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1 No.4 pp.575-58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9.21.4.575

Comparison of Corrected Intraocular Pressure Method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according to Corneal Ablation Amounts

Hee-Jae Jeong1), Chang-Won Park3), Hyo-Jin Kim2),4)*
1)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Baekseok University, Student, Seoul
2)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Baekseok University, Professor, Seoul
3)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4)Dept. of Visual Optics, Baekseok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This study was presented at the 2019 winter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conference.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ojin Kim Department of Visual Optics, Baekseok University, Cheonan TEL: +82-41-550-2841, E-mail : hjink@bu.ac.kr
November 15, 2019 December 18, 2019 December 24, 2019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that would be underestimated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according to corneal ablation amounts, and was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corrected IOP method for each group.


Methods :

The subjects were 1,002 eyes of 501 people (237 men, 264 women) who underwent corneal refractive surgery. The mean age was 26.89±5.18 years. IOP was measured with a non-contact tonometer and 4 correction methods, and was used to correct the underestimated IOP. IOP in three groups with low, moderate and high myopia according to ablation amounts was analyzed postoperative corrected IOP to compare correction methods.


Results :

The preoperative IOP was 15.67±2.39 mmHg and postoperative IOP was 10.12±2.11 mmHg,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ean 5.55±2.09 mmHg. The postoperative IOP calculated by Ehlers‘ correction method was 14.53±2.47 mmHg, which was 1.14±2.83 mmHg different from the preoperative IOP, showing the most similar to preoperative IOP. In addition, the IOP corrected by the Ehlers equation showed the smallest difference from preoperative IOP in all groups.


Conclusion :

The Ehlers correction method is shown the most accurate among the four correction methods in low, moderate, and high myopia group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It would be a useful method for preventing the lat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laucoma.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 절삭량에 따른 안압 보정방법의 비교

정 희재1), 박 창원3), 김 효진2),4)*
1)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학생, 서울
2)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교수, 서울
3)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4)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Ⅰ. 서 론

    라식(LASIK, Laser in-situ keratomileusis), 라섹 (LASEK,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kratomileusis) 과 같은 각막굴절교정수술은 각막을 절삭하는 수술 방법 으로 수술 후 전방 내 안압은 수술 전과 비교하여 차이 가 없지만1,2) 안압계로 측정할 경우에 각막 중심두께, 각 막의 곡률변화 등으로 인해 안압이 낮게 측정될 수 있 다. 안압은 주로 골드만 압평 안압계(GAT;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나 비접촉식 안압계(noncontact ton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이러한 안 압계는 구형의 안구 모형을 가정한 상태에서 측정하며, 각막 두께나 만곡도와 같은 여러 인자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술 후 편평하고 얇아진 각막은 실제 안압보다 낮게 측정된다.3-5) 이렇게 수술 후 환자에서 실제보다 낮게 측정된 안압은 정상범위의 안압에 속한다고 잘못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녹내장진단에 정확한 지표로 사 용할 수 없다. 또한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사용되는 안압 상승 위험이 있는 스테로이드성 안약 처방에도 어려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낮게 측정된 안압을 보정하려는 여러 방법이 시도되었다.3-5) 현재까지 각막의 두께와 곡률반 경을 이용하여 저 평가된 안압을 보정하기 위해 Ehlers, Shah, Kohlhaas, Dresden, Orssengo/Pye 등의 공식 들이 유도되었다.6-10) 이전 연구에서 Hong 등11)은 Ehlers의 방법으로 측정한 보정값이 수술 전과 비교하 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임상적으로 실제 안압을 평가하는데 가장 정확한 방법이라고 보고하였다. 또 다 른 연구에서 Kirstein와 Hosler12)는 Orssengo/pye의 보정법과 Ehlers의 보정법이 비슷하지만 라식 굴절교정 수술 이후 각막두께의 변화량에 따른 오차가 더 클 수 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검안 장비의 발달로 안압 보정은 보정공식 들을 내장한 장비들이 구성되어 환자의 중심 각막두께 (CCT; Central cornea thickness)와 각막곡률반경을 측정한 수치를 이용하여 수술 후 안압을 보정할 수 있다 고 알려졌다.11)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된 각막 수 치를 가지고 환자 개인별로 바로 수술 후의 안압을 보정 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공식간의 비교가 가능하며, 실제 현장에서도 매우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각막굴절교정수술의 경우 환자의 굴절이상도에 비례 하여 각막 절삭량이 달라진 고도근시안의 절삭량은 평균 105.31 μm으로 저도근시의 평균 각막 절삭량인 37.17 μm에 비해 절삭량이 매우 크므로 수술 후 각막의 생체 역학적 특성의 변화가 경도 및 중등도와는 다를 수 있 다.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경도와 중등도 근시환자를 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각막 절삭이 큰 경우에 발생 하는 오차를 반영하지 못하였다.11) 또한 각막굴절교정수 술 후 각막 절삭량과 안압감소의 상관성을 분석한 또 다 른 이전 연구에서는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된 안압을 보정하지 않았다.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도 근시를 포함한 다양한 근시 군에서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저 평가되는 안압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막 절삭량에 따른 적합한 수술 후 안압의 보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안과병원에서 각막굴절교 정수술을 받은 평균 연령 26.89±5.18세의 성인 남녀 501명 1,002안 (남자 237명, 여자 2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시작 전 연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에게 실 험의 목적과 검사 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한 후에 참 여 동의를 얻고 2018년 9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술 기기는 AMARIS 750 엑시머레이저 (Schwind eye-tech-solutions GmbH, Kleinostheim, Germany)를 사용하였고 항온항습기(23.2°C, 45.80%) 가 설치된 수술방에서 오픈지속시간 최대 15분으로 숙련 된 안과전문의가 집도하였다. 수술 전 안압이 정상범위 (10~21 mmHg)를 벗어나는 경우나 스테로이드 약물에 반응하는 환자, 1.50 D이상의 난시안을 제외하였다. 교정 시력이 0.8 이상이며 백내장, 녹내장, 망막질환 등 안과 적 질환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수술 전 평균 구면렌즈대응치는 -4.11±1.54 D, 중심 각막두께는 548.99±26.84 μm이었으며, 각막 절삭량은 65.97± 23.59 μm,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된 수술 전 안압은 15.67±2.38 mmHg 이었다(Table 1).

    2. 측정도구

    1) 시력 및 안압 검사

    수술 전 검사로 나안 및 교정시력, 비접촉식 안압계를 이용한 안압측정(Non-contact tonometer NT-510, Nidek Co, Tokyo, Japan), 현성굴절검사(ARK-510A, Nidek, Aichi, Japan), 중심 각막두께측정(Pentacam, Oculus, Wetzlar, Germany), 세극등 검사와 안저 검 사를 시행하였다.

    수술 2개월 후 수술 전 검사와 동일하게 나안시력, 교정 시력, 굴절력과 비접촉식 안압계를 이용하여 안압을 측정 하였다. 비접촉식 안압계는 각막중심에 공기를 분사하여 각막에서 반사되는 빛이 최대가 되는 시점을 기록한다. 반 사되는 빛이 최대가 되는 시점이 각막이 편평해지는 시점 이고, 이 때 안압은 공기가 분사되는 순간부터 각막이 편 평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에 비례하여 측정되는 원리이다.

    2) 안압 보정방법

    수술 후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된 안압을 보정하기 위해서 이전 연구에서 제시된 Ehlers, Shah, Dresden, Orssengo/Pye의 네 가지 보정법을 비교하였다. 모든 안 압의 보정은 Pentacam을 이용하여 측정된 환자의 중심 각막두께와 각막 곡률반경을 이용하여 내장된 위의 네 가 지의 공식을 활용하여 산출된 값을 이용하였다.11) 이렇게 공식별로 보정하여 산출된 수술 후의 안압과 비접촉식으 로 측정된 수술 전의 안압을 비교하였다. 이전 연구14)에서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된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안압은 수술 방식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 구에서는 라식과 라섹 군을 나누지 않고 분석하였다.

    또한 각막 절삭량에 따른 근시 군별로 적합한 안압 보 정방법을 비교하기 위해서 모든 대상자를 경도 근시(≦ -3.00 D), 중등도 근시(-3.00 D ~ -6.00 D), 고도 근시(≧-6.00 D) 군으로 나누어 안압의 저 평가 정도와 함께 군별로 수술 후의 안압을 산출하였다.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SPSS Inc., Chicago,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 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을 활용하 였고, 각각의 안압 보정방법에서 수술 전·후 보정치의 비교는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또한 Bland- Altman plots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 보정된 안압 간 의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통계적 유의검 정 수준은 p<0.050으 로 간주하였다.

    Ⅲ. 결 과

    1. 수술 후 안압 보정방법의 비교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한 수술 전·후 안압을 4가지 의 안압 보정 방법으로 구한 안압과 비교한 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한 수술 전 안압은 15.67±2.39 mmHg이었고, 수술 후 안압은 10.12±2.11 mmHg로 평균 5.55±2.09 mmHg 만큼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 Ehlers, Shah, Dresden, Orssengo/Pye의 보정방법으로 산출된 수술 후 안압은 각각 14.53±2.47, 13.47±2.16, 12.80±2.06 그리고 13.22±2.16 mmHg으로 나타났다(Table 2 and Fig. 1).

    수술 전 안압과 각각의 보정방법 중에서 가장 차이가 작은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서 실시한 Bland-Altman plot에서 Ehlers의 보정 방법으로 산출된 수술 후의 안 압은 수술 전 안압과 평균 1.14±2.83 mmHg의 차이를 보였다. 다른 보정방법에 비해 수술 전 안압 측정치와의 차이가 가장 작게 나타나는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Shah, Dresden, Orssengo/Pye의 보정방법으로 산출 된 수술 후의 안압은 수술 전 안압과 각각 2.19±2.44, 2.88±2.32, 그리고 2.44±2.48 mmHg의 차이를 보였 다(Fig. 2).

    2. 수술 후 근시도에 따른 안압 보정방법의 비교

    Table 3와 Fig. 3에는 각막 절삭량에 따라 모든 대상 자를 수술 전 근시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구분한 후에 각 그룹에서 안압 보정방법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경도 근시 군에서 수술 전⋅후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 한 안압은 각각 14.87±2.32와 10.43±2.28 mmHg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Ehlers, Shah, Dresden 그리고 Orssengo/Pye의 안압 보정 방법으로 산출한 수 술 후 안압은 각각 13.50±2.38, 12.84±2.18, 12.36± 2.13와 12.59±2.18 mmHg를 보였다(p<0.001). 중등 도 근시 군에서 수술 전⋅후 비접촉식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각각 15.83±2.33와 10.05±2.05 mmHg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4가지의 수술 후 안압 보 정 방법으로 산출한 안압은 각각 14.66±2.37, 13.55± 2.10, 12.85±2.02와 13.30±2.10 mmHg를 보였다 (p<0.001). 고도 근시 군에서 수술 전⋅후 비접촉식 안압계 로 측정한 안압은 16.60±2.33와 9.78±1.99 mmHg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4가지의 수술 후 안압 보정 방법으로 산출한 안압은 각각 16.05±2.24, 14.44± 1.99, 13.51±1.92와 14.19±1.99 mmHg(p<0.050)를 보였다.

    네 가지의 안압 보정방법 중에서 경도, 중등도, 고도 근시 모든 군에서 모두 Ehelrs 식으로 보정된 안압과 수 술 전 안압의 차이가 가장 작았다. Bland-Altman plot 에서 Ehelrs 방법으로 보정한 수술 후의 안압이 다른 방 법에 비해 수술 전 안압과 가장 작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4). 각막 절삭량에 따라 대 상자를 세 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수술 전 안압과 수술 후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차이는 경도, 중등도, 고도 근시 군에서 각각 4.44±1.80, 5.77± 2.00와 6.82±2.11 mmHg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에 비해 수술 전 안압과 Ehlers 식으로 보정된 안압의 차이 는 경도 근시 군에서 1.37±2.85 mmHg, 중등도 근시 군에서 1.16±2.80 mmHg, 고도 근시 군에서는 0.55± 2.90 mmHg이었다. Shah 방법과 수술 전 안압의 차이 는 세 군에서 평균 2.02±2.42, 2.28±2.43, 2.16± 2.55 mmHg이였고, Dresden에서는 각각 2.51±2.24, 2.97±2.29, 3.09±2.41 mmHg, 마지막으로 Orssengo/Pye 방법에서는 각각 1.14±1.21, 1.26±1.22와 1.22±1.22 mmHg를 보였다.

    Ⅳ. 고 찰

    안압 측정치는 녹내장의 진단과 치료뿐만 아니라 각 막, 수정체, 유리체, 망막 질환의 수술 후 경과를 관찰할 때도 중요한 지표가 된다. 현재까지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는 각막굴절교정수술은 레이저로 안경 도수에 해당하 는 도수만큼 정확하게 각막실질을 절삭하여 굴절이상을 교정한다. 따라서 각막두께나 각막난시 등 안압측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 변화하게 된다. Lee15)는 라식 수 술 후 GAT로 측정한 안압이 수술 전에 비교하여 중심각 막 두께가 100 μm 감소할 때마다 4.3 mmHg씩 낮게 측정된다고 하였고, Recep 등16)은 정상안에서 중심각막 두께와 측정안압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 다. 본 연구에서도 교정 굴절력 값이 클수록, 각막 절삭 량이 많을수록 수술 후 안압은 더 낮게 측정되어 수술 전 안압과 큰 차이를 보였다.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중심 각막두께와 각막곡률반경 등의 변화가 있지만 수술 후 전방 내 실제 안압은 수술 전과 차이가 없다고 하여 이 러한 점을 보완하려는 여러 가지 안압을 보정하는 방법 들이 소개되어왔다.17-19) Jung 등13)은 각막굴절교정수술 후에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낮게 측정되어 이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고 주장하였다.

    Hong 등11)은 Ehlers6)의 방법이 수술 후 보정치가 수 술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제 안압을 평가하는데 임상적으로 가장 의의가 크다고 보고하였다. Kirstein12)은 Orssengo/pye10) 와 Ehlers6) 의 보정법이 비슷하지만, 라식 굴절교정수술 이후에는 각막두께의 변화량에 따른 오차가 더 클 수 있다고 하여 Ehlers의 보정방법이 다른 보정법에 비해 정확성이 더 높 다고 제시하였다. 이것은 Ehlers6)의 보정방법이 수술 후 의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된 안압을 보정하는데 가장 유 용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결과와 동일한 경향을 띠었다.

    Ehlers6)는 이전 연구에서 안압 측정에 영향을 주는 인 자들을 찾기 위해 나이, 중심 각막두께, 각막곡률, 굴절력 등과 안압 측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심 각막두께만 안압 측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어 이 를 바탕으로 안압 측정의 보정 수식을 제시하였다. 보정 식은 중심 각막두께 변화에 따라 측정되는 안압의 오차를 관찰하여 제시되었는데, Ehlers 등6)은 정상각막을 545 μ m라 두고, 중심각막두께 10 μm당 0.071 mmHg의 오차가 있다는 결과를 얻어 보정하는 수식을 만들었다[IOPchange = 0.071×(545-Corneal thicknessmeasured)]. 545 μm보 다 얇은 각막이면,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된 값보다 높 게, 545 μm보다 두꺼운 각막이면 측정된 안압보다 낮 게 가감하여 보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막 절삭량이 많은 고도근시군의 경우 안압감소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근시일수록 시력 교정을 위해 절삭해야하는 각막두께가 많기 때문에 중심 각막두께의 변화량이 크고, 더 편평해진 각막은 측정된 안압에 오차가 경도근시나, 중등도 근시와 다를 것이라 생각되었다. Kirstein12)은 굴절교정수술 후 중심각막두께 의 변화량에 따라 안압측정의 오차가 더 잘 생길 수 있다 고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각막 절삭량이 많은 고도 근 시 군에서 수술 후 측정된 안압이 경도, 중등도 근시 군보 다 수술 전 안압과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는 수술 후 변화되는 각막의 두께만을 다루었지만, 비접 촉식 안압계로 측정되는 안압은 각막중심에 공기를 분사 하여 각막을 편평하게 하는 원리로 측정하기 때문에 각막 의 탄성 또한 안압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서 추후 안압보정을 할 때에는 각막굴절교정수술 전·후 에 각막 탄성도의 변화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실제 안압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수술 전⋅ 후의 안압은 각각 15.67±2.39와 10.12±2.11 mmHg 를 보여 굴절교정 수술 후에는 안압을 보정해서 산출해 야함을 알 수 있었다. Pentacam을 이용한 안압 보정방 법 중에서는 Ehlers의 방법으로 수술 후 안압을 보정했 을 때 수술 전 안압과의 오차가 가장 적어 평균 14.53± 2.47 mmHg를 보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경도와 중 등도 근시환자를 대상으로 반영하지 못했던 고도 근시 군 역시 기타 보정식과 비교하여 Ehlers의 보정방법이 수술 전과 가장 작은 차이를 보여 각막 절삭량에 관계없 이 모든 범위에서 정확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저평가되는 안압의 실제 값을 산출하여 녹내장에 대한 조기진단 및 치료시기가 늦어지는 것을 막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 라 생각된다.

    Figure

    JMBI-21-4-575_F1.gif

    Comparison between preoperative IOP and postoperative corrected IOP in total myopia patients. IOP was checked by NT and IOPc was calculated by formula.

    JMBI-21-4-575_F2.gif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IOP and postoperative corrected IOP in total myopia patients. Mean difference IOP are shown by the lines, while 95% confidence intervals are shown by the dotted lines.

    JMBI-21-4-575_F3.gif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IOP and postoperative corrected IOP in low, moderate and high myopia groups.

    JMBI-21-4-575_F4.gif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IOP and postoperative corrected IOP in low, moderate and high myopia patients. Mean difference IOP are shown by the lines, while 95% confidence intervals are shown by the dotted lines. L: low, M: moderate, H: high myopia

    Table

    Patient's demographics

    Comparison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rrected IOP in myopia patients

    Comparison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rrected IOP in low, moderate and high myopia patients by myopia group

    Reference

    1. Lee DH, Seo SJ et al.: The usefulness of compensatory function of Orbscan 2(R) in intraocular pressure (IOP) after laser 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J Korean Ophthalmol Soc. 41(12), 2625-2632, 2000. DO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1969435
    2. Munger R, Hodge WG et al.: Correction of intraocular pressure for changes in central corneal thickness following photorefractive keratectomy. Can J Ophthalmol. 33(3), 159-165, 1998.
    3. Hornova J, Sedlak P et al.: Refractive procedures- LASIK and intraocular pressure in myopic eyes. Cesk Slov Oftalmol. 56(2), 98-103, 2000. DOI: https://europepmc.org/abstract/med/10874788
    4. Cheng AC, Fan D et al.: Effect of corneal curvature and corneal thickness on the assessment of intraocular pressure using noncontact tonometry in patients after myopic LASIK surgery. Cornea 25(1), 26-28, 2006.
    5. Lee DH, Seo S et al.: Accuracy and predictability of the compensatory function of Orbscan II in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s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8(2), 259-264, 2002.
    6. Ehlers N, Bramsen T et al.: Applanation tonometry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Acta Ophthalmol (Copenh). 53(1), 34-43, 1975.
    7. Shah S, Chatterjee A et al.: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thickness and measured intraocular pressure in a general ophthalmology clinic. Ophthalmology 106(11), 2154-2160, 1999.
    8. Kohlhaas M, Boehm AG et al.: Effect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corneal curvature, and axial length on applanation tonometry. Arch Ophthalmol. 124(4), 471-476, 2006.
    9. Kohlhaas M, Spoerl E et al.: A correction formula for the real intraocular pressure after LASIK for the correction of myopic astigmatism. J Refract Surg. 22(3), 263-267, 2006.
    10. Orssengo GJ, Pye DC: Determination of the true intraocular pressure and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human cornea in vivo. Bull Math Biol. 61(3), 551-572, 1999.
    11. Hong LH, Lee MK et al.: Comparison of intraocular pressure correction programs in Pentacam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54(1), 26-32, 2013.
    12. Kirstein EM, Hüsler A: Evaluation of the Orssengo-Pye IOP corrective algorithm in LASIK patients with thick corneas. Optometry 76(9), 536-543, 2005.
    13. Jung MA, Lee EH: Correlation between corneal ablation amount and intraocular pressure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Korean J Vis Sci. 20(4), 543-551, 2018.
    14. Cho HH, Park MH et al.: Comparison of measured intraocular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the methods of corneal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52(3), 308-314, 2011.
    15. Lee DH: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thickness and intraocular pressure after laser in-situ keratomileusis. J Korean Ophthalmol Soc. 40(7), 1829-1833, 1999. DO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1969413
    16. Recep OF, Hasiripi H et al.: Relation between corneal thickness and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 by noncontact and applanation tonometry. J Cataract Refract Surg. 27(11), 1787-1791, 2001.
    17. Mardelli PG, Piebenga LW et al.: The effect of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on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s using the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Ophthalmology 104(6), 945-948, 1997.
    18. Faucher A, Grogoire J et al. Accuracy of Goldmann tonometry after refractive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3(6), 832-838, 1997.
    19. Fournier AV, Podtetenev M et al.: Intraocular pressure change measured by Goldmann tonometry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4(7), 905-910,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