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2 No.4 pp.375-38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0.22.4.375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oric Soft Lens’s Orientation-Evaluate Method Available at the Optometry Practice

Ha-Won Jo1), Yee-Rin Jung1), Hyung-Min Park2), Byoung-Sun Chu2)*
1)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Student, Kyungsan
2)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Professor, Kyungsa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Byoung-Sun Chu 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TEL: +82-53-850-2553, E-mail: bschu@cu.ac.kr
November 4, 2020 December 22, 2020 December 24, 202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greement of different methods on assessing toric lens rotation.


Methods :

After fitting toric soft len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guidelines at model eye and 57 eyes (average 24.79±1.29 years old), rotational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a mobile phone photography, protractor application, portable magnifier and slit-lamp. Agreements among different methods and two testers were analyzed using Bland-Altman analysed.


Results :

When the rotation amount of the toric soft lens was measured by the same rotation evaluation method with different testers, the average difference of the measured values was –0.50, -0.70, -0.30 and –0.13° showing similar results. Regarding the comparison of orientationevaluate methods, when using the mobile phone photography and protractor App, the measured values within the tolerance range were relatively low with 74.56% and 75.44%, respectively, and with the portable magnifier, the reliability was high with 95.61%.


Conclusion :

Even if a slit-lamp can not be used in the prescription of a toric soft lens, clinically useful results for toric soft lens rotation evalu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photography, mobile phone protractor application and portable magnifier.



안경원에서 활용 가능한 토릭소프트렌즈 회전평가 방법의 유효성 평가
휴대용 돋보기,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핸드폰의 사진 촬영

조 하원1), 정 예린1), 박 형민2), 추 병선2)*
1)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 대구
2)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대구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KIAT)
    No. R0004080

    Ⅰ. 서 론

    난시란, 외계의 빛이 각막과 수정체를 지날 때, 각막 이나 수정체의 곡률이 고르지 않아 양주경선 굴절력이 차이가 나게 되어 망막에서 빛이 한 점으로 초점이 맺히 지 못하고 두 점에서 맺히게 되며 초점이 맞지 않아 흐 리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1) 이러한 현상을 갖는 난시 안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교정 수단으로는 안경 또 는 토릭소프트렌즈 처방 등을 예로들 수 있는데, 콘택트 렌즈에 대한 선호도가 늘어가고 0.75 D 이상의 난시를 갖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프트콘택트렌즈 사용자 의 상당수가 교정되지 않은 0.75 D 이상의 난시를 갖는 다는 사실을 통해, 토릭 소프트렌즈 처방이 난시 시력교 정의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2-4) 토릭소프트렌 즈 피팅 간에 가장 중요한 고려요소 중 하나는 축 회전 이다. 콘택트렌즈는 순목작용에 의해 각막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을 하고 귀방향 또는 코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콘택트렌즈의 이동성과 회전 성은 눈물의 순환을 도와 각막에 산소나 영양분 공급 및 노폐물을 제거해 주기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볼 수 있지 만, 토릭소프트렌즈의 경우 난시안의 주경선 방향과 토릭 소프트렌즈의 주경선 방향이 틀어져 잔여 난시를 유발시 켜 시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게 된다.5,6) 이로 인해, 토릭 소프트렌즈 처방에 있어서 회전이 없다는 전제하에 시험 렌즈 또는 주문할 렌즈를 선택하게 된다. 토릭소프트렌즈 회전 유무평가는 렌즈에 각인된 마킹(Scribe Markings) 을 세극등 현미경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가장 객관적인 방법으로 보는데,7) 해당 방법은 세극등현미경을 사용할 수 없는 대한민국 안경원의 실정에 의해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다. 따라서 현 안경원에서는 토릭소프트렌즈 회전 평가를 위해 세극등 현미경을 대체할 수 있도록 휴대용 돋보기를 사용하거나, 육안으로 렌즈가 돌아간 정도를 판별하거나, 휴대폰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회전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그 러나 토릭소프트렌즈 임상처방에서 이러한 측정 방법들 에 의한 회전평가 정확성에 대한 언급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경원에서 시행될 수 있는 여러 회전 평가 방법들을 서로 다른 검사자가 측정하였을 때의 정 확성을 평가하고, 세극등 현미경 측정방법과 각각의 회전 평가 방법을 서로 비교하여 그 정확성을 평가함으로 실제 안경원에서 각 회전평가 방법들을 사용하였을 때, 적절한 토릭소프트렌즈 처방이 가능할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두 단계의 실험으로 진행되었으며, 첫 번째 실험에서는 서로 다른 검사자(검사자 1과 2)가 동일한 조건에서 토릭소프트렌즈 회전평가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안으로 만든 모형안을 피실험자안으로 사용 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실험의 취지에 대해 동의한 대상자 중, 전신질환이 없고 안과적 질환과 시력교정술 등의 안과 수술 경력이 없는 콘택트렌즈 착용이 가능한 참 여자(57안)를 모집하였다. 적정한 참여자의 안구 수를 파 악하기 위해 MedCalcTM (MedCalc, Belgium)프로그램 의 기능(Sample Size: Bland-Altman Plot)을 활용하였 으며, Alpha, Significance를 0.05, Beta, 1-Power를 0.20으로 설정하였다. 참여한 피실험자의 평균 연령은 24.79±1.29세였다. 모든 피실험자로부터 사전 동의를 얻었으며, 대구가톨릭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획득한 후 진행되었다(CUIRB-2020-0017).

    2. 시험 렌즈

    본 연구에 사용된 토릭소프트렌즈는 아큐브 원데이 오아시스 난시용 렌즈와 쿠퍼비전 클래리티 원데이 난시 용 렌즈이며, 각각 난시 각인 마크가 12시, 6시 방향과 6시 방향에 위치하여있다. 모형안에는 쿠퍼비전 클래리 티 난시용 렌즈를 착용시켜 검사를 진행하였고, 피검자 렌즈 피팅은 아큐브 원데이 오아시스 난시용 렌즈를 토 릭소프트렌즈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피팅 하였다 (Table 1).

    3. 연구 방법

    1) 검사자 간 회전평가 결과 비교

    첫 번째 실험에서는, 서로 다른 검사자가 각각의 회전 평가 방법을 통해 실험하여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제 눈을 본떠 만든 의안(Artificial eye)을 사용하여 모형안을 만든 뒤 렌즈를 착용시킨 상 태로 4가지 방법을 통해 각각 회전량을 평가하였다. 평 가 방법은 각각 핸드폰(Galaxy Note10 5G–Samsung, Korea) 사진 촬영 방법, 핸드폰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Android Pandaz–각도기)을 사용한 방법, 관찰부 렌즈 (5배율)와 렌즈 마킹 확인부 렌즈(3배율) 두 렌즈가 이 중초점렌즈 형식으로 되어있고 렌즈 하단부에 마킹의 회 전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각도 표시가 있는 토릭소프트렌 즈 마킹 확인용 휴대용 돋보기(Cooper vision–Protable Magnifier)를 사용한 방법과 세극등 현미경(Slit-lamp DC-3, Topcon, Japan)을 활용하여 회전량을 평가하 였다. 핸드폰 사진 촬영의 경우 토릭소프트렌즈의 중심 을 기준으로 피검자의 눈을 촬영하여 사진 수평 보정 시 스템을 통해 수평을 맞춘 후 육안으로 회전량을 파악하 였다(Fig. 1). 핸드폰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은 핸드폰 사 진 촬영 방법 때 사용한 사진을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여 토릭소프트렌즈 중심을 기준으로 렌즈의 6시 방향과 각인 마크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였고(Fig. 2), 휴대용 돋보기는 토릭소프트렌즈의 중심을 돋보기 렌즈 중심에 일치시켜 돋보기에 부착된 각도 표시를 통해 측 정하였다(Fig. 3). 세극등 현미경은 측정 간 관찰부와 조명부의 각도 차이로 인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두 부분이 이루는 각을 0°로 하여 각인 마크와 슬릿이 동공 중심선에서 일치하도록 조정하여 각도를 측정하였다 (Fig. 4).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방법은 회전량 을 0.1° 단위까지 측정하였고, 그 외의 방법들은 1° 단위 로 측정하였다. 모형안의 위치는 실제 사람의 검사 시 눈 위치와 응시 각도를 참고하여 설계하였다. 굴절 교정 이상과 안위 이상이 없는 2명의 검사자가 순서를 정하지 않고 무작위로 회전평가를 진행하였고, 서로의 회전평가 결과를 밝히지 않으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회전량은 토 릭소프트렌즈의 6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각인 마크가 돌아간 각도를 표기하였으며, 각인 마크 방향을 임의로 바꾸어가며 총 20번씩 측정하였다.

    2) 회전평가 방법의 유효성 평가

    두 번째 실험에서는, 피검자에게 렌즈를 착용시킨 후 렌즈와 눈이 평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정화 시간 을 최소 20분간 가진 후 push-up 방법, 렌즈의 움직 임, 중심 안정화 파악을 통해 피팅 상태를 평가하였다.8) 렌즈 회전평가는 순서를 정하지 않고 무작위로 진행하였 고, 주시 방향으로 인해 렌즈 회전이 일어나는 현상9)을 방지하기 위해 피검자는 정면을 주시한 상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객관적인 회전평가 방법이라 여겨지는 세극 등 현미경 측정값7)을 기준으로 하여 각 회전방법의 측정 값을 서로 비교하여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피검자의 고 개가 기울어짐으로 발생하는 렌즈 회전량의 오차를 줄이 기 위해 피검자를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정자세로 앉힌 후 피검자의 고개가 정면 및 수평을 유지하는지 관찰하 였고, 토릭소프트렌즈의 마킹이 하안검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검자가 하안검을 약하게 눌러 공 막 하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 후 회전평가를 진행하 였다. 핸드폰 사진 촬영 방법에서는 첫 번째 실험과 동 일하게 정렬된 상태의 피검자 눈을 핸드폰을 이용해 사 진 촬영한 후 각인 마크 방향의 회전량을 육안으로 측정 하였다(Fig. 5). 촬영된 사진은 핸드폰 각도기 어플리케 이션을 이용한 방법에 쓰였으며, 첫 번째 실험과 동일하 게 렌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렌즈의 6시 방향과 마 킹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였다(Fig. 6). 휴대용 돋보기를 사용한 방법에서는 피검자의 주시 방향이 돋보기 렌즈의 중앙에 오도록 해, 피검자의 각막 정점의 접선과 돋보기의 렌즈 정점의 접선이 평행 되도록 조정하며 렌즈 아래에 위 치한 각도 표시를 통해 렌즈 회전량을 측정하였다(Fig. 7).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한 방법으로는 첫 번째 실험과 같이 측정 간 관찰부와 조명부의 각도 차이로 인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두 부분이 이루는 각을 0°로 하여 각인 마크와 슬릿이 동공 중심선에서 일치하도록 조정한 후 슬 릿의 각도 표시 축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 통계처리

    수집된 자료는 Microsoft Excel Spreadsheet에 입력 하고, 분석을 위해 MedCalcTM (MedCalc, Belgisum) 프로그램과 IBM SPSS Statistics 23(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Bland-Altman plot10), 평균(Mean), 대응비교(Paired T-test),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 등으로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95% 신뢰구간으로 유의확률이 0.050 미만 일 때, 통계적으 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검사자 간 회전평가 결과 비교

    두 검사자 간의 회전평가 유의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T-test 분석을 통해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사진 촬영을 통해 육안으로 회전량을 평가한 경우 검사자 1의 측정값 평균은 14.70±11.64°, 검사자 2의 측정값 평균은 15.20 ±10.50°로 평균차이는 -0.50°이며 유의하지 않았다 (p=0.511).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회전량을 평가한 경우 검사자 1의 측정값 평균은 19.28±12.55°, 검사자 2의 측정값 평균은 19.35±11.64°로 평균차이는 -0.70°이며 유의하지 않았다(p=0.765). 휴대용 돋보기 를 사용하여 회전량을 평가한 경우 검사자 1의 측정값 평 균은 18.10±11.55°, 검사자 2의 측정값 평균은 18.40 ±11.32°로 평균차이는 -0.30°이며 유의하지 않았다 (p=0.842).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하여 회전량을 평가한 경우 검사자 1의 측정값 평균은 18.48±11.25°, 검사자 2 의 측정값 평균은 18.35±11.96°로 평균차이는 -0.13°이 며 유의하지 않았다(p=0.818)(Table 2)(Fig. 9).

    또한, 토릭 마킹 축 측정 방향이 LARS보정에서 (+) 방향과 (-)방향을 구분 지었을 때, 측정방법 간 측정되 는 방향의 경향을 측정하기 위해 슬릿램프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각 측정방법의 결과값이 (+)방향인지 (-)방향 인지 구분지어 검사자 간 측정값을 비교하였다. 휴대폰 사진을 통한 토릭 마킹 검사에서 검사자 1의 경우 슬릿 램프에 비해 3.78±4.46 만큼 측정되는 경향을 띄었고, 검사자 2의 경우 3.15±3.72 만큼 측정되어 (+)방향으 로 측정되는 경향을 띄었다.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통 한 토릭 마킹 검사에서 검사자 1의 경우 슬릿램프에 비 해 –0.81±3.66 만큼 측정되는 경향을 띄었고, 검사자 2의 경우 –1.00±2.12 만큼 측정되어 (-)방향으로 측정 되는 경향을 띄었다. 휴대용 돋보기를 통한 토릭 마킹 검사에서 검사자 1의 경우 슬릿램프에 비해 0.38±2.54 만큼 측정되는 경향을 띄었고, 검사자 2의 경우 –0.05± 3.46 만큼 측정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측정되는 경향 을 띄었다(Table 3).

    2. 회전평가 방법의 정확성 평가

    회전평가 방법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Bland- Altman 분석법을 사용하였다.10) 결과는 다음 Fig. 11, Fig. 12, Fig. 13에 나타낸 바와 같다.

    1) 세극등 현미경과 사진 촬영 검사 결과 비교

    회전평가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차이 값의 평균과 95% 신뢰구간을 확인해본 결과 Fig. 11 에 나타 난 분포도와 같이 세극등 현미경으로 회전량을 검사한 방법과 사진 촬영을 통해 육안으로 회전량을 검사한 방 법 간의 차이 값의 평균은 +1.99°이며, 허용 한계(Limit of Agreement)인 MEAN±1.96SD가 +11.75, -7.77° 에 위치하였고, 신뢰구간을 벗어난 표본 수는 6개이다. 허용 오차 회전량을 5°로 정했을 때, 오차 범위를 벗어 나는 표본 수는 29개(25.44%)였고, 허용 오차 회전량을 10°로 정했을 때,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표본 수는 5개 (4.39%)였다.

    2) 세극등 현미경과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검사 결과 비교

    회전평가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차이 값의 평 균과 95% 신뢰구간을 확인해본 결과 Fig. 12 에 나타난 분 포도와 같이 세극등 현미경으로 회전량을 검사한 방법과 각 도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전량을 검사한 방법 간의 차이 값의 평균은 +0.77°이며, 허용 한계(Limit of Agreement) 인 MEAN±1.96xSD가 +10.03, -8.49°에 위치하여 사 진 촬영 방법과 비교 했을 때보다 더 좁게 나타났고, 신 뢰구간을 벗어난 표본 수는 6개로 사진 촬영 방법과 동 일했다. 허용 오차 회전량을 5°로 정했을 때, 오차 범위 를 벗어나는 표본 수는 28개(24.56%)로 사진 촬영 방법 과 비교 했을 때 1개가 낮게 나타났으며, 허용 오차 회 전량을 10°로 정했을 때,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표본 수 는 5개(4.39%)로 사진 촬영 방법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3) 세극등 현미경과 휴대용 돋보기 검사 결과 비교

    회전평가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차이 값의 평균과 95% 신뢰구간을 확인해본 결과 Fig. 13에 나타 난 분포도와 같이 세극등 현미경으로 회전량을 검사한 방법과 휴대용 돋보기를 통해 회전량을 검사한 방법 간 의 차이 값의 평균은 +0.81°이며, 허용 한계(Limit of Agreement)인 MEAN±1.96xSD가 +7.08, -5.47°에 위치하여 앞선 두 방법보다 더 좁은 범위를 나타내었고, 신뢰구간을 벗어난 표본 수는 3개로 가장 적었다. 허용 오차 회전량을 5°로 정했을 때,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표본 수는 5개(4.39%)로 다른 방법들과 비교 했을 때보 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허용 오차 회전량을 10°로 정했을 때,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표본 수는 없었다.

    Ⅳ. 고 찰

    토릭소프트렌즈 피팅 간에 가장 중요한 고려요소 중 하나는 난시 축의 회전이다. 토릭소프트렌즈의 난시 축 과 착용자의 난시 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잔여난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일치하지 않는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 큰 잔여난시를 야기하게 된다.5-6) 그로 인해 생긴 잔 여난시는 시력 저하 및 시기능 이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발표되었다. 이러한 잔 여 난시를 예방하기 위해 회전량을 평가하여 교정하는 것 을 LARS 보정법(Left Add Right Subtract Rule)이라 한다. 렌즈의 6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left)으로 돌아가 면 토릭소프트렌즈의 난시 축의 값을 양의 값으로 더 해 주고(Add) 우측(Right)으로 돌아가면 음의 값(Subtract) 으로 더해주어 잔여 난시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데, 이 는 실제 토릭소프트렌즈의 축이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 표시해주는 각인 마크의 위치를 확인하여 보정할 값을 정하게 된다.11-12) 그러나 객관적 방법으로 알려진 세극 등 현미경은7) 대한민국 안경원 여건상 사용할 수 없기 에, 육안 관찰, 핸드폰 어플리케이션, 휴대용 돋보기를 사용하여 회전평가를 진행함에 있어 세극등 현미경과 비 교하여 어느 정도의 오차는 감안하여야 한다. 이에 대해 어느 정도의 회전량이 토릭소프트렌즈의 성능에 큰 영향 을 미치지 않는지 확인한 선행연구들에서는 회전량의 오 차범위가 10°, 많게는 20° 이내로 적용되어야 임상적으 로 토릭소프트렌즈 성능에 큰 차이를 내지 않는다고 하 였다.13-15) 그 외에도, 토릭소프트렌즈 제조사에서 시력 저하 또는 시기능 이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시한 피팅 가이드라인의 수용범위는 5°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 에서는 임상적 오차 한계를 기준으로 하여 자료를 분석 해야 하는 Bland-Altman 분석법의 회전량 차이의 오 차 범위 기준점을 5°와 10°로 구분하여 검사자 간 회전평 가 정확성 검사 결과와 회전평가 방법 간의 정확성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10) 검사자 간 회전평가 정확성 검사 결과에서 사진 촬영을 통해 육안으로 회전량을 평가한 경우 검사자 1과 검사자 2의 측정값 평균차이는 -0.50° 이었고,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회전량을 평가 한 경우 검사자 1과 검사자 2의 측정값 평균차이는 -0.70°이었으며, 휴대용 돋보기를 사용하여 회전량을 평가한 경우 검사자 1과 검사자 2의 측정값 평균차이는 -0.30°이었다. 또한,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하여 회전량 을 평가한 경우 검사자 1과 검사자 2의 측정값 평균차이 는 -0.13°인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자 간 측정값은 모두 유의하지 않았고, 측정값의 평균 차이는 최대 0.7°이므 로 같은 회전평가 방법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검사자가 측 정을 진행하였을 때, 가장 작은 수용범위인 5°안에 수렴 하는 것으로 보아 검사자가 달라져도 유용한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각 방법별로 토릭 마킹 축을 검사하였을 때, 슬릿램프에 비해 휴대폰 사진 을 통한 방법에서는 (+) 방향으로 두 검사자가 동일한 검사한 경향을 띄었고,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방 법에서는 (-) 방향으로 두 검사자가 동일하게 검사하는 경향을 띄었다. 휴대용 돋보기를 통한 방법에서는 두 검 사자가 다른 방향의 검사 결과 경향을 띄었는데, 이는 돋보기를 통해 보는 자세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연구 2에서 한 명의 검사 자가 여러 회전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토릭소프트렌즈 회 전량을 측정한 후 세극등 현미경으로 회전량을 측정한 값과 비교하였을 때, 사진 촬영 방법과 각도기 어플리케 이션을 사용했을 때 세극등 현미경 방법과 비교한 표본 의 95% 신뢰구간은 휴대용 돋보기를 사용했을 때 세극 등 현미경 방법과 비교한 표본의 95% 신뢰구간보다 넓 은 분포범위를 보였다. 토릭소프트렌즈 회전량의 허용 오차 범위를 5°로 하였을 때, 사진 촬영 방법과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방법에서는 114개의 표본 중 29, 28개의 표본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았고, 휴대용 돋보 기를 사용한 방법에서는 114개의 표본 중 5개의 표본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았다. 또한, 토릭소프트렌 즈 회전량의 허용 오차 범위를 10°로 하였을 때, 사진 촬영 방법과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방법에서는 114개의 표본 중 5개의 표본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았 고, 휴대용 돋보기를 사용한 방법에서는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은 표본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이를 통해 사진 촬영과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회전량을 평가함에 있어서는 휴대용 돋보기보다 비교적 낮은 신뢰 도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세극등 현미경 검사 법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큰 폭의 차이 값을 보였다. 토릭소프트렌즈 피팅 가이드에서 제시한 5°의 오차 범위 에 대해 사진 촬영 방법과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한 방법은 각각 25.44, 24.56%의 표본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 낮은 신뢰도를 보였고, 휴대용 돋보기를 사용한 방법에서는 4.39%의 표본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선행연구에 의해 오차 범위를 10°로 제시하였을 때는,13-15) 사진 촬영 방법과 각도기 어플리 케이션을 사용한 방법에서 4.39%의 표본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휴대용 돋보기를 사용한 방법에서는 오차 범위를 벗어난 표본이 없어 높은 신뢰 도를 보였다. 모든 연구에서 휴대용 돋보기가 비교적 신 뢰도가 가장 높은 경향을 띄게 되는데, 토릭 마킹 축을 확인하는 기준이 되는 0° 표시 축이 렌즈에 표시된 휴대 용 돋보기와는 달리 휴대폰 사진과 휴대폰 어플리케이션 을 통해 토릭 마킹 축을 확인하게 되면 0°의 기준을 육 안으로 파악해야 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결과는 사진 촬영 방법과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은 토릭소프트렌즈 피팅 가이드에서 제시한 오차 범위에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지 못해 해당 가이드를 따를 것이 라면 사진 촬영 방법과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은 지양하는 것이 낫다고 사료 된다. 그에 비해 휴 대용 돋보기를 사용한 방법은 피팅 가이드에 대해 사용 하기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오차 범위를 10°로 제시하는 경우에는 사진 촬영,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휴대용 돋보 기를 사용한 방법 모두 높은 신뢰도를 갖기 때문에, 세 가지 방법 모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안경원에서 가능한 토릭소프 트렌즈 회전량 평가 방법을 ‘사진 촬영 후 육안 관찰, 핸 드폰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사용과 휴대용 돋보기 사용’ 총 3가지로 명시하여 가장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라 여겨 지는 세극등 현미경과 비교했을 때의 정확성을 분석하였 고 각 회전평가 방법이 다른 검사자 간에도 비슷한 결과 를 낼 수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해당 방법들이 토릭소프 트렌즈 회전량 평가를 진행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처방 가능한 기능을 할 수 있는지 판단해 보고자 하였다. 서 로 다른 검사자가 각각의 방법으로 모형안에 착용시킨 토릭소프트렌즈의 회전량을 평가 하였을 때의 결과를 토 대로 각각의 회전평가 방법은 검사자가 달라져도 비슷한 결과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극등 현미경을 기준 으로 하여, 사진 촬영,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휴대용 돋 보기를 사용한 방법과 각각 비교한 결과를 통해 사진 촬 영 방법과 각도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방법은 토릭소 프트렌즈 회전량 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낮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휴대용 돋보기를 사용한 방법은 비교적 신뢰 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토릭소프트렌즈 피 팅 가이드에서 제시한 5°의 오차 범위에 대한 결과이며, 토릭소프트렌즈 회전량의 오차 수용범위를 10°로 기준 하였을 때, 시기능의 이상은 크게 나지 않는 것으로 고 려되므로,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하지 못하는 안경원의 실상에서 사진 촬영, 핸드폰 각도기 어플리케이션, 휴대 용 돋보기를 통해 토릭소프트렌즈 회전평가에 대한 임상 적으로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Industrial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 of the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KIAT) grant fund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Republic of Korea(No. R0004080).

    Figure

    KJVS-22-4-375_F1.gif

    Shape and Toric Lens Marking of Two Contact Lenses (CL) used in the study. (Left: ACUVUE OASYS, Right: Clariti 1 day)

    KJVS-22-4-375_F2.gif

    Marking in the Model Eye with Mobile Phone Photography (Arrows Point to Toric Lens Marking).

    KJVS-22-4-375_F3.gif

    Marking in the Model Eye with Protractor Application (The dot on the cornea mark is the center of the contact lens).

    KJVS-22-4-375_F4.gif

    Marking in the Model Eye with Portable Magnifier (Arrows Point to Toric Lens Marking).

    KJVS-22-4-375_F5.gif

    Marking in the Model Eye with Slit-Lamp (Arrows Point to Toric Lens Marking).

    KJVS-22-4-375_F6.gif

    Marking in the Eye with Mobile Phone Photography (Arrows Point to Toric Lens Marking).

    KJVS-22-4-375_F7.gif

    Marking in the Eye with Protractor Application (The dot on the cornea mark is the center of the contact lens).

    KJVS-22-4-375_F8.gif

    Marking in the Eye with Portable Magnifier (Arrows Point to Toric Lens Marking).

    KJVS-22-4-375_F9.gif

    Marking in the Eye with Slit-Lamp (Arrows Point to Toric Lens Marking).

    KJVS-22-4-375_F10.gif

    Comparison of Orientation Evaluation Results between Examiners in Line Graph.

    KJVS-22-4-375_F11.gif

    Slit-Lamp vs Mobile Phone Photography.

    KJVS-22-4-375_F12.gif

    Slit-Lamp vs Protractor Application.

    KJVS-22-4-375_F13.gif

    Slit-Lamp vs Portable Magnifier.

    Table

    Specifications of Toric Soft Contact Lenses

    Comparison of Orientation Evaluation Results between Testers

    Comparison of Orientation Evaluation Results between Mark’s Direction (Tester 1)

    Reference

    1. Zikos GA1, Kang SS et al.: Rotational stability of toric soft contact lenses during natural viewing conditions. Optom Vis Sci. 84(11), 1039-1045, 2007.
    2. Haeqerstrom-Portnoy G, Schneck ME et al.: Development of refractive errors into old age. Optom Vis Sci. 79(10), 643-649, 2002.
    3. Efron N, Morgan PB et al.: Soft toric contact lens prescribing in different countries. Cont Lens Anterior Eye. 34(1), 36-38, 2011.
    4. Morgan PB, Efron N et al.: An international survey of toric contact lens prescribing. Eye Contact Lens. 39(2), 132-137, 2013.
    5. JH Kim, SA Ka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ff-axis cylinder and corrected vision of astigmatism. J Korean Ophthalmic Opt Soc. 12(3), 83-87, 2007.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718254315451.page
    6. Tomlinson A, Ridder WH 3rd et al.: Blinkinduced variations in visual performance with toric soft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71(9), 545-549, 1994.
    7. McIlraith R, Young G et al.: Toric lens orientation and visual acuity in non-standard conditions. Cont Lens Anterior Eye 33(1), 23-26, 2010.
    8. Gasson A, Morris J: The contact lens manual: a practical fitting guide, 2nd ed., Oxford an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pp. 205-208, 1998. https://books.google.co.kr/books/about/The_Contact_Lens_Manual.html?id=HONkQgAACAAJ&redir_esc=y
    9. WH Seo, SR Kim et al.: Change in Axial Rotation of toric Soft Contact Lens according to Tear Volume. J Korean Opt Opt Soc. 20(4), 445-454, 2015.
    10. Bland JM, Altman DG: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ing agreement between two methods of clinical measurement. Lancet 327(8476), 307-310, 1986.
    11. Efron N: Contact lens practice, 1st ed., Oxford, Butterworth-Heinemann, pp. 207-211, 2002. https://www.amazon.com/Contact-Practice-BScOptom-Melbourne-Manchester/dp/075064690X/ref=sr_1_1?dchild=1&keywords=9780750646901&linkCode=qs&qid=1607329421&s=books&sr=1-1
    12. KJ Lee, KJ Mah: Contact lens, 1st ed., Seoul, Daihaks, pp. 270-272, 1995. http://www.riss.kr/link?id=M932914
    13. Lindsay RG, Burce AS et al.: Determining axis misalignment and power errors of toric soft lenses. Int Contact Lens Clin. 24(3), 101-106, 1997.
    14. Tan J, Papas E et al.: Performance standards for toric soft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84(5), 422-428, 2007.
    15. Bennett ES, Weissman BA: Clinical contact lens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131-142, 2005. http://www.riss.kr/link?id=M9621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