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2 No.3 pp.313-324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0.22.3.313

Effect of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Functional Contact Lenses on Accommodative Function and Visual Quality

Ye-Jin Yun1), Chang-Jin Kim2), Hyun-Il Kim3)*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Konyang University, Student, Daejeon
2)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Konyang University, Lecture, Daejeon
3)Dep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Professor, Daeje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un-Il Kim Dep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Daejeon TEL: +82-42-600-8428, E-mail: hyunik@konyang.ac.kr
August 16, 2020 September 22, 2020 September 22, 2020

Abstract

Purpose :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visual quality and accommodative functions after wearing single an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functional contact lenses in the twenties having sufficient accommodation.


Methods :

Thirteen subjects(21.38±0.65 years) were evaluated for visual acuity, contrast sensitivity, stray light, total higher order aberrations, spherical aberration, coma aberration, accommodative response, bi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and near point of accommodation after wearing two types of contact lenses, respectively.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acuity, contrast sensitivity, stray light, total high order aberration, spherical aberration and bi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Coma aberration increased slightly in wearing multi front aspheric functional contact lenses at 4 and 5 mm pupil size(p=0.037). Accommodative response(p=0.006) and near point of accommodation(p=0.005)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shorter in wearing multi front aspheric functional contact lens.


Conclusion :

There was no difference in visual quality in wearing multiple front aspheric functional contact lenses compared to in wearing single front aspheric contact lenses. But it is thought to be useful as a functional contact lens for young adults because it has the effect on reducing the accommodative burden.



다중 전면 비구면 설계 기능성 콘택트렌즈가 조절기능 및 시각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윤 예진1), 김 창진2), 김 현일3)*
1)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전
2)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강사, 대전
3)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대전

    Ⅰ. 서 론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 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과의존 위험군 수치는 20.0%로 전년(19.1%)대비 0.9% 증가하였으며, 2017년 이후 과 의존 위험군의 상승폭은 점차 감소되는 추세였으나 2019 년 들어 상승폭이 다시 확대하였고, 유, 아동은 전 연령 대에서 가장 가파른 증가를 보여주었고, 청소년은 2017 년 이후 감소세에서 2019년에는 증가로, 성인 및 60대 도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로 보고하였고, 세부적으로 청소 년은 2018년 29.3%에서 2019년 30.2%로, 성인은 2018년 18.1%에서 2019년 18.8%로 각각 0.9% 및 0.7% 증가하였다.1)

    2018년 기준 스마트 폰 가입자 수는 5,011만 명으로 집계하여 사실상 1인당 1스마트폰 시대가 열렸다고 보 고했으며,2) Nielsen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16~24 및 25~34세의 스마트폰 사용자 비율은 각각 86%로 10 개국에서 가장 높았다.3) 2016년 스마트폰을 사용한 주 당 인터넷 사용 시간은 19~29세에서는 남성은 4시간 2 분, 여성은 4시간 7분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길었다.4) 따라서 현대 사회는 젊은 성인들의 장시간의 근업 생활 환경에 놓여 있기 때문에 조절부담 및 이에 따른 안정피 로 증가, 시각디스플레이단말기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 다.5-7) VDT 증후군은 시각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장기간 사용과 관련된 안구 및 외안근 관련된 증상들의 집합이 다. 이러한 증후군은 현대 시대에서 중요해지고 있다. 안정피로 증상, 시각 흐림, 안구건조증, 목통증, 요통, 어깨 통증 등이 관련이 있다.8)

    최근에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기기를 사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눈의 건조감, 충혈, 피로감 등 을 감소시키기 위한 콘택트렌즈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렌즈는 다중 전면 비구면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중앙 근용부 멀티포컬 렌즈와 유사한 광학부영역이 발생 하여 조절부담을 완화시키는 기능도 있는 것으로 제조사 는 설명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비구면 디자인의 콘 택트렌즈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는 고위수차의 한 종류인 구면수차를 보정하여 시각적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디자인의 콘택트렌즈를 착용 시 조절력이 충분한 20대 성인이 시각의 질 및 조절기능에 대해서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고 선발된 대상자는 전신질환 및 안질환이 없고 굴절이상 교정수술을 받지 않은 20대 총 13명(남성 2명, 여성 11명)을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평 균 연령은 21.38±0.65세 이었으며, 구면 굴절력은 – 0.46±0.43 D이었고 난시 굴절력은 –0.51±0.45 D이었 다. 그리고 Hofstetter 공식(=15-0.25×대상자 나이)에 따른 계산 값보다 조절력이 부족하면 제외하였고, 원거리 단안 교정시력이 0.9 이상 및 양안교정시력 1.0 이상이며 전체 난시 값이 C-1.00 D 이하인 경우로 제한하였다. 모 든 검사과정과 규약은 생명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번호: KYU-2019-352-01) 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 게 실험 목적과 검사방법에 대하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 분히 설명한 후 동의를 얻고 검사를 진행하였다.

    2. 방법

    1) 콘택트렌즈

    본 연구에서 사용한 콘택트렌즈는 쿠퍼비전 사의 바이 오피니티(단일 전면 비구면 단초점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와 바이오피티니 에너지스(다중 전면 비구면 단초점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로 동일한 직경 및 동일한 기본커브이었다(Table 1, Fig. 1, 2). 콘택트 렌즈 굴절력은 자각식 굴절검사를 이용하여 원거리 완전 교정 굴절력을 측정하여 결정하였으며, 난시가 -1.00 D 이하인 경우는 등가구면굴절력을 적용하였다.

    2) 콘택트렌즈 피팅 상태 확인

    콘택트렌즈를 최소 30분 이상 착용 후 세극등 현미경 (BD 900, HAAG-STREIT, USA)을 사용하여 정면 주 시 상태에서 중심안정 및 눈 깜빡임 시 움직임을 확인하 였고, 상방 및 측면 주시 상태에서 래그(lag)를 확인하 였고, 푸쉬 업 검사를 사용하여 피팅 상태의 가파른 정 도를 확인한 후 이상적인 피팅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만 대상자로 제한하였다.

    3) 검사순서

    본 연구에서는 1차로 단일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를 6시간 착용한 후 검사를 진행하였고, 2차로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를 6시간 착용한 후 검사를 진행하였 다. 그리고 연구 대상자에게 배부한 렌즈의 종류를 알려 주지 않았고, 실험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1, 2차 실험 사이에 7일 간의 세척기간(washout period)을 두 었다. 검사 항목으로는 원거리 및 근거리 교정시력, 원 거리 및 근거리 대비감도, 총 고위수차, 구면수차, 코마 수차, 스트레이라이트, 양안 조절용이성, 조절근점, 조 절반응을 검사하였다.

    (1) 조절부담 유발

    연구 대상자의 근거리 조절부담 유발을 위해 렌즈 착 용 후 6시간이 되는 시점에서 60 cm 거리에서 노트북을 사용하여 30분 동안 동일한 동영상을 중단 없이 시청하 도록 하였다.

    (2) 조절근점 검사

    조절폭주 막대(Accommodation convergence rule, Bernell, Corp., USA)를 사용하여 조절근점을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3) 조절반응 검사

    두 종류의 렌즈를 착용한 후 각각 조절부담을 준 후에 양 안 개방형 자동굴절력계(Nvision-K 5001, Shin-Nippon, Japan)를 사용하여 근거리(40 cm) 조절반응 값을 타각 적 굴절검사로 측정하였고, 등가구면굴절력을 이용하여 조절반응 값을 계산하였다.

    (4) 원, 근거리 시력 및 원, 근거리 대비감도 검사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검사는 Optec 6500Ⓡ Vision Tester(Stereo Optical Corp, Inc., Chicago, USA)를 사용하여 양안 상태에서 LogMAR 시력으로 검사를 실 시하였다. 동일한 기기를 사용하여 대비감도를 측정하였 고, 검사항목은 명소시 상태에서의 원거리 및 근거리 대 비감도, 박명시 상태에서의 원거리 대비감도 검사를 실 시하였다.

    (5) 스트레이라이트(stray light) 검사

    C-quant(C-quant stray light meter, Oculus GmbH, Wetzlar, Germany)를 사용하여 스트레이라이트 값을 측정하였다. 안구는 광학적 매체로서 눈 매체 내부의 산 란으로 인해 빛의 분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망막 에 맺히는 상의 감도는 저하되며 이러한 빛의 분산을 '스 트레이라이트'라고 하며 이것이 증가할수록 시력의 질은 저하된다.10) C-quant 측정값인 log(s)값이 클수록 빛 의 산란을 의미하는 스트레이라이트가 큰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눈부심 지표로 사용하였고, 두 종류의 콘 택트렌즈 착용 시 스트레이라이트 값을 측정하였다.

    (6) 수차측정

    Hartmann-Shack 방식을 사용한 i.Profiler plus(Carl zeiss vision, Germany)을 사용하여 동공크기 3, 5 mm 기준으로 눈의 총 고위수차(total high order aberrations, HOA), 코마수차, 구면수차를 측정하였다. 3차부터 7차 까지 각 차수별로 계산된 고위수차(식 1, 2, 3, 4, 5)와 3 차항에서 7 차항까지의 총 고위수차를 계산하였다(식 6). 각 차수의 항들은 아이프로파일러로 측정한 값을 대 입하였다.

    3차 고위수차 ( RMS 3 ) = ( Z 3 3 ) 2 + ( Z 3 1 ) 2 + ( Z 3 1 ) 2 + ( Z 3 3 ) 2
    (1)

    4차 고위수차 ( RMS 4 ) = ( Z 4 4 ) 2 + ( Z 4 2 ) 2 + ( Z 4 0 ) 2 + ( Z 4 2 ) 2 + ( Z 4 4 ) 2
    (2)

    5차 고위수차 ( RMS 5 ) = ( Z 5 5 ) 2 + ( Z 5 3 ) 2 + ( Z 5 1 ) 2 + ( Z 5 1 ) 2 + ( Z 5 3 ) 2 + ( Z 5 5 ) 2
    (3)

    6차 고위수차 ( RMS 5 ) = ( Z 6 6 ) 2 + ( Z 6 4 ) 2 + ( Z 6 2 ) 2 + ( Z 6 0 ) 2 + ( Z 6 2 ) 2 + ( Z 6 4 ) 2 + ( Z 6 6 ) 2
    (4)

    7차 고위수차 ( RMS 5 ) = ( Z 7 7 ) 2 + ( Z 7 5 ) 2 + ( Z 7 3 ) 2 + ( Z 7 1 ) 2 + ( Z 7 1 ) 2 + ( Z 7 3 ) 2 + ( Z 7 5 ) 2 + ( Z 7 7 ) 2
    (5)

    총 고위수차(Total HOAs) = ( R M S 3 ) 2 + ( R M S 4 ) 2 + ( R M S 5 ) 2 + ( R M S 6 ) 2 + ( R M S 7 ) 2
    (6)

    3차 고위수차에 포함되는 코마수차(coma aberration) 는 RMS( Z 3 1 , Z 3 1 )(식 7)로 4차 고위수차에 포함되는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는 RMS( Z 4 0 )(식 8)로 계산하였다.

    코마수차(coma RMS) = ( Z 3 1 ) 2 + ( Z 3 1 ) 2
    (7)

    구면수차(spherical RMS) = ( Z 4 0 ) 2
    (8)

    4 mm 동공크기의 수차는 5 mm 측정값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식 9).

    4 mm 동공크기 해당 RMS = 4 n 5 n × ( 5 mm 동공크기 해당 RMS ) ( n=해당 고위수차 차수 )
    (9)

    3. 통계 처리

    측정값의 분석은 SPSS 18.0(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후의 결과 값 비교는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p-value 가 p<0.050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으며 p<0.050일 경우 *로, p<0.010일 경우 **로 표기하였다.

    Ⅳ. 결 과

    1. 시력 및 시력의 질

    1) 시력

    양안 원거리 명소시 logMAR 교정시력은 단일 및 다 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착용 시 각각 -0.06±0.06, -0.06±0.08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양안 원거리 박 명시 logMAR 교정시력은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콘 택트렌즈착용 시 각각 0.06±0.09, 0.09±0.08로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경미하게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일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 용 시와의 차이 값은 logMAR 0.03± 0.08로 소수시력 약 0.06 차이 값에 해당하므로 시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양안 근거리 명소시 교정시력 은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각각 0.00±0.00, 0.00±0.00으로 차이가 없었다(Table 2).

    2) 대비감도

    원거리 명소시 상태에서의 대비감도 값은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착용 시 1.5, 3, 6 12 18 cpd에서 각각 1.74±0.14, 1.96±0.18, 2.11±0.24, 1.66±0.29, 1.30±0.44 및 1.75±0.14, 1.98±0.16, 2.09±0.24, 1.68±0.33, 1.34±0.46이었고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 트렌즈 착용 시 대부분의 공간주파수에서 경미하게 증가 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3).

    원거리 박명시 상태에서의 대비감도 값은 단일 및 다 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착용 시 1.5, 3, 6 12 18 cpd에서 각각 1.68±0.15, 1.80±0.15, 1.83±0.22, 1.04±0.53, 0.60±0.41 및 1.69±0.13, 1.80±0.14, 1.75±0.20, 0.97±0.58, 0.67±0.43이었고 다중 전 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3, 6, 12 cpd에서 경미하 게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4).

    근거리 명소시 상태에서의 대비감도 값은 단일 및 다 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착용 시 1.5, 3, 6 12 18 cpd 에서 각각 1.90±0.14, 2.01±0.08, 2.05±0.13, 1.70± 0.25, 1.23±0.42 및 1.93±0.12, 2.01±0.16, 2.06± 0.13, 1.76±0.22, 1.32±0.18이었고 다중 전면 비구 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대부분의 공간주파수에서 경미하 게 더 증가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5).

    3) 스트레이라이트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착용 시 스트레 이라이트 값은 각각 1.30±0.17, 1.26±0.18로 모두 연령대비 정상범위 안에 포함되었으며, 다중 전면 비구 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Table 6).

    4) 고위수차

    3 mm 동공크기에서 단일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 용 시 총 고위수차, 구면수차, 코마수차는 각각 0.065± 0.032, 0.011±0.008, 0.041±0.030 ㎛이었고, 다중 전 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각각 0.055±0.024, 0.010+ 0.008, 0.037±0.026 ㎛이었다(Table 7). 4 mm 동공 크기에서 단일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총 고위 수차, 구면수차, 코마수차는 각각 0.095±0.040, 0.024± 0.015, 0.060±0.044 ㎛이었고,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 렌즈 착용 시 각각 0.101±0.034, 0.022+0.017, 0.075± 0.036 ㎛이었다(Table 7). 5 mm 동공크기에서 단일 전 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총 고위수차, 구면수차, 코 마수차는 각각 0.207±0.078, 0.059±0.037, 0.117± 0.086 ㎛이었고,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각각 0.211±0.065, 0.054±0.041, 0.147±0.071 ㎛ 이었다(Table 7).

    총 고위수차는 3 mm 동공크기에서는 다중 전면 비구 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감소하였고, 구면수차는 3, 4, 5 mm 동공크기에서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모두 경미하게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코마수차는 4, 5 mm 동공 크기에서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각각 0.015, 0.030 ㎛ 유의하게 증 가하였다(Table 7).

    2. 조절기능

    1) 조절반응

    근업 부담 후의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후 40 cm 거리에서 등가구면굴절력을 비교하였을 때 각각 1.98±0.35, 1.78±0.32 D로 다중 전면 비구 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6) (Table 8).

    2) 양안조절용이성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비교하 였을 때 각각 11.73±4.31, 12.42±4.83 cpm으로 다 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증가하였지만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Table 9).

    3) 조절근점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비교하 였을 때 각각 7.41±1.75, 6.80±1.91 cm로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유의하게 짧아졌다(p=0.005) (Table 10).

    Ⅴ. 고 찰

    감소된 시각은 콘택트렌즈 착용 실패의 주요 원인 중 의 하나이다. 구면 단초점 소프트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많은 이들은 1.0 이상의 시력에 도달함에도 불구하고 자 각적으로 시각의 질 저하가 발생한다.11) 이러한 원인은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안구 시스 템의 구면 수차에서 기인한다.12,13) 따라서 안구 시스템 의 고위수차를 보정하여 시각적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콘택트렌즈 제조업체는 주로 구면수 차를 줄이기 위해 소프트 콘택트렌즈 설계에 비구면 디 자인을 적용하였다.14) 특히 저난시의 경우 비구면 소프 트 콘택트렌즈는 구면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보다 시력의 질을 더 높일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15,16) 이러한 고위수차는 구면 및 원주렌즈 사용으로는 교정할 수 없 는 굴절 오류의 일부로서 망막 상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17,18) 따라서 고위수차는 시각 성능 및 대비감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시력의 질 차원에서 중요한 지표로 간주된다.19-21) 또한 요즈음에는 레이저굴절수술 후 고위수차는 레이저굴절수술 방법의 질 평가 요소로 이용되고 있다.20,22-24) 비구면 디자인의 소프트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구면 디자인에서보다 눈의 고위수 차 및 구면수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Kim 등25)이 20대의 근시안인 25명(50안)을 대상으로 전면 비구면 및 구면 디자인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 시 동공크기 4 및 6 mm 기준으로 측정한 총 고위수차 는 동공크기 4 mm에서는 각각 0.104±0.040, 0.108± 0.040 ㎛, 구면수차는 각각 –0.010±0.027, 0.000± 0.028 ㎛ 이었다. 동공크기 6 mm에서는 총 고위수차는 각각 0.338±0.089, 0.377±0.103 ㎛, 구면수차는 각 각 –0.048±0.080, -0.005±0.088 ㎛이었고, 구면수차 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착용한 두 렌즈의 디자인은 모두 전면 비구면 디자인이었고 총 고위수차 및 구면수차는 3, 4, 5 mm 동공크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코마수차는 4, 5 mm 동공 크기에서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각각 0.015, 0.030 ㎛ 유의 하게 증가하였지만 시력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었다.26)

    고위수차와 대비감도의 관계는 상당히 복잡하고 총 고위수차 자체는 대비감도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아니며, 3차 고위수차의 하나인 수직방향의 코마수차는 6 mm 동공크기에서 대비감도와 서로 음의 상관관계가 보고되었다.27) 그리고 대비감도와 눈부심감도는 일정한 유의한 관계가 있다.28)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이라이트를 눈부심감도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스트레이라이트의 증 가는 눈부심 증가 등의 시력의 질을 저하시킨다.29,30) 본 연구에서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대비감도와 스트레이라이트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an 등31)은 원거리 주시의 경우 20대의 평균 동공크 기는 500 lx에서 5.75 mm, 800 lx에서는 4.01 mm, 1,000 lx에서는 3.46 mm로 보고하였다. 평상 시 일상 생활의 조도는 인공조명의 조도보다 높기 때문에 명소시 환경의 동공 크기가 3 mm까지도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Lee 등32)에 따르면 원거리 주시에서 측정한 20대의 명 소시(700 lx) 환경에서의 동공 크기는 4.25±0.72 mm 이었고, Noh 등33)이 원거리 주시에서 측정한 20대의 명 소시(760 lx) 환경에서의 동공 크기의 평균은 3.87± 0.50 mm 이었다. Park34)이 원거리 주시에서 측정한 20대의 명소시 환경에서의 동공 크기는 4.07±0.29 mm 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명소시 환경에서 원거리 주 시의 경우 동공의 크기를 3, 4 mm로 가정하면 다중 전 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눈부심 값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대비감도가 경미하게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Lee 등32)에 따르면 원거리 주시에서 측정한 박명시(6 lx) 상태에서 동공 크기는 5.37±0.96 mm이었으며, Noh 등33)이 원거리 주시에서 측정한 박명시(2 lx) 상태에서 동 공 크기는 5.71±0.73 mm이었다. Lee 등35)이 20대 근 시안의 조절자극이 없을 때 측정한 동공 크기는 밝은 박 명시(3 lx) 상태에서 4.85±0.96 mm, 어두운 박명시(0.3 lx) 상태에서는 5.14±0.90 mm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 5 mm 동공크기를 원거리 주시의 경우 박명시 유사 환경의 동공크기로 가정하면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 즈 착용 후 3, 4 mm 동공크기 기준으로 코마수차가 상대 적으로 더 증가하였기 때문에 원거리 박명시 상태에서 대 비감도가 경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코마수차는 광축에 비스듬히 입사하는 광선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제르니케 다항식에서 Z(3,+1)의 수평 코마수차와 Z(3,‒1) 의 수직 코마수차로 구분되며, 동공크기, 연령과 굴절이 상도에 따라서도 다르다고 보고되었다.26)

    Ha 등36)이 40 cm 거리에서 측정한 20대 근시안의 동공 크기는 근거리 시표(48.88±0.18 cd/m2), 스마트 폰(178.31±5.79 cd/m2), 모니터(200.65±6.27 cd/m2) 를 주시한 경우 각각 4.68±0.58, 4.26±0.64, 3.74± 0.59 mm이었고, Park34)이 근거리(40 cm) 주시에서 측 정한 20대의 명소시 환경에서의 동공크기는 3.20± 0.26 mm이었다. 따라서 명소시 환경에서 근거리 주시 의 경우 동공크기를 본 연구에서 3, 4 mm로 가정하면 다중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눈부심 값이 상대적으 로 감소하였기에 대비감도가 경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생 각된다.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동공크기 4 mm 기준으로 구면수차는 경미하게 감소하였지만 단일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와 비교하여 부호를 고려한 구면수차를 확인하면 단일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음의 구면수차의 총합은 –0.389 ㎛이었고, 양의 구면 수차의 총합은 0.236 ㎛이었다. 그리고 다중 전면 비구 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음의 구면수차의 총합은 –0.281 ㎛이었고, 양의 구면수차의 총합은 0.294 ㎛ 이었다. 총 65.4%(n=17 eyes)에서 구면수차가 양의 방향으로 증가 하였다. 동공크기 5 mm 기준으로는 단일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음의 구면수차의 총합은 –0.949 ㎛ 이었고, 양의 구면수차의 총합은 0.581 ㎛이었다. 그리 고 다중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음의 구면수차의 총합은 –0.688 ㎛이었고, 양의 구면수차의 총합은 0.715 ㎛이었다. 총 73.1%(n=19 eyes)에서 구면수차가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동시디자인 멀티포컬렌즈에서 가입 도 효과를 유발시키기 위해서 비구면 디자인을 사용하여 양의 구면수차를 유발시킨다.37)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중 전면 비구면 디자인의 콘택트렌즈를 착용 시 증가된 양의 구면수차는 렌즈 중심부의 경미한 가입도 효과에 일정 부 분 기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가입도 효과는 조절 부담을 감소시켜 본 연구에서 조절반응 및 조절근점의 유 의한 감소를 야기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다중 전면 비구면 디자인은 다초점 디자인을 만들어 렌즈 중심부에 추가적인 플러스 굴절력 효과를 유발하여 눈의 조절 부담 을 감소시켜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Ⅵ. 결 론

    • 1. 시력 및 시력의 질은 단일 및 다중 전면 비구면 디 자인의 콘택트렌즈 착용 시 원거리 및 근거리 시 력, 원거리 및 근거리 대비감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트레이라이트 값은 두 렌즈 사이에서 유 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다중 전면 비구면 디자인에 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고위수차와 구면수 차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코마수차만 유의하 게 경미한 양이 증가하였다.

    • 2. 조절기능은 다중 전면 비구면 디자인의 콘택트렌즈 착용 시 단일 전면 비구면 디자인의 콘택트렌즈 착 용 시 보다 2.5 D 조절자극에 대한 조절반응은 유의 하게 감소하였고, 조절근점은 유의하게 짧아졌다.

    따라서 다중 전면 비구면 기능성 콘택트렌즈 착용 시 단일 전면 비구면 콘택트렌즈 착용 시와 비교하여 시력 및 시력의 질은 차이가 없었으며 조절부담은 감소시켜주 는 효과가 있으므로 젊은 성인의 기능성 렌즈로서 유용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KJVS-22-3-313_F1.gif

    Sing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KJVS-22-3-313_F2.gif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Table

    Lens specification of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ed in this study

    Binocular distance and near visual acuity in wearing single an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contact lenses

    SFSAD<sup>‡</sup>: Sing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MFSAD<sup>#</sup>: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BDVPV<sup>†</sup>: Binocular distance visual acuity under photopic vision
    BDVMV<sup>#</sup>: Binocular distance visual acuity under mesopic vision
    BNVPV<sup><sup>*</sup></sup>: Binocular near visual acuity under photopic vision

    Distance contrast sensitivity in wearing single an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contact lenses under phtopic condition

    SFSAD<sup>‡</sup>: Sing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MFSAD<sup>⁑</sup>: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Distance contrast sensitivity in wearing single an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contact lenses under mesopic condition

    SFSAD<sup>‡</sup>: Sing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MFSAD<sup>⁑</sup>: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Near contrast sensitivity in wearing single an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contact lenses under phtopic condition

    SFSAD<sup>‡</sup>: Sing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MFSAD<sup>⁑</sup>: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Stray light value in wearing single an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contact lenses

    SFSAD‡: Sing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MFSA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Total higher order aberrations, spherical aberration, coma aberration for a 3, 4, 5 mm pupil size in wearing single an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contact lenses

    HOAs, Higher order aberrations; SA, Spherical aberration
    SFSAD‡: Sing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MFSA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sup>*</sup>:<i>p</i><0.050

    Spherical equivalent power after 30 minutes watching computer display at 60 cm in wearing single an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contact lenses

    SFSAD‡: Sing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MFSA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sup><sup>*</sup><sup>*</sup></sup>: <i>p</i><0.010

    Bi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in wearing single an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contact lenses

    SFSAD‡: Sing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MFSA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Near point of accommodation in wearing single an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contact lenses

    SFSAD‡: Sing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MFSAD⁑: Multiple front surface aspheric design

    Reference

    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The survey on internet overdependence in 2019, 2020, Available at https://www.nia.or.kr. AccessedJuly 20, 2020.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5914&bcIdx=21939&parentSeq=21939
    2. Chosun BIZ: Korea is the era of 'one person, one smart phone', 2018, Available at http://it.chosun.com. Accessed July 20, 2020.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26/2018082600750.html
    3. The Nielson Company: How the Mobile Consumer Connects Around the Globe, 2013, Available at https://www.nielsen.com. Accessed June 20, 2020. https://www.nielsen.com/us/en/insights/article/2013/how-the-mobile-consumer-connectsaround-the-globe
    4. Barun ICT Research Center: 2017 Smart phone usage behavior report, 2018, Available at http://barunict.kr. June 30, 2020http://barunict.kr/?p=7913
    5. The medical news: Korea, where 80% of all citizens use smart phones, increased VDT syndrome by 30% in 4 years, 2015, Available at http://mdon.co.kr. Accessed July 10, 2020. http://mdon.co.kr/news/article.html?no=6615
    6. Republic of Korea policy briefing: The back neck is stiff, the wrists are sore. Do you have VDT syndrome?, 2020, Available at http://www.korea.kr. June 20, 2020. http://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868031
    7. The doctor's news. Online school expansion. What diseases/preventions should students be aware of ?, 2020, Available at https://www.doctorsnews.co.kr. July 15, 2020.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314
    8. Parihar JKS, Jain VK et al.: Computer and visual display terminals (VDT) vision syndrome (CVDTS). Med J Armed Forces India 72(3), 270-276, 2016.
    9. Kim JM, Mun MY et al.: Change of Spherical Aberration with Aspheric Soft Contact Lens Wear. J Korean Oph Opt Soc. 17(4), 101-105, 2012. http://www.riss.kr/link?id=A104881893
    10. Beirne RO: Macular pigment levels do not influence C-Quant retinal straylight estimates in young Caucasians. Clin Exp Optom. 97(2), 171-174, 2014.
    11. Dumbleton K, Woods CA et al.: The impact of contemporary contact lenses on contact lens discontinuation. Eye Contact Lens 39(1), 93-99, 2013.
    12. Cox I, Holden BA: Soft contact lens-induced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nd its effect on contrast sensitivity. Optom Vis Sci. 67(9), 679-683, 1990.
    13. Wechsler S: Visual acuity in hard and soft contact lens wearers: a comparison. J Am Optom Assoc. 49(3), 251-256, 1978.
    14. Bauer GT: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of modern ophthalmic lenses and its effect on visual acuity. Appl Opt. 19(13), 2226-2234, 1980.
    15. Huffman K, Pack L et al.: Visual and optical performance of Frequency 55 Aspheric vs. spheric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79(12), 129, 2002.
    16. Brazeau D, Bois A et al.: Spherical versus aspherical soft contact lenses for low astigmats. ICLC. 21(3), 39-44, 1994.
    17. Hofer H, Chen L et al.: Improvement in retinal image quality with dynamic correction of the eye's aberrations. Opt Express 8(11), 631-643, 2001.
    18. Thibos LN: Retinal image quality for virtual eyes generated by a statistical model of ocular wavefront aberrations. Ophthalmic Physiol Opt. 29(3), 288–291, 2009.
    19. Yamaguchi T, Negishi K et al.: Correlation between contrast sensitivity and higher-order aberration based on pupil diameter after cataract surgery. Clin Ophthalmol. 5, 1701–1707, 2011.
    20. Buhren J, Martin T et al.:. Correlation of aberrometry, contrast sensitivity, and subjective symptoms with quality of vision after LASIK. J Refract Surg. 25(7), 559–568, 2009.
    21. Oshika T, Okamoto C et al.: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and ocular higher-order wavefront aberrations in normal human eyes. Ophthalmology 113(10), 1807–1812, 2006.
    22. Padmanabhan P, Basuthkar SS et al.: Ocular aberrations after wavefront optimized LASIK for myopia. Indian J Ophthalmol. 58(4), 307-312, 2010.
    23. McAlinden C, Moore JE: Comparison of higher order aberrations after LASIK and LASEK for myopia. J Refract Surg. 26(1), 45-51, 2010
    24. Gatinel D, Adam PA, Chaabouni S: Comparison of corneal and total ocular aberrations before and after myopic LASIK. J Refract Surg. 6(5), 333-340, 2010.
    25. KIM JM, Lee KJ: Comparison of Higher-Order Aberrations and Visual Quality in Eyes Wearing Aspheric and Spherical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Korean J Vis Sci. 17(3), 343-354, 2015.
    26. LIM DK, Kwon H et al.: Changes in Spherical Aberration and Coma Aberration after Wearing Aspheric Soft Contact Lens in Young Myopes. Korean J Vis Sci. 20(4), 469-482, 2018.
    27. Zaho PF, Li SM: Effects of higher-order aberrations on contrast sensitivity in normal eyes of a large myopic population. Int J Ophthalmol. 10(9), 1407–1411, 2017.
    28. Maniglia M, Thurman SM: Effect of varying levels of glare on contrast sensitivity measurements of young healthy individuals under photopic and mesopic vision. Front Psychol. 9(899), 1-4, 2018.
    29. IJspeert JK, de Waard PW et al.: The intraocular straylight function in 129 healthy volunteers; dependence on angle, age and pigmentation. Vision Res. 30(5), 699-707, 1990.
    30. Van Den Berg TJ, Van Rijn LJ et al.: Straylight effects with aging and lens extraction. Am J Ophthalmol. 144(3), 358-363, 2007.
    31. Han SH, KIM BH et al.: Change in the eyes refractive power and pupil`s size following intensity of illumination using Auto Ref- Keratometer. Korean J Vis Sci. 15(1), 1-7, 2015. http://www.riss.kr/link?id=A99645137
    32. Lee TJ, Kim HS et al.: Comparison of automatic pupillometer and pupil card for measuring pupil size. J Korean Ophthalmol Soc. 56(6), 863-867, 2015. http://www.riss.kr/link?id=A100899597
    33. Noh YS, Kim SY et al.: Changes of refractive errors caused by corneal shape and pupil size. J Korean Oph Opt Soc. 19(3), 383-387, 2014.
    34. Park JC: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 on pupil size and visual acuity, Daegu University PhD Thesis, pp. 55, 2017. http://www.riss.kr/link?id=T14468680
    35. Lim DK, Lee KJ: The effect of accommodation stimulus on pupil size and accommodation response in young myopes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 Korean J Vis Sci. 20(1), 49-58, 2018.
    36. Ha NR, Jung SA et al.: The comparison of accommodative response and accommodative lag among different luminance of near visual media. J Korean Oph Opt Soc. 23(4), 407-414, 2018.
    37. Pérez-Prados R, Piñero DP et al.: Soft multifocal simultaneous image contact lenses: a review. Clin Exp Optom. 100(2), 107-127,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