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2 No.1 pp.1-10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0.22.1.1

Analysis on the Color Reproduction of Near Infrared Absorbing Lenses and Tinted Lenses

Gyo-Eun Lee1),2), Jae-Yeon Pyo3), Min-Chul Kim3), Bon-Yeop Koo3), Hang-Seok Lee3), Ki-Choong Mah4)*
1)Master of Science in Clinical Optometry, Ketchum University(SCCO), Student, CA, USA
2)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Student, Daejeon
3)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Student, Daejeon
4)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i-Choong Mah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262, E-mail: kcmah@eulji.ac.kr
October 10, 2019 March 11, 2020 March 17, 2020

Abstract

Purpose :

To compare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colorimetry so as to evaluate the color accuracy of the near infrared absorbing lenses(IR lenses).


Methods :

The 15#(Red), 16#(Yellow) and 17#(Green) of the Colorchecker Classiccolor charts were set as virtual traffic signals for measuring objective colorimetry. The objective colorimetry of virtual traffic signals were measured by digital camera attached each test lenses. The original color and measured color by each test lens were represented by CIE 1976 L*a*b* color coordinates, and the color distortion were analyzed by ΔE*ab of the distance between color coordinates of the original and colorimetric color. 32 subjects were participated to the subjective colorimetry. The observed colors of traffic signals were selected from the Korean color standard digital palette, and compared with the original color.


Results :

In the objective colorimetry, the color distortion of yellow and green virtual traffic signals by near infrared absorbing lenses was found to be the smallest among the test lenses. The color distortion of red virtual traffic signals by near infrared absorbing lenses was greater than the green lens, but less compared to the brown, gray, and blue lenses. In the subjective colorimetry, the color distortion by near infrared absorbing lenses was more than that of brown lenses, similar to blue and green lenses, and less than that of gray lenses.


Conclusion :

The color distortion of the near infrared absorbing lenses was the smallest in the objective colorimetry compared to other test lens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ive colorimetry.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studies are to be necessary to investigate quantitatively the subjective color distortion of near infrared absorbing lenses.



근적외선 차단렌즈와 일반 착색렌즈의 색재현성 분석

이 교은1),2), 표 재연3), 김 민철3), 구 본엽3), 이 항석3), 마 기중4)*
1)Master of Science in Clinical Optometry, Ketchum University (SCCO), CA, USA
2)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전
3)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전
4)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Eulji University

    Ⅰ. 서 론

    태양광선은 100~380 nm 파장의 자외선, 380~780 nm 파장의 가시광선 및 780~1,400 nm 파장의 근적외선 을 포함하는 전자기파이며, 이중 자외선은 높은 에너지의 단파장으로 인체에 장시간 노출 시 눈과 피부에 다양한 위 험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1) 적외선은 열에너지가 가장 높아 장시간 눈에 직접 입사되는 경우 망막이나 맥락막의 세포 조직에 손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러한 태양광선 중 특정 파장의 유해성으로부터 눈 을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착색렌즈를 착용한다. 착 색렌즈는 소재 및 색상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 차단 또는 투과시켜 시각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3) 안 질환 증상의 완화 및 대비감도 보정에 주로 사용된다.4)

    착색렌즈에 주로 사용되는 갈색, 청색, 회색 및 녹색 은 색상에 따라 빛을 흡수,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특성 이 각기 다르다. 청색렌즈는 단파장을 투과시키고 적색 계열의 장파장을 흡수하므로 물이나 겨울철 눈에 반사되 는 빛에 대해 눈부심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색렌즈는 청색과 적색계열의 파장을 흡수하여 색수차 를 감소시키며, 갈색렌즈는 장파장을 투과시키고 단파장 을 흡수한다.3) 또한, 회색렌즈는 가시광선 전 파장에 대 해 비슷한 수준으로 흡수하여 본래 색상에 대한 왜곡이 가장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러한 특성에 따라 착색렌즈는 380~700 nm 파장 의 태양광선 영역을 주로 차단하고 그 이상의 파장은 투 과시키기 때문에 착용 후 주시하는 물체의 색이 본래 색 과 다르게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5) 시감투 과율이 낮아질수록 380~700 nm 영역의 파장은 더욱 차단되고, 700 nm 이상 파장이 투과되면서 적색 계통 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느껴지게 된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근적외선 차단렌즈는 착색렌즈를 사용한 선글라스와 다르게 700 nm 이상의 가시광선 중 장파장을 높은 비율로 차단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착색렌즈로 제작된 선글라스를 착 용한 후 본래 색과 다르게 보이는 정도가 다소 감소할 것 으로 예측되며, 주시 물체가 가진 본래 색의 인지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청색 영역의 단파장 가 시광선 차단렌즈의 특성이나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광학 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시행되었으나,6,7) 이들 렌즈의 색 재현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적외선 차단렌즈 및 4가지 착색렌 즈를 대상으로 카메라를 이용한 가상 교통신호등(적색, 황 색 및 녹색 표)의 객관적 측색과 정상인 대상 교통신호등 의 주관적 측색 결과를 CIE 1976 L*a*b* 및 XYZ 색 표시 계로 표시하고, 색차(△E*ab)를 산출하여 일반 착색렌즈와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색재현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색 재현성의 객관적 측정

    1) 연구대상

    ISO 8980-3 기준 시감투과율 2등급의 근적외선 차단 렌즈(POV Series, Schneider, Germany)를 수집하고, 비교 대상으로 착색렌즈(갈색, 청색, 회색 및 녹색)를 제작 하였다. 렌즈의 재질은 MR-8(Mitsui Chemicals, Japan) 소재로, 상측정점굴절력은 0.00 D였다.

    2) 연구방법

    분광광도계(Cary 500, Agilent, USA)를 사용하여 각 렌즈의 시감투과율, 근적외선 차단율 및 교통신호등에 대한 상대 시각 감쇠 계수(Q-value)를 측정하였다.

    색 재현성의 객관적인 측정을 위해 실험실은 ISO 12233 기준에 따라 18%의 반사율을 가진 N5(Neutral gray) 색상의 벽면으로 구성하였다. 회색 배경에 Colorchecker Classic(X-rite Co., USA)을 고정시킨 후 색표를 향해 색온도 6,500 K의 LED 형광등을 조사하였고, 조도는 600 lx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카메라(D7100, Nikon, Japan)에 근적외선 차단렌즈 및 착색렌즈를 장착하여 색표 앞 60 cm 거리에서 촬영하였다. 측색에 사용된 색 표는 크기가 21.59×27.94 cm2이었고, 총 24개의 표준 색상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15번(Red), 16번(Yellow) 및 14번(Green)의 색표를 주관적 색재현성 결과와 비교 하기 위하여 가상신호등으로 설정하였다.

    색재현성 산출 프로그램(Master 4, Imatest, USA) 를 사용하여 각 색표의 CIE 1976 L*a*b* 표색계의 L*, a* 및 b*의 좌표를 각각 얻었고, CIE XYZ 표색계의 X, Y, Z값을 얻은 후 x 및 y좌표로 환산하여 색도그림에 표시하였다. 또한, 본래 색상의 좌표와 촬영된 이미지가 갖는 색상의 좌표에 따른 색 왜곡도를 비교하기 위해 두 좌표의 차이인 △E*ab를 산출하였다.

    2. 색 재현성의 주관적인 측정

    1) 대상

    본 연구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았으며(승인번호 EU19-03), 대상자들에게 검사 목적과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 를 구한 후 실시하였다.

    주관적인 색재현성의 평가를 위해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고 색각이상이 없으며, 원거리 나안 시력이 0.8 이상인 32명(남자 11명, 여자 21명, 평균 나이 24.22± 2.84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 수는 G*power Ver 3.1.9.4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2) 연구방법

    실험실의 전체 조명은 6,500 K LED 형광등(FPL36WD, Liteon, Korea) 36개를 사용하였다. 5 m 거리에서 측색 계(Colorimeter 520-06, Yokogawa, Japan)로 교통신 호등(EDN-TS-3MR, Interlightec Co., Korea)의 휘 도(lx)를 측정하였고, 적색, 황색 및 녹색 신호등의 휘도 가 동일해지도록 조명의 일부를 차폐하였다.

    신호등의 색상에 따른 주관적 색재현성을 평가하기 위 해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색채표준 디지털 팔 레트(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orea)를 노트북 컴퓨터(33.7 cm FHD, LED Display 1920×1080)의 모니터에 출현시켰으며, 모니터의 전체 휘 도는 교통신호등과 유사한 수준의 600 lx로 설정하였다.

    모든 대상은 각 렌즈가 장착된 안경을 착용하고, 5 m 전방에 위치한 교통신호등을 주시하는 동안 40 cm 거리 의 노트북에서 출현되는 디지털 팔레트의 색상 중 현재 주시하고 있는 신호등의 색상과 가장 유사하다고 인지되 는 색상을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3회 측정 후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객관적 색재현성과 마찬가지로 신호등의 본 래 색 좌표 및 측색된 좌표의 차이 값으로 △E*ab를 산 출하고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Ⅲ. 결 과

    1. 일반적인 특성

    렌즈의 x 및 y좌표(CIE XYZ)는 근적외선 차단렌즈 x=0.303, y=0.353, 갈색렌즈 x=0.338, y=0.343, 청색 렌즈 x=0.189, y=0.196, 회색렌즈 x=0.255, y=0.260 및 녹색렌즈 x=0.291, y=0.351로 나타났다.

    렌즈별 적색신호등, 황색신호등 및 녹색신호등에 대 한 시각감쇠계수는 근적외선 차단렌즈에서 적색신호등 0.80, 황색신호등 0.92 및 녹색신호등 1.06이었다. 갈 색 렌즈에서 적색신호등 1.38, 황색신호등 1.10 및 녹 색신호등 0.94였다. 청색 렌즈에서 적색신호등 0.66, 황색신호등 0.59 및 녹색신호등 0.95였다. 회색 렌즈에 서 적색신호등 1.17, 황색신호등 0.88 및 녹색신호등 1.07이었다. 녹색 렌즈에서 적색신호등 1.09, 황색신호 등 0.89 및 녹색신호등 1.09로 나타났다. 청색렌즈의 적색신호등과 황색신호등에 대한 시각감쇠계수는 기준 (적색신호등 0.8 이상, 황색신호등 0.8 이상, 녹색신호 등 0.6 이상)보다 낮았다.

    또한, 갈색, 회색 및 녹색렌즈는 모두 600 nm 이상 장파장의 분광투과율이 높았으며, 청색렌즈는 400~500 nm 범위의 단파장에서 분광투과율이 높게 나타났다. 근 적외선 차단렌즈는 가시광선 영역(380~780 nm) 뿐만 아니라 1,000 nm의 근적외선 영역까지 투과율이 낮았 으나, 1,020 nm 이상의 파장에서는 투과율이 높게 나 타났다(Table 1, Fig. 1).

    2. 색 재현성의 객관적인 비교

    각 렌즈를 장착하기 전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의 색 상과 본래 색상의 차이(ΔE*ab)는 적색, 황색 및 녹색 신 호등에서 각각 20.16±0.28, 9.33±0.37 및 15.05± 0.19로 나타났다(Table 2).

    1) 가상 적색신호등의 색 재현성

    Colorchecker Classic의 Red 색상에서 근적외선 차 단렌즈, 갈색, 청색, 회색 및 녹색렌즈의 ΔE*ab 값은 각 각 12.90±1.10, 21.20±0.24, 60.16±0.35, 12.46± 0.83 및 4.33±0.62이었으며,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z=22.07, p=0.000).

    사후분석 결과 색차이는 근적외선 차단렌즈에서 갈색 및 청색렌즈보다 낮았으며, 녹색렌즈보다 높았고, 회색 렌즈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3, Fig. 2).

    2) 가상 황색신호등의 색 재현성

    Colorchecker Classic의 Yellow 색상에서 근적외선 차단렌즈, 갈색, 청색, 회색 및 녹색렌즈의 ΔE*ab 값은 각각 6.74±0.24, 20.50±1.03, 44.93±0.94, 21.71± 0.41 및 6.29±0.54이었으며,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z=21.85, p=0.000). 사후분석 결과 색차이 는 근적외선 차단렌즈에서 갈색, 회색 및 청색렌즈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녹색렌즈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Table 4, Fig. 3).

    3) 가상 녹색신호등의 색 재현성

    Colorchecker Classic의 Green 색상에서 근적외선 차단렌즈, 갈색, 청색, 회색 및 녹색렌즈의 ΔE*ab 값은 4.09±0.33, 13.97±0.11, 44.43±0.25, 27.36±1.36 및 8.40±0.41이었으며,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z=23.08, p=0.000).

    사후분석 결과 색차이는 근적외선 차단렌즈에서 녹색, 갈 색, 회색 및 청색렌즈보다 유의하게 낮았다(Table 5, Fig. 4).

    3. 색 재현성의 주관적인 비교

    나안으로 신호등을 주시했을 때 인지된 색상과 본래 색상 간 차이(ΔE*ab)는 적색, 황색 및 녹색신호등에서 각각 27.63±5.15, 23.34±7.81 및 81.56±10.33로 나타났다(Table 6).

    1) 적색 교통신호등의 색 재현성

    적색 신호등을 주시하는 동안, IR, 갈색, 청색, 회색 및 녹색렌즈의 ΔE*ab 값은 각각 15.97±9.51, 11.03± 9.46, 16.24±10.06, 18.88±10.33 및 14.81±10.59 이었으며, 집단 간 서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z=2.61, p=0.040).

    사후분석 결과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색 차이는 회색 렌즈에 비해 낮았으며, 갈색렌즈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높았다(Table 7, Fig. 5).

    2) 황색 교통신호등의 색 재현성

    황색 신호등을 주시하는 동안, 근적외선 차단렌즈, 갈 색, 청색, 회색 및 녹색렌즈의 ΔE*ab 값은 각각 15.62± 10.90, 14.46±9.69, 14.59±10.13, 15.91±10.47 및 15.96±11.23이었으며,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z=0.15, p=0.960).

    사후분석 결과 모든 렌즈 사이에서 색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8, Fig. 6).

    3) 녹색 교통신호등의 색 재현성

    녹색 신호등을 주시하는 동안, 근적외선 차단렌즈, 갈 색, 청색, 회색 및 녹색렌즈의 ΔE*ab 값은 각각 15.62± 10.90, 14.46±9.69, 14.59±10.13, 15.91±10.47 및 15.96±11.23이었으며,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z=0.15, p=0.960).

    사후분석 결과 모든 렌즈 사이에서 색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9, Fig. 7).

    이상과 같이 객관적 및 주관적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 을 때, 객관적 평가에서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색재현성 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관적 평가에서는 서로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및 주관적 평가 결 과의 차이는 사람과 디지털 카메라의 색상 인지 과정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Ⅳ. 고 찰

    태양광선은 눈 속으로 입사할 때 눈의 굴절면에서 반 사되고, 눈 내부의 매질에 의해 흡수, 산란되고 일부만 망막에 도달한다.8) 그 중 망막에 도달하는 전체 파장 범 위는 380~1,400 nm이며 390~740 nm의 일부 범위가 가시광선으로 추정된다.9) 일반적으로 유해광선 차단 및 눈부심 방지 등을 위한 목적으로 안경렌즈의 내부나 외 부에 적절한 광학적 필터를 가입시키는 방법이 사용된 다.10)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 임상에서 처방되기 시작 한 근적외선 차단렌즈는 태양광선 중 780~1,400 nm 영역의 근적외선을 주로 차단하는 목적으로 출시되었다. 선글라스에 주로 사용되는 착색렌즈는 장파장의 가시광 선을 거의 차단시키지 못하는 반면,3) 근적외선 차단렌즈 는 700 nm 이상의 파장을 높은 비율로 차단하기 때문 에 근적외선 차단렌즈 착용자가 물체를 주시할 때 색상 이 붉게 보이는 정도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착색 렌즈는 색상별로 투과나 흡수하는 특성이 다르다.

    착색렌즈 착용 시 색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는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착색렌즈의 객관적 색재현 성을 평가하기 위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주로 색각검사를 통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Farnsworth11)는 2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녹색, 주 황색, 황색, 회색의 착색렌즈 착용에 따른 색인지의 변 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00 색상검사를 사용하였고, 녹 색과 회색에서는 색인지에 방해가 되는 시각적 왜곡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주황색에서는 색왜곡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Jung12)의 연구에서도 100 색상검사를 이용하였으며, 3,000 K와 6,500 K에서 각각 회색 및 적색렌즈의 색지 각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Lee and Chu13)은 20% 및 70% 두 가지 차단율의 회 색, 녹색, 황색 및 갈색렌즈를 사용하여 한식색각검사와 Farnsworth panel D-15검사를 실시하여, 착색렌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착용자의 시각적 인지능력이 감소하 는 것을 보고했다. 하지만 이전의 연구에서는 색재현성 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피검자의 주관적 인지능력만 측정하였고 객관적인 평가는 분석되지 않았다.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 결과에 더하여 객관적인 색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에 착색렌즈를 장착하고 Colorchecker Classic(Macbeth, USA)의 측 색을 통해 색상 구현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객관적 측색 결과, 근적외선 차단렌즈를 착 용한 후 교통신호등과 유사한 15번(Red), 16번(Yellow) 및 14번(Green) 색표를 각각 제시하였을 때, 15번(Red) 색표를 주시하는 동안 녹색렌즈에 이어 색재현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16번(Yellow) 및 14번(Green) 색표 는 다른 착색렌즈와 비교하여 색재현성이 가장 좋은 것 으로 나타났다(p<0.050).

    또한, 색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객관적인 측색뿐 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Rabin 등14)은 비행기 조종사 중 일부가 착색렌즈 착용 시 계기판 경고등의 색상 구분이 어려웠으며, 착색된 색 상이 무채색이 아닌 경우, 색 구분에 혼동이 더해진다고 보고하였다.

    Song and Lee15)의 선글라스 착용 시 교통신호등 색 감 변화에 대한 연구에서는 적색, 황색, 녹색, 청색, 갈 색 및 검정색 렌즈를 이용하여 교통신호등의 분광투과율 을 측정한 후 주파장을 결정하는데 자극치의 계산법을 제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는 대상자가 인지하는 색을 각각의 색 좌표로 설정하여, 주관적 측색 결과를 수치화하고자 하였다.

    주관적 측색을 위해 모든 대상이 각 렌즈가 삽입된 안 경을 착용하고, LED 3색 교통신호등과 한국색채표준 디 지털 팔레트를 사용하여 색인지 정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적색 신호등 주시 시 착색렌즈 사이에서 색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z=2.61, p=0.040), 사후분석 결과 회색렌즈가 갈색렌즈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황색 및 녹색 신호등을 주시할 때 렌즈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p=0.960). 또한, 본 연구에서 발견된 교통신호등 좌 표 및 한국색채표준 디지털팔레트 색좌표의 차이는 녹색 신호등과 가장 유사한 색상을 디지털팔레트에서 제시하 였음에도 불구하고 조명과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상이 다 르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설문을 통해 자각적 색재현성을 평가한 결과, 청색렌즈 착용 시 색상의 왜곡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근적외선 차단렌즈, 갈색, 회색 및 녹색렌즈의 착 용 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객관적 및 주관적 평가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을 때, 객관적 평가 시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색재현성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관적 평가에서는 서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평가 결과와 주관적 평가 결과의 차이는 사람과 디지털 카메라의 색상 인지 과정 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람이 색을 인지하는 과정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이 물체에 닿았 을 때, 특정 파장을 흡수하거나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현상이 나타나며, 이 과정에서 인지되는 색상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연구에서 물체의 색은 눈으로 들어와 망막을 자 극하여 신경 흥분이 일어나며, 다시 제1시중추에 전달되 어 순응, 대비 및 잔상 등과 같은 조건 반사적인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반응이 대뇌로 전달되면 비로소 색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대뇌로 전달된 자극 은 그 사람의 경험이나 의식과 같은 총괄적인 정신 활동 결과로 비로소 색상을 인지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16-18) 이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 측색된 색상은 대상의 후천 적인 학습효과의 영향을 받아 주관적인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주관적 색재현성을 평 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측색 조건에서 정량적 특성을 보 다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색 재현성을 착색렌즈와 비교 분석 및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통신호등의 색상 인지능력의 분석을 위한 상대적 시각 감쇠 계수(Q-value)를 측정하였을 때, 청색렌즈를 제외한 모든 렌즈가 정상 범위였고, 청색렌즈는 적색 및 황색 신호등에서 낮게 측정되었다.

    색재현성의 객관적 측정 결과, 15번(Red) 색표에서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ΔE*ab는 녹색렌즈보다 컸고, 갈색 과 청색렌즈보다 작았으며, 회색렌즈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00). 16번(Yellow) 색표에서 근적외선 차 단렌즈의 ΔE*ab는 갈색, 회색 및 청색렌즈보다 작았으 며 녹색렌즈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960). 14번 (Green) 색표에서 근적외선 차단렌즈의 ΔE*ab는 갈색, 회색, 청색 및 녹색렌즈보다 작았다(p=0.960).

    색재현성의 주관적 측정 결과, 근적외선 차단렌즈 착 용 후 적색 신호등을 주시하였을 때 측정된 ΔE*ab는 갈 색렌즈에 비하여 높았지만 녹색 및 청색렌즈와 유사하였 고, 회색렌즈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 <0.050). 하지만 황색 및 녹색 신호등 주시 시에는 근 적외선 차단렌즈 및 착색렌즈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p>0.050).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근적외선 차단렌즈 의 색재현성은 객관적 측색에서 다른 렌즈와 비교하여 색 왜곡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적외선 차단 렌즈의 색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측색 조건 에서 정량적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ement

    This study was supported by Eulji University in 2018.

    Figure

    JMBI-22-1-1_F1.gif

    Light transmittance of the near infrared absorbing lenses and tinted lenses.

    JMBI-22-1-1_F2.gif

    The color coordinates of red virtual traffic signals(Chart No. 15) by objective colorimetry.

    JMBI-22-1-1_F3.gif

    The color coordinates of yellow virtual traffic signals(Chart No. 16) by objective colorimetry.

    JMBI-22-1-1_F4.gif

    The color coordinates of green virtual traffic signals(Chart No.14) by objective colorimetry.

    JMBI-22-1-1_F5.gif

    The color coordinates of red traffic signals by subjective colorimetry.

    JMBI-22-1-1_F6.gif

    The color coordinates of yellow traffic signals by subjective colorimetry.

    JMBI-22-1-1_F7.gif

    The color coordinates of green traffic signals by subjective colorimetry.

    Table

    The chromaticity coordinate(x, y) and relative visual attenuation coefficient (Q-value) of the near infrared absorbing lenses and tinted lenses

    The color coordinate(L*, a*, and b*) and color difference(ΔE*ab) measured by digital camera

    The color distortion of red virtual traffic signals(Chart No. 15) by objective colorimetry

    The color distortion of yellow virtual traffic signals(Chart No. 16) by objective colorimetry

    The color distortion of green virtual traffic signals (Chart No. 14) by objective colorimetry

    The color coordinate(L*, a*, and b*) and color difference(ΔE*ab) of traffic signals measured by subjective colorimetry

    The color distortion of red traffic signals by subjective colorimetry

    The color distortion of yellow traffic signals by subjective colorimetry

    The color distortion of green traffic signals by subjective colorimetry

    Reference

    1. Kim SW: Large-scale synthesis of Au-Al-TiO2- poly(methyl methacrylate) hollow microparticles for enhancing near-infrared blocking capability, Hanyang University MS Thesis, pp. 1-4, 2018.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292649050
    2. Zuclich JA, Schuschereba ST et al.: Comparing laser-induced retinal damage from IR wavelengths to that from visible wavelengths. Proc SPIE. 2674, 15-29, 1996.
    3. Mah KC: The luminous transmittance of dyed CR-39 lenses. Ann Bull Seoul Health Junior College 12(1), 165-170, 1992. http://www.riss.kr/link?id=A75009491
    4. Fez MD, Luque MJ et al.: Enhancement of contrast sensitivity and losses of chromatic discrimination with tinted lenses. Optom Vis Sci. 79(9), 590-597, 2002.
    5. Jung MC: The effect of tinted lens color and LED color temperature on color perception, Konyang University MS Thesis, pp. 45-50, 2017.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235790299
    6. Lee HS, Lee KS et al.: Analysis of optical performance in blue light blocking lenses. Korean J Vis Sci. 19(4), 375-384, 2017.
    7. Kim MC, Pyo JY et al.: Analysis on optical and heat blocking characteristics of near-infrared absorbing lenses. Korean J Vis Sci. 21(4), 607-619, 2019.
    8. Abadi RV, Davies IP et al.: The spectral transmittance of hydrogel contact lens filters. Ophthal Physiol Opt. 9(4), 360-367, 1989.
    9. Brooks CW, Borish IM: System for ophthalmic dispensing, 1st ed., Boston, Butterworth-Heinmann, pp. 291-302, 1979. https://www.amazon.com/System-Ophthalmic-Dispensing-Clifford-Brooks/dp/B0029AQF0S
    10. Dain SJ: Sunglasses and sunglass standards. Clin Exp Optom. 86(2), 77-90, 2003.
    11. Farnsworth D: The effect of colored lenses upon color discrimination. J Opt Soc Am. 36, 365, 1946.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130213058
    12. Jung JH: Change of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luminous transmittance of tinted lenses and analysis of tinted lenses by diffusion theory, Konyang University MS Thesis, pp. 18-46, 2011.
    13. Lee JH, Chu BS: Effect of different tinted ophthalmic lenses on color vision perception. Korean J Vis Sci. 17(4), 444-452, 2015.
    14. Rabin JC, Wiley RW et al.: U.S. army sunglasses: issues and solutions. J Am Optom Assoc. 67(4), 215-222, 1996.
    15. Song YY, Lee HJ: Study of changes in color sense of traffic lights when wearing sunglasses. Korean J Vis Sci. 5(2), 45-61, 2003.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31967341
    16. Park OR, Kim EJ: Color, Pajoo, Hyungsul, pp. 10-19, 2007. http://www.hyungseul.co.kr
    17. Lee HS: Study about color perception theory, Ehwa Womans University MS Thesis, pp. 38-42, 2004. http://dl.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DMT1200522095
    18. Gilman S, Manter JT et al.: Manter and Gatz’s essentials of clinical neuroanatomy and neurophysiology, 10th ed., Philadelphia, F.A. Davis, pp. 222, 2003. https://library.yonsei.ac.kr/search/detail/CATTOT000001705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