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2 No.2 pp.147-154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0.22.2.147

Association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in Korean Adult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Jung-Ho Youn1), Seok-Joon Sohn2), Jae-Tae Youn3)*
1)Dep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tudent, Gwangju
2)Dep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Professor, Gwangju
3)Dept. of Optometry, Chonnam Techno University, Professor, Gokseong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ung-Ho Youn Dep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TEL: +82-62-573-8778, E-mail: eyezone88@naver.com
May 18, 2020 June 20, 2020 June 24, 2020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ccording to cardiovascular diseases in Korean adults over 40 years of age.


Methods :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7th 2017 survey of Health Surveys and ophthalmology examination for subjects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related cardiovascular diseases, sex, age, body mass index, and sociological facto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correcting household income, education, current smoking rate, and monthly drinking rate,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less than 0.050.


Results :

The prevalence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over the age of 40 was 7.23% for men and 7.94% for women.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ge(OR=1.050, p<0.001), sex(OR=0.693, p=0.024), stroke(OR=0.353, p=0.004), and myocardial infarction(OR=2.033, p=0.032) was significant. BMI(OR=1.008, p=0.626), household income(OR=1.000, p=0.296), education level (OR=0.927, p=0.181), smoking rate(OR=0.873, p=0.397), drinking rate(OR=0.922, p=0.489), hypertension(OR=0.981, p=0.872), and angina pectoris(OR=0.732, p=0.357)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

After correcting sociologic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with age, sex,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한국 성인에서 나이관련황반변성과 심혈관계질환의 연관성: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7)

윤 정호1), 손 석준2), 윤 재태3)*
1)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협동과정, 학생, 광주
2)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광주
3)전남과학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곡성

    Ⅰ. 서 론

    나이관련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은 당뇨망막병증, 녹내장과 함께 노인 실명 의 3대 주요 질환이다. 서구에서는 노인의 실명을 유발 하는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1-3) 중국의 한 연 구에서는 45세 이상 성인들에게서 실명원인 중 10.1%가 나이관련황반변성이라고 보고되었고,4) 초기 나이관련황 반변성 유병률은 중국인 5.7%, 인도인 4.5%, 말레이시 아인 3.5%로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보고되었다.5) 또한 아시아인의 유병률은 백인의 유병률보다 낮다고 보 고된 바 있다.6) 그러나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양인에서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서양과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도 보 고되었다.7-10) 그리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고령화로 인해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 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9-11) 우리나라 또한 고령 화로 인해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유병률이 해마다 증가한 다고 하였다.12-15)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인자로 흡연이 매우 상관성 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16) 나이와 성별 그리고 교육 수준과 연관 있다고 하였다.17)

    심혈관계질환은 매우 위험한 질환으로 2017년도 대 한민국 통계청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7년 까지 10대 사망 원인 중 심장질환이 2위, 뇌혈관질환이 3위, 고혈 압성 질환이 9위를 기록하였다.

    나이관련황반변성과 심혈관계질환 관계에 대해 해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는 상태이다.18,19) 국내 선 행연구에서는 심혈관계질환과 관련해 1가지 질환과 관 련성을 찾는 연구는 있지만 여러 가지 심혈관계질환에 관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건 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학적 요인으로 알려진 가구소득, 음주, 흡연, 교육수준을 보정하여 우리나라 나 이관련황반변성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심혈관계질환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 주관으로 시행된 국민건강영 양조사 제7기 2차 원시자료 중 2017년도 총 조사대상자 8,127명 중 40세 이상 나이관련황반변성 검사를 받고 체 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월평균 가구총소득, 학력과 관련된 교육수준, 현재흡연율, 월간음주율, 고혈압 의사진단여부, 뇌졸중 의사진단여부, 심근경색 의사진단 여부, 협심증 의사진단여부 등의 기록이 있는 2,959명(남 자: 1,302명, 여자: 1,65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제7기 2차년도(2017년)는 4월부터 만40세 이상을 대 상으로 한 시력 및 굴절검사와 망막 및 녹내장 질환 검 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 으로 나누어 계산하였고, 월평균 가구총소득은 월17만원 이하, 17만원 초과~1,500만원 미만, 월1,500만원 이상 으로 설문하고, 교육수준은 초졸이하, 중졸, 고졸, 대졸 이상으로 구분하였고, 현재흡연율(흡연율)은 평생 담배 5갑(100개피) 이상 피웠고 현재 담배를 피우는 사람을 흡 연자로, 월간음주율(음주율)은 최근 1년 동안 월1회 이상 알코올 섭취한 사람을 음주로, 나이관련황반변성은 유무 는 “있음”과 “없음”으로 나타내었고, 심혈관계질환인 고 혈압과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은 의사진단 여부 설문 을 활용하였다.

    3. 자료 분석

    통계 분석은 SPSS 18.0 version(SPSS,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다.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월평균 가구총소득, 교육수준, 현재흡연율, 월간음주율을 보정 한 후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과 나이관련황반 변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p값의 유의수 준은 0.050 미만으로 정의하였다.

    Ⅲ.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기본 특성

    질병관리본부에서 발간하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에서 나이관련황반변성을 가지고 있고 나이와 성별, 체 질량지수, 월평균 가구총소득, 교육수준, 현재흡연율, 월 간음주율,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을 보정한 2,959명 (남자: 1,302명, 여자: 1,657명)을 대상으로 연 구를 한 결과, 나이관련황반변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452 (15.28%)명으로 평균나이는 59.29±11.80세, BMI 는 24.06±3.29, 월평균 가구총소득은 416.08±343.75 만원, 음주자는 1,484(50.15%)명, 흡연자는 480(16.22%) 명, 교육수준은 초졸이하 817(27.61%)명, 중졸 374(12.64%) 명, 고졸 850(28.73%)명, 대졸이상 918(31.02%)명, 고 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971(32.82%)명, 뇌졸중은 95 (3.21%)명, 심근경색은 50(1.69%)명, 협심증은 68(2.30%) 명으로 나타났다(Table 1).

    2. 심혈관계질환과 기본변수 보정한 다중회귀분석

    심혈관계질환과 나이관련황반변성과의 관계에서 나이 와 성별, 체질량지수를 보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한 결과 나이가 1살 많아질 때 교차비(OR)가 1.053으로 높 아지고 p<0.001 로 유의하였다. 성별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교차비가 0.811로 낮아지고, p=0.048로 유의하였 고, 또한 뇌졸중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해 교차비 가 0.349, p=0.004로 유의하였다. 심근경색은 있는 사 람이 없는 사람에 비해 교차비가 2.030으로 높아지고 p= 0.032 유의하였지만, 체질량지수(OR=1.010, p=0.541), 고혈압(OR=0.983, p=0.884), 협심증(OR=0.726 p=0.344) 은 유의하지 않았다(Table 2).

    3. 사회학적요인을 보정 추가한 다중회귀분석

    나이와 성별, 체질량지수와 사회학적 요인인 가구소 득, 교육수준, 현재흡연율, 월간음주율을 보정한 후 심혈 관계질환과 나이관련황반변성과의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 분석 한 결과 가구소득(OR=1.000, p=0.296), 교육수준 (OR=0.927, p=0.181), 흡연율(OR=0.873, p=0.397), 음주율(OR=0.922, p=0.489), 고혈압(OR=0.981, p=0.872) 은 유의하지 않았다. 나이가 1살 많아질 때 교차비가 1.050 으로 높아지고 p<0.001 로 유의하였다. 성별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교차비가 0.693으로 낮아지고, p=0.024로 유의하였고, 뇌졸중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교차비 가 0.353으로 낮아지고, p=0.004로 유의하였다. 또한 심근경색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교차비가 2.023으 로 높아지고p=0.032로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협심증 (OR=0.732, p=0.357)은 유의하지 않았다(Table 3).

    Ⅳ. 고 찰

    나이관련황반변성은 위축성과 삼출성 두 가지 유형으 로 위축성은 망막색소상피-브루크막-맥락막 모세혈관 층 이상으로 나타나고, 색소이상을 특징으로 안저 이상 에 맥락막 혈관신생이나 원반 반흔이 동반되면 삼출성으 로 분류한다. 심한 시력저하는 대부분 맥락막 혈관신생 을 동반하는 삼출성 나이관현황반변성으로 실명을 유발 하는 가장 큰 원인이라 하였고,20) 최근 국내에서도 나이 관련황반변성이 크게 증가하여 서양과 비슷한 양상을 보 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 주관으로 시행된 제7기 국민 건강영양조사 2017년도 2차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나이 관련황반변성과 심혈관계질환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 해 성별과 나이, 체질량지수, 사회학적 요인을 보정하여 알아보았다. 나이관련황반변성 유병률은 남자 7.23%, 여 자 7.94%였다. 나이와 성별, 뇌졸중 의사진단여부, 심근 경색 의사진단여부는 나이관련황반변성과 유의한 관계 가 있었으나, 체질량지수, 월평균가구소득, 교육수준, 현 재흡연율, 월간음주율, 고혈압 의사진단여부, 협심증 의 사진단여부는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외국 선행연구에 따르면 고혈압이 심한 사람은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이 높다 하였고, 나이관련황반변 성은 심혈관질환, 고혈압과 연관성이 있다고 하였다.19) 또 한 심혈관질환은 미국인들에게 초기 나이관련황반변성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22) 후기 나이관련황반변성은 일반 노인에서 뇌출혈과 밀접한 관련으로 인해 뇌졸중의 위험 이 증가한다고 하였지만 뇌경색과는 관련이 없다고 하였 고, 초기 단계의 나이관련황반변성 또한 뇌졸중과 관련이 없다고 하였다.23) 후기 나이관련황반변성은 심혈관 질환, 고혈압과는 관련이 없다는 연구 결과도24) 있는 등 다양한 연구가 있다.

    본 연구는 나이관련황반변성과 심혈관계질환과의 관련 성을 찾는 연구로, 해외에는 선행연구가 많이 있지만 국 내에는 심혈관계질환과 관련해 1가지 질환과 관련성을 찾는 연구는 있지만 여러 가지 심혈관계질환에 관해 연구 가 부족한 실정이다. 흡연은 대부분 선행연구에 따르면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지만,19) 심혈 관계질환과 관련성을 알아본 연구에서는 흡연이 위험인 자로 유의하지 않은 경우도 존재하였고,23,24) 심혈관질환 과도 관련이 없다고 한 선행연구도 있었다.24,25) 본 연구 에서도 흡연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나이관련황반변성 과 심혈관계질환의 관련성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나이관련황반변성에 관 하여 심혈관계질환은 의사진단 여부를 사용했기 때문에 대상자들의 약 복용 여부를 알 수 없었고, 해외 선행연구 들은 나이관련황반변성 발병과 관련하여 초기와 후기를 나누어 분석을 하였지만, 본 자료에서는 시간에 관련된 구분이 없었기에 심혈관계질환 중 고혈압과 협심증이 유 의하지 않고, 뇌졸중의 교차비가 오히려 낮아지는 것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Ⅴ. 결 론

    1. 나이가 1살 많아질 때 교차비가 1.050으로 높아 지고, p<0.001 로 유의하였다.

    2. 성별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교차비가 0.693으로 낮아지고, p=0.024로 유의하였다.

    3. 뇌졸중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교차비가 0.353으로 낮아지고, p=0.004로 유의하였다.

    4. 심근경색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교차비가 2.023으로 높아지고, p=0.032로 유의하였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959

    Association betwee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Relevance of the sociological factors to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Reference

    1. Friedman DS, O’Colmain BJ et al.: Prevalence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the United States. Arch ophthalmol. 122(4), 564- 572, 2004.
    2. Mangione CM, Gutierresz PR et al.: Influence of Age-Related Maculopathy on Visual Function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 J Ophthalmol. 128(1), 45-53, 1999.
    3. Klein R, Klein BEK et al.: Prevalence of Age- Related Maculopathy: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ology 99(6), 933-943, 1992.
    4. Tang Y, Wang X et al.: Prevalence and Causes of Visual Impairment in a Chinese Adult Population: The Taizhou Eye Study. Ophthalmology 122(7), 1480-1488, 2015.
    5. Cheung CMG, Tai ES et al.: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a Multiethnic Asian Cohort. Arch Ophthalmol. 130(4), 480-486, 2012.
    6. Kawasaki R, Yasuda M et al.: The Prevalence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Asia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phthalmology 117(5), 921-927, 2010.
    7. Wong WL, Su X et al.: Global Prevalence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Disease Burden Projection for 2020 and 2040: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Glob Health 2(2), e106-e116, 2014.
    8. Yoon KC, Mun GH et al.: Prevalence of Eye Diseases in South Korea: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Korean J Ophthalmol Soc. 25(6), 421-433, 2011.
    9. Colijin JM, Buitendijk GHS et al.: Prevalence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Europe: The past and the Future. Ophthalmology 124(12), 1753-1763, 2017.
    10. Song P, Du Y et al.: The National and Subnational Prevalence and Burden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China. J Glob Health. 7(2), 020703, 2017.
    11. Keel S, Xie J et al.: Prevalence of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Australia: The Australian National Eye Health Survey. JAMA Ophthalmol. 135(11), 1242-1249, 2017.
    12. La TY, Cho EY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Crurr Eye Res. 39(12), 1232- 1239, 2014.
    13. Hwang HS, Lee SB et al.: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s an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PLoS One 10(8), e0134338, 2015.
    14. Kim EC, Cho EY et al.: Association between Blood Cadmium Level an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a Representative Korean Popul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5(9), 5702-5710, 2014.
    15. Kim EC, Han KD et al.: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High Blood 25-Hydroxyvitamin D and Late Stage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a Representative Korean Popul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5(8), 4823-4831, 2014.
    16. Klein R, Klein BEK et al.: Relation of Smoking to the Incidence of Age-related Maculopathy: The Beaver Dam Eye Study. Am J Epidemiol. 147(2), 103–110, 1998.
    17. An HY, Lee EH et al.: Risk Factors for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Korean: 2011, 2012 Based 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alysis. Korean J Vis Sci. 18(3), 353-360, 2016.
    18. Hyman LG, Lilienfeld AM et al.: Senile Macular Degeneration: A case-control study. Am J Epidemiol. 118(2), 213–227, 1983.
    19. Hyman L, Schachat AP et al.: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rch Ophthalmol. 118(3), 351- 358, 2000.
    20. Ferris FL, Fine SL et al.: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blindness due to neovascular maculopathy. Arch Ophthalmol. 102(11), 1640- 1642, 1984.
    21. Park SJ, Lee JH et al.: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through 2011. Ophthalmology 121(9), 1756-1765, 2014.
    22. Cheng Q, Saaddine JB et al.: Early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with Cardiovascular and Renal Comorbidities: An Analysis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2008. Ophthalmic Epidemiol. 24(6), 413- 419, 2017.
    23. Wieberdink RG, Ho L et al.: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the Risk of Stroke: the Rotterdam study. Stroke 42(8), 2138–2142, 2011.
    24. Delcourt C, Michel F et al.: Associations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Its Risk Factors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he Pola Study. Ophthalmic Epidemiol. 8(4), 237- 249, 2001.
    25. Wong TY, Tikellis G et al.: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Ophthalmology 114(1), 86-9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