 조절로 인해 모양체근의 피로가 근시 진행의 원인이 되어 우세안이 비우세안에 비해 근시 진행이 더 많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Cheng13) 등은 우세안은 비우세안 에 비해 높은 굴절이상을 보이고, 특히 부등시성 근시환 자에서 우세안의 근시정도가 더 심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평균 구면 굴절력은 각각 -1.42±1.83 D, -1.38±1.91 D, 원주굴절력은 각 -0.69±1.02 D, -0.77±1.03 D 로 구면굴절력은 우세 안이 더 높게 측정되었고, 원주굴절력은 비우세안이 더 높게 측정되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913),(p=0.672).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시기 능을 비교한 Jung14) 등은 우세안의 (-)구면굴절력이 더 높고, 비우세안은 원주굴절력이 더 높게 측정되었으나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현장에서는 주로 Hole-in-the-card법을 통해서 우세 안을 검출하고 검출된 우세안 비우세안의 방향을 양안균 형검사, 모노비젼, 프리즘 처방, 양안 균형검사 시 사용하 게 된다. 그 중 특히 양안균형검사는 굴절검사의 일부로 가장 기본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교정 시 100% 고대비시표를 이용하여 모든 굴절검사가 이루어 지고 양안균형검사 과정에서 우세안이 더 잘 보이는 상태 에서 검사를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Shim11) 등은 대비감 도와 우세안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대비감도가 더 우수한 방향의 눈을 비우세안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고 하였고, Jung14) 등은 대비시력은 모두 우세안의 방향과 유의한 차 이가 없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0% 고대비 시력에서는 우세안, 10% 저대비시력에서는 비우세안이 더 우수하게 측정되었다(p=0.049),(p=0.003). 이는 고대비 시력이 시력이 양안 동일한 경우는 저대비시력에서 여전 히 동일하거나 비우세안의 시력이 더 우수하게 측정되는 경우였으며 이는 소수시력으로 표현한 시표 한 줄 이내의 차이였고, 고대비시력에서 우세안의 시력이 더 우수한 경 우는 고대비시력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시력차이가 큰 경우 즉 소수시력으로 표현한 시표 두 줄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 저대비시력에서 비우세안의 시력이 우수하게 측정되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즉, 양안 의 시력 차이가 큰 경우는 고대비시력이 우수한 방향의 눈이 저대비시력 또한 우수하게 나타나지만, 양안의 시력 차이가 거의 없거나 동일한 경우라면 비우세안의 저대비 시력이 더 높게 측정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일상 생활에서의 시생활은 항상 100% 고대비에만 노 출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시생활과 환경 변화에 맞는 적절한 처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우세안 의 방향과 대비시력에 대하여 정확하게 확인하고자 단안 굴절 검사 및 대비시력 검사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우세 안과 비우세안의 시기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를 통해 야간시 등 대비도가 다소 떨어지는 환경에서는 비우세안의 시력이 더 우수해질 것으로 추측되고, 운전 자가 운전 중 받아들이는 정보 중 약 80% 이상을 시기 능이 담당하고, 일상에서 야간운전 등의 대비도가 떨어 지는 시생활이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여 임상에서 100% 고대비시표만을 사용하여 굴절검사를 하는 점을 보완하 고자 저대비시표를 사용한 굴절검사가 추가되어야 할 것 으로 생각되고 야간 운전 등 대비도가 낮은 환경에서 주 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필요에 따라 그에 맞는 굴절검사 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시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고 현장에서 쉽게 검 사하고 적용 가능하도록 대비시력의 비교를 시도한 점이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만으로는 특성 을 모두 파악하기엔 다소 한계가 있었고 보다 정확한 특성 을 파악을 위해 추후 한 조도에서만의 대비도 차이 뿐 아 니라 명소시와 암소시 즉, 조도에 따른 대비시력의 차이 비교와, 근거리에서의 대비도에 따른 우세안과 비우세안 의 시력을 비교하는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굴절이상도 차이 와 시기능 중 대비시력을 비교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굴절이상도는 구면굴절력과 원주굴절력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고대비시 력(대비도 100%)은 우세안이 더 우수하게 측정되었으며, 저대비시력(대비도 10%)은 비우세안이 더 우수하게 측정 되었으나, 저대비시력에서 비우세안의 시력이 더 우수하 게 측정되는 경우는 양안의 시력이 같거나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굴절검사 등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검사 시표 등 환경이 100% 대비도에 국한되지 않고 시생활 및 습관에 따라 그에 맞는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y have no interest in the products associated with this study.

    Figure

    JMBI-21-2-219_F1.gif

    Hole-in-the-card method.

    JMBI-21-2-219_F2.gif

    Comparison of visual acuity according to contrast. [A] High contrast visual acuity, [B] Low contrast visual acuity.

    Table

    Distribution of sample

    Refractive error of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The difference of binocular visual acuity when dominant eye excellently measured in high contrast

    Reference

    1. Kim JG, Park DW: Ophthalmic Examination and Analysis, 1st ed., Seoul, ShinKwangpub, pp. 37-39, 1996. http://www.riss.kr/link?id=M1875636
    2. Fagard J, Monzalvo-Lopez K et al.: Relationship between eye preference and binocular rivalry, and between eye-hand preference and reading ability in children. Dev Psychobiol. 50(8), 789-798, 2008. http://www.ncbi.nlm.nih.gov/pubmed/18688806
    3. Park HJ, Yoo KC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dominant eye and visual functions. Korean J Vis Sci. 2(1), 25-32, 2000. http://www.riss.kr/link?id=A40129458
    4. Cho KJ, Kim SY et al.: The refractive errors of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J Korean Ophthalmol Soc. 50(2), 275-279, 2009. http://www.riss.kr/link?id=A100523548
    5. Cheng CY, Yen MY et al.: Association of ocular dominance and anisometropic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45(8), 2856-2860, 2004. http://www.riss.kr/link?id=O36373347
    6. Shim HS, Shim JB et al.: Contrast sensitivity of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in adults. J Korean Ophthalmol Soc. 23(4), 433-440, 2018. http://www.riss.kr/link?id=A105961152
    7. Porac C, Coren S: The dominant eye. Psychol Bull. 83(5), 880-897, 1976. http://www.ncbi.nlm.nih.gov/pubmed/794902
    8. Lee HJ: The influence of accommodation of eye on ametropic dominant eye. J Korean Ophthalmol Soc. 2(1), 149-154, 1997. http://www.riss.kr/link?id=A104881164
    9. Sung PJ: Optometry, 8th ed., Seoul, Daihakseorim, pp. 298-299, 2013. http://www.riss.kr/link?id=M13161199
    10. Handa T, Mukuno K et al.: Ocular dominance and patient satisfaction after monovision induced by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J Cataract Refract Surg. 30(4), 769–774, 2004. http://www.ncbi.nlm.nih.gov/pubmed/15093637
    11. Shin HS, Jang JG: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between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Korean J Vis Sci. 19(3), 2017. http://www.riss.kr/link?id=A103617790
    12. Shim JB, Joo SH et al.: The direction and level of dominant eye according to the tests. JKOOS. 20(3), 363-368, 2015. http://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174923149
    13. Cheng CY, Yen MY et al.: Association of ocular dominance and anisometropic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45(8), 2856-2860, 2004. http://www.ncbi.nlm.nih.gov/pubmed/15277513
    14. Jung SA, Kim HJ: Comparison of function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 in monocular eye. J Korean Ophthalmol Soc. 23(3), 249-258, 2018. http://www.riss.kr/link?id=A105595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