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1 No.3 pp.337-344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9.21.3.337

Analysis of Eye Movement Trend induced by Video Viewing

Kyoung-Seop Lee1), Ki-Choong Mah2)*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Student, Daejeon
2)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i-Choong Mah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262, E-mail: kcmah@eulji.ac.kr
July 24, 2019 September 18, 2019 September 19, 2019

Abstract

Purpose :

To analyze the effect of video characteristics on eye movements, by using the eye movement tracking device (eyetracker).


Methods :

Sixty four adult males and females(22.44±3.68 yr) who agre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The subjects viewed 4 videos with a playback time of 30 min and the counts of eye blinking, fixation, saccade, and pupil diameter was measured by using the eye movement tracking device (eyetracker). Two different videos (action and discussion) in relation to movement of objects were produced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to distinguish the relative movement and resolution quality.


Results :

When viewing action images, compared to viewing discussion images, the pupil diameter was larger(p<0.050), the number of blinks was lower(p<0.050), the number of fixation was higher(p<0.050) and the number of saccade was higher(p<0.050).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ye movement according to resolution quality.


Conclusion :

We found that the diameter of pupil, the numbers of blinking, fixation and saccad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viewing cont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wing contents affect the factors related to eye movement.



영상 시청에 의해 유발된 안구운동 경향 분석

이 경섭1), 마 기중2)*
1)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전
2)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Ⅰ. 서 론

    현재 옵토메트리 분야는 굴절이상과 양안시기능에 대 한 연구 외에도 독서, 컴퓨터, 스마트폰 등 환경적 요인 에 의한 시각적 자극과 인간의 시기능 특성 사이의 관계 를 분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안구운동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아이트래커가 이용되고 있으며,1-5) 시각적 자극의 원인 에 따른 안구운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도 제시되었다.

    Webber 등1)은 DEM 검사를 하는 동안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독서속도와 홱보기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Quiroga와 Pedreira4)는 주시 운동이 개인에 따라 차이 가 있지만 공통된 유형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Koo 등6) 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과제수행시간과 주시 횟수 및 홱보기 횟수가 양의 상관성을 보인다고 제시하였다.

    최근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 TV,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에 의한 시각적 자극에 과도하게 노출되 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의한 시각적 자극을 이용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Lee 등7)은 영상물을 시청하는 동안 유발된 피로도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평가와 생리적 반응 및 안구운동에 서 모두 피로가 유발된다고 하였다. Kim 등8)이 LCD TV에서 제공되는 표준시청모드와 영화시청모드에 따른 생리반응, 주관적 피로도, 동공 및 눈깜박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표준시청모드가 영화시청모드보다 백색의 휘도, 명암비가 더 큰 값을 가지게 되어 눈의 피로감을 유발한다고 하였다. Koo 등9)은 아이트래커를 사용하여 영상물 시청에 의해 유발된 주관적 피로도와 동공직경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디스플레이의 형상이나 배경의 휘 도 또는 영상물의 내용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에서 디스플레이의 기계적 특성, 영상 자체의 휘도 및 여러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나 영상 물의 화질이나 피사체의 움직임 등에 따른 안구 움직임 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최근 영상제작기술의 발달로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 서 스트리밍 서비스 여건에 따라 다양한 영상제작방식을 채용한 영상이 제작되어, 고화질 영상과 저화질 영상이 동시에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물을 시청하는 동 안 영상 내에서 구현되는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와 화질 에 따른 안구 움직임을 측정하고 결과를 비교하여 그 특 성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D TV를 이용하여 고화질과 표준화질로 제작된 액션 및 토론 영상물을 시청하는 동 안,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눈깜박임, 동공직경, 주시 및 홱보기 등의 안구운동요소를 측정하고, 화질과 영상물의 장르가 안구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평균 연령 24.44±3.68 세의 성인 남녀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은 최근 3개월 이내에 안과 질환 및 관련 약물 투여 경험이 없고, 단안 및 양안의 나안시력이나 교정시력이 1.0 이 상이며, 근시와 난시도가 각각 S –6.00 D 및 C –2.00 D 이하인 사람을 선별했다. 시력검사는 5 m 용 한식표 준시시력표(Han-Medical, Seoul)를 사용했다.

    본 연구는 을지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 은 후 진행하였으며(EU 16-45), 모든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2. 영상물 시청조건

    영상물 시청 공간의 조도는 조도계(ANA-F9 LUX METER, Tokyo photo-electric Co., Japan)를 이용 하여 200 lx로 맞추었다. 모든 대상은 1개의 영상물을 시청한 후, 30분간 휴식하고 나머지 영상물을 시청하도 록 했다. 휴식시간 동안 스마트폰 사용과 같은 근거리 작업을 하지 않도록 했고, 학습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영상물의 종류와 화질을 무작위로 선정했다. 또한 파티 션 등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외 부 환경을 최대한 차단하였다.

    3. 디스플레이와 영상물

    대상으로부터 70 cm 떨어진 거리에서 32인치 디스플 레이(XPEER ST32EH3500, Speed Technology Co., Korea)를 통해 영상물을 재생했다. 전체 시청시간이 30 분인 액션 및 토론 영상물 2편을 어도비 프리미어 CS6 (Adobe Premiere Pro CS6, Adobe Systems Incorporated,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SO 11172 규격의 MPEG4 파 일로 각각 변환시켰다. 이때 두 영상물에서 피사체의 움직 임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으로 액션영상과 토론영상을, 화질에 따른 안구운동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고 화질(1920×1080, High definition; HD) 및 표준화질 (720×480, Standard definition; SD)을 영상물 변환 프로그램의 조건으로 각각 선택했다.

    4. 안구움직임의 측정

    모든 대상이 영상물을 시청하는 동안 아이트래커(Eye movement tracking device, SMI Co., Germany)를 사용하여 재생시간 30분 동안 동공직경, 눈깜박임 횟수, 주시 횟수 및 홱보기 횟수를 1분 단위로 각각 측정하였 다. 이때 사용된 적외선 센서의 주파수는 60 Hz 였고, 영상물을 시청하기 전 매번 눈금보정을 실시했다.

    5.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PSS Statics Version 20(IBM, Co., USA), Origin 8.5(OriginLab, Co,. USA)을 사용하였고,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측정한 안구운동요소를 각 영상의 종류 및 화질 간의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영상시 청시간과 안구운동요소 사이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신뢰수준은 95%를 적용하였다.

    Ⅲ. 결 과

    영상물의 종류에 따른 동공직경은 액션영상이 토론영 상보다 더 컸고, 눈깜박임 횟수는 액션영상이 토론영상 보다 더 적었으며, 주시 횟수와 홱보기 횟수는 액션영상 이 토론영상보다 더 많았다(p<0.050). 그러나 영상물의 화질에 따른 동공직경, 눈깜박임 횟수, 주시 횟수 및 홱 보기 횟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1, Fig. 1).

    1. 시청시간 별 동공직경 변화

    영상의 종류에 따른 동공직경은 액션영상이 토론영상 보다 더 컸다.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시청자의 동공 면 에서 측정한 화면의 밝기는 액션영상이 토론영상보다 더 낮았다(p<0.050). 액션영상과 토론영상 모두 고화질과 표준화질 사이의 화면의 밝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2, Fig. 2, 3).

    2. 시청시간 별 눈깜박임 횟수 변화

    영상물의 종류에 따른 눈깜박임 횟수가 토론영상보다 액션영상을 시청할 때 더 적었다. 액션영상에서 고화질과 표준화질 모두 시청시간이 증가할수록 눈깜박임 횟수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액션 HD: r2=0.42, p=0.000, 액션 SD: r2=0.34, p=0.000), 토론영상에서 는 고화질과 표준화질 모두 시청시간의 증가와 눈깜박임 횟수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Fig. 4).

    3. 시청시간 별 주시 횟수 변화

    영상물의 종류에 따른 주시 횟수는 토론영상보다 액션 영상을 시청할 때 더 많았다. 액션영상에서 고화질과 표준 화질 모두 시청시간이 증가할수록 주시 횟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액션 HD: r2=0.22, p=0.010, 액션 SD: r2=0.35, p=0.000), 토론영상에서 시청시간의 증가와 주 시 횟수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Fig. 5).

    4. 시청시간에 따른 홱보기 횟수 변화

    영상물의 종류에 따른 홱보기 횟수는 토론영상보다 액션영상을 시청할 때 더 많았다. 액션영상에서 고화질 과 표준화질 모두 시청시간이 증가할수록 홱보기 횟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액션 HD: r2=0.19, p=0.010, 액션 SD: r2=0.37, p=0.000), 토론영상에서 시청시간 의 증가와 홱보기 횟수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 다(Fig. 6).

    Ⅳ. 고 찰

    영상의 특성은 디스플레이의 종류와 화질, 제작 방법 및 영상의 주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영상의 특성 에 따라 시청자가 느끼는 시자극 또한 변화하여 안구 움 직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일상적인 시생 활에서 반복적으로 접하며 안구움직임에 많은 영향을 주 는 시자극 중 하나인 영상시청과 시기능의 관계를 조사 하기 위해 영상의 특성이 시청자의 안구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영상시청거리가 70 cm 로 조절력이 부족 한 노안인 사람은 영상시청이 부적합할 것으로 보여 대 상 연령을 35세 이하 성인으로 하였다. 조절력이 부족한 사람을 대상으로 근거리에서 영상시청 시 안구움직임 변 화에 대한 연구는 중간거리 시력이 교정된 상태에서 실 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표준화질보다 고화질에서 더 좋은 화질 을 구현하였으나, 화질에 따른 안구 움직임은 액션영상 과 토론영상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는 화질의 정도가 영상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섬세함과 선명도에 차이를 보 일 수는 있으나, 그 차이가 안구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은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액션영상과 토론영상 모두 고화질과 표준화질 사이에 서 시청시간에 따른 동공직경 변화가 유사하였고, 시청 시간이 지날수록 일정한 범위에서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 는 추이를 보였으며, 액션영상을 시청할 때 동공직경은 토론영상을 시청할 때보다 더 큰 상태를 유지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영상물인 뮤직비디오와 다큐멘터리가 동공 직경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제시한 Lee10)의 연구결과로 볼 때, 영상물의 종류가 동공직경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영상을 시청할 때 시청자 의 동공 면에서 측정한 화면의 밝기가 토론영상이 액션 영상보다 더 밝았기 때문에, 영상물에 의한 피로도나 영 상의 종류보다는 조도가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한 영상 시청 간에 동공직경이 3.78∼4.79 mm로, 조도 에 따라 동공직경을 측정하여 제시한 Ko 등11)의 결과(5 lx일 때 7.17 mm, 500 lx일 때 4.94 mm)와 차이가 있 었다. 선행연구는 조도를 고정하여 동공직경을 측정하였 지만 본 연구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조도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측정한 동공직경의 평균치이기 때문 에 측정 조건에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빛의 밝기 에 대한 시각적 순응이 주변 환경 밝기와 차이가 존재할 경우, 매번 새롭게 적응하고 빛에 대한 눈의 감도가 끊임 없이 변한다고 제시한 Lee와 Oh12)의 연구결과로 볼 때,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영상에 의해 조도가 계속적으로 변하는 환경이 동공직경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눈깜박임 횟수는 액션영상이 토론영상보다 더 적었 다. 이는 영상물에서 대상의 흥미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눈깜박임 횟수가 감소되었다고 제시한 Bullough13)의 연 구결과와 일치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액션 및 토론 영상물의 내용과 관련된 흥미를 느끼는 정도를 측정하지 못했으며, 액션영상 내 피사체의 움직임이 토론영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대상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더 집중력이 유도된 것이 다소 눈깜박임 횟수의 감소에 영 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주시 횟수 및 홱보기 횟수는 액션영상이 토론영상보 다 더 많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동적인 영상물에서 주시 횟수 및 홱보기 횟수가 감소하였다는 Koo9)의 연구와 차 이가 있었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영상재생시간은 30 분으로 같았다. 그러나 주시 횟수와 홱보기 횟수는 선행 연구가 약 20회의 차이를 보인 반면, 본 연구는 약 1,000회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선행연구와 본 연구 의 비교 영상이 서로 다르고, 영상을 나누는 기준 또한 다르고, 그 차이가 주시 및 홱보기에 다른 영향을 미쳤 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Dorr 등14)은 영상의 유형에 따라 분류한 4가지 영상 (Natural movies, Trailers, Stop motion, Static) 중 Static 영상에서 주시 지속시간이 가장 길고, 홱보기 진 폭은 Trailers 영상에서 가장 높았다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와 유사하게 영상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안구 움 직임을 비교하였으나, 본 연구는 홱보기 진폭과 주시 지 속시간을 측정하지 못했으며, 그에 따라 안구 움직임 측 정 결과를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영상의 특성에 따 라 주시 지속시간과 홱보기 진폭 등 보다 다양한 안구운 동요소를 측정하여 비교하고 상관성을 확인하는 등의 후 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영상의 특성이 시청자의 안구 움직임에 미 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영상의 종류에 따라서 동공직경, 눈깜박임, 주시 횟수 및 홱보기 횟수에 변화가 있으므로 영상특성(주제, 화질,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이 안구운동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JMBI-21-3-337_F1.gif

    Comparison of the eye movement factors according to action and discussion video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A) Pupil diameter, (B) Blinking counts, (C) Fixation counts, (D) Saccade counts

    JMBI-21-3-337_F2.gif

    Comparison of the pupil diameters with illuminance according to action and discussion video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JMBI-21-3-337_F3.gif

    Change of the pupil diameters during watching action and discussion video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JMBI-21-3-337_F4.gif

    Change of the blinking counts during watching action and discussion video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JMBI-21-3-337_F5.gif

    Change of the fixation counts during watching action and discussion video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JMBI-21-3-337_F6.gif

    Change of the saccade counts during watching action and discussion video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Table

    Comparison of the eye movement factors according to action and discussion video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Comparison of the pupil diameters with illuminance according to action and discussion video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Reference

    1. Webber A, Wood J et al.: DEM test, Visagraph eye movement recordings, and reading ability in children. Optom Vis Sci. 88(2), 295-302, 2011. DOI: https://doi.org/10.1097/OPX.0b013e31820846c0
    2. Ayton LN, Abel LA et al.: Developmental eye movement test: what is it really measuring?. Optom Vis Sci. 86(6), 722-730, 2009. DOI: https://doi.org/10.1097/OPX.0b013e3181a6a4b3
    3. Lee HJ, Chung DH: Effects of image resolution and HMD luminance on virtual reality viewing experience. J Broadcast Eng. 23(1), 74-85, 2018. DOI: https://doi.org/10.5909/JBE.2018.23.1.74
    4. Quiroga RQ, Pedreira C: How do we see art: an eye-tracker study. Front Hum Neurosci. 5, 98-107, 2011. DOI: https://doi.org/10.3389/fnhum.2011.00098
    5. Lee HJ, Chung DH et al.: Assessment of fatigue with viewing the shutter glasses and film patterned retarder 3D TVs. Korean J Vis Sci. 16(2), 169-179, 2014. http://db.koreascholar.com/article.aspx?code=313557
    6. Koo BY, Oh SJ et al.: Analysis of eye movement characteristics in the NYSOA K-D and the DEM test with eye tracking device. Korean J Vis Sci. 16(4), 527-535, 2014. http://db.koreascholar.com/article.aspx?code=313588
    7. Lee EC, Park KR et al.: Measuring the degree of eyestrain by watching LCD and PDP device. Int J Indust Ergon. 39(5), 798-806, 2009. DOI: https://doi.org/10.1016/j.ergon.2009.02.008
    8. Kim YJ, Hwang MC et al.: User's fatigue difference between standard mode and theater mode in LCD. HCI 2008(2), 839-842, 2008. http://www.riss.kr/link?id=A60207365
    9. Koo BY, Jang MH et al.: Changes in the subjective fatigue and pupil diameters induced by watching LED TVs. Optik 164, 701-710, 2018. DOI: https://doi.org/10.1016/j.ijleo.2018.03.077
    10. Lee DH: Pupillary responses according to the prolonged exposure of dynamic visual stimuli, Hanyang University PhD Thesis, pp. 29-32, 2016. http://www.riss.kr/link?id=T13960674
    11. Ko BU, Ryu WY et al.: Pupil size in the normal Korean population according to age and illuminance. J Korean Ophthalmol Soc. 52(4), 401-406, 2011. DOI: https://doi.org/10.3341/jkos.2011.52.4.401
    12. Lee CY, Oh IW: A study on the light adaptation of interior space. Korean Inst Interior Design J. 16(3), 111-118, 2007.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20861991
    13. Bullough JD, Akashi Y et al.: Impact of illumination on visual fatigue and eyestrain while viewing television. J Appl Sci. 6(8), 1664-1670, 2006. DOI: https://doi.org/10.3923/jas.2006.1664.1670
    14. Dorr M, Martinetz T et al.: Variability of eye movements when viewing dynamic natural scenes. J Vis. 10(10):28, 1-17, 2010. DOI: https://doi.org/10.1167/1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