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1 No.3 pp.389-39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9.21.3.389

Screening Method for Inflammatory Dry Eye

Min-Hye Park1), Jung-Eun Park1), Jang-Won Byun2), Min-Ji Choi3), Il-Hoon Cho4), Myeong-Jin Jeong5), Koon-Ja Lee6)*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Student, Daejeon
2)Kong eye clinic, Optometrist, Seoul
3)Dept. of Senior Healthcare,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Student, Seongnam
4)Dep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5)Dept. of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6)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182, E-mail: kjl@eulji.ac.kr
August 14, 2019 September 23, 2019 September 26, 2019

Abstract

Purpose :

To propose an algorithm for screening of inflammatory dry eye using tear tests, corneal staining and conjunctival hyperemia.


Methods :

A total of 81 patients in 20-30s without ophthalmologic diseases participated. The inflammatory dry eyes were diagnosed using MMP-9 (metalloproteinase-9) test and performed Shirmer test, TBUT (tear break-up time), corneal staining and conjunctival hyperemia. Dry eye refers to the criteria which specifies the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score of more than 12, TBUT (tear film break-up time) of less 5 seconds, Schirmer test without anesthesia of less than 5mm/5minutes, corneal staining, and conjunctival hyperemia more than grade 1. Chi-square test was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ear/ocular surface test and MMP-9 test, and ROC curve was used for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UC (area under the curve) for the algorithm of inflammatory dry eye.


Results :

Neither of the methods, Schirmer test nor TBU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ositive MMP-9 results(p>0.050). And, OSDI, corneal staining, and conjunctival hyperemia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MP-9 result(p<0.050). Among the OSDI scores, corneal staining, and conjunctival hyperemia,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UC for screening of inflammatory dry eye were as follow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UC of ‘OSDI/corneal staining/conjunctival hyperemia’ were 44.00%, 100.00%, 0.720, and ‘OSDI/corneal staining’ were 44.00% 94.59%, 0.693, ‘OSDI/conjunctival hyperemia’ were 76.80%, 75.68%, 0.762, and ‘corneal staining/conjunctival hyperemia were 52.80% 97.30%, 0.750, respectively, showing that ‘OSDI/conjunctival hyperemia’ was highest accuracy.


Conclusion :

The algorithm of ‘OSDI/conjunctival hyperemia’ showed high accuracy similar to MMP-9 test. It would be a useful method for screening inflammatory dry eye.



염증성 건성안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법

박 민혜1), 박 정은1), 변 장원2), 최 민지3), 조 일훈4), 정 명진5), 이 군자6)*
1)을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전
2)공안과의원, 검안사, 서울
3)을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시니어헬스케어학과, 학생, 성남
4)을지대학교 임상병리학과, 교수, 성남
5)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 성남
6)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Ⅰ. 서 론

    건성안(dry eye)은 안구건조증이라 불리며 흔하게 나 타나는 안질환 중 하나로 인구의 고령화, 유해한 환경에 노출 증가로 인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건성안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건조감, 충혈, 이물감, 통증 및 시 각 장애 등이 있으며 정도에 따라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건성안의 발생은 눈물생성부족(aqueous tear-deficiency dry eye)과 눈물증발과다(evaporative dry eye), 술잔세포 (goblet cell)의 밀도 감소, 높은 삼투압(hyper-osmolarity), 마이봄샘기능장애(meibomian gland dysfunction) 및 안구 표면의 염증(inflammation) 등을 포함한 여러 요 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EWS (dry eye workshop) 보고서에 따르면 안구표면 염증이 수반되는 염증성 건성안은 만성적 질환이며, 불 편감, 시력의 감소 및 눈물막 불안정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다요인성 안구 표면 질환으로 정의된다.1) 건성 안 환자의 약 40~65%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염증이 있 으며, 국내 염증성 건성안의 비율은 최근 몇 년 사이 미 국의 40~60%보다 높은 55~70%로 추산되고 있다.2-7) 향후 환경오염, 전자기기 사용, 미세먼지 증가 등으로 염증성 건성안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

    염증성 건성안의 경우 안구표면이 건조해지면 표면 상 피세포는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 IL-1β), IL-6, IL-8,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 TNF- α) 및 matrix metalloproteinase-9(MMP-9) 등의 염 증과 관련된 생체표지자(biomarker)를 분비한다. 생체표 지자 중 MMP-9은 조직 손상 후 세포외기질의 재생에 관여하는 펩티드(peptide)로 염증초기에 분비되고, IL-1, IL-6, IL-8, TNF-α의 분비를 촉진하며, 염증이 진행되 는 동안 조직 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되기 때문에 염증 확 인에 가장 이상적인 생체표지자로 알려져 있다.8-10) 안구 표면 질환이 있는 경우에 눈물 내 MMP-9의 농도가 높 아지고, 건성안 판단의 지표로 사용되는 눈물의 삼투압이 정상보다 높은 경우에도 MMP-9의 농도가 높아진다고 알 려져 있어 MMP-9의 농도는 건성안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10) 다른 선행연구에서는 건성안 환자의 30%에 서 MMP-9 활성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MMP-9 활성이 증가하여 눈물막이 불안정해진다고 하였다.6,11)

    또한 MMP-9은 각막상피세포의 밀착연접(tight junction) 을 파괴하여 세포장벽의 기능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에 염 증세포의 이동 및 상피세포의 박리를 촉진하고 궁극적으 로 각막 염색(staining)과 통증을 유발하며, 눈물막 안 정성을 파괴하여 눈물막파괴시간(tear break-up time, TBUT)을 감소시킨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2,9-13)

    정상안의 눈물 내 MMP-9의 농도는 3-40 ng/mL, 건성안 환자의 MMP-9 농도는 41 ng/mL 이상으로2)MMP-9의 농도는 건성안의 정도와 상관성이 있다고 보 고되었다.10) 따라서 임상에서는 눈물 내 MMP-9의 농 도를 생체표지자로 활용하여 염증성 건성안을 진단하는 InflammaDry(RPS Diagnostics; Sarasota, FL, USA) 가 개발되었고, MMP-9의 농도가 41 ng/mL 이상인 경 우를 염증성 건성안으로 진단하고 있다.14)

    임상에서 건성안 진단에 사용되는 방법은 OSDI(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설문검사, 눈물막파괴 시간검사 및 쉬르머검사(Schirmer test), 각·결막의 염 색 검사 등이 있다. Lanza 등15)은 쉬르머검사와 TBUT 검사가 MMP-9 검사 결과와 상관성이 없어 안구표면 염증상태를 판단할 수 없다고 하였다. Begley 등16)은 안 구의 염증상태를 판단하는 각·결막의 염색과 각·결막 충혈(hyperemia) 상태 평가 방법은 건성안과 관련이 있 으며, 중등도와 중도의 건성안 환자의 65%에서 각막염 색이 관찰되었다고 하였고, OSDI 검사에서 건성안으로 판정된 환자의 8~57%에서도 각·결막 염색이 관찰되었 다고 보고되었다.17-19) 따라서 눈물검사와 각결막 염색 및 충혈 평가 중 염증성 건성안과 관련이 있는 검사를 찾아내는 것은 건성안 판별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건성안은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원인에 따른 치료가 수반되어야 한다. 염증성 건성안의 경우에는 MMP-9의 발현을 억제하는 약물처방을 해야 하는데14) 아직까지 임 상에서는 비염증성 건성안과 염증성 건성안을 구분하지 않아 부적절한 치료가 진행된다고 보고되었다.11) 또한 MMP-9은 안검연염, 결막이완증(conjunctival chalasis), 원추각막(keratoconus), 봄철각결막염(vernal keratoconjunctivitis), 마이봄샘질환(meibomian gland disease) 및 쇼그렌증후군(Sjögren's syndrome)의 경우에도 농 도가 증가하기 때문에20-22) 염증성 건성안과 구분이 명 확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건성안 검사방법으로 염증성과 비염증성 건성안을 선별할 수 있다면 건성안의 증상에 따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 어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사방법(쉬 르머검사, 눈물막 파괴시간검사, OSDI, 결막 충혈, 각막 염색)을 조합하여 염증성 건성안을 감별진단(screening)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안질환이 없는 건강한 20~30대 젊은 성인 162안(남 자: 58안, 여자: 104안)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대상자 중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경우에는 검사 전 1주일간 콘택 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모든 검사과정과 규 약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번호: EU19-10)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였으 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과 검사 방법에 대하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를 얻고 검사를 진행하였다.

    2. 연구 방법

    염증성 건성안 검사와 임상에서 건성안 판별을 위해 사 용되는 눈물검사 및 염증관련 검사는 아래와 같이 진행하 였고 눈물의 재생시간과 안구 피로를 고려하여 각각의 검 사는 10분의 간격을 두고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검사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일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1) 염증성 건성안 검사법

    (1) MMP-9 검사

    인공눈물을 구결막 부위에 2방울 점안한 후 검사용 흡 수지로 눈물을 흡수시키고 MMP-9 항체가 고정되어 있 는 스트립(strip)과 눈물을 흡수한 흡수지를 겹치도록 위 치시켜 조립한 후 조립된 키트의 샘플 창을 통해 0.5% casein과 0.1% tween 20이 포함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완충용액 70 μL 분주하여 20~30분 후 스트립에 나타나는 붉은색 라인을 통하여 염증의 유·무를 확인하였다(Fig. 1).

    2) 건성안 자각 증상 설문검사

    (1) OSDI 검사

    건성안과 관계가 있는 일반적인 사항에 관한 12개 항 목으로 구성된 OSDI 설문지를 연구 대상자에게 배포한 후 자신이 느끼는 증상을 체크하도록 하였다. 설문검사 점수는 1~100점으로 나타나며 높은 점수일수록 건성안 의 증상이 더 심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 행연구 결과23)를 기준으로 설문검사 값이 총 12점 이상 인 경우를 건성안으로 간주하였다.

    3) 눈물 검사

    (1) 눈물막파괴시간 검사

    형광용액을 점안한 후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하여 눈물 막이 파괴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형광용액 염료가 포 함된 용지(Haag-Streit Strips, Haag-Streit, USA)를 식염수에 적신 후 대상자의 눈물 층에 염색하여 눈을 여 러 번 깜박이게 하여 형광염료가 눈물 막에 충분히 용해 된 것을 확인한 후 눈물막에 첫 번째 균열이 보이는 때를 초 단위로 측정하였다. 정확도를 위해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24) 를 기준으로 5초 미만인 경우 건성안으로 분류하였다.

    (2) 쉬르머 검사

    쉬르머 검사는 Schirmer tear®(EagleVision Inc., Menphis, TN, USA)를 이용하고, 점안마취는 하지 않 았다. 쉬르머 검사지의 한쪽 끝을 접어 아래눈꺼풀 바깥 쪽 1/3 지점에 아래눈꺼풀을 당긴 후 접힌 부분이 결막 낭 내로 삽입 후 눈을 감게 하였다. 5분이 지난 후 쉬르 머 검사지를 제거하여 젖은 부분의 길이를 mm 단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25)를 기준으로 측정값이 5 mm 미만인 경우 건성안으로 분류하였다.

    4) 염증 관련 안구표면 검사

    (1) 결막 충혈(Conjunctival hyperemia)

    결막 충혈 평가는 CCLRU(Cornea and Contact Lens Research Unit) 기준에 따라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하 여 충혈의 정도에 따라 grade 0(정상)-grade 3(심한 충혈) 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2) 각막 염색(Corneal staining)

    각막 염색 평가는 CCLRU 기준에 따라 세극등 현미 경을 사용하여 염색 정도에 따라 grade 0(정상)-grade 3(심한 염색) 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5) 통계 처리

    MMP-9 값을 기준으로 분류한 염증성 건성안과 임상 검사 결과간의 상관성은 카이제곱검정(Chi-squared)을 통해 분석하였고, 각각의 임상 검사방법의 염증성 건성 안의 감별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ROC(Receiver Operate Characteristics) 커브를 통해 민감도와 특이 도를 평가하고, 곡선아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정확도의 지표로 활용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통 계프로그램 Medcalc Version 17.5.5(MedCalc Software, Mariakerke, Belgium)을 사용하였고 p값이 0.050 미 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

    건성안 감별은 남성 29명(58안), 여성 52명(104안) 총 81명(162안)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24.55±3.67세였다. 대상자 중 44명(88안, 54.30%)은 콘택트렌즈 착용자였고, 각막굴절교정술을 받은 사람은 8명(16안, 9.90%)이었다. 건성안 검사 결과 총 대상자의 쉬르머 검사값은 11.78±6.85 mm, 눈물막파괴시간 검 사값은 4.04±1.08초, OSDI 점수는 22.52±16.05점, 각막 염색은 1.49±0.58, 결막 충혈은 0.98±0.52 이었 다(Table 1).

    2. MMP-9을 이용한 염증성 건성안 분류

    대상자 81명(162안)을 대상으로 MMP-9을 이용하여 염증성 건성안을 분류한 결과 대상자의 77.20%인 125안 에서 MMP-9 양성 반응이 나타났으며, 22.80%인 27안 에서 MMP-9 음성 반응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MMP-9 양성, 음성 반응을 확인한 결과 성별 간의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p=0.064).

    3. 염증성 건성안 감별을 위한 눈물검사법 비교

    눈물검사법과 염증성 건성안 감별법인 MMP-9 검사 와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검사법의 건성안 판 별 검사값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쉬르머 검사값은 5 mm 미만을 건성안으로 분류하였고, 쉬르머 검사에 의해 판별된 건성안과 정상안의 경우에는 MMP-9 양성반응을 보인 경우가 각각 81.30%, 76.70%로 나타났고, 음성 반 응을 보인 경우는 18.70%, 23.30%로 서로 유의한 상관 성을 보이지 않았다(p=0.682). 눈물막파괴시간 검사값은 5초 미만을 건성안으로 분류하였고, 눈물막파괴시간 검사 에 의해 분류한 건성안과 정상안의 경우에는 MMP-9 양 성반응을 보인 경우가 각각 77.00%, 77.80%, 음성 반응 을 보인 경우는 23.00%, 22.20%로 눈물막파괴시간 검 사값은 MMP-9 검사결과와 상관성이 없었다(p=0.934). OSDI 점수는 12점 이상을 건성안으로 분류하였고, OSDI 검사법에 의해 분류한 건성안과 정상안의 경우에는 MMP-9 양성반응을 보인 경우가 81.40%, 66.00%, 음성 반응을 보인 경우는 18.60%, 34.00%로 OSDI 검사값은 MMP-9 검사결과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38), (Table 2).

    4. 염증성 건성안 감별을 위한 각결막 표면 검사법 비교

    염증과 관련된 결막충혈 및 각막 염색 검사법은 CCLRU 기준에 따라 4단계로 평가하여 grade 1 이상인 경우를 건성안으로 판단하였다. 결막충혈은 grade 1을 기준으로 분류한 건성안과 정상안의 경우에는 MMP-9 양성반응을 보인 경우가 각각 83.20%, 8.00%, 음성 반응을 보인 경 우는 16.80%, 92.00%로 나타났다. 각막 염색은 grade 1 을 기준으로 정상안과 건성안을 분류하고, 건성안과 정상 안에서 MMP-9 양성 반응을 보인 경우는 각각 95.20%, 65.70%, 음성 반응을 보인 경우는 2.80%, 34.30%로 결 막충혈과 각막염색은 MMP-9 검사결과와 유의한 상관성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Table 2).

    5. 염증성 건성안 감별을 위한 각 검사법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염증성 건성안 감별진단용으로 임상 검사 값의 유용 성을 평가하기 위해 ROC curve를 이용해 각 검사의 민 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한 결과 민감도는 결막 충혈이 96.80%, OSDI는 76.80%, 각막염색은 55.20%로 결막 충혈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였고, 쉬르머 검사와 눈물 막파괴시간 검사는 민감도가 낮았다. 특이도는 쉬르머 검사가 91.89%, 각막염색이 86.49%, 눈물막파괴시간 검사가 83.78%, 결막충혈이 48.56%, OSDI는 40.58% 로 쉬르머 검사가 가장 높은 특이도를 보였다. ROC 커 브를 이용한 정확도 분석 결과에서 AUC 값은 결막 충 혈이 0.727, 각막 염색이 0.708, OSDI가 0.587로 결막 충혈과 각막염색이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Table 3).

    6. 염증성 건성안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법 알고리즘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MMP-9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OSDI, 결막 충혈, 각막 염색을 이용하여 염증성 건성안 감별진 단에 가장 유용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세 가지 검사 를 조합하여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를 확인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OSDI, 결막 충혈, 각막 염색’ 세 가지 검사결과를 모두 반영할 경우 민감도는 44.00%, 특이도 는 100.00%, AUC 값은 0.720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p<0.001). 두 가지 검사결과를 반영한 경우의 민감도, 특이도 및 AUC 값은 ‘OSDI, 각막 염색’ 결과를 반영한 경우에는 각각 44.00%, 94.59%, 0.693로 나타났고 (p<0.001), ‘OSDI, 결막 충혈’ 결과를 반영한 경우에는 76.80%, 75.68%, 0.762(p<0.001), ‘결막 충혈, 각막 염색’ 검사결과를 반영한 경우에는 52.80%, 97.30%, 0.750로 나타났다(p<0.001).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OSDI, 결막 충혈’ 검사결과 또는 ‘결막 충혈, 각막 염색' 검사결 과를 반영한 검사에서 가장 큰 AUC 값을 보이고, 민감 도와 특이도도 높아(Table 4), (Fig. 2), 이 두 가지 검 사를 활용하는 방법이 염증성 건성안 감별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Ⅳ. 고 찰

    건성안은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갖고 있는 흔한 안과질환이며 최근에는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임상 적으로 유의한 염증은 건성안 환자의 약 절반에서 발생 한다는 보고되었고,15) 본 연구에서도 전체 대상자의 절반 이상인 77.2%에서 MMP-9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눈물의 수성층이 부족한 건성안의 경우에는 인공눈물 의 점안이 자극감을 줄여주고 각결막의 손상을 막는 효과 가 있지만26) 염증성 건성안에서는 염증 감소와 MMP-9 의 농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되었고, 건 성안의 치료방법 중 하나인 눈물점 폐쇄의 경우에도 마 찬가지로 염증 감소와 MMP-9의 농도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고되었다.27) 그러나 염증성 건성안의 경우, 국소적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나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과 같은 항염제를 처방할 경우에만 MMP-9과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s)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28,29) 따라서 건 성안 환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건성안의 원인을 파악한 근본적 치료는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행 환경을 시뮬레이션한 환경에서 건성안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Teson 등30)의 연구에서는 비행 환경에 노출 후 건성안 증상이 악화되고 눈물의 MMP-9 수치 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고, 또 다른 연구에 서는31) 정상안과 건성안 환자 모두 건조한 환경 스트레 스에 의해 건성안 증상이 나타나거나 악화되었다고 보고 되었다. 이와 같이 건성안은 환경적 영향을 많이 받는데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사용, 콘택트렌즈 착용자 증가, 매 연과 미세먼지 등의 환경오염 물질의 증가로 건성안 및 염증성 건성안 환자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임상에서 건성안을 판단하는 방법은 꾸준히 발전되어 왔으나 염증성 건성안의 감별방법은 크게 발전되지 않았 고, 최근에는 염증성 건성안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염 증의 생체표지자인 MMP-9을 이용한 검사법이 일부에 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검연염, 원추각막, 봄철각결 막염, 마이봄샘질환(meibomian gland dsease), 쇼그렌 증후군(Sjögren's syndrome) 및 갑상선질환의 경우에도 MMP-9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20-22,32) MMP-9 검사 로 염증성 건성안과 염증성 안과질환의 구분이 쉽지 않 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염증성 건성안의 치료가 잘 진행되기 위해서는 염증성 건성안의 감별법이 개발되어 야 한다. 선행연구2)에서 OSDI 설문 검사 점수를 건성안 판단 기준에 포함시킬 경우 MMP-9 검사의 양성예측도 와 음성예측도에 차이가 있다고 보고되었고, 염증의 증 상을 나타는 각막 염색이 없는 환자에서도 MMP-9 양 성 반응이 나타나는 등 하나의 검사방법 만을 사용하면 염증성 건성안 진단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염증성 건성안을 감별진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검사방법을 종합 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Messmer 등24)은 임상에서 주로 쓰이는 눈물 검사 중 쉬르머 검사와 눈물막파괴시간 검사가 MMP-9 수치 사 이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자각적 증상을 통해 건성안을 평가하는 설문검사 중 하나인 OSDI 설문 검사 값은 MMP-9의 양성 반응과 유의한 상 관성이 있다고 보고하였으나,23) Lanza 등15)은 MMP-9 수치와 dry eye questionnaire 5(DEQ 5)가 서로 상관 성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OSDI 검사를 통해 건 성안으로 판단된 대상자의 8~57%에서 각·결막 염색이 확인되었고,16,18) 중등도 및 심한 건성안 환자의 65%에 서 각막 염색을 관찰되었다고 보고되었으며,15) 각·결막 염색은 MMP-9 활성과 상관성이 있고 건성안의 증상이 심할수록 MMP-9 활성이 높아진다고 보고되었다.11) 이 는 눈물의 MMP-9이 각막 상피의 밀착연접을 약하게 만들어 각막 상피 박리에 관여하며 각막 상피세포 장벽 기능의 이상, 각막 상피의 손상 등에 영향을 주었기 때 문으로30) 본 연구에서도 MMP-9 검사 결과와 각막 염 색 검사 결과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눈물검사 방법 중 쉬르머 검사, 눈물막파괴시간검사, OSDI, 결막충혈과 각막염색을 기준으로 MMP-9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본 연구결과 쉬르머 검사와 눈물막파괴 시간검사는 MMP-9 양성 반응과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 고, OSDI 점수, 결막충혈과 각막염색 유·무는 MMP-9 양성 반응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 결과를 활용하여 MMP-9 검사와 상관성을 보인 OSDI, 결막충혈과 각막 염색의 검사방법을 조합하여 각각의 알고리즘에 대한 민 감도와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가 높은 경우는 ‘OSDI, 결막 충혈’의 조합과 ‘결막 충혈, 각막 염색’의 조합으로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가 ‘OSDI, 결막 충혈’의 조합에서는 각각 76.8%, 75.7%, 0.762, ‘결막 충 혈, 각막 염색’의 조합에서는 각각 52.8%, 97.3%, 0.750 로 나타나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OSDI, 결 막충혈, 각막염색을 조합하는 검사방법은 MMP-9을 이용 하는 Inflammadry의 민감도 85%, 특이도 94%33)보다 는 다소 낮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지만 염증성 건 성안 감별진단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Ⅴ. 결 론

    1. 임상에서 사용되는 검사 중 OSDI, 결막 충혈, 각 막 염색은 염증성 건성안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염 증성 건성안 감별진단에 유용하였다.

    2. ‘OSDI, 결막 충혈’ 조합과 ‘결막충혈, 각막 염색' 조합의 염증성 건성안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MMP-9 검사 결과와 유사한 민감도와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OSDI, 결막 충혈’ 조합과 ‘결막충혈, 각막 염 색'의 조합이 염증성 건성안의 감별진단에 유용할 것으 로 사료된다.

    Figure

    JMBI-21-3-389_F1.gif

    The structure of MMP-9 test kit.

    JMBI-21-3-389_F2.gif

    Area under the curve of inflammatory dry eye screening method.

    Table

    Baseline biometric data of the subjects

    Correlation between MMP-9 test and dry eye tes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inflammatory dry eye screening metho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inflammatory dry eye screening method

    Reference

    1. Behrens A, Doyle JJ et al.: Dysfunctional tear syndrome: a Delphi approach to treatment recommendations. Cornea 25(8), 900–907, 2006. DOI: https://doi.org/10.1097/01.ico.0000214802.40313.fa
    2. Sambursky R, Davitt WF et al.: Prospective, multicenter, clinical evaluation of point-of-care matrix metalloproteinase-9 test for confirming dry eye disease. Cornea 33(8), 812–818, 2014. DOI: http://doi.org/10.1097/ICO.0000000000000175
    3. Lam H, Bleiden L et al.: Tear cytokine profiles in dysfunctional tear syndrome. Am J Ophthalmol. 147(2), 198–205, 2009. DOI: http://doi.org/10.1016/j.ajo.2008.08.032
    4. Boehm N, Riechardt AI et al.: Proinflammatory cytokine profiling of tears from dry eye patients by means of antibody microarrays. Invest Ophthalmol Vis Sci. 52(10), 7725–7730, 2011. DOI: http://doi.org/10.1167/iovs.11-7266
    5. Enríquez-de-Salamanca A, Castellanos E et al.: Tear cytokine and chemokine analysis and clinical correlations in evaporative-type dry eye disease. Mol Vis. 16, 862–873, 2010. https://www.ncbi.nlm.nih.gov/pubmed/20508732
    6. Afonso AA, Sobrin L et al.: Tear fluid gelatinase B activity correlates with IL-1 alpha concentration and fluorescein clearance in ocular rosacea. Invest Ophthalmol Vis Sci. 40(11), 2506-2512, 1999. https://www.ncbi.nlm.nih.gov/pubmed/10509643
    7. Gulati A, Sacchetti M et al.: Chemokine receptor CCR5 expression in conjunctival epithelium of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Arch Ophthalmol. 124(5), 710-716, 2006. DOI: http://doi.org/10.1001/archopht.124.5.710
    8. Massingale ML, Li X et al.: Analysis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tears of dry eye patients. Cornea 28(9), 1023–1027, 2009. DOI: http://doi.org/10.1097/ICO.0b013e3181a16578
    9. Corrales RM, Stern ME et al.: Desiccating stress stimulates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by the corneal epithelium. Invest Ophthalmol Vis Sci. 47(8), 3293–3302, 2006. DOI: http://doi.org/10.1167/iovs.05-1382
    10. Chotikavanich S, de Paiva CS et al.: Production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 proteinase-9 on the ocular surface increase in dysfunctional tear syndrome. Invest Ophthalmol Vis Sci. 50(7), 3203-3209, 2009. DOI: http://doi.org/10.1167/iovs.08-2476
    11. Brignole F, Pisella PJ et al.: Flow cytometric analysis of inflammatory markers in conjunctival epithelial cells of patients with dry eyes. Invest Ophthalmol Vis Sci. 41(6), 1356-1363, 2000.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020440
    12. Sobrin L, Liu Z et al.: Regulation of MMP-9 activity in human tear fluid and corneal epithelial culture supernatant. Invest Ophthalmol Vis Sci. 41(7), 1703–1709, 2000. https://www.ncbi.nlm.nih.gov/pubmed/10845589
    13. Li DQ, Lokeshwar BL et al.: Regulation of MMP-9 production b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Exp Eye Res. 73(4), 449–459, 2001. DOI: http://doi.org/10.1006/exer.2001.1054
    14. Sambursky R.: Presence or absence of ocular surface inflammation directs clinical and therapeutic management of dry eye. Clin Ophthalmol. 10, 2337-2343, 2016. DOI: https://doi.org/10.2147/OPTH.S121256
    15. Lanza NL, McClellan A et al.: Dry eye profiles in patients with a positive elevated surface matrix metalloproteinase 9 point-of care test versus negative patients. Ocul Surf. 14(2), 216–233, 2016. DOI: http://doi.org/10.1016/j.jtos.2015.12.007
    16. Nichols KK, Nichols JJ et al.: The lack of association between signs and symptoms in patients with dry eye disease. Cornea 23(8), 762–770, 2004. DOI: http://doi.org/10.1097/01.ico.0000133997.07144.9e
    17. Begley CG, Chalmers RL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ual patient-reported symptoms and clinical signs among patients with dry eye of varying severity. Invest Ophthalmol Vis Sci. 44(11), 4753–4761, 2003. DOI: http://doi.org/10.1167/iovs.03-0270
    18. Alves M, Reinach PS et al.: Comparison of diagnostic tests in distinct well-defined conditions related to dry eye disease. PLoS One 9(5), e97921, 2014. DOI: http://doi.org/10.1371/journal.pone.0097921
    19. Martinez JD, Galor A et al.: Frequency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ry eye in patients attending a tertiary care ophthalmology center in Mexico City. Clin Ophthalmol. 10, 1335–1342, 2016. DOI: https://doi.org/10.2147/OPTH.S106451
    20. Acera A, Rocha G et al.: Inflammatory markers in the tears of patients with ocular surface disease. Ophthalmic Res. 40(6), 315-321, 2008. DOI: http://doi.org/10.1159/000150445
    21. Lema I Sobrino T et al.: Subclinical keratoconus and inflammatory molecules from tears. Br J Ophthalmol. 93(6), 820-824, 2009. DOI: https://doi.org/10.1136/bjo.2008.144253
    22. Leonardi A, Brun P et al.: Tear levels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and MMP-9 in vernal keratoconjunctivitis. Invest Ophthalmol Vis Sci. 44(7), 3052-3058, 2003. DOI: https://doi.org/10.1167/iovs.02-0766
    23. Messmer EM, von Lindenfels V et al.: Matrix metalloproteinase 9 testing in dry eye disease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point-of-care immunoassay. Opthalmology 123(11), 2300-2308, 2016. DOI: https://doi.org/10.1016/j.ophtha.2016.07.028
    24. Ibrahim OMA, Dogru M et al.: The effic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trip meniscometry in conjunction with tear function tests in the assessment of tear meniscus. IOVS. 52(5), 2194-2198, 2011. DOI: http://doi.org/10.1167/iovs.10-5986
    25. Michael A, Lemp MD et al.: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Ocul Surf. 5(2), 75-92, 2007. DOI: https://doi.org/10.1016/s1542-0124(12)70081-2
    26. Stern ME, Schaumburg CS et al.: Dry eye as a mucosal autoimmune disease. Int Rev Immunol. 32(1), 19-41, 2013. DOI: https://doi.org/10.3109/08830185.2012.748052
    27. Aragona P, Aguennouz M et al.: Matrix metalloproteinase 9 and transglutaminase 2 expression at the ocular surface in patients with different forms of dry eye disease. Ophthalmology 122(1), 62–71, 2015. DOI: https://doi.org/10.1016/j.ophtha.2014.07.048
    28. Byun YJ, Kim TI et al.: Efficacy of combined 0.05% cyclosporine and 1% methylprednisolone treatment for chronic dry eye. Cornea 31(5), 509-513, 2012. DOI: http://doi.org/10.1097/ICO.0b013e31818c69ef
    29. De Paiva CS, Corrales RM et al.: Corticosteroid and doxycycline suppress MMP-9 and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MAPK activation in the corneal epithelium in experimental dry eye. Exp Eye Res. 83(3), 526–535, 2006. DOI: https://doi.org/10.1016/j.exer.2006.02.004
    30. Teson M, Gonzalez-Garcia MJ et al.: Influence of a controlled environment simulating an inflight airplane cabin on dry eye disease. Invest Ophthalmol Vis Sci. 54(3), 2093-2099, 2013. DOI: http://doi.org/10.1167/iovs.12-11361
    31. López-Miguel A, Tesón M et al.: Dry eye exacerbation in patients exposed to desiccating stres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Am J Ophthalmol. 157(4), 788-798, 2014. DOI: http://doi.org/10.1016/j.ajo.2014.01.001
    32. Andrea Leonardi, Paola Brun et al.: Tear levels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and MMP-9 in vernal keratoconjunctivitis. Invest Ophthalmol Vis Sci 44(7), 3052-3058, 2003. DOI: http://doi.org/10.1167/iovs.02-0766
    33. Sambursky R, Davitt WF et 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 point-of-care matrix metalloproteinase 9 immunoassay for diagnosing inflammation related to dry eye. JAMA Ophthalmol. 131(1), 24-28, 2013. DOI: http://doi.org/10.1001/jamaophthalmol.2013.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