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성장기 신체 변화 중 굴절이상은 소아뿐만 아니라 지 속적인 근업에 노출된 초등학생에게 다양한 영향을 미치 고 있어 많은 연구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세계적 수준에 있는 국내 IT(Information Technology)의 소프 트 및 하드웨어의 빠른 발전은 사용자의 연령과 장소에 제한 없이 쏟아져 나오는 정보에 노출이 되고 있으며, 학 교 수업에서도 HMD(Head Mounted Display)와 패드북 (Padbook)과 같은 여러 장비(visual display)들을 이용 하여 실제와 같은 3D환경을 구현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 러한 정보기술산업의 발전은 지속적으로 근거리에서 눈을 사용하는 환경을 만들어 근시와 같은 굴절상태의 변화로 시력 발달 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미 치고 있다.1,2) 특히, 2050년에는 전 세계의 57% 나라의 50%가 넘는 사람들이 근시안이 되고 전 인구의 10% 이 상이 고도근시로 이행될 것이라는 예측이 보고된 바 있 다.3) 그러므로, 굴절상태 변화 과정에 있는 아이들의 시 력 변화의 관찰과 관리는 근시 인구가 많은 국내에서는 무엇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비정시안 중 국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근시성 굴절이상의 원인은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발표되어 왔지 만, 최근에는 유전적 기인보다는 출생 후 사회, 환경적인 요소 등으로 영향을 많은 받는다는 것으로4-6)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IT 네트워크 선진국인 한국과 같은 국가 환경에서 비정시안들은 더욱 광범위하게 확장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7) 학교 수업 내에서의 환경에서도 IT를 이용한 지속적인 근거리를 요구하는 내용8)의 콘텐츠들은 근시의 발생과 진행을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근시가 국내의 굴절이상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9-11) 이 근시의 변화는 지역적 환경에 의한 원인 이라는 국내 연구12-14)에서 도시지역의 학생들이 지방의 학생들에 비해 근시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근시는 초등학교 1학년인 7~8세에서 시작하여 9~11 세에서 급격히 증가하며15), 또한, 10세 이전에 발생한 근 시의 진행은 이후의 근시보다 빠르게 진행하고 정도도 심 하다고 하였다.16) 또한, Lee 등17)은 저학년의 근시 발생 및 증가에 대한 문제와 예방에 대해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에 의 한 후천적 굴절상태 변화의 시작이 되는 경산지역 초등학 교 2학년 학생의 굴절상태를 확인하여 현재 초등학생들의 근시 정도와 지역적 환경 영향 및 앞으로 근시 변화를 예 측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참여대상
경산교육지원청이 초등학생의 시력관리를 통해 개개 인의 시력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예방 및 관리를 목적으 로 2015년도에 주관한 ‘밝고 투명한 아이(eye) 만들기’ 사업‘의 2차 검사를 진행하였다. 이 사업은 2014년 자체 설문조사에서 초등학생 2, 3학년 시기에 안경착용률이 가장 높은 경향(58.2%)을 보여 2학년을 대상으로 검사 를 진행하였으며, 경산지역 전체 초등학교 31개교 중 27 개교가 참여하였다.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학교 보건법 시행령 제6장 제23조 1항에 의거) 경산시내의 보 건교사가 있는 13개교 중 11개교(도시지역)와 경산시외 의 읍 또는 면 소재의 보건교사가 없는 18개교 중 16개 교(농촌지역)로 분류하였다.
검사 대상자중 학생 보호자의 허락 하에 검사가 가능 한 전체 1,662명(3,324안) 중 도시지역 955명(1,910안) 과 농촌지역 707명(1,414안)이 참여한 검사를 기초로 비 교 및 분석을 하였다.
2. 검사 및 방법
비교 분석으로 위한 검사 항목으로는 5 m용 한천석 시 력표를 이용한 원거리 좌우 단안시력(안경착용자는 안경 착용시력, 미착용자는 나안시력)을 측정하였고, 타각적 굴절검사 값은 자동굴절검사기기(Auto-Refractometer, Hubitz-3100, Hubitz, RK)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측정 한 평균값으로 하였다. 진행된 모든 검사들은 1차 검사 와 동일하게 본 연구 저자의 책임 및 관리 하에 안경광 학과 학생과 대구시 소재의 ‘누네안과’의 안경사와 함께 진행되었다.
굴절상태에 대한 비교는 타각적굴절검사의 결과를 등 가구면굴절력(spherical equivalent power, SE)으로 환산하여 정시, 비정시(근시성, 원시성)로 구분하였으며, 안경착용자는 교정시력, 미착용자는 나안시력을 기준으 로 시력 0.8 이상과 0.7 이하로 재 구분하여 시력 및 교 정상태를 확인하였다.
개인 정보를 제외한 시력과 관련된 결과들은 이 사업 을 주관한 경산교육지원청과 참여 학생들 부모의 동의 하에 연구 목적으로 비교 및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도시 와 농촌의 전체 굴절력 비교, 비정시의 근시성 및 원시성 굴절력 비교 그리고 시력 0.7 이하의 굴절력 평균 비교 는 IBM SPSS Statistics 22.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의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두 지역 간 안경착용률의 비교는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의 비교 결과 값은 p값이 0.050보다 작을 때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Table 1
Ⅲ. 결 과
1. 전체 초등학생 굴절 및 안경착용 상태
1) 굴절이상 상태
학교 소재지에 따라 경산시내(도시, 보건교사 배치 지 역)와 경산시외(농촌, 보건교사 미배치 지역) 지역의 전 체 31개교 중 본 검사에 참여한 27개교 2학년 1,662명 (3,324안)에서 정시는 207안(6.23%), 비정시는 3,117안 (93.77%)으로 등가구면굴절력 평균은 –1.01±1.32 D로 나 타났다(Table 2). 비정시안 중 근시안은 2,693안(81.02%) 으로 평균 –1.27±1.19 D, 원시안은 424안(12.75%)으로 평균 +0.62±0.79 D를 보였으며(Table 3), 비정시안에 서 근시안은 86.40%, 원시안은 13.60%를 나타내어 검 사를 받은 전체 2학년의 굴절상태는 굴절이상안이 많았 으며, 특히 비정시안 10명 중 8명이 근시성 비정시를 갖 고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들9-11)에서 근시가 굴절이상 중 에 가장 큰 원인이라는 보고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2.00 D 이하의 경도 굴절이상안은 78.28%이었으 며, ±6.00 D 이하의 중도 굴절이상은 14.77%로 나타 나(Table 4), Kim18)의 연구에서 초등학교 3학년 488안 에서 경도 71.4%, 중도 28.6%로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중도 굴절이상안의 비율이 다소 낮게 나타나 이는 참여 학생들의 학년과 참여한 인원 등 여러 환경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2) 안경착용 및 시력 상태
검사에 참여한 2학년 초등학생 1,662명 중 454명 (27.31%)이 안경을 착용하고 있어, 10명 중 약 3명이 굴 절이상으로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다. 시력 상태는 안경 착용(안경착용자) 또는 나안상태(안경미착용자)에서 0.8 이상은 2,669안으로 전체의 80.29%를 차지하였으며, 0.7 이하의 시력을 보이는 경우는 655안(19.70%)으로 나타났다(Table 5). 즉, 10명 중 2명이 추가 또는 새로 운 교정이 필요한 시력 상태를 보였다.
2. 도시지역 초등학생
1) 굴절이상 상태
보건교사가 있는 경산시내(도시지역) 2학년 초등학생 955명(1,910안) 중 정시는 96안(5.03%)이었으며, 비정 시안은 1,814안(94.07%)으로 평균 –1.01±1.35 D로 나 타나 10명 중 9.5명이 비정시안이었다(Table 6). 비정시 안 중 근시성은 1,577안, 평균 –1.32±1.23 D으로 도시 지역 거주 학생의 82.57%, 도시지역 비정시의 86.93% 로 조사되었다. 원시성은 237안, 평균 +0.68±0.85 D 로 도시지역 학생의 12.40%, 도시지역 비정시의 13.07% 를 보여 도시지역의 굴절이상 10명 중 8명 이상이 근시 성 굴절이상을 갖고 있었다(Table 7).
2) 안경착용 및 시력 상태
도시지역 초등학생 955명 중 안경착용자는 308명 (32.25%)으로 나타나 10명 중 3명이 안경을 착용하고 있 었다. 정시를 포함한 0.8 이상의 시력은 1,509안(79.00%) 이었으며, 교정이 필요한 0.7 이하의 시력은 401안(21.00%) 이었다(Table 8). 즉, 10명 중 2명이 추가 또는 새로운 교정이 필요한 시력 상태를 보였다.
3. 농촌지역 초등학생
1) 굴절이상 상태
보건교사가 없는 경산시외(농촌지역) 2학년 초등학생 707명(1,414안) 중 정시는 11안(7.85%)이었으며, 비정 시안은 1,303안(92.15%)로 평균 –0.87±1.23 D로 나타 나 10명 중 9명이 비정시안이었다(Table 9). 비정시안 중 근시성은 1,116안, 평균 –1.20±1.14 D로 농촌지역 거주 학생의 78.93%, 농촌지역 비정시의 85.65%로 조 사되었다. 원시성은 187안, 평균 +0.55±0.71 D로 농촌 지역 거주 학생의 21.07%, 농촌지역 비정시안의 14.35% 를 보여 농촌지역의 굴절이상 10명 중 8명이 근시성 굴 절이상을 보였다(Table 10).
2) 안경착용 및 시력 상태
농촌지역 초등학생 안경착용자는 146명, 11.20%로 나타나 10명 중 1명이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다. 정시를 포함한 0.8이상의 시력은 1,160안(82.03%)이었으며, 교 정이 필요한 0.7 이하의 시력은 254안(17.97%)이었다 (Table 11). 즉, 10명 중 약 2명이 추가 또는 새로운 교 정이 필요한 시력 상태를 보였다.
4. 도시와 농촌지역 초등학생 굴절상태 비교
1) 두 지역 간의 초등학교 2학년 굴절이상
도시와 농촌지역의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등가구면 굴절력 평균은 각각 –1.01±1.35 D와 –0.87±1.23 D로 약 –0.14 D 정도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이 더 높은 근시성 굴절 이상을 보여(p<0.010, t=-3.06)(Fig. 1), 2007년도에 보 고된 경남지역 내 농촌과 도시지역 전체 초등학생들의 등 가구면이상도 비교에서도 도시지역 아이들이 약 –1.08 D 정도의 근시를 보였다는 결과12)보다 적게 나타났다.
2) 근시
두 지역에서 근시로 분류된 대상자들 간의 비교에서 도시지역 학생들의 근시도는 –1.32±1.23 D이었으며, 농촌지역은 –1.20±1.14 D로 나타나, 도시지역 학생들 이 약 –0.13 D의 더 많은 근시성 굴절이상을 보였다 (p<0.010, t=2.74)(Fig. 2).
3) 원시
원시성 굴절이상의 비교에서는 도시와 농촌이 각각 +0.68±0.85 D와 +0.55±0.71 D를 보였으며, 통계적 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0, t=1.71), 이는 두 지역 간의 굴절이상 차이의 주된 원인이 원시성 굴절이 상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4) 시력 0.7 이하
추가 교정이 필요하거나 새로운 안경 교정이 필요한 시력을 가진 학생들의 비교에서는 도시지역은 –1.78± 1.68 D와 농촌지역은 –1.82±1.31 D로 두 지역 모두 근 시성 굴절이상을 보였으며, 농촌지역의 학생들이 약 – 0.04 D로 다소 높은 근시도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의 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두 지역에서의 교정 이 필요한 굴절이상 정도는 비슷하여 지역 간의 보건교 사의 유무에 따른 교정이 필요한 굴절이상 정도의 차이 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안경착용률
두 지역 2학년 재학 중인 초등학생들의 안경착용 비 교에서 도시지역은 16.98%와 농촌지역은 11.20%로 도 시지역의 초등학생들이 농촌지역의 아이들보다 5.78% 더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으며(Fig 3),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001).
Ⅳ. 고 찰
국내 근시 유병률은 2008년 48.9%에서 매 년 증가하 여 2012년에는 53.8%로19) 최근에는 약 80%가 넘는 청 소년들이 근시로 인해 안경을 착용하고 있고, 다양한 인 터넷 플랫폼의 발전으로 환경과 시간에 제한 없이 쏟아 져 나오는 정보에 노출이 되고 있어 굴절상태 변화에 좋 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는 지속적인 근시 인구의 증가와 그에 따르는 고도근시 의 진행은 여러 안질환과 같은 시기능에 문제를 발생시 킨다고 하였으며,3) 대한민국과 같은 경제적 발달20)과 IT 환경의 급성장은 근시의 발생 빈도를 더욱 가속화되는 계기가 될 수 있어 초등학교 저학년의 굴절상태의 확인 은 근시의 가속화와 예방 차원에서 그 무엇보다 중요하 다고 언급된 바가 있다.17)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경산 지역 초등학교 2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굴절과 안경착용 상태를 확인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의 굴절상태 확인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성별에 따른 굴절이상의 차이는 본 연구 목적이 지역에 따른 굴 절이상과 안경 교정 상태이며, 여러 논문에서 큰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12,17,18)에 따라 분석을 하지 않았다.
본 사업의 굴절검사에 참여한 경산지역 2학년 초등학 생들의 굴절상태는 자동굴절검사기기를 이용한 결과 값 의 등가구면굴절력으로 환산하여 구분하였다. 근시성 또 는 원시성 굴절이상이 포함된 비정시가 전체의 93.77%, 평균 –1.01±1.32 D로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굴절이 상을 갖고 있었으며 그 원인은 근시로 나타났다. Yun 등12)이 보고한 경남 지역 초등학생들의 등가구면굴절력 –1.06±1.22 D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이 결과에서 는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포함이 되어 있고, 특히 고학 년에 올라갈수록 근시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의 2학년인 저학년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도 결과는 낮 은 굴절력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10세 이전 의 근시 진행과 속도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들16)과 같이 앞으로 전반적인 초등학교 저학년들의 굴절이상도의 진 행 속도와 정도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안경착용률은 27.31%로 Yun 등12)이 보 고한 경남 지역 도시와 농촌 지역 저학년 안경착용률 21.2%보다 다소 높은 수치이지만, 이 연구는 2007년의 결과이고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 서의 2학년 초등학생들의 착용률은 앞으로 더 증가할 것 으로 보이며 굴절이상안 특히 근시로 인한 안경을 착용 하는 학생들이 많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0.7 이하 의 시력으로 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본 연구와 Lee 등 17)의 결과에서 각각 도시 30%와 21.00%, 농촌 18%와 17.97%로 도시지역에서만 오히려 낮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저학년은 전체 학년보다 상대적으로 교정이 잘 이 루어지고 있었지만 여전히 20%가 넘는 학생들이 교정이 필요한 상태로 나타났다.
경산시내와 경산시외로 분류된 도시와 농촌지역의 평 균 등가구면굴절력 비교에서 각각 –1.01±1.35 D와 – 0.87±1.23 D로 약 –0.14 D의 굴절력 차이를 보여 통 계적으로 유의한 의미(p<0.010, t=-3.06)를 보였으며, 두 그룹 모두 근시성의 굴절이상을 나타내 국내 저학년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의 원인이 근시로 인한 시력 저하 였다. 또한, 도시지역의 초등학생들이 여전히 근시로 인 한 굴절이상이 더 많아 Lee 등17)이 보고한 결과와 같이 도시학생들의 근시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 년 초등학생들 간의 굴절력 차이의 원인은 도시지역의 학생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의 노출이 쉬운 환경이기 때문에 근시의 발생 요인이 유전적인 원 인보다는 환경에 더 큰 비중이 있다는 내용20)과 일치한 다고 할 수 있다.
각 지역에서 근시로 분류된 학생들의 비교에서는 도 시는 –1.32±1.23 D, 농촌은 –1.20±1.14 D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p<0.010, t=2.74)를 보여, 앞서 두 지 역 간의 전체 굴절력 비교에서 약 –0.14 D와 비슷한 약 –0.13 D로 도시와 농촌지역의 굴절이상 차이의 원인은 모두 근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시안의 비교에서는 통 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근시가 이 지역의 저학년 초 등학생들의 주된 굴절이상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안경 미착용자 또는 안경착용자의 시력이 0.7 이하로 시력 교정이 필요한 그룹에서 도시는 –1.78±1.68 D와 농촌은 –1.82±1.31 D로 두 지역 모두 약 –2.00 D 이하 의 저도 근시 상태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지역에 따른 보건교사 유무와 환경적 요건 등 두 요소가 시력 교정이 필요한 학생들 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으며, Lee 등17)이 보고한 지역에 따른 보건교사의 유무가 안경 교정 정도 에 큰 영향이 없다는 내용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즉, 경 산 지역에서 시력검사가 가능한 장소 및 환경 기반이 어 느 정도 안정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오히려 가정을 비롯한 학교와 정부 차원에서 적어도 6개월에 한 번은 정기적인 시력 검사를 실시하도록 해야만21) 이 초등학생 들에게 필요한 교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두 지역 간의 안경착용률은 약 2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이 5.78% 더 많은 학생들이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다(p=0.001) 이는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의 안경착용률이 더 높다는 연구들 18,22)과 같은 결과를 보여,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의 비정시 중 근시성 굴절이상 비율이 높아 안경착용률과 같은 결 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성장의 변화가 큰 초등학생 들의 생활 습관, 학업 자세 및 환경 등이 시력저하에 적 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23) 이러한 미 교정으로 인 해 야기될 수 있는 시력 장애와 그로 인한 여러 양안 시 기능에 장애를 유발 가능성을24)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10세 이전에 발생된 근시의 진행은 더 빠르게 진행되 며, 이 근시는 초기 1년에서 가속화 된다고 하였기 때문 에25) 본 연구의 대상자인 저학년(9세)의 굴절상태 결과 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근시 굴절이상은 더 증가하여12-14,18,22) 저학년의 굴절상 태의 연구는 진행될 근시와 정도를 예측하는데 기초자료 로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Ⅴ. 결 론
굴절이상의 변화와 정상적인 시기능 발달에 있어 중 요한 시기인 저학년인 2학년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 과에서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관계없이 근시가 주된 굴절이상의 원인이었으며, 정기적인 안경원 방문을 통한 시력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으로 급 속히 증가하는 초등학생 근시의 변화 추적 및 예방을 위 해 지속적인 연구와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