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2 No.4 pp.387-396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0.22.4.387

Study on Visual Acuity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in Presbyopes Wearing Center-Near Multifocal Contact Lenses

Hye-Bin Kim1,2), Koon-Ja Lee3)*
1)Master of Science in Clinical Optometry, Ketchum University (SSCO), Student, CA, USA
2)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Eulji University, Student, Daejeon
3)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This article is an excerpt from Hye-Bin Kim's master's thesis.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182, E-mail: kjl@eulji.ac.kr
November 6, 2020 December 27, 2020 December 27, 2020

Abstract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visual acuity and visual acuity according to illuminance in presbyopes wearing multifocal contact lens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28 presbyopes (55.39±4.25 years) with a 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or more and astigmatism of less than 0.75 D. The Center-Near Multifocal contact lenses were worn in the period of 2 weeks for adaptation. The illuminance of test room was set to 1,000, 100, and 10 lx. The pupil size was measured at 3 m, and 40 cm with a pupil ruler when wearing multifocal contact lens (MFCL). Visual acuity at far and near was measured with high and low contrast ETDRS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chart.


Results :

When wearing MFCLs, high and low contrast visual acuity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illuminance increases at far and near distance (p<0.050). While distant visual acuity at 1,000 lx with MFCL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0), near visual acuities at 100 and 10 lx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0) compared with spectacles. In 10 lx of low indoor illuminance with additional lamp, both near high and low contrast visual acuitie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p<0.050).


Conclusion :

When wearing MFCLs, visual acuit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illuminance, and the visual acuity in high illuminance condition was not different with spectacles. It was revealed that the additional near lamp could improve the visual acuity in dark indoor condition.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조도에 따른 시력에 관한 연구

김 혜빈1,2), 이 군자3)*
1)Master of Science in Clinical Optometry, Ketchum University (SCCO), 학생, CA, USA
2)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전
3)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Ⅰ. 서 론

    노안은 조절능력이 감소하여 근거리 작업이 어려워지 는 증상으로, 조절력은 40세 이후 점차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65세 이후에는 대부분 소실된다.1) 최근 노안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노안에 대한 시력교정 방법은 연령, 직업 등 각 개인의 생활방식에 따라 다양 화되고 있다.2) 노안을 교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콘택트 렌즈 교정방법에는 모노비전과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 용이 있으며, 이 중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에 의한 노안 교정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3-5) 국내에서 사용되는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전면이 비구면인 중심부-근용 디 자인이며, 이 디자인은 근거리 도수부가 콘택트렌즈의 중심부에, 원거리 도수부가 콘택트렌즈의 주변부에 위치 하여 도수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구조로 원거리 및 근거 리 시력 개선에 도움을 주며 중간거리 시력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콘택트렌즈이다.3)

    비구면 디자인의 중심부 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구조적으로 콘택트렌즈의 원용부와 근용부를 통과한 모 든 빛이 동시에 망막에 결상되는 동시보기 디자인이기 때문에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대뇌 시피질에서 선명한 상만을 인지해야 선명한 시력을 제공할 수 있다.6) 또한 이러한 동시보기 디자인은 조도에 따라 동공크기가 변하면 원거리 또는 근거리 시력이 영향을 받는 ‘동공의 존형’ 구조라는 한계점이 있다. 동공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크기가 감소되고, 홍채의 탄력성이 감소하기 때문 에 노안의 경우 동공크기가 작아 암순응 기능과 야간시 력이 저하되며 망막 조도 감소에 의한 시력저하가 수반 되고 동공 반응이 둔화되기 때문에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조도에 따라 달무리, 유령상, 눈부심 등의 증상 이 수반될 수 있어 시력의 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노안의 시력개선을 위해서는 근거리 시력 뿐 만 아니라 시력의 질도 함께 개선되어야 한다.7,8)

    따라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 시 동공크기에 따 라 시각적 성능이 다를 수 있어 검사실과 일상생활의 조 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9) 중심부-근용 멀티포컬 콘 택트렌즈 착용 시 동공크기가 작으면 가입도에 해당하는 도수가 동공에 분포하여 원거리 시력을 저하시킨 수 있 기 때문에 동공의 크기가 암소시 상태에서 5 mm 이상 이 되어야 최상의 시각적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10) 그 런데 동공크기는 조도 뿐 만 아니라 연령 증가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에7) 노안의 경우 대부분 동공크기가 감소한 상태이기 때문에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 시 동 공크기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시력에 관한 연구는 다 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중년의 고대비시력은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모두 최대 교 정시력과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저대비 시력은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상당히 감소한다고 보고되었다.11) Fernandes 등12)은 노안을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로 교정한 결과 시력 은 완전 교정한 안경 착용 시력보다는 낮지만 유의한 차 이가 없었고, 원거리와 근거리 고대비시력이 모두 20/20 이상의 높은 시력을 보여주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Kang 등13)은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는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비교하여 고대비 및 저대비시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하였다.

    조도와 시력의 관계에 대하여 Tidbury 등14)은 조도 가 50 lx에서 500 lx로 높아지면 시력은 0.12 logMAR 증가된다고 보고하였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경우에 도 조도가 시력에 영향을 미치며 동공의존형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선명한 상과 흐린 상이 망막에 결상되는 비율은 동공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 기 때문에 적절한 조명의 활용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 용 시 시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안을 대상으로 중심-근용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실생활 조건에서 조도에 따 른 시력 변화를 측정검사값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멀티 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최적의 시생활을 제공할 수 있 도록 하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및 재료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는 45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안과 질환 및 굴절교정 수술 경험이 있거나 현 재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 없으며 교정시력 0.8, 난시 0.75 D 이하인 콘택트렌즈를 착용해 본 경험이 있 는 26명(평균 연령: 55.39±4.25세)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모든 임상시험 규약과 검사과정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번호: EUIRB 2019-44)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였 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과 검사 방법 에 대하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를 얻 고 검사를 진행하였다.

    2) 연구 재료

    (1)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본 연구에서는 중심-근용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 즈(Dailies Total1® Multifocal contact lenses, Alcon, USA)를 사용하였다.

    2. 연구 방법

    1) 실험실 조도 설정

    조도는 Digital Light Meter HS1010(YATO, China) 을 사용해 피검자의 검사 위치에서 조도계를 주시물체 면을 향하게 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실 조도는 조도변화 에 따른 동공크기 및 대비시력을 확인하기 위해 3가지로 분류하였고, 검사실의 기본 조도는 보편적으로 권장되는 100 lx로 하였다. 어두운 환경의 조도는 문자를 가독 할 수 있는 최소 조도인 10 lx로 설정하였고, 밝은 야외환 경의 조도는 실내등과 자체 제작한 LED 조명을 사용하 여 1,000 lx로 하였다. 또한 어두운 환경에서 조도 변화 에 따른 근거리 시력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어두 운 10 lx 조도에서 추가적으로 근거리 조명을 사용해 40 lx로 설정하였다.

    2) 안경처방 굴절검사값

    안경처방 굴절검사값은 자동굴절-각막곡률계(HRK- 8000A, Huvitz, Korea)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포롭터 (HRD-7000, Huvitz, Korea)와 시시력표(HDC-9000N/PF, Huvitz, Korea)를 이용하여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한 후 최대 교정시력을 제공하는 검사값으로 사용하였다. 가입도는 음성상대조절력(NRA), 양성상대조절력(PRA) 을 검사해 가입도 공식( A D D = N R A + P R A 2 )을 적 용하여 잠정가입도를 확인한 후 근용 도수를 가입했을 때 40 cm의 근거리 시표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최종가 입도로 결정하였다.

    3)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도수 결정 및 피팅 상태 확인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도수는 단안 최대 교정시력을 제공 하는 구면도수(Best Vision Spher; BVS)로 결정하고, 근 용 가입도는 제조사의 지침(Low: ≤+1.25 D, Medium: +1.50~+2.00 D, High: ≥+2.25 D)에 따라 결정하였 다. 콘택트렌즈 착용 후 15분 후에 콘택트렌즈의 중심 안정(centration) 및 피팅 상태를 확인하여 피팅의 상태 가 불량할 경우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시력은 2 주간의 적응기간이 지난 후 측정하였다.

    4) 동공크기 측정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조도(1,000, 100 및 10 lx)에 따라 원거리 및 근거리를 주시한 상태 에서 동공크기를 측정하였고, 10 lx의 조도에 근거리 조 명을 밝힌 40 lx 조도에서는 근거리 주시 동공크기를 측 정하였다. 동공크기는 동공자를 통해 0.5 mm 단위로 측정하였다. 동공 측정 시 크기 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공자는 주시선을 가리지 않게 하안검에 위치하였으며 원거리 주시 시 피검자는 측정 받지 않는 눈으로 3 m 거 리의 원거리 시표를 주시하도록 하였다.

    5) 시력 검사

    원거리 시력은 ETDRS(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Precision-Vision, USA)을 사용하 여 3 m 거리에서 측정하였고, 근거리 시력은 Adult Near Contrast Test #587700(GOOD-LITE, USA)의 ETDRS 시표를 사용하여 40 cm 거리에서 측정하였다. 시력은 100% 대비의 고대비시표와 10% 대비의 저대비시표를 사용하 여 LogMAR 단위로 측정하였다. 기본 측정값으로 1차 방문 시 원근거리 완전교정 된 안경을 착용하고 조도에 따라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였다. 2주간의 적 응을 마친 2차 방문 시에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 한 상태에서 조도에 따라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측정 하였고, 추가 조명을 사용하여 조도를 40 lx로 맞춘 상 태에서는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였다.

    3. 통계처리

    데이터 통계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다. 모든 데이터는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원근거리 동공크기비교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사용하였으 며 조도별 동공크기 비교 및 대비시력 비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동공크기와 대비시력 간의 상관 관계는 Spearma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안경과 멀티 포컬 콘택트렌즈의 대비시력 비교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p<0.050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 특성

    본 연구는 근거리 작업에 어려움을 느끼는 중년 노안 환 자 26명(평균연령 55.39±4.2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Table 2). 대상자의 연령분포는 45세 이상 54세 이하가 38.5%, 55세 이상 65세 이하가 61.5%이었다. 대상자의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 가입도는 약도 가입도(Low addition)가 50.0%, 중등도 가입도(Medium addition)가 50.0%이었으 며 고도 가입도(High addition)는 없었다.

    2. 동공크기

    대상자들의 암소시 상태에서 나안의 동공크기는 5.42± 0.30 mm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기에 문제가 없 었으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동공 크기는 원거리와 근거리 주시 시 모두 조도가 밝아짐에 따 라 동공크기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p<0.001). 동공크기는 원거리보다 근거리 주시 시 감소하였으며 10 lx (p<0.001), 100 lx(p<0.001), 1000 lx (p<0.001) 조 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거리 동공크기는 10 lx 의 조도에서 근거리 조명을 추가하여 40 lx로 조도를 밝 힌 결과 4.33±0.34 mm으로 10 lx의 근거리 동공크기 와 비교 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Table 3).

    3. 조도에 따른 시력 비교

    1,000, 100, 10 lx 조도에서 측정한 원거리 고대비시 력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F=45.410, p<0.001) 와 원용안경 착용 시(F=35.676, p<0.001) 모두 조도가 밝을수록 좋아졌다. 원거리 저대비시력은 멀티포컬 콘택 트렌즈 착용 시(F=73.775, p<0.001), 및 원용안경 착 용 시(F=51.209, p<0.001) 모두 조도가 밝을수록 좋아 졌다. Bonferroni 사후검정 결과 1,000 lx와 100 lx조 도에서의 시력은 차이가 없었고(p=0.583), 10 lx에서 의 시력은 유의하게 낮았다(p<0.001, p=0.002).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원거리 고대비시력은 원용안경 착용 시보다 100 lx(p=0.162) 및 10 lx의 조도에서(p<0.001) 시표 한 줄 혹은 더 감소하였으나, 1,000 lx 조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162). 원거리 저대비시력은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와 안경 비교 시 10 lx(p=0.110), 100 lx(p=0.099), 1,000 lx(p=0.081)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4).

    1,000, 100, 10 lx 조도에서 측정한 근거리 고대비시 력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F=107.183, p<0.001) 및 근용안경 착용 시(F=42.358, p<0.001) 모두 조도가 밝을수록 향상되었다. 근거리 저대비시력은 멀티포컬 콘 택트렌즈 착용 시(F=84.62, p<0.001) 및 근용안경 착 용 시(F=59.316, p<0.001) 모두 조도가 밝을수록 유의 하게 향상되었다. Bonferroni 사후검정 결과 1,000 lx 와 100 lx조도에서의 시력은 차이가 없었고, 10 lx에서 의 시력은 유의하게 낮았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근거리 고대비시력은 모든 조도에서 원용안경 착용 시보다 낮았고(all p<0.001), 근거리 저대비시력도 유의 하게 낮았다(all, p=<.001, Table 5).

    4. 근거리 조명에 의한 조도변화에 따른 근거리 시력 비교 결과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근거리 주시 시 추가 적으로 근거리 조명을 사용할 경우 시력의 개선 여부를 확인한 결과,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근거리 고대 비시력은 10 lx 조도와 조명을 사용한 40 lx 조도에서 각 각 0.50±0.12, 0.18±0.09 logMAR로 0.32 logMAR 만큼 시력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01). 근거리 저 대비시력은 10 lx 조도와 조명을 사용한 40 lx 조도에서 각각 0.73±0.15 logMAR, 0.39±0.13 logMAR로 시력 이 0.34 logMAR 만큼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01).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근용안경보다 10 lx에서 근거리 고대비시력이 0.23 logMAR, 저대비시력이 0.26 logMAR 만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01, p<0.001), 조명을 사용하였을 때 근거리 고대비시력이 0.12 logMAR, 저대비시력이 0.19 logMAR 만큼 유의하게 감소하여(p< 0.001, p<0.001) 10 lx 조도와 대비하여 우수한 시력 향상을 보였다.

    10 lx 조도에서 근거리 조명을 사용하였을 때 동공크기 의 변화량과 대비시력의 변화량을 확인한 결과 근거리 저 대비시력 및 근거리 고대비시력 모두 동공크기의 변화량 의 클수록 시력의 변화량도 커 더 큰 시력향상을 보였으나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p=0.135, p=0.141, Table 6).

    Ⅳ. 고 찰

    중심부 근용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근거리 작업 시 축동이 유발되는 원리를 이용하며 근거리 도수 가 중심부에 설계되어 있으며 원거리 도수가 주변부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 시 동공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이 달 라질 수 있다.3,15) 본 연구에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 용 시 조도에 따라서 동공크기를 비교 하였을 때 조도가 밝아질수록 동공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근거리 주시 시 조절 자극에 의해 동공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원거리 고대비시력은 선 행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노안을 대상으로 한 Fernandes 등12)의 연구에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원거리 고 대비시력은 –0.09±0.08 logMAR, 원거리 저대비시력 은 0.11±0.06 logMAR로 본 연구의 100 lx 조도에서 의 시력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원거리 고대비 시력은 원용안경 착용 시보다 10 lx 및 100 lx 조도에서 시표 한 줄 혹은 그 이상 감소하였으나 1,000 lx 조도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원거리 저대비시력은 모든 조도에서 차 이가 없었다. Lopes-Ferreira 등11)은 중심부 근용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원거리 고대비 및 저대비시력 이 원용안경 착용 시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조도와 시력은 서로 상관 성이 있어 100% 대비도의 시표를 식별하는 최소 조도는 시표 크기가 작을수록 더 높게 측정되며 230 lx 이하 조 도에서는 대비도가 낮을수록 인식할 수 있는 시표의 크기 가 커졌다고 하였다.16)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서 10 lx 및 100 lx 조도에서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불완전한 광학 적 특성으로 안경보다 시력이 저하되지만, 1,000 lx의 높 은 조도에서는 이러한 멀티포컬렌즈의 광학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원용안경과 유사한 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으 로 판단된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근거리 고대비시력은 선행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는데,12) 모든 조도에서 원용안경보다 낮았고, 근거리 저대비시력도 유의하게 낮 았다. Lopes-Ferreira 등11)은 검안실 조도에서 중심부 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근거리 고대비 및 저 대비시력이 0.1 logMAR 이하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 였다. 그러나 조도와 관련하여 근거리 시력은 조도가 밝 을수록 우수한 근거리 시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Tidbury 등14)도 조도가 50 lx 에서 500 lx로 증가하면 시력이 0,012 logMAR로 향상 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 용 시 조도가 밝아질수록 시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 며, 그 중 근거리 시력이 가장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조 도가 낮으면 동공이 커져 초점심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시력 저하 요인으로 작용하여 근거리 대비시력이 감소하 고 특히 저대비시력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 반 면 조도가 밝으면 망막 상의 밝기가 증가하여 시자극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근거리 주시 및 조도에 의한 축동 효과로 중심부 근용도수를 통해 상이 망막에 명확히 결 상되고 주변부의 원용부 도수에 의한 흐린 상이 결상되 지 않아 시력이 개선될 수 있다.16-18)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조도가 밝아질수록 시 력이 좋아졌는데, 이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동공 의 존성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근거리를 주시하고자 할 때에 는 동공크기가 줄어들어 근거리 도수부로 만 물체를 볼 수 있어 근거리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3) 임상 에서는 대상자 선정 시 동공크기와 실생활의 작업거리 및 조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다고 할 수 있다.9) 특히 조명을 사용한 40 lx 조도에서 근거리 저대비시력은 10 lx 조도에서의 시력과 유의하게 개선되었는데(시력표에 서 3줄 이상), 이는 축동과 망막조도 상승효과6,18)로 시 력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시력 개선 효과는 매우 크기 때문에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근거리 작업을 할 경우 조명을 사용하면 근거리 시력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조도에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원거리 시력은 완전교정안경 착용 시보다 시표 한 줄, 근거리시 력은 시표 두 줄 정도 감소하였는데, Kang 등13)의 선행 연구에서도 단초점 콘택트렌즈 혹은 완전교정안경의 시 력이 대부분 더 우수한 시력을 나타냈다고 하였다. 멀티 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력이 저하되는 점은 여러 측 면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는데 첫째. 콘택트렌즈의 광학 적 특성이 안경렌즈보다 우수하지 못하다는 점, 완전교 정안경의 경우 구면 굴절이상 및 난시를 정밀하게 교정 할 수 있지만 현재 국내 유통되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는 구면 굴절이상만을 교정하기 때문에 약도난시안의 경 우 잔여난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멀티포컬 콘택트렌 즈 착용 후 동공크기의 변화로 고위수차를 발생할 수 있 다는 점 등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에 의한 수차변화를 확인하지 않았지만 기 존 선행연구에 따르면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가 파면수차로 특히 구면수차와 코마수차는 동공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비구 면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구조적 특성으로 동 공크기에 따라 구면수차와 코마수차에 변화가 있기 때문 에15,19) 시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되나 이와 관련해 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시력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던 노안에 모든 거리에 만족스런 시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조도가 밝으면 안경과 유사한 시력을 제공할 수 있고, 어두운 실내에서는 추가적인 조명으로 근거리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 을 확인하였기에 이 점을 활용하면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 1.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원거리 및 근거리에 서 고대비 및 저대비 시력이 모두 조도가 밝아짐 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 2.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시력은 안경 착용과 비교하여 원거리 시력은 100, 10 lx 조도에서는 시표 1줄 이내로 감소하였고, 근거리 시력은 모든 조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3.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밝은 1,000 lx 조도에 서는 안경과 비교하여 원거리 시력 차이가 없었고, 낮은 조도에서는 추가적인 조명을 사용할 경우 근거 리 고대비 및 저대비 시력이 모두 크게 개선되었다.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y have no interest in the products associated with this study.

    Figure

    Table

    Contact lens parameters

    Subject characteristics

    Pupil diameter in different illuminance(1,000, 100, 10 lx) conditions at far and near distance with multifocal contact lens

    Distance high contrast visual acuity and distance low contrast visual acuity by illuminance when using multifocal soft contact lens and spectacle.

    Near high contrast visual acuity and near low contrast visual acuity by illuminance when using multifocal soft contact lens and spectacle.

    Comparison of near high contrast visual acuity and near low contrast visual acuity in different illuminance with 10 lx and 10 lx with additional near lamp(40 lx)

    Reference

    1. Andrew K, Caroline C: Clinical optics and refraction, 1st ed., London, Butterworth-Heinemann, pp. 132-152, 2007. http://www.riss.kr/link?id=M11271149
    2. Kim HM: Old age welfare spending in daejon metropolitan area: focus on the responsiveness analysis on old age welfare spending with the change of age structure. J Korean Policy Studies 12(2), 99-119, 2012. http://www.riss.kr/link?id=A60126787
    3. Seong AY, Kang HS et al: Contact lens, 1st ed., Seoul, Shinkwang, pp. 180-183, 2007. http://www.riss.kr/link?id=M11079869
    4. Andrew G, Judith M: Contact lens manual: a practical guide to fitting, 3rd ed., Butterworth- Heinemann, pp. 298-311, 2003. http://www.riss.kr/link?id=M9559523
    5. Bennett ES: Contact lens correction of presbyopia. Clin Exp Optom. 91(3), 265–278, 2008.
    6. Kim JM: Visual performance with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for presbyopia, Eulji University PhD Thesis, pp. 4-6, 2013. http://www.riss.kr/link?id=T13246034
    7. Lee YS: Optimizing the models for interaction of age, illuminance, and refractive error with Pupil, Eulji University MS Thesis, pp. 31-36, 2018. http://www.riss.kr/link?id=T15020075
    8. Ko BU, Ryu WY et al.: Pupil size in the normal korean population according to age and iluminance. J Korean Ophthalmol Soc. 52(4), 401-406, 2011. http://www.riss.kr/link?id=A100524015
    9. Cardona G, López S: Pupil diameter, working distance and illumination during habitual tasks. Implications for simultaneous vision contact lenses for presbyopia. J Optom. 9(2), 78-84, 2016.
    10. Papadatou E, Del Águila-Carrasco AJ et al.: Objective assessment of the effect of pupil size upon the power distribution of multifocal contact lenses. J Ophthalmol. 10(1), 103-108, 2017.
    11. Lopes-Ferreira D, Fernandes P et al.: Combined effect of ocular and multifocal contact lens induced aberrations on visual performance: center-distance versus center-near design. Eye Contact Lens 44(Suppl 1), S131-S137, 2018.
    12. Fernandes PR, Neves HI et al.: Adaptation to multifocal and monovision contact lens correction. Optom Vis Sci. 90(3), 228-35, 2013.
    13. Kang P, McAlinden C et al.: Effects of multifocal soft contact lenses used to slow myopia progression on quality of vision in young adults. Acta Ophthalmologica 95(1), e43-e53, 2017.
    14. Tidbury LP, Czanner G et al.: The effect of illuminance on acuity testing.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54(6), 1091–1097, 2016.
    15. Bakaraju RC, Ehrmann K et al.: Optical performance of multifocal soft contact lenses via a single-pass method. Optom Vis Sci. 89(8), 1107–1118, 2012.
    16. Kim SY, Cho HG: Minimal illumination to identify the chart in each visual acuity and deviation of identification capability according to illumination and chart contrast. J Korean Oph Opt Soc. 18(4), 549-554, 2013.
    17. Lim DK, Lee KJ: The effect of accommodation stimulus on pupil size and accommodation response in young myopes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 Korean J Vis Sci. 20(1), 49-58, 2018.
    18. Lee DW: Effect of retinal illuminance on stereopsis, Yonsei University MS Thesis, pp. 5-11, 2002.
    19. Kim BH, Han SH et al.: Comparison of the refracting power and aberr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change in illumination and area of the pupils. J Korean Clin Health Sci. 4(2), 550-555,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