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2 No.4 pp.455-463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0.22.4.455

Quality of Life and VFQ-25 in Elderly People over 65 and Adults under 65

Jung-Un Jang*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ung-Un Jang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491, E-mail: jju@eulji.ac.kr
December 2, 2020 December 21, 2020 December 24, 2020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quality of life and visual functions (VFQ-25) in adults under and over 65.


Methods :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of vis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ge were conduc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and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 (NEI-VFQ-25) for 79 visitors to the welfare center.


Results :

The overall quality of life score of adults was 3.33±0.65 and the overall quality of life score of the elderly was 3.59±0.73. The adult's overall visual function score is 67.56±14.46, and the elderly's total visual function score was 72.63±15.48, indicating that the elderly are higher than adults in the overall visual function sc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factors between age and quality of life, and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visual functions were found in limited roles related to vision. Both factors showed that the elderly were higher than ad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function of adults and the quality of individual life was shown high, while the visual function of the elderly and the quality of individual life were low in relationship.


Conclusion :

It was identified that vis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ge. In order to foster an individual's positive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periodic visual function tests rather than simply emphasiz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65세 이상 노인과 65세 미만 성인의 삶의 질과 VFQ-25

장 정운*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NRF-2017R1C1B5077002

    Ⅰ. 서 론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과 노인인구 가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건강문제, 사회·심리적 적응문 제 등의 노인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노인 문제가 급증하면서 길어진 노년기의 삶의 질도 저하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향후 노인복지수준의 향 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 다.1)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생의 주기가 늘어나면서 노년이라 지칭하는 연령기준이 높아지고 중장년층이 차지 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0년 65세 이상 고 령인구가 15.7%, 2025년 20.3%, 2060년 43.9%가 되어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2) 얼마나 건 강하고 적극적이며, 활동적으로 오래 살 수 있는지를 보 여주는 지표인 건강수명 또한 80세까지 상승하였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로 노인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절실하다. 삶의 질(quality of life)이란 일반적으로 인간 생활의 질 적 수준을 의미하며, 사회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하여 삶 의 질에 대한 개념이 학문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떠오르게 되었다.3) 이러한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많은 학문 영역 에서 다루어지고 있다.4-10) 또한, 국내의 연구에서도 누 진렌즈 사용자, 녹내장 환자, 초등학교 학생의 근시도, 라 식수술 등의 시각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 여 진행되었으며, 시력에 의해 영향 받는 건강 영역을 망 라한 삶의 질로서 전반적인 건강상태, 시력, 통증, 의존 성, 사회적 기능, 정신건강 등을 의미한다.11-16) 하지만, 성인 및 노인의 시각상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 구에서는 65세 미만 성인과 65세 이상 노인의 삶의 질과 시각과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연구대상자는 ‘ㅅ’과 ‘ㅂ’에 위치한 복지관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모든 검사과정과 규약은 기관생명 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번 호: EUIRB2019-56)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였으며, 연 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과 검사 방법에 대하 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히 설명 한 후 동의를 얻고 검 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의 내용에 스스로 응답할 수 있는 의사소통이 가능한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85명 대상자 중 전체 질문에 답하지 않은 6명을 제외한 7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대상자들은 52~92세까 지로 65세 이하를 성인,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구분하 여 연구를 진행하였다.17)

    2. 연구 방법

    1) 측정도구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Gill 등18)이 제작하고 Park 등19) 번안한 한국판 삶의 질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한국판 삶의 질은 전반적(integrated: 7, 9, 2, 16) 4문항, 사회 적(social: 2, 13, 17, 21, 28) 5문항, 정신적(spiritual: 14, 18, 22, 25, 29) 5문항, 감성적(emotional: 3, 4, 10, 19, 23) 5문항, 인지적(cognitive: 5, 8, 20, 26, 30) 5문항, 신체적(physical: 1, 6, 24, 27, 31) 5문항, 일상생활활동능력(ADL: 11, 15, 32) 3문항의 7요인 32 문항으로, 낮음~매우 높음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 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각 요인별 내적합치도 Cronbach’s α는 전반적(integrated)= .910, 사회적(social)= .933, 정신적(spiritual)= .896, 감성적(emotional)= .894, 인 지적(cognitive)= .855, 신체적(physical)= .840, 일상 생활활동능력(ADL)= .728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가 느끼는 시각관련 증상은 미국 국립안연구센터 시각기능 설문지 25(NEI-VFQ-25)를 한국어판으로 만들고 타당 성 및 신뢰도를 평가한 도구를 사용하였다.20) 시각기능 설문지는 25개의 시각관련 설문 문항과 추가적인 전반적 인 건강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General Health (전반적인 건강상태) 1문항, General Vision(전반적인 시 력) 1문항, Ocular Pain(눈 통증) 2문항, Near Vision(근 거리 시력) 3문항, Distance Vision(원거리 시력) 3문 항, Vision Specific(시각과 관련된)에 해당하는 Social Functioning(사회적 기능) 2문항, Mental Health(정 신 건강) 4문항, Role Difficulties(역할의 제한) 2문항, Dependency(의존성) 3문항까지, 그리고 Driving(운전) 3문항, Color Vision(색각) 1문항, Peripheral Vision (주변부 시력) 1문항으로 총 25문항의 기본 문항으로 이 루어졌다. 산출방법은 보기 1에서 5까지 100~0점을 배 점하여,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높은 점수가 더 좋은 기 능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VFQ-25에 대한 각 요인별 내적합치도 Cronbach’s α= .885로 나타났다.

    2)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IBM SPSS 20.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과 측정 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 문항 내적 일관성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 성, 시각 기능과 삶의 질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 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의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0로 설정하였다.

    Ⅲ. 결 과

    1. 일반적인 특성

    대상자 79명 중 남자는 30명, 여자는 49명이며, 대상 자의 평균연령은 72.6±9.25세였다. 현재 직업은 주부가 46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직 종사자는 1명, 사무원과 서비스 업종 종사자는 6명, 관리자와 매니저 업 종 종사자는 6명, 기술직 종사자가 20명으로 나타났다. 질환 유무를 묻는 질문에는 고혈압이 11명, 당뇨 4명, 호 흡기질환 2명, 소화기질환 2명, 심장질환 1명이며 그 외 질환은 7명으로 나타났다. 현재 복용중인 약물 여부에는 예가 54명, 아니오가 23명이었으며, 스마트폰 사용여부 질문에 사용 중은 68명 사용하지 않음은 11명으로 나타 났다. 또한, 컴퓨터 사용여부에는 31명의 응답자가 사용 을, 48명은 사용하지 않음을 보였다. 백내장과 녹내장 치 료여부에는 17명의 대상자가 치료 내력이 있으며, 62명 은 치료 내력이 없음을 보였으며, 안구건조증 진단 유무 에는 31명의 대상자가 진단을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48명의 대상자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자신이 느끼 는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대한 질문에는 그저 그렇다고 느 끼는 대상자는 29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좋다라고 느끼는 대상자가 27명, 나쁘다는 11명, 매우 좋다는 9명, 아주 훌륭하다는 3명으로 나타났다(Table 1).

    2. 65세 미만 성인과 65세 이상 노인에서 삶의 질

    65세 미만 성인의 전체 삶의 질 점수는 3.33±0.65 점이며, 65세 이상 노인의 전체 삶의 질 점수가3.59± 0.7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사회적, 인지 적, 감성적, 정신적, 일상생활활동능력, 전반적 요인에 서 성인보다 노인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는 않았다. 반면, 연령과 삶의 질 간의 사회적 요인 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0, Table 2).

    3. 65세 미만 성인과 65세 이상 노인에서 시각기능

    65세 미만 성인의 전체 시각기능의 점수는 67.56± 14.46점이며, 65세 이상 노인의 전체 시각기능의 점수 는 72.63±15.48로 높게 나타났다. 65세 미만의 성인 이 건강상태, 전반적인 시력요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역할의 제한성 요인에 서는 65세 미만의 성인보다 65세 이상의 성인에서 잘 보이지 않아서 여러 가지 일의 성취도도 나쁘지 않고, 잘 보이지 않아서 일이나 다른 취미 활동을 오랫동안 지 속하는데도 크게 불편함이 없다고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050, Table 3).

    4. 65세 미만 성인의 삶의 질과 시각기능 상관관계

    삶의 질의 신체적 요인은 시각기능의 정신건강, 역할 의 제한성, 의존성, 색각, 주변부 시력과 정적상관이 있 고, 사회적 요인은 전반적인 건강상태, 눈 통증, 주변부 시력, 시각과 관련된 정신 건강, 역할의 제한, 의존성과, 이 중 주변시력이 삶의 질과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인지적 요인은 전반적인 건강상태, 눈 통증, 주변부 시 력, 시각과 관련된 역할의 제한, 의존성과 유의한 정적상 관성을, 감성적 요인은 주변부 시력, 시각과 관련된 정신 건강, 역할의 제한, 의존성에서 이 중 시각과 관련된 정 신건강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정신적 요인은 주변 주 시력과 정적상관관계를, 일상생활활동능력 요인은 눈 통증, 주변부 시력, 시각과 관련된 정신 건강, 역할의 제 한, 의존성과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삶이 질의 전 체적인 전반적 척도를 의미하는 전반적 요인은 시각기능 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주변부 시력, 시각과 관련된 정신 건강, 역할의 제한, 의존성과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다.

    5. 65세 이상 노인의 삶의 질과 시각기능 상관관계

    65세 이상 노인의 삶의 질과 시각기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삶의 질의 신체적 요인은 시각기능의 전반적 인 건강상태, 근거리 시력, 원거리 시력, 시각과 관련된 역할의 제한, 의존성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사회적 요 인은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인지적 요인은 전반적인 건강상태, 근거리 시력, 원거리 시력, 주 변부 시력, 시각과 관련된 사회적 기능, 정신 건강, 역할 의 제한, 의존성과 감성적 요인은 전반적인 건강상태, 시 각과 관련된 정신 건강, 역할의 제한, 의존성과 정적상관 을 보였다. 정신적 요인에서는 전반적인 건강상태에서, 일상생활활동능력 요인에서는 전반적인 건강상태, 근거리 시력, 시력과 관련된 역할의 제한, 의존성과 정적상관을, 전반적 요인에서는 전반적인 건강 상태, 시각과 관련된 역할의 제한, 의존성에서 정적상관을 보였다.

    Ⅳ. 고찰 및 결론

    연령에 의한 시각기능과 삶의 질을 살펴본 결과 성인 들의 시각기능과 삶의 질은 노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 세계보건기구는 삶의 질을 “개인의 건강, 심리상 태, 신념, 사회적 관계, 주위 환경과의 관계에 복잡하게 영향을 받는 광범위한 개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7)

    본 연구에서 성인과 노인의 시각기능과 삶의 질의 상 관관계는 성인의 근거리시력, 원거리 시력, 시각과 관련 된 사회적 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반 면 노인의 근거리 시력, 원거리 시력, 시각과 관련된 사 회적 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성인의 주 변부 시력 기능과 삶의 질의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감 정적, 정신적, 일상생활활동능력, 전반적 요인과 긍정적 관계를 보인 반면 노인의 주변부 시력 기능은 삶의 질의 인지적 요인만 긍정적 관계를 보였다. 특히 주변시야와 social은 .814로 높은 상관성을 타나내고 있는데, 이것 은 65세 미만 성인들은 주변부 시력이 좋기 때문에 신체 적인 활동과 사회적 활동으로 긍정적인 삶의 질을 보이 고 있다. 반면에, 65세 이상 노인들은 주변부 시력과 삶 의 질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주변부 시력이 낮아짐에 따라 신체활동의 범위저하도 같이 나타나며, 이에 사회적 활동 대외적인 관계도 낮아짐을 확인 할 수 있다. 노인에서 사회적 요인은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정 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보이는 시각기능이 사회적 활동 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기존연구 에서는 시력 감소가 있을 경우 일상생활의 모든 차원에 서 광범위한 제한이 발생하고, 자립수준이 낮아지며, 삶 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어 개인의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21)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본 연구에 참여한 노인 대상자들은 복지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양 한 사회 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이와 같은 결과가 나 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게다가, 관련 연구 및 문헌에서 강조하고 있는 삶의 질의 기본요소는 건강을 포함한 개 인의 웰빙과 사회적, 감성적, 인지적 발전의 측면이다.22) 따라서 노인의 삶의 질은 최상의 웰빙과 건강을 반영하 는 주관적이고, 다차원적이므로 개인의 활동과 이를 위 한 시각적 기능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 다. 특히 노인의 문화 환경적인 요인들은 다른 요인들과 상호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그러므로 사회활동을 활발히 하는 성인보다 개인의 안녕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활동을 활발히 하는 노인의 삶의 질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 은 당연한 결과이다. 이는 노인의 웰빙과 긍정적 건강 관 점에서 시력과 삶의 질은 현대사회에서 보다 주요하게 논의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시각 기능 관 련 분야의 연구에서 현대인의 궁극적 지향점이기도 한 시각 기능과 삶의 질에 대한 부분은 보다 확대되어야 한 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는 눈 통증 으로 성인은 삶의 질과 눈 통증이 부분적이지만 긍정적 관계성을 보인 반면, 노인은 관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와 같이 눈 통증과 관련된 사항은 노인들의 신체 적, 인지적 감각 기능이 떨어졌거나 주기적인 병원 진료에 의함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한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작성하였기 때문에 노인들을 대상으로 직 접적이고 구체적인 단서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 라서 노인의 시각기능과 삶의 질 간의 구체적인 인과적 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연령의 차이를 고려한 시각 기능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삶의 질과 시각기능의 긍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나, 평균은 중심 경향 값 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값으로 전체 사례 수의 값을 더 한 다음 총 사례수로 나눈 값이기 때문에 자료의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다.23) 추후 연구에서는 삶의 질과 시각 기능의 인과적 연구를 위해서 집단의 목적적 표집 을 통한 실질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연령과 삶의 질 간의 사회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과 시각기능에서는 시력과 관련된 역할의 제한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인의 시각적 기능과 개인의 삶의 질의 관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 면 노인의 시각적 기능과 개인의 삶의 질은 관계성은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성인과 노인의 삶의 질과 시각기능의 자료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안보 건 정책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한다.

    Acknowledg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s(NRF-2017R1C1B5077002).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ce of Age and Quality of Life

    Difference of Age and VFQ-25

    Correlation with QoL and VFQ-25 among Adult n=18

    Correlation with QoL and VFQ-25 among Elderly n=61

    Reference

    1. Cho KO, Nam SN: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Life Quality according to Gender in Korean Elderly People. J Korean Gerontolog Soc. 33(4), 775-785, 2013. http://www.riss.kr/link?id=A100094715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Ratio of composition and aging Index for the elderly, 2013, Available at https://kosis.kr. Accessed December 11, 2020.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3&tblId=DT_113_STBL_1015552&vw_cd=MT_ZTITLE&list_id=113_11314_2010_005&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3. Flanagan JC: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current state of the art Arch. Phys Med Rehabil. 63(2), 56-59, 1982. https://pubmed.ncbi.nlm.nih.gov/6460487/
    4. Kinney M, Burfitt SN et al.: Quality of life in cardiac patient research: a meta-analysis. Nurs Res. 45(3), 173-180, 1996.
    5. Kim MY, Lim KS: Quality of life and the related Factors in Cerebrovascular Surgery Patients. Korean J Rehabil Nurs. 18(1), 5-12, 2005. http://www.riss.kr/link?id=A103656010
    6. Lee JH, Lee JM et al.: Impact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Treatment on Quality of Life in Myopia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44(11), 2591-2606, 2003. http://www.riss.kr/link?id=A105833526
    7. Eom BR, Oh SJ et al.: Task-Specific Effects on Performance of Working Memory Meas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phasia Severity in People with Aphasia. J Speech Hearing Disorders 25(2), 113-122, 2016. http://www.riss.kr/link?id=A105862523
    8. Ye KH, Cho SA: A Study on the Scales(Elements) of Life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Korean J Vis Sci. 22(1), 41-49, 2020.
    9. Kim JY: A Comparison of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Qualify of Life in Adults and Elders Who have Undergone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J Korean Gerontol Nurs. 16(3), 210-219, 2014. http://www.riss.kr/link?id=A104240790
    10. Kang SA, Kim JH: Evaluation of Vision-Specific Quality of Life between Spectacles and Contact Lens Wearers. J Korean Oph Opt Soc. 12(3), 111-115, 2007. http://www.riss.kr/link?id=A104182884
    11. Lee BL, Wilson M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taract and Glaucoma. J Glaucoma 9(1), 87-94, 2000.
    12. Seo JH, Yu HG et al.: Assessment of Functional Vision Score and Vision-Specific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Retinitis Pigmentosa. J Korean Ophthalmol Soc. 23(3), 164-168, 2009. http://www.riss.kr/link?id=A76550771
    13. Lee DI, Park IK et al.: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Location of Integrated Binocular Visual Field Defect in Normal-Tension-Glaucoma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57(1), 86-97, 2016. http://www.riss.kr/link?id=A101742234
    14. Hong KH, Hwang JH et al.: Effects of Vision Correction Status on Visual Functions (Vision- Specific Quality of Life):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Vis Sci. 22(2), 93-101, 2020.
    15. Kim DJ: Effects of Refractive Anomalies on Contact Lens Users’ Quality of Life. J Korean Oph Opt Soc. 24(2), 125-135, 2019. DOI: 10.14479/jkoos.2019.24.2.125
    16. Cahill MT, Banks AD et al.: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ilateral sever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Ophthalmology 112(1), 152-158, 2005.
    17. Beard JR, Officer A et al.: The World report on ageing and health: a policy framework for healthy ageing. Lancet. 21(10033), 2145–2154, 2016.
    18. Gill DL, Chang YK et al.: Quality of Life Assessment for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Promotion. Appl Res Quality Life 6, 181–200, 2011.
    19. Park SY, Lyu MJ et al.: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Quality of Life Survey. Korean J Sport Psychol. 26(1), 61-72, 2015.
    20. Heo JW, Yoon HS et al.: A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 25. J Korean Ophthalmol Soc. 51(10), 1354-1367, 2010. http://www.riss.kr/link?id=A100523655
    21. Kim KS, Shin EY et al.: The Effects of Vision and Hearing Func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Korean J Vis Sci. 17(4), 415-429, 2015.
    22. Kirschman JB, Johnson RJ et al.:Positive psycholog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 prevention, and promotion. Oxford, 133, 2009.
    23. Park JS, So YJ: Theory and practice of statistical analysis for social science research, 1st ed., Seoul, Hakjisa. pp. 45, 2017. http://www.hakjisa.co.kr/subpage.html?page=book_book_info&bidx=3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