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2 No.4 pp.485-49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0.22.4.485

Analysis of Binocular Function in Glaucoma Patients over 60 Years of Age

Se-Hoon Choi1),2), Ji-Su Park2), Koon-Ja Lee3), Hyun-Jin Shin4), Hyun-Sung Leem3)*
1)Master of Science in Clinical Optometry, Ketchum University (SCCO), Student, CA, USA
2)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tudent, Seongnam
3)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4)Dept. of Opthalmology, Konkuk University, Professor, Seoul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un-Sung Leem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155, Fax: +82-31-740-7365, E-mail: wisestar0724@hanmail.net
December 3, 2020 December 24, 2020 December 27, 2020

Abstract

Purpose :

The visual acuity, stereopsis, contrast sensitivity and visual field were measured and analyzed for the glaucoma patients over 60 years of age.


Methods :

Eighteen normal tension glaucoma patients (male 5, female 13, average age 70.00± 5.12)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the consent. ETDRS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were used to measure, Titmus fly test was performed by wearing polarized glasses. The contrast sensitivity tests were measured under the photopic conditions for 3, 6, 12 and 18 cpd (cycle per degree). The MD (Mean deviation) was measured using the static perimeter. The correlation between measured values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1.0,


Results :

The MDs of the patients were -1.39±1.31 dB and -3.59±2.34 dB on the better eyes and the worse eyes, respectively while the stereoacuity was 248.89±235.25. The higher contrast visual acuity was 0.11±0.11 LogMAR and the lower was 0.42±0.08 LogMAR. There was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of better MD with 3 cpd, stereoscopic vision, low contrast vision on right eye, and contrast sensitivity on left eye (p<0.05).


Conclusion :

The factors such as the vision, stereopsis, contrast sensitivity and visual field have the correlation with the glaucoma. It is believed that those visual functions should be regularly evaluated.



60세 이상 녹내장 환자의 양안시 기능 분석

최 세훈1),2), 박 지수2), 이 군자3), 신 현진4), 임 현성3)*
1)Master of Science in Clinical Optometry, Ketchum University (SCCO), 학생, CA, USA
2)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성남
3)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4)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교수, 서울

    Ⅰ. 서 론

    통계청에 따르면 대한민국 고령인구 비율은 2000년 7.20%로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의료기술 발달로 인한 기대수명 연장으로 2020년 15.70%로 고령사회에 진입하 였다. 이것은 일본이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집입하 는데 걸린 24년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이며 이런 추세라 면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에 도달 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안시기능에 영향을 주는 노인성 안과질환으로는 녹 내장이 있다. 녹내장 발생의 여러 요인들 중에서 가장 확실한 위험인자는 안압이며1) 전 세계적으로 약 6,430 만 명이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전문가들 은 녹내장 환자가 204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1,180만 명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2) 우리 나라에는 40대 이상 성인 중 3.50%가 녹내장 질환을 겪 고 있으며 이 중 80%가 원발개방각 녹내장인 것으로 알 려져 있고,3) 비교적 서양인에 비해 원발폐쇄각 녹내장은 동양인에서 빈번하다.4)

    녹내장 환자의 일상생활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은 시야결손이다.5-8) 심한 시야결손은 직접적으로 실명 까지 초래할 수 있으나 경미한 시야결손이 있는 경우 정 상 시력이더라도 입체시나 대비감도 같은 시기능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입체시는 ‘각각의 눈이 전방을 바라보고 두 눈을 통해 들어온 두 개의 이미지의 미세한 차이를 후두엽의 시 피질에서 융합하여 사물의 깊이를 판 단하고 3차원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 다.9) 입체시 감소는 녹내장환자의 주변시야 감소로 인한 주변 환경 판단능력의 저하와 함께 운동능력 저하, 순발 력 저하, 운전의 어려움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10-12) 대비감도 검사는 서로 다른 세기의 빛을 구별하고 다양한 물체의 대비와 크기를 평가할 수 있다.13) 대비감도의 감 소는 다른 밝기에서 사물을 분별하는 능력의 저하로 어두 운 곳에서 활동 제한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14)

    일반적으로 사람은 각각의 눈에 주어진 시자극을 통 합해 판단하며 두 눈은 상호 보완 기능을 가지게 되고 두 눈 시야와 시기능을 바탕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단순 하게 녹내장이나 녹내장 의증 환자의 입체시, 대비감도 를 정상과 비교하거나, 단안 시야검사 결과를 입체시, 대비감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연구 대상도 원 발개방각 녹내장을 위주로 다양한 종류와 다양한 손상을 가진 환자들을 함께 분석하기도 하였다.11,15-18)

    정상안압녹내장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녹내장 중 가장 빈번한 형태로 개방각녹내장 중 75% 이상을 차지하며19) 원발개방각 녹내장과 비교해 상측 시야 결손이 먼저 발 생하기 때문에,20) 기존에 알려진 원발개방각 녹내장에서 입체시, 대비감도 양상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단안 만 녹내장일 때 반대쪽 정상인 눈이 시기능의 상태를 보 충하거나 과소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양 안 정상안압녹내장으로 시야결손이 있는 60세 이상 환 자를 대상으로 시기능의 저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 참여 의사를 밝힌 고령자 중 정상안압 범위 (10~20 mmHg)에 해당하는 양안 정상안압녹내장 환자 총 18명(남자 5명, 여자 13명, 평균 나이는 70.00± 5.12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과 검사 방법에 대하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 히 설명한 후 동의를 얻고 검사를 진행하였다.

    신경학적 질환이 있는 경우, 시력이나 시야검사에 영향 을 줄 수 있는 각막혼탁이나 백내장, 망막 질환이 있는 경 우, 우울증 및 인지장애가 있는 경우, 시야 검사에서 낮은 신뢰도의 결과가 있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 연구방법

    1) 시력검사

    일생생활 조도(170 lx)로 설정하고, 원거리 시력교정 하에 단안 및 양안 시력을 ETDRS(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고대비(high contrast, 100%)시표와 및 저대비(low contrast, 10%)시표를 사용 하여 4 m 거리에서 고대비 및 저대비 시력을 LogMAR 단위로 측정하였다.

    2) 입체시검사

    티트무스 검사(Titmus stereotest: Stereo Optical Co.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였다. 노안교정 후 편광안경을 착용하고 40 cm 거리에 검사표를 위치시 킨 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티트무스 검사는 두 단계의 연속된 오답이나 무반응이 나오기 전 단계의 시차를 입 체시의 한계점으로 정의하였고, 결과는 40초에서 3,000 초 사이 값으로 표현하였다.

    3) 시야검사

    Humphrey 자동시야계(Humphery Visual Field Analyzer Ⅱ, Carl Zeiss Meditec Inc., Dublin, CA, USA)의 24-2 SITA(Swedish Interactive Threshold Algorithm standardstrategy)를 이용하여 MD(mean deviation, 시야감도의 평균지수)는 한쪽 눈을 가려 단 안으로 측정하였고 우안, 좌안 중 높은 MD값을 Better MD, 낮은 MD값을 Worse MD로 정의하였다.

    4) 대비감도검사

    원거리 시력교정하에 단안, 양안으로 시행하였으며, CSV-1000E®(VectorVision, Greenville, OH, USA) 를 이용하여 명소시(photopic condition, 85 cd/m2) 조 건하에서 각각 3, 6, 12, 18 cpd의 주파수에 대해 검사 하였다.

    3. 통계분석

    SPSS version 21.0(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으며 MD와 입체시, 시력, 대비감도간 의 관계와 나이와 시력, 대비감도간의 관계는 상관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이용하였다. 모 든 통계적 분석은 p-value가 0.050보다 작은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는 총 18명으로(남자 5명, 여자 13명) 평균 나 이는 70.00±5.12세 이며(Table 1), 좋은 눈의 MD 값 은 –1.39±1.31 dB, 나쁜 눈의 MD 값은 –3.59±2.34 dB 이였고 티트무스 검사를 이용한 입체시 검사 결과 248.89±235.25 초를 보였다. 정상 입체시는 40~60초 로 알려져 있고 녹내장으로 인해 감소된다는 선행연구가 보고되어있다.11)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과 녹내장으로 인한 시야결손으로 인해 입체시가 상당히 감소 된 것으로 보인다. 우안, 좌안, 양안 고대비 시력은 0.22± 0.13, 0.23±0.13, 0.11±0.11 LogMAR 우안, 좌안, 양 안 저대비 시력은 0.50±0.13, 0.51±0.11, 0.42±0.08 LogMAR를 보였다. 공간 주파수별 대비감도는 3 cpd에 서 47.67±14.08, 6 cpd에서 71.72±36.17, 12 cpd에 서 37.94±14.43, 18 cpd에서 14.11±7.68을 나타내 었다. 공간 주파수별 대비감도는 6 cpd에서 가장 높았고 18 cpd에서 가장 낮았다(Table 2).

    2. MD와 입체시, 대비시력, 대비감도 간의 상관성

    대상자의 MD와 입체시, 대비시력, 대비감도 간의 상 관성을 확인한 결과 Better MD값은 입체시, 저대비시 력, 대비감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p<0.05, Table 3), Better MD값이 낮을수록 입체시, 저대비시력, 대비 감도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ter MD값이 낮을수록 입체시, 저대비시력이 저하 되는 것은 녹내장으로 인한 시야결손은 두 눈을 통해 들 어온 정보를 하나로 융합하는 양안시기능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보고되었고,21) 녹내장 환자에게 발생한 망막 신경세포의 손상은 전두엽으로 전달되는 시신경에 영향 을 주어 입체시, 시력 등과 같은 양안시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11) 대비감도가 감소한 이유는 녹내장 으로 인한 망막 신경절 세포의 손상 때문이다.22) 시야 결손보다 신경절 세포 손상이 먼저 발생한다는 연구를 기반으로 대비감도 검사가 녹내장 의증과 녹내장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15)

    그러나 Wore MD값은 입체시, 저대비시력, 대비감도 에서는 이와 같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아 추후에는 더 많은 수의 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MD와 입체시, 대비시력, 대비감도 간의 상관성을 더욱 명확하게 해야 할 것으로 보이고, 티트무스 입체시 검사 는 단안 단서가 가능하기 때문에23) 단안 단서가 불가능 한 프리즈비 검사24)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나이와 대비시력, 대비감도 간의 상관성

    대상자의 나이와 대비시력, 대비감도 간의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나이는 양안 고대비시력, 대비감도와 유의 한 상관성을 보였고(p<0.050, Table 4,), 나이가 많을수 록 고대비시력과 대비감도는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의 시력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노화에 많은 영 향을 받게 된다.25) 40대 이후가 되면 대비감도,26) 조절 력,27) 각막의 굴곡 변화28) 등으로 시력 저하가 나타난다 고 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대상자들의 연령이 60세 이상 이고 녹내장에서 나타나는 시야결손 등의 손상으로 인해 대비시력과 대비감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정상 안압녹내장은 자각증상이 드물고 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 알아차리는 경우가 많아29) 조기진단이 필요하고 후 속연구에서는 더 많은 수의 녹내장 환자와 추가적인 양 안시 검사 항목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Ⅳ. 결 론

    60세 이상 양안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의 양안시 기능 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Better MD값은 입체시, 저대비시력, 대비감도와 유 의한 상관성을 보여 Better MD값이 낮을수록 입체시, 저대비시력, 대비감도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나이는 양안 고대비시력, 대비감도와 유의한 상관성 을 보여 나이가 많을수록 고대비시력과 대비감도는 저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60세 이상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력, 입체시, 대비감도, 시야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었고, 정기적인 시기능 평 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y have no interest in the products associated with this study.

    Figure

    Tabl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linical data of subjects

    Correlation of MD and stereopsis, contrast sensitivity visual acuity, contrast sensitivity test

    Correlation of age and contrast sensitivity visual acuity, contrast sensitivity test

    Reference

    1. Gordon MO, Beiser JA et al.: The Ocular Hypertension Treatment Study: baseline factors that predict the onset of primary open-angle glaucoma. Arch Ophthalmol. 120(6), 714-20, 2002.
    2. Tham YC, Li X et al.: Global prevalence of glaucoma and projections of glaucoma burden through 2040: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phthalmology 121(11), 2081-2090, 2014.
    3. Kim YY, Lee JH et al.: Angle closure in the namil study in central south korea. Arch Ophthalmol. 130(9), 1177-1183, 2012.
    4. Thomlison A, Leighton DA: Ocular dimensions and the heredity of angle-closure glaucoma. Br J Ophthalmol. 57(7), 475-486, 1973.
    5. Gutierrez P, Wilson MR et al.: Influence of glaucomatous visual field lo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rch Ophthalmol. 115(6), 777-784, 1997.
    6. Janz NK, Wren PA et al.: Quality of life in newly diagnosed glaucoma patients: The Collaborative Initial GlaucomaTreatment Study. Ophthalmology 108(5), 887-897, 2001.
    7. McKean-Cowdin R, Wang Y et al.: Impact of visual field lo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glaucoma: the Los Angeles Latino Eye Study. Ophthalmology 115(6), 941-948. 2008.
    8. Parrish RK 2nd, Gedde SJ et al.: Vis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glaucoma. Arch Ophthalmol. 115(11), 1447-1455, 1997.
    9. Eaton EM: Factors in stereoscopic vision and in the visual estimation of distance. Br J Ophthalmol. 3(2), 63–78, 1919.
    10. Friedman DS, Freeman E et al.: Glaucoma and mobility performance: the Salisbury Eye Evaluation Project. Ophthalmology 114(12), 2232-2237, 2007.
    11. Gupta N, Krishnadev N et al.: Depth perception deficits in glaucoma suspects. Br J Ophthalmol. 90(8), 979-981, 2006.
    12. Ramulu PY, West SK et al.: Glaucoma and reading speed: the Salisbury Eye Evaluation project. Arch Ophthalmol. 127(1), 82-87, 2009.
    13. Jindra LF, Zemon V et al.: Contrast sensitivity testing: a more complete assessment of vision. J Cataract Refract Surg. 15(2), 141-148, 1989.
    14. McKendrick AM, Sampson GP et al.: Contrast sensitivity changes due to glaucoma and normal aging: low-spatial-frequency losses in both magnocellular and parvocellular pathways. Invest Ophthalmol Vis Sci. 48(5), 2115-2122, 2007.
    15. Sung MS, Park SW: Spatial contrast sensitivity for the diagnosis of glaucoma. J Korean Glaucoma Soc. 4(1), 14-20, 2015.
    16. Chang JH, Chun BY et al.: The stereopic acuity in patients with unilateral or bilateral visual field defects. J Korean Ophthalmol Soc. 55(5), 734-739, 2014.
    17. Jünemann AG, Horn FK et al.: The full-field temporal contrast sensitivity test for glaucoma: influence of cataract.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38(5), 427-432, 2000.
    18. Klein J, Pierscionek BK et al.: The effect of cataract on early stage glaucoma detection using spatial and temporal contrast sensitivity tests. PLoS One 10(6), e0128681, 2015.
    19. Kim CS, Seong GJ et al.: Prevalence of primary open-angle glaucoma in central South Korea the Namil study. Ophthalmology 118(6), 1024- 1030, 2011.
    20. Kang BW, Ji YS et al.: Analysis of factors related of location of initial visual field defect in normal tension glaucoma. J Korean Ophthalmol Soc. 52(12), 1478-1484, 2011.
    21. Kotecha A, O'Leary N et al: The functional consequences of glaucoma for eye-hand coordin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0(1), 203-213, 2009.
    22. Livingstone MS, Hubel DH: Psychophysical evidence for separate channels for the perception of form, color, movement, and depth. J Neurosci. 7(11), 3416-3468, 1987.
    23. Fawcett SL: An evaluation of the agreement between contour-based circles and random dot-based near stereoacuity tests. J AAPOS. 9(6), 572-578, 2005.
    24. Fawcett SL. Birch EE et al: Validity of the Titmus and Randot circles tasks in children with known binocular vision disorders. J AAPOS.7(5), 333-338, 2003.
    25. Gittings N, Fozard J et al: Age Related Changes in Visual Acuity. Exp Gerontol. 21(4-5), 423- 433, 1986.
    26. Derefelt G, Lennerstrand G et al: Age variations in normal human contrast sensitivity. Acta Ophthalmol(Copenh). 57(4), 679-690, 1979.
    27. Godwin O: Mechanism of accommodation: A review of theoretical propositions. African Vision and Eye Health. 74(1), a28, 2015.
    28. Stenstrom S: Investigation of the variation and correlation of the optical elements of human eyes. Am J Optom Arch Am Acad Optom. 25(6), 218-340, 1948.
    29. Gupta N, Weinreb RN: New definition of glaucoma. Curr Opin Ophthalmol. 8(2), 38-41,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