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2010년 UN의 발표에 따르면 2050년에는 전 세계의 60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2%에 달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고,1) 2010년 우리나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현 재 40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47%에 해당한다고 보 고되었다.2) 또한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고령인 구가 총 인구의 7%를 상회하여 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 2019년에는 14%, 2026년에는 20%가 되어 초고령사회 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2) 전체 인구 중 근거리 시력개선에 대한 요구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안 교정은 안경, 수술적 방법 및 콘택트렌즈로 하고 있는데, 콘택트렌즈로 교정하는 방법에는 모노비전,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 이중초점 콘택트렌즈 등이 있다. 모 노비전 교정방법은 우세안에 원거리 도수의 단초점 콘택 트렌즈를, 비우세안에 가입도를 더한 근거리 도수의 단 초점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초기 노안 에 많이 사용되는데, 처방이 간편한 장점이 있지만 양안 경쟁으로 인한 고스트(ghost) 이미지가 생긴다는 점과 입체시 감소, 중간거리 시력이 좋지 않아 모든 거리에서 좋은 시력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수반된다는 점 과 적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3) 이러한 모노비전의 단점 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강화된 모노비전’(enhanced monovision)과 ‘변형된 모노비전’(modified monovision) 및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이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 러한 처방에는 CNMF(center-near multifocal contact lens,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와 CDMF(centerdistance multifocal contact lens, 중심원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가 사용된다. CNMF은 전면부가 비구면으로 설계되어 중심부에 근용 도수가 있고 렌즈 중심에서 바 깥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원거리 도수가 증가하는 디 자인의 콘택트렌즈이고, CDMF은 후면부가 비구면으로 설계되어 중심부에 원용 도수가 있고 렌즈 중심에서 바 깥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근거리 도수가 증가하는 디 자인의 콘택트렌즈이다.
양안에 동일한 디자인의 CNMF 또는 CDMF을 처방 하는 방법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법이며, 한쪽 눈 에는 단초점 콘택트렌즈를 다른 쪽 눈에는 멀티포컬 콘 택트렌즈를 각각 처방하는 방법은 ‘강화된 모노비전’ 처 방법, 한쪽 눈에는 CNMF를, 다른 쪽 눈에는 CDMF를 처방하는 방법은 ‘변형된 모노비전’ 처방법이라 한다.4) 최근까지 우리나라에서는 CNMF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를 이용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법이 가장 많이 사 용되었는데, 이 방법의 경우 누진다초점안경과 비교하여 시야 제한 및 왜곡, 시선 이동 등 불편함이 없는 장점이 있고, 모노비전 처방과 비교해서는 원거리, 중간거리 및 근거리 물체를 모두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지 만, 원거리 물체 흐림, 어두운 곳에서의 빛 번짐, 야간 운전의 어려움 등과 같은 단점이 보고되었다.5-11) 외국 의 경우에는 CDMF이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고 CNMF과 CDMF을 동시에 사용하는 ‘변형된 모노비전’ 처방이 편안함과 시기능 개선에 우수하다고 보고되었 다.5,12~16) CNMF과 CDMF의 시기능에 대한 평가에서 일부 선행연구 결과17,18) CNMF는 CDMF보다 원거리 저대비시력(6 m, 10%)과 근거리 고대비시력(50 cm, 100%)에서 우수하고, CDMF는 CNMF보다 원거리(6 m, 100%) 및 근거리 고대비시력(40 cm, 100%)에서 우 수하며, 중간거리 시력과 입체시력에 대해선 차이가 없다 고 하였다. 그러나 Paulo 등19)은 CNMF이 CDMF보다 원거리 및 저대비(10%) 시력이 모두 우수하고, CDMF은 CNMF보다 근거리 고대비 및 저대비(10%)시력이 우수 하다고 보고하여 연구자마다 상이한 결과를 발표하고 있 다. 이에 국내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으나 국내에서 는 노안을 대상으로 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강화된 모노비전’ 및 ‘변형된 모노비전’ 처방 후 시기능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안이 시작되는 한국의 중·노 년층을 대상으로 두 종류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이용 하여 양안에 CNMF 콘택트렌즈, CDMF 콘택트렌즈 및 ‘변형된 모노비전’(우세안: CDMF, 비우세안: CNMF)으 로 처방하고 각각의 처방법에 따른 시기능과 시각적 만 족도를 비교·평가하여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성공적 인 처방에 대한 임상적인 가이드를 구축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백내장, 녹내 장 등의 안과 질환 및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경험이 없고 노안이 진행되어 근거리 시력에 불편이 있어 CNMF(중 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서울에 거주하는 중노년을 대상으로 가입도 +0.75 D 이상, 난시 도 –0.75 D 이하인 경우만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이들에 게 연구목적과 검사방법에 대하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 히 설명한 후 동의를 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자는 총 19명(남자 3명(16%), 여자 16명(84%)으로 평균 연령은 45.47±5.88세, 구면굴절이상도는 –3.01±2.01 D, 가입도는 +1.50±0.46 D, 입체시력은 62.63±8.06 sec, 양안 원거리 교정시력은 0.00 logMAR 이상이었다.
2. 연구 재료
본 연구에서는 Comfilcon A 재질의 바이오피니티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CooperVision, Fairport, NY)를 사 용하였고, 모든 검사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일 주일간의 적응기간이 지난 후 시행하였다. 바이오피니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CNMF와 CDMF 두 가지의 디 자인이 있는데 CNMF 디자인은 렌즈 중심부에 근거리 가입도가 있고 주변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원거리 도수 가 증가하는 디자인이고, CDMF 디자인은 렌즈 중심부 에 원거리 가입도가 있고 주변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근거리 도수가 증가하는 디자인이다(Table 1).
3. 연구방법
1) 굴절이상도 및 시력검사
굴절이상도는 자동굴절검사기(Auto Ref-Keratometer, KR-800, Topcon, CA)를 사용하여 타각적 굴절검사와 각막곡률반경을 측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 검사실 조도(217 lx)에서 포롭터(Auto-Phoropter, HRT-7000, Huvitz, US)와 chart projector를 사용하여 자각적 굴절 검사를 진행하였다. 원거리 시력과 근거리 시력은 ETDRS Chart(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Precision Vision, USA)를 사용하여 양안시력으로 측정 하였고, LogMAR로 단위로 측정하였다. 원거리 시력은 고대비 시력을 측정하였고, 근거리 시력은 고대비(100%) 및 저대비(25%, 10%, 5%, 2.5%)에서 모두 측정하였다.
2) 우세안 검사
원거리 우세안은 Hole in the card 검사로, 비우세안 은 +2.00 D 렌즈 부가법을 통해 결정하였다. 이렇게 검 사하여 결정한 우세안과 비우세안에 서로 다른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변형된 모노비전’ 처방 에 적용하였다.
3) 콘택트렌즈 도수 결정 및 피팅
콘택트렌즈 도수는 굴절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단안 최 대교정 굴절력을 등가구면 굴절력으로 환산하여 결정하였 다. 가입도는 원거리 완전교정 상태에서 cross-cylinder lens와 격자시표를 이용한 조절래그(fused cross cylinder) 검사를 기준으로 결정하였고, 음성상대조절력(NRA)과 양 성상대조절력(PRA) 측정을 통해 범위가 이상한 경우에 는 가입도를 다시 측정하거나 중간값으로 조정하여 결정 하였다. 콘택트렌즈 피팅상태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후 중심잡기(centration)를 평가하고 렌즈 움직 임은 래그(lag)검사, 푸쉬업(push-up) 검사로 평가하여 피팅상태가 이상적인 경우에만 대상자에 포함시켰고, 도 수는 덧댐굴절검사를 통해 다시 확인하였다.
4) 근거리 입체시력 검사
근거리 입체시력은 40 cm에서 편광안경과 Stereo Fly Tes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시기능 설문조사
시기능에 대한 설문검사는 NEI-VFQ-25(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를 변형 하여 만든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시기능 설문지는 운전할 때, 밤에 계단을 오르내릴 때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서의 전반적인 시력과 시각적 만족도를 평가하는 문항으로 구 성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한 시각적 만족도는 양안 CNMF, 양안 CDMF 및 ‘변형된 모노비전’을 착용하고 적응기간이 지난 후 각각 10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설문 항목 중 만족 도는 1점: 매우 불만족, 10점: 매우 만족으로 평가하였고, 불편감에 대한 설문은 검사자에게 혼동을 주지 않기 위하 여 1점: 매우 만족, 10점: 매우 불만족으로 평가하였다.
6) 통계분석
검사결과의 통계학적 검증은 SPSS. 21.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을 통해 검정하였고, 신뢰구간 95%로 p<0.050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평 가하였다.
Ⅲ. 결 과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들 총 19명의 평균 연령은 45.47± 5.88세(남 3명, 여 16명), 구면 굴절이상도는 평균 –3.01± 2.01 D, 가입도는 +1.50±0.46 D, 입체시력은 62.63± 8.06 sec로 측정되었다(Table 2).
2. 원거리 시력
양안에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안 원거리 시력(logMAR)은 각각 0.046± 1.097, 0.051±1.22 및 0.060±1.15로 CNMF, CDMF, MMV 순으로 원거리 시력이 좋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79, Table 3).
3. 근거리 대비시력
1) 근거리 고대비 시력
양안에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를 착용 한 상태에서 양안 근거리 고대비(100%) 시력(logMAR) 은 각각 0.18±0.89, 0.15±0.92 및 0.16±0.89으로 CDMF, MMV, CNMF 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0, Table 4).
2) 근거리 저대비 시력
양안에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착용 후 양안의 저대비시력(25%, 10%, 5%, 2.5%)은 고대비시 력(100%)보다 유의하게 낮았고(all, p=0.000).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처방법에 따라 양안 근거리 25% 저대비 시력(logMAR)은 각각 0.29±0.80, 0.23± 1.00, 0.23±1.00, 10% 저대비 시력(logMAR)은 0.38± 0.92, 0.34±1.00, 0.32±0.92, 5% 저대비 시력(logMAR) 은 0.49±1.10, 0.47±0.96, 0.44±0.92, 2.5% 저대 비시력(logMAR)은 0.55±1.22, 0.55±1.52, 0.52± 1.22로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처방법에 따라 차이는 없었다(all, p>0.050, Table 4).
4. 입체시력
양안에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착용 후 근거리 입체시력은 각각 64.74±9.64, 62.11±8.55, 62.63±8.06 sec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89, Table 5).
5. 시기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일상생활에서의 시기능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NEI-VFQ-25 설문지를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항 목은 전반적인 시력 만족도, 불편감, 일상적 원·중간· 근거리에서의 만족도, 일상생활에서 운전할 때의 만족도 의 6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만족도는 10점 척도(1 점: 매우 불만족 ~ 10점: 매우 만족)로 평가하였다.
1) 일상에서 시력 만족도
양안에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착용 후 거리에 따른 전반적인 시력만족도는 근거리에서 가장 높 았고, 중간거리, 원거리 순으로 나타났다.
양안에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착용 후 전반적인 원거리 시력 만족도는 각각 6.89±0.88, 6.67± 0.97, 5.68±1.42점으로 CNMF 및 CDMF 착용 시 높 았고, MMV 콘택트렌즈 착용 시 낮았다(p=0.004). 항목 별로 일상에서 이정표를 볼 때와 운동할 때에는 CNMF, CDMF를 착용할 때가 MMV보다 좋았고, 낮에 운전할 때에는 CNMF 및 CDMF 착용 시 높았고, 밤에 운전할 때에는 CDMF 착용 시 만족도가 높았다(Table 6).
중간거리에 대한 전반적인 시력 만족도는 전반적인 시력만족도에서는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착용 후 각각 6.68±1.16, 7.50±1.15, 7.58±1.54점 으로 CNMF 착용 시 가장 낮았지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 으나(p=0.064), 일상에서 컴퓨터를 볼 때에는 MMV 착 용 시 가장 좋았고(p=0.007), 밤에 계단을 오르내릴 때 에는 CDMF와 MMV이 CNMF보다 좋았다(p=0.002, Table 6).
근거리 시력 만족도는 전반적으로는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착용 후 각각 7.00±0.88, 7.11± 1.37, 8.11±1.59점으로 MMV 콘택트렌즈 착용 시 가 장 좋았다(p=0.018). 항목별로는 일상에서 신문 및 영 수증을 볼 때의 MMV 콘택트렌즈 착용 시 가장 좋았고 (p=0.003, p=0.010), MMF, CDMF 착용 시에는 차이 가 없었다(Table 6).
2) 일상에서 불편감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착용 후 불편함 은 자극감, 복시 및 흐린 상, 통증, 건조감 순으로 나타 났으며, 자극감은 MMV, CDMF, CNMF 순으로 컸으며 (p=0.000), 복시 및 흐린 상에 대한 불편감은 CDMF, MMV, CNMF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p=0.015, Table 6).
Ⅳ. 고 찰
디자인이 다른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노안 의 시력적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안 을 대상으로 양안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를 각각 처방하고 처방법에 따라 시기능을 비교하였다.
원거리 시력은 CNMF와 CDMF이 MMV보다 좋게 나 타났는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 결과는 CDMF 렌즈 가 중심부에 원용도수가 있어 근거리보다 원거리가 더 선명하게 잘 보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랐지만 본 연구와 동일한 바이오피니티 CDMF와 퓨어비젼 CNMF를 이용 한 일부 선행연구에서는19,20) 원거리 시력이 CNMF와 CDMF이 MMV 보다 좋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 는 결과가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하였고, Balamurali 등22)도 CNMF, CDMF, MMV 순으로 원거리 시력이 좋 았다고 하였다.
근거리 고대비 시력(100%)은 CDMF, MMV, CNMF 순으로 좋았는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 결과 역시 CNMF 렌즈가 중심부에 근용도수가 있기 때문에 근거 리가 원거리보다 더 선명하게 잘 보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랐지만 고대비와 저대비 근거리시력 모두 CDMF 착용 시 CNMF 착용 시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선행연구와는 5,23,24) 일치하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증명할 추가적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구면수차의 증가는 대비시력의 감소를 유발 한다5⁾고 보고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근거리 저대비 시력 은 CNMF, CDMF 및 MMV 콘택트렌즈 처방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Fernandesa 등7)은 멀티포컬 콘택트렌 즈 착용 후 대비감도에 대한 연구 결과 CDMF 착용 후 에는 눈부심이 있는 조건에서만 대비감도가 감소되고, CNMF 착용 후에는 눈부심이 없는 조건에서도 대비감 도가 상당히 감소하여 CDMF이 CNMF보다 대비감도가 더 우수하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CDMF와 CNMF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유도되는 안 구 수차와 원거리 시력을 비교한 결과 CNMF착용 후에는 많은 양의 구면수차가 음의 방향으로 유도되는 반면 CDMF 착용 후에는 양의 방향으로 유도되어 CNMF 착용 시 원거리 시력은 CDMF보다 좋게 나타났다고 하였지 만,5,18,25) Kwon26)은 CNMF 착용한 성인에서 나안상태 및 단초점 콘택트렌즈 착용 시보다 양의 방향으로 구면수 차가 증가한다고 하였고, David 등24)도 CDMF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망막 주변부 defocus 변화를 분석하 여 근거리 주시 시에는 망막 주변부 근시성 defocus가 단 초점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보다 감소하고, 원거리 주 시 시에는 이와 반대로 망막 주변부 근시성 defocus가 증 가하여 양의 구면수차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CDMF, CNMF 착용 후 눈의 구면수차는 연구자마다 다른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연령에 따라, 사 람에 따라 구면수차는 방향과 양에서 모두 다르기 때문 에 시력과 구면수차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 다고 생각한다. 연령에 따른 구면수차의 선행연구에서도 연구자마다 다른 결과를 보고하고 있는데, 근시안의 경 우 젊었을 때에는 구면수차가 일반적으로 양의 값을 갖 지만 나이를 먹음에 따라 음의 방향으로 증가한다는 연 구27)와 양의 방향으로 증가한다는 연구28)가 모두 보고되 었고, 일부 연구에서는 노안으로 양의 구면수차가 증가 된 상태에서29,30) CDMF 착용으로 원거리에서는 양의 구면수차가 더 증가하게 되어 원거리 시력의 저하를 유 발하게 되고, 근거리에서는 이와 반대로 작용하기 때문 에 근거리 시력이 우수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따라서 눈의 구면수차는 나이에 따라 변하며, 사람에 따라 양의 방향을 갖는 경우가 있고 음의 방향을 갖는 경우가 있어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와 관련된 눈의 구면수차는 나이를 고려하고(age-matching) 구면수차의 방향성을 고려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시력과 관련된 코마수 차 또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로 생각된다.
근거리 입체시력은 CNMF, CDMF 및 MMV 콘택트 렌즈 착용에 따라 차이가 없었는데, Jennifer 등17)도 양 안에 CNMF 및 CDMF를 착용했을 때 입체 시력은 차이 가 없다고 하였고, Ahmed 등18)도 양안에 CNMF 및 MMV 콘택트렌즈 착용 후 입체 시력은 차이가 없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서 주시거리에 따른 전반적인 시력 만족도는 원거리에서는 CNMF, CDMF, MMV 순 으로 높았고 근거리에서는 MMV, CDMF, CNMF 순으 로 높았다. 콘택트렌즈 디자인에 따라서 CDMF는 밤과 낮에 운전을 할 때 시각적 만족도가 가장 좋았고, 밤에 계단을 오르내릴 때 및 밤이나 어두운 조명에 대한 만족 도 또한 가장 좋았으며, 복시 및 흐린 상에 대한 불편감 이 가장 적었다. CNMF는 운동할 때, 신호등 반대편에 있는 사람의 얼굴을 볼 때 시각적 만족도가 가장 좋았 고, 일상생활에서 근거리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가장 낮았다. MMV에서는 전반적인 근거리에 대한 만족 도, 컴퓨터를 할 때, 신문 및 영수증과 같은 작은 글씨를 볼 때에 만족도가 가장 좋았으며, 일상생활에서 원거리 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았다. Joan 등12)은 노 안을 대상으로 MMV 처방법으로 Proclear 멀티포컬 콘 택트렌즈를 착용하게 하고, 연구 종료 후 6개월간 시각 적 만족도를 전화 인터뷰로 평가한 결과 시각적 만족도 는 착용 기간이 길어지면 좋아지기 때문에 MMV의 성공 은 환자의 인내심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의 착용 중단의 주된 이유는 야간 운전에 대한 불편함이 컸고 이는 극복하기 가장 어려운 시각적 불편함이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일상에서 불편감은 자극감, 복시 및 흐린 상, 통증, 건 조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극감은 MMV, CDMF, CNMF 순으로, 복시 및 흐린 상에 대한 불편감은 CDMF, MMV, CNMF 순으로 크게 나타났는데, 동일한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음에도 통증, 건조감 등이 처방법에 따라 차이가 난 것은 시력적 만족감이 불편감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 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안교정용 콘택트렌즈 처 방 후 착용자의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은 차이가 없지만, 착용자가 느끼는 일상생활에서의 근거리 시력만족도는 MMV 착용 시 높았고, 원거리 시력만족도는 CNMF 및 CDMF 착용 시 높았으며, 야간운전 및 컴퓨터 사용 시에 는 CNMF보다 CDMF착용 시 더 좋다고 느낀다는 점을 고려하여 착용자의 주시거리와 환경을 고려하여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 처방법을 결정한다면 국내에도 출시될 CDMF와 더불어 다양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방법 에 대한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노안을 대상으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디 자인에 따른 시각적 성능 및 자각적 만족도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CNMF, CDMF 및 MMV 착용 시 양안 원 거리 교정시력, 양안 근거리 교정시력 및 입체시력은 모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원거리 시력만족도는 야외광고(도 로이정표), TV를 볼 때, 운동을 할 때에는 양안에 CNMF, CDMF를 착용할 때 높았고, 밤 운전 시 네비게이션과 야 외광고(도로이정표)를 보면서 운전을 할 때에는 CDMF 착 용 시 만족도가 높았으며, 신문 및 영수증을 볼 때의 근거 리 시력만족도는 MMV가 높았다. 따라서 착용자의 주시 거리와 환경을 고려하여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법을 결정한다면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