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골프는 18개(또는 그 이하)의 홀로 구성된 코스에서 클럽으로 공을 쳐서 홀컵에 공을 넣는 스포츠 경기로, 공을 친 횟수가 적은 사람이 승자가 되며 18홀의 경기를 1회전 경기라 한다. 1회전 경기에서 여러 가지 클럽 중 퍼터를 사용하여 공을 치는 퍼팅이 전체 스트로크의 약 43%를 차지한다. 이렇게 골프에서 퍼팅 능력이 중요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다수의 골퍼들이 가장 어려 움을 느끼는 것이 퍼팅 과정의 수행이다.1) 퍼팅은 그린 위 직경 약 108 mm의 홀컵에 퍼터를 이용하여 직경 약 43 mm의 골프공을 넣어야 하는 과정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퍼터 헤드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퍼팅을 수 행하였을 때 골프공의 진행방향은 퍼터 헤드가 틀어진 각도와 유사하거나 혹은 그 이상으로 벗어나며, 퍼터 헤 드의 정렬 각도의 오차는 골프공의 진행방향에 큰 영향 을 준다고 제시하였다.2,3) 이 오차 범위를 삼각함수에 적 용하여 산출하면, 퍼팅 거리 1, 2 및 3 m에서 퍼터 헤드 정렬 오차는 각각 3.09° (6.19′), 1.55° (92.8′) 및 1.03° (185.5′)이내에 있어야 퍼팅을 성공할 수 있다(Fig. 1). 또한, Plez의 연구에 따르면 퍼팅거리가 1, 2 및 3 m이 었을 때, 홀인 확률은 각각 70%, 20% 및 10% 미만으 로, 퍼팅거리 증가에 따라 홀인 확률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1)
정밀함을 요구하는 퍼팅 과정을 위해 비교적 최근에 골프공 및 퍼터에 조준보조선을 가입하여 퍼터 헤드 정 렬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4) 이 러한 제품은 초기 1개의 조준보조선으로 대부분 구성되 었으나, 현재 3개의 선을 사용한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모두 사람의 배열 시력을 향상시켜 퍼팅 시 골프공 및 퍼터 헤드 정렬에 도움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 개의 조준보조선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3개의 조준보조 선을 가지는 제품은 두꺼운 빨간색 선 1개가 중앙에 위 치하고, 양쪽으로 얇은 파란색 선이 그어져 있다. 이러 한 구성은 3개의 조준보조선 골프공 제작업체들이 주장 하는 눈과 뇌가 가장 뚜렷하게 인지하는 조합이 바로 중 심의 빨강색과 양 옆의 파랑색의 조합이라는 것과, 초록 색 잔디 위에서 보는 빨간색 중앙선과 파란색 보조선은 다른 색상에 비해 시인성이 좋아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고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조준보조선의 유무 및 개수가 실제 퍼팅 시 골프공 및 퍼터 헤드 정렬에 어떠한 영향 을 주는가에 대한 명확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시각과 관련된 보다 객관적인 근거 마련이 미비한 실정 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와 유사한 가상의 퍼팅 공 간에서 골프공 및 퍼터의 조준보조선 유무, 개수 그리고 골프 경력이 골프공 및 퍼터 헤드 정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번호 EU20-07)의 승인을 받았으며, 대상자들에게 검사 목적 및 내용을 충분하게 설명하고 동 의를 얻은 다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고, 최근 1년 동안 필드에서 본인의 평균타수를 알고 있는 평 균연령 48.33±10.07세의 오른손잡이 성인 골퍼로, 사시 및 약시가 없으며, 원거리 양안시력이 0.1 logMAR 이상 인 4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때, 대상자 수는 대상 자 산출프로그램인 윈도우즈용 G*power Ver. 3.1.9.7 (Heinrich-Heine-Universität Düsseldorf, Germany) 를 사용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1년 동안의 필드 평균 점 수를 핸디캡으로 산출하였으며, 다음의 공식을 적용하였 다(Eq. 1).
여기서, G.H.는 전체 핸디캡(generic handicap)을, A.S.는 평균 점수(average score)를 그리고 72는 1회 전 경기(18홀)의 기본 타수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골 프 경력(스코어)에 따른 분석을 위해, 평균타수 90타를 기준으로 낮은 집단은 핸디캡 18이하(평균타수 90타 이 하) 및 높은 집단은 핸디캡 19이상(평균타수 90타 초과) 으로 구분하였다.
2. 연구방법
1) 측정용 골프공
골프공은 USA patent 6872150으로 등록된 정식 제 품으로, 조준보조선이 1개인 것은 골퍼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중심에 1개의 조준보조선을 가입했 으며, 조준보조선이 3개인 것은 ERC Soft Triple Track (Callaway, Golf Company, USA) 제품을 동일하게 복 제하였다. 모든 골프공은 정렬 오차 측정을 위해 중심에 측정용 레이저가 삽입된 것을 사용하였다(Fig. 2).5)
2) 측정용 퍼터
조준보조선이 1개인 퍼터는 Stroke lab 19 #3(Callaway, Golf Company, USA)으로, 조준보조선이 3개인 퍼터는 Triple Track Marxman(Callaway, Golf Company, USA)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모두 공과 퍼터가 맞닿는 부분인 퍼터 헤드 토우의 페이스 면과 직각으로 거울을 부착하였다(Fig. 3).
3) 측정용 레이저
퍼터 정렬의 오차 각도 측정은 Optics System 3(Altay scientific Co., Italy)를 사용하였다.
4) 환경설정
가로 1 m 및 세로 4 m인 인조 잔디 판을 설치하여 실 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퍼팅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측 정 장치는 퍼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치하였다. 이 때, 골프공 정렬 측정을 위한 환경에서 홀컵은 1.5 및 3 m 거리에 배치하고, 측정용 눈금과 기록용 카메라는 홀 컵 뒤에 각각 배치하였다(Fig. 4-a). 퍼터 정렬 측정을 위한 환경에서 홀컵은 1.5 m 거리에 배치하고, 측정용 눈금과 기록용 카메라는 퍼터에 부착된 거울의 측면 쪽 으로 2m 거리에서, 서로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각 각 배치하였다(Fig. 4-b).
5) 측정 절차
측정 전 모든 대상자들에게 연구 목적 및 절차를 설명 하여 이해도를 높였으며, 연령, 평균 타수, 구력 및 평소 사용하는 퍼터 유형 등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모든 정렬 오차의 측정은 5회씩 반복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학습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무작위로 진행하였고, 결과 값은 실험 종료 후 공개하였다.
(1) 예비검사
④ 정지시력 검사
원거리(3 m) 고대비(100%) ETDRS 시표(Logarithmic Visual Acuity Chart, Precision Vision, USA)를 이 용하여 단안 및 양안의 나안시력 혹은 교정시력을 측정 하였다. 이때, 교정시력은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대상에게 수행되었으며, 평상시 사용 안경 혹은 콘택트 렌즈를 각각 착용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2) 골프공의 정렬
임의로 지정한 골프공 위치에서 1.5 및 3 m 직선거리 에 홀컵을 놓고 레이저가 삽입되어 있는 조준보조선 1개 인 골프공과 3개인 골프공을 각각 사용하여 정렬 상태를 측정하였다.
(3) 퍼터의 정렬
임의로 지정한 퍼터 위치에서 1.5 m 직선거리에 홀컵 을 놓고 퍼터 앞에 골프공을 위치시켰다. 이때, 조준보 조선이 0개, 1개 및 3개인 골프공 3종류와 조준보조선 이 1개 및 3개인 퍼터 2종류를 이용하였으며, 조준보조 선이 있는 골프공의 경우 측정자가 먼저 조준보조선과 홀컵의 정렬을 맞추고, 이후 대상자는 측정자가 수행한 정렬 상태를 확인한 후, 한 번 더 정렬시키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4) 주관적 만족도 평가
주관적 만족도는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자가 느끼는 조준보조선 유무에 따른 만족감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는 골프공과 퍼터 정렬 2개로 구분하여 수행하였으며, 모두 10문항 5점 척도를 적용하였다. 문항별 점수는 매 우 그렇다 (5점),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2점) 및 매우 그렇지 않다 (1점)로 할당하였다.
6)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윈도우즈용 SPSS Ver. 18(IBM Co., USA) 및 Origin Ver. 8.5(OriginLab, USA) 프로그램 을 사용하였다. 모든 과정에서 유의확률은 0.050 미만 을 적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전체 대상자 43명(남자 27명 및 여자 16명)의 평균 연령은 48.33±10.07세였으며, 핸디캡이 낮은 집단은 20명(46.5 %), 높은 집단은 23명(53.5 %)이었고, 우세 안은 OD(우안) 33명(76.7%), OS(좌안) 10명(23.3%)이 었다. 평상시 사용 안경 혹은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 에서 측정한 교정시력은 양안 원거리 -0.07±0.74이였 다(Table 1).
2. 핸디캡과 정렬 오차의 관계
1) 핸디캡에 따른 골프공 정렬 오차
2개의 퍼팅 거리(1.5 및 3 m)에서 2개의 골프공(조준 보조선 1개 및 3개)을 핸디캡에 따른 2개의 집단으로 구 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정렬 상태의 정확한 비교를 위해 측정된 오차 각도에 절대값을 적용하였다. 퍼팅 거리 1.5 및 3 m에서, 조준보조선이 1개 및 3개인 골프공의 정렬 오차는 핸디캡이 낮은 집단에서 각각 1.11±0.78°, 0.94±0.54°, 1.13±0.81° 및 0.93±0.52°로 나타났으며, 높은 집단에서 각각 1.03±0.68°, 0.98±0.53°, 1.04± 0.62° 및 0.89±0.58°로 나타났다.
이때, 퍼팅 거리 및 조준보조선에 따른 두 집단 간 정렬 오 차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Table 2, Fig. 5).
2) 핸디캡에 따른 골프공 정렬 오차의 편차
2개의 퍼팅 거리(1.5 및 3 m)에서 2개의 골프공(조준 보조선 1개 및 3개)을 핸디캡에 따른 2개의 집단으로 구 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정렬 상태의 일관성 비교를 위해 측정된 오차 각도의 편차를 분석하였으며, 편차는 5회 정렬 시 오차 각도의 표준편차로 선정하였다.
퍼팅 거리 1.5 및 3 m에서, 조준보조선이 1개 및 3개 인 골프공의 정렬 오차의 편차는 핸디캡이 낮은 집단에서 각각 0.43±0.19°, 0.51±0.21°, 0.50±0.31° 및 0.51± 0.37°로 나타났으며, 높은 집단에서 각각 0.68±0.39°, 0.69±0.38°, 0.75±0.36° 및 0.58±0.43°로 나타났다. 이때, 퍼팅 거리 및 조준보조선에 따른 두 집단 간 정렬 오차의 편차는 핸디캡이 낮은 집단에서 표준편차가 더 감 소하였으며, 2개의 퍼팅 거리에서 조준보조선이 1개인 골프공에서만 핸디캡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able 3, Fig. 6).
3) 핸디캡에 따른 퍼터 정렬 오차
퍼팅 거리 1.5 m에서, 조준보조선이 1개인 퍼터의 정 렬 오차는 핸디캡이 낮은 집단에서 각각 2.06±1.24°, 1.91±1.29° 및 1.98±1.33°로 나타났으며, 높은 집단 에서 각각 2.73±1.57°, 1.73±1.08° 및 2.82±1.38°로 나타났다. 조준보조선이 3개인 퍼터의 정렬 오차는 핸디 캡이 낮은 집단에서 각각 1.52±1.06°, 1.83±1.23° 및 1.75±1.57°로 나타났으며, 높은 집단에서 각각 1.62± 1.07°, 1.89±0.93° 및 1.43±0.74°로 나타났다. 이때, 골 프공 및 퍼터의 조준보조선에 따른 두 집단 간 정렬 오차 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Table 4, Fig. 7).
4) 핸디캡에 따른 퍼터 정렬 오차의 편차
퍼팅 거리 1.5 m에서, 조준보조선이 1개인 퍼터의 정렬 오차의 편차는 핸디캡이 낮은 집단에서 각각 0.78±0.33°, 0.61±0.24° 및 0.63±0.26°로 나타났으며, 높은 집단 에서 각각 0.96±0.49°, 0.77±0.28° 및 0.87±0.52°로 나타났다. 조준보조선이 3개인 퍼터의 정렬 오차는 핸디 캡이 낮은 집단에서 각각 0.74±0.38°, 0.68±0.30° 및 0.63±0.24°로 나타났으며, 높은 집단에서 각각 1.00± 0.71°, 0.79±0.46° 및 0.92±0.56°로 나타났다. 이때, 골프공 및 퍼터의 조준보조선에 따른 두 집단 간 정렬 오차의 편차는 조준보조선이 1개 및 3개인 퍼터 모두에 서 핸디캡이 낮은 집단의 표준편차가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준조보선이 3개인 골프공과 조준보조선 이 3개인 퍼터인 경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able 5, Fig. 8).
3. 조준보조선과 정렬 오차의 관계
1) 조준보조선에 따른 골프공의 정렬 오차
퍼팅 거리 1.5 및 3 m에서, 조준보조선이 1개 및 3개인 골프공의 정렬 오차는 각각 1.07±0.19°, 0.96±0.53°, 1.08±0.71° 및 0.90±0.54°로 나타났다. 이때, 조준보 조선이 3개인 골프공이 1개인 골프공에 비해 정렬 오차 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Table 6, Fig. 9).
2) 조준보조선에 따른 골프공의 예상 퍼팅 성공률
퍼팅 거리 1.5 및 3 m에서, 조준보조선 1개 및 3개인 골프공의 정렬 오차를 기준으로 한 예상 퍼팅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골프공을 5회 정렬하였을 때 발생 한 오차가 홀컵 크기에서 ±5.4 cm (1.5 m에서 2.06° 및 3 m에서 1.03°) 범위 이내에 있을 때 퍼팅이 성공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퍼팅 거리 1.5 및 3 m에서, 조준보 조선이 1개 및 3개인 골프공의 예상 퍼팅 성공률은 각각 82.79±31.04 %, 58.60±35.56 %, 93.49±17.30 % 및 64.19±36.66 %로 나타났다. 이때, 퍼팅 거리 1.5 m에서 조준보조선이 3개인 골프공이 1개인 골프공에 비해 예상 퍼팅 성공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 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Table 7, Fig. 10).
3) 조준보조선에 따른 퍼터의 정렬 오차
퍼팅 거리 1.5 m에서, 조준보조선이 0개, 1개 및 3개 인 골프공에 대한 조준보조선이 1개인 퍼터의 정렬 오차 는 각각 2.42±1.45°, 1.81±1.17° 및 2.43±1.41°로 나타났다. 조준보조선이 3개인 퍼터의 정렬 오차는 각각 1.58±1.06°, 1.86±1.06° 및 1.57±1.20°로 나타났다. 이때, 조준보조선이 0개 및 3개인 골프공에서 조준보조 선이 3개인 퍼터가 1개인 퍼터에 비해 정렬 오차가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Table 8, Fig. 11).
4) 조준보조선에 따른 퍼터의 예상 퍼팅 성공률
퍼팅 거리 1.5 m에서, 조준보조선 1개 및 3개인 퍼터 의 정렬 오차를 기준으로 한 예상 퍼팅 성공률을 분석하였 다. 여기서, 골프공을 5회 정렬하였을 때 발생한 오차가 홀컵 크기에서 ±5.4 cm(1.5 m에서 2.06°) 범위 이내에 있을 때 퍼팅이 성공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퍼팅 거리 1.5 m에서, 조준보조선이 0개, 1개 및 3개인 골프공에 대한 조준보조선이 1개인 퍼터의 예상 퍼팅 성공률은 각각 46.98±36.22 %, 64.19±39.89 % 및 45.12±43.23 % 로 나타났고, 조준보조선이 3개인 퍼터의 예상 퍼팅 성공률 은 각각 72.09±33.85 %, 59.07±38.04 % 및 72.56±3 6.52 %로 나타났다. 이때, 조준보조선이 0개 및 3개인 골프공에서 조준보조선이 3개인 퍼터가 1개인 퍼터에 비해 예상 퍼팅 성공률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 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Table 9, Fig. 12).
5) 조준보조선 조합에 따른 골프공과 퍼터의 최종 정렬 오차
골프공 및 퍼터의 정렬 오차를 조합한 최종 정렬 오차 를 분석하였다. 이때, 우측 방향의 정렬 오차는 (+) 값 으로, 좌측 방향의 정렬 오차는 (-) 값으로 표기하였다. 조준보조선이 1개 및 3개인 골프공의 최종 정렬 오차는 각각 –0.48±1.15° 및 –0.60±0.85°로 나타났다. 조준 보조선이 1개인 골프공에 대한 조준보조선이 1개 및 3 개인 퍼터의 최종 정렬 오차는 각각 +1.01±1.88° 및 – 0.53±2.06°로 나타났다. 조준보조선이 3개인 골프공에 대한 조준보조선이 1개 및 3개인 퍼터의 최종 정렬 오차 는 각각 +1.97±1.98° 및 +0.91±1.92°로 나타났다.
조준보조선이 1개인 퍼터의 정렬오차와 조준보조선이 1개 및 3개인 골프공의 정렬오차를 조합시켰을 때 최종 정렬 오차는 +0.52±2.54° 및 +1.37±2.34°로 나타났 으며, 정렬 오차 방향이 서로 상이하여 조합된 최종 오 차는 상쇄되었고, 우측 방향의 정렬 오차가 유발되었다. 여기서, 조준보조선이 3개인 골프공에 비해 1개인 골프 공의 조합 상태에서 정렬 오차가 감소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조준보조선이 3개인 퍼터의 정렬오 차와 조준보조선이 1개 및 3개인 골프공의 정렬오차를 조합시켰을 때 최종 정렬 오차는 각각 -1.02±2.42° 및 -0.41±2.12°로 나타났다. 여기서, 조준보조선이 1개인 골프공은 정렬 오차 방향이 서로 동일하여 조합된 최종 정렬 오차는 보강되었으며, 조준보조선이 3개인 골프공 은 정렬 오차 방향이 서로 상이하여 조합된 최종 오차는 상쇄되었고, 좌측 방향의 정렬 오차가 유발되었다. 조준 보조선이 1개인 골프공에 비해 3개인 골프공의 조합 사 이에서 정렬 오차가 감소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발견 되었다(Table 10, Fig. 13).
4. 주관적 만족도
1) 조준보조선에 따른 골프공의 정렬 용이성
주관적 만족도 문항 중 ‘선이 없는 골프공이 조준에 도움이 되었다’, ‘선이 1개인 골프공이 조준에 도움이 되 었다’ 및 ‘선이 3개인 골프공이 조준에 도움이 되었다’에 따른 정렬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골프공의 조준보 조선 개수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Fig. 14).
2) 조준보조선에 따른 퍼터의 정렬 용이성
주관적 만족도 문항 중 ‘선이 1개인 퍼터가 조준에 도 움이 되었다’ 및 ‘선이 3개인 퍼터가 조준에 도움이 되었 다’에 따른 정렬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퍼터의 조 준보조선 개수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15).
3) 골프공의 조준보조선에 따른 조준보조선이 3개인 퍼터의 정렬 용이성
주관적 만족도 문항 중 ‘선이 없는 골프공과 3개인 퍼 터가 조준에 도움이 되었다’ 및 ‘선이 1개인 골프공과 3 개인 퍼터가 조준에 도움이 되었다’ 및 ‘선이 3개인 골프 공과 3개인 퍼터가 조준에 도움이 되었다’에 따른 정렬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조준보조선이 3개인 퍼터에 서 골프공의 조준보조선 개수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만족 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16).
Ⅳ. 고 찰
지금까지 수행된 다수의 선행연구는 골프 경력이 있 는 숙련자를 대상으로 퍼팅 능력을 평가한 것이 대부분 이었다. 하지만 조준보조선은 오히려 초보자에게 더 도 움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고, 본 연구는 이에 따라 대상 자의 골프 경력을 핸디캡으로 산출하여 낮은 집단과 높 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대상자의 정확 한 평균 타수의 확인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수행된 방법 과 동일하게 자신의 평소 타수를 알고 있는 대상자를 선 별하였으며, 실험 전 이를 직접 기입하도록 하였다.6)
일부 선행 연구 결과에서 제시된 것으로 퍼터 헤드의 정 렬 오차는 스트로크 시 골프공의 진행 방향에 영향을 미치 며, Park7)은 3 m 거리에서 클럽 헤드의 정렬 오차 방향은 어드레스 및 임팩트 시에도 동일한 방향으로 적용된다고 제 시하였다. 본 연구도 이와 같은 내용을 기반으로 퍼터 헤드 의 정렬 오차가 골프공의 진행 방향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 으며, 선행 연구와 일부 유사한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Woo8)의 연구에 따르면, 퍼팅 시 성공 여부는 시선의 처리 방향과 관련이 없으며, 초보자에 비해 숙련자가 높 다고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핸디캡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에서 정렬 정확성의 유의한 차이를 발 견할 수 없었으며, 일부 상반된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 러한 상반된 결과는 골프 경험이 전혀 없는 대상자를 초 보자로 선정한 선행 연구와 다르게 골프 경험이 있으며, 평균 타수가 90개 이하인 대상자를 핸디캡이 낮은 집단 으로 구분한 것으로 예측된다.
Shim 등9)은 조준보조선이 0개 및 1개인 골프공과 블 레이드 형태의 퍼터를 이용하여 정렬 상태를 분석하였는 데, 조준보조선의 존재는 퍼팅 정렬에 도움이 되지 않는 다고 제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일부 결과에서 조준보 조선이 정렬 오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골프 경기의 성공률은 골퍼의 운동력, 순발력, 집중력 및 정신력과 같은 다양한 변수에 의존하지만, 최종적으로 퍼팅을 수행하여 골프공을 홀컵에 넣어야 하는 단일지향적 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10,11) 따라서 본 연구의 예상 퍼팅 성공률은 골프 경기의 본래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결과로써 조준보조선 개수의 증가는 예상 퍼팅 성공률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발견되었고, 주관적 만족도 역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Dalton10)은 눈과 손의 우세도가 골퍼의 기술 수준에 밀접한 연관은 없지만 우세안이 퍼팅 성공에 중요한 요 소가 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고, Won12)은 퍼팅 시 요구 되는 시기능 중 주시시차는 조준 능력 및 퍼팅 오차 간 상관성이 존재하였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퍼팅 시 요구 되는 골퍼의 능력은 단순한 정렬 상태의 확인뿐만 아니 라 골퍼의 집중력과 같은 정신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능의 상호작용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안경광학 분 야에서 앞으로 연구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실제 퍼팅과 유사한 환경에서 정지 상태의 정렬 오차만 평가하였기 때문에 스트로크의 일부분인 운 동학적인 측면은 다루지 못했다. 또한, 조준보조선의 유 무, 개수 등에 따른 정렬 오차의 명확한 분석은 본 연구 에서 수행한 손을 사용한 골프공의 정렬 평가에서 더 나 아가 신체 및 시선의 방향 등을 면밀하게 고려해야하며, 배열시력, 입체시 및 주시시차와 같은 시기능에 따른 종 합적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Ⅴ. 결 론
골프공과 퍼터의 조준보조선 유무와 개수 및 골프 경력 에 따른 퍼팅 시 정렬 오차를 분석한 결과, 골프공 정렬의 정확성은 조준보조선 및 핸디캡에 따른 영향이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하지만, 퍼터 정렬의 정확성은 조준보조선이 1개인 퍼터에 비해 3개인 퍼터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예상 퍼팅 성 공률과 주관적 만족도는 조준보조선이 1개인 골프공 및 퍼터에 비해 3개인 골프공 및 퍼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하지만, 골프공 및 퍼터의 정렬은 퍼팅 수행 과정의 일 부분이며, 조준보조선이 정렬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운동학적 측면과 시기능을 분석한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