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2 No.2 pp.155-16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0.22.2.155

Association of Glaucoma with Atopic Dermatitis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Jung-Ho Youn*
Dep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ung-Ho Youn Dep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TEL: +82-62-573-8778, E-mail: eyezone88@naver.com
May 25, 2020 June 22, 2020 June 24, 2020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Glaucoma and Atopic dermatitis in Korean adults over 40 years of age.


Methods :

The glaucoma screening were done by subjects over 40 years old that took part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Research Survey 2017 and regular eye exam. The sociological factors such as household income, education, monthly drinking rate, and current smoking rate were adjusted and analyzed including sex, age, and body mass index by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18.0 in the significant level less than 0.05.


Results :

The prevalence of glaucoma over the age of 40 was 3.46%. The age (OR=1.03, p=0.007), sex (OR=0.52, p=0.009), and atopic dermatitis (OR=3.43, p=0.023)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Glaucoma.


Conclusion :

After adjusting sociological factors, atopic dermatitis, age, sex, and atopic dermatitis were confirmed to associate with Glaucoma.



한국 성인에서 아토피피부염과 녹내장의 연관성: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7)

윤 정호*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협동과정,학생,광주

    Ⅰ. 서 론

    녹내장은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 이 눌리거나 혈액공급에 이상이 생겨 시야결손이 나타나 는 질환으로, 시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시야손상이 생기고, 계속 방치하면 시력을 잃어 실명할 수 있는 병이다. 안압 이 높아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안압이 정상이어도 안압 의 변동 폭이 크거나, 시신경으로 가는 혈액순환이 안 되 는 경우 녹내장이 발병할 수 있다. 우리나라 녹내장 환자 들은 안압이 정상범위임에도 불구하고 녹내장이 발생하 고, 정상안압을 갖고 있는 녹내장의 경우 전체 녹내장의 8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6,430만 명 이 녹내장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데, 이런 추세라 면 2040년에는 전 세계 인구 중 1억1,180만 명이 될 것 으로 예측하고 있다.1) 녹내장은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40대 이하에서도 녹내장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고,2) 이는 젊은 층에서 수년전보다 근시 유병율이 늘어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각막두께의 차이가 녹내장의 위험인자로 보고된 바 있고,3,4) 특히 정상안압녹내장은 원발성개방각녹내장에 비 해 얇은 각막두께를 보인다는 결과를 보고하기도 하였 다.5-7) 녹내장의 시야결손은 초기에는 주시점 주위의 코 쪽 부위에 나타나서 녹내장이 더 진행됨에 따라 주변시야 가 좁아지고 더 진행하여 말기에는 중심시야만 남는다고 하였고,8-13) 특히 주변시와 빛에 대한 순응과 관련된 활 동이 어려워지고, 말기에는 억제 및 입체시가 저하되고 원거리 양안시 기능이 저하된다고 하였다.14,15)

    피부건조증이 주된 증상인 아토피피부염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아토피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 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이고, 녹내장 또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하였다.16)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시야 결 손 및 실명까지 초래할 수 있는 자가면역질환인 녹내장과 아토피 피부염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 주관으로 2017년 시행된 제7 기 2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조사대 상자 8,127명 중 일반적 특성과 사회학적 특성(체질량지 수, 월평균 가구총소득, 학력과 관련된 교육수준, 현재흡 연율, 월간음주율)이 있고 녹내장유무와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의사진단 기록이 있는 40세 이상 2,831명(남자: 1,320명, 여자: 1,70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7년도 제7기 2차 원 시자료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체중 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누고, 월평균 가구총소득은 설문 조사 자료로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 중졸, 고졸, 대졸 이 상 4그룹으로 하였다. 현재흡연율(흡연율)은 평생 5갑 이상 피운 경력이 있고 현재 담배를 피우는 사람을 흡연 자, 비흡연자로 구분하였고, 월간음주율(음주율)은 최근 1년 동안 월1회 이상 알코올 섭취한 사람을 음주자, 비 음주자와 구분하였다. 녹내장 유무는 “없음”과 “있음”으 로 나타내었고, 아토피피부염은 “없음”과 “있음”으로 의 사진단 여부 설문을 활용하였다.

    3. 자료 분석

    녹내장과 아토피피부염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통계분석은 SPSS 18.0 version(SPSS,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다. 녹내장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나 이, 성별, 체질량지수, 월평균 가구총소득, 교육수준, 월간 음주율 및 현재흡연율을 보정한 후 아토피피부염과 녹내 장과의 관계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p-value의 유의수준은 0.050 미만으로 정의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 기본특성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59.13±11.81세였다. 녹 내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98(3.46%)명이었고, 아토피 피부염의 의사진단을 받은 사람은 45(1.59%)명이었다. 평균 체질량지수는 24.06±3.28이고, 월평균 가구소득 은 419.97±344.14만원이었다. 음주자는 1,417(50.05%) 명이고, 흡연자는 455(16.07%)명이었다. 교육수준은 4분 류로 초졸 이하773(27.3%)명, 중졸360(12.72%)명, 고졸 816(28.82%)명, 대졸 이상882(31.16%)명이었다(Table 1).

    2. 아토피피부염과 기본변수 보정한 다중회귀분석

    아토피피부염과 녹내장과의 관계에서 나이와 성별, 체질 량지수를 보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한 결과 나이(OR= 1.04, p<0.001), 성별(OR=0.53, p=0.002) 및 아토피피 부염(OR=3.30, p=0.028)은 유의하였다. 하지만 체질량 지수(OR=1.00, p=0.960)는 유의하지 않았다(Table 2).

    3. 사회학적요인을 추가 보정한 다중회귀분석

    나이와 성별, 체질량지수와 가구소득, 교육수준, 현재 흡연율, 월간음주율을 보정한 후 아토피피부염과 녹내장 과의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 한 결과 BMI(OR=0.99, p=0.819), 가구소득(OR=1.00, p=0.701), 교육수준(OR= 0.80, p=0.050), 현재흡연율(OR=1.16, p=0.606), 및 월간음주율은(OR=1.21, p=0.416) 유의하지 않았다. 그 러나 나이(OR=1.03, p=0.007)와 성별(OR=0.52, p= 0.007) 및 아토피피부염(OR=3.43, p=0.023)은 유의하 였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 녹내장 유병율은 3.46%로 선행연구의 전 세계 유병율 3.54%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1) 녹내장 은 정확한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수년간의 연 구에서 가장 큰 위험 인자는 안내 안압, 연령 및 유전학 이라는 것이 밝혀져 있고,16) 일반적으로 녹내장은 나이 와 성별이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8,18)

    아토피피부염은 피부건조증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만 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자가면역질환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녹내장 또한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하였다.16) 녹내 장과 아토피피부염과의 관계는 미국 NHANES(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자료 를 이용한 선행연구가 있다.17) 하지만 국내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녹내장과 아토피피부염과의 연구는 부족한 실 정이다. 아토피피부염은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1천명당 유병률이 2001년 12.0명에서 2005년 91.4명 으로 661% 증가하였고,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다.20) 또 한 심한 아토피 성 피부염과 관련된 개방각 녹내장은 안 구 표면, 눈꺼풀 염증으로 인해 치료하기가 어려운 경향 이 있다고 하였다.19,21)

    본 연구 대상자들에게서 녹내장은 나이와 성별, 아토 피피부염과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앞으로도 유병률이 늘어나고 있는 녹내장과 관련 된 연구가 지속되어야 될 것으로 보인다. 녹내장은 아토 피피부염과 더불어 우울증과 관련이 있고, 삶의 질을 떨 어트린다고 하였다.22-24) 이는 급격히 고령화 사회가 되 고 있는 우리나라의 향후 문제점이 될 수 있다. 현재 녹 내장과 아토피피부염과의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 다. 이는 향후 녹내장과 자가면역질환과의 관련성에 관 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추후 고령화 사회를 대 비하기 위하여 녹내장과 관련된 다양한 후속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1. 나이가 1살 많아질 때 1.03배 교차비가 증가한다.

    2. 여성이 남성에 비해 0.52배 교차비가 낮아진다.

    3. 아토피피부염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해 3.43 배 교차비가 증가한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831

    Association between Glaucoma and Atopic dermatitis

    Study subjects according to Glaucoma and Atopic dermatitis

    Reference

    1. Tham YC, Li X et al.: Global prevalence of glaucoma and projections of glaucoma burden through 2040: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phthalmology 121(11), 2081-2090, 2014.
    2. Cho JP, Hwang JH et al.: Incidence Rate of Glaucoma in Korean Population. Korean J Sci. 21(3), 315-323, 2019.
    3. Medeiros FA, Sample PA et al.: Corneal thickness as a risk factor for visual field loss in patients with preperimetric glaucomatous optic neuropathy. Am J Ophthalmol. 136(5), 805-813, 2003.
    4. Pakravan M, Parsa A et al.: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correlation to optic disc size: a potential link for susceptibility to glaucoma. Br J Ophthalmol. 91(1), 26-28, 2007.
    5. Argus WA: Ocular Hypertension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Ophthalmology 102(12), 1810- 1812, 1995.
    6. Copt RP, Thomas R et al.: Corneal thickness in ocular hypertension,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normal tension glaucoma. Arch ophthalmology 117(1), 14-16, 1999.
    7. Choi HJ, Kim DM et al.: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localized retinal nerve fiber layer defect in normal-tension glaucoma. J glaucoma 15(2), 120-123, 2006.
    8. Kotecha A, O'Leary N et al.: The functional consequences of glaucoma for eye–hand coordin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0(1), 203- 213, 2009.
    9. Parc C, Tiberghien E et al.: Driving habits in glaucoma patients. J Fr Ophalmol. 35(4), 235- 241, 2012.
    10. Güerri N, Polo V et a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retinal sensitivity threshold values assessed by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in glaucoma. Arch Soc Esp Oftalmol 88(6), 223- 230, 2013.
    11. Sippel K, Kasneci E et al.: Binocular glaucomatous visual field loss and its impact on visual exploration- a supermarket study. PloS One. 9(8), e106089, 2014.
    12. Nelson P, Aspinall P et al.: Quality of life in glaucoma and its relationship with visual function. J glaucoma 12(2), 139-150, 2003.
    13. Goldberg I, Clement CI et al.: Assess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laucoma using the Glaucoma Quality of Life-15 (GQL-15) questionnaire. J glaucoma 18(1), 6-12, 2009
    14. Choi JH, Lee KJ: The Change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in Mild, Moderate and Severe Glaucoma Patients. Korean J Vis Sci. Vol. 17(3), 299-309, 2015.
    15. Choi JH, Lee KJ: Assessment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in Glaucoma. Korean J Vis Sci. Vol. 17(2), 131-140, 2015.
    16. Grus F, Sun D: Immunological mechanisms in glaucoma. Semin Immunopathol. 30(2), 121– 126, 2008.
    17. Doucette LP, Rasnitsyn A et al.: The interactions of genes, age, and environment in glaucoma pathogenesis. Surv Ophthalmol. 60(4), 310- 326, 2015.
    18. Tseng VL, Lee J et al.: Associations between factors related to atopic disease and glaucoma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ur J Ophthalmol. 28(5), 598-606, 2018.
    19. Jeong AR, Cha SC et al.: Association between Normal-tension Glaucoma and Allergic Rhinitis in a Korean Population-based Study. J Korean Ophthalmol Soc. 59(10), 960-967, 2018.
    20. Kim KH, Park AY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in Korean Adults: The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8. Korean J Rehabilit Nurs. 15(2), 83-90, 2012.
    21. Takakuwa K, Hamanaka T et al.: Atopic Glaucoma: Clinical and Pathophysiological Analysis. J glaucoma 24(9), 662-668, 2015.
    22. Feng CS, Yi GY: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of Glaucoma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55(12), 1868-1877, 2014.
    23. Slattery MJ, Essex MJ: Specificity in the association of anxiety, depression, and atopic disorders in a community sample of adolescents. J Psychiatr Res. 45(6), 788-795, 2011.
    24. Lee SY, Rim HT et al.: Depression Risk among Patients with Open-angle Glaucoma: a 10- year Follow-up Nationwide Cohort Study. J Korean Glaucoma Soc. 8(2), 44-5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