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3 No.1 pp.21-3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1.23.1.21

Comparison of Visu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esign Difference of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for Presbyopia

Myoung-Hoon Jung1), Hyun-Il Kim2)*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Konyang University, Student, Daejeon
2)Dep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Professor, Daejeon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un-Il Kim Dep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Daejeon TEL: +82-42-600-8428, E-mail: hyunik@konyang.ac.kr
February 8, 2021 March 23, 2021 March 23, 2021

Abstract


Purpose : To compare the visual performance of myopic presbyopia with low addition after wearing center-near and center-distance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Methods : Visual performance of 13 subjects (46.92±5.91 years) was evaluated for accommodative lag, stray light, stereoacuity, horizontal phoria, near vergence and subjective vision satisfaction after wearing center-near and center-distance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respectively.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mmodative lag, stray light, stereoscopic acuity, horizontal phoria, near vergence and subjective vision satisfaction between center-near and center-distance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with low addition in myopic presbyopes.



Conclusion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ual performance related to visual quality, accommodative and vergence response after wearing center-near and center-distance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with low addition in myopic presbyope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seful as a reference when selecting multifocal contact lenses.



노안용 동시보기 멀티포컬 소프트 콘택트렌즈 디자인 차이에 따른 시기능 비교

정 명훈1), 김 현일2)*
1)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전
2)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대전
    Konyang University(KYU)

    Ⅰ. 서 론

    2019년 콘택트렌즈 글로벌 시장 조사에 따르면 구면, 토릭,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처방 된 소프트렌즈의 각 각 51%, 28%, 13%를 차지했으며, 멀티포컬 콘택트렌 즈 처방은 2005년 노안교정용 콘택트렌즈의 약 25%에 서 2019년에는 약 40%로 증가했다.1) 또한 이러한 그룹 의 10~15%는 모노비전 렌즈 처방이었으므로,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피팅 시 노안의 절반 정도는 원거리 교정 만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1) 그리고 전체 콘택트렌즈 착 용자 중 노안의 비율은 지난 15년 동안 모든 피팅의 20%에서 35%로 증가하였다.1) 2016년 국내의 멀티포컬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 비율은 4%로 비교 국가들에 비 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2) 2019년 국내 안경업계 리서치 기관인 Real Optical Research에서 노안 발생 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구매 의사를 묻는 질문에서는 대상자의 61%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3) 우리나라 노안시장의 잠재적 시장규모는 약 5,000억 원 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전체 안경시장의 약 25%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로 보고 있다.4) 특히 멀티 포컬 콘택트렌즈 시장은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콘택트렌즈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는 시기에 콘택트렌즈 의 주요 착용자들이 노안에 들어서는 2020년 이후부터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다.4)

    노안을 콘택트렌즈로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은 원거리 콘 택트렌즈 위에 추가적인 돋보기 사용, 모노비전,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5) 모노비전은 특 히 높은 가입도에서는 불량한 조명과 경미한 대비 (contrast)에서 시각의 질 저하가 발생한다.6) 그리고 모노 비전의 성공을 위한 결정적인 요소는 대상자가 한 쪽 눈의 불선명함을 얼마나 잘 억제하는가이다.7) Morgan 등8)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중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대부분의 착용자에게 선호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동공 영역 내에서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교정을 제공한다.9,10) 따라서 원거리 및 근거리 사물의 광선이 동시에 망막에 결상된 다. 일반적으로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비구면 이 있는 동심 영역 또는 영역의 조합을 사용하여 착용자 에게 다초점 특성을 제시하고, 일반 단초점 콘택트렌즈 에 비해 초점심도를 확장시킨다.11)

    일부 제조업체는 원시의 경우 중심-근용 디자인, 근 시의 경우 중심-원용 디자인 또는 원거리 우세안에 중심 -원용 디자인과 반대쪽 눈에 중심-근용 디자인으로 피 팅할 것을 권장한다.12) 혹은 낮은 가입도에서는 중심-원 용 디자인이 추천된다.13) Cakmak 등14)은 18~61세 사 이의 412명을 대상으로 박명시 상태에서 근시와 원시는 동공 직경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 르면 근시는 원시보다 약간 더 큰 동공 직경을 갖기 때문 에 박명시 상태에서 중심-근용 디자인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 착용 시 동일한 렌즈 변수 크기에서 원시보다 동공 앞쪽에 약간 더 많은 원용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것 은 중심-근용 디자인이 박명시 상태에서 원시보다 근시 에서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근시 혹은 원시에 따라서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의 추천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선행 연구15-17)에서 동시보기 디자인에 따른 콘택트렌 즈 교정시력을 비교한 연구는 이미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시보기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 용 후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양호한 콘택트렌즈 교정시 력을 갖는 낮은 가입도의 근시성 노안 대상자를 선정하 였다. 그리고 이러한 대상자에게 동시보기 디자인에 따 른 시력의 질 그리고 조절 및 버전스 반응과 관련된 시 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변수의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기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선발된 대상자는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였고 전신질 환 및 안질환이 없는 굴절이상 교정수술을 받지 않은 40대 총 13명(남성 8명, 여성 5명)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 은 46.92±5.91세 이었다. 구면 굴절력은 -3.12±0.66 D, 원주 굴절력은 -0.13±0.00 D, 가입도는 1.21±0.34 D이었다. 해당 콘택트렌즈 착용 후 원거리 양안교정시력 1.0 이상 및 근거리 양안교정시력 20/30 이상이었다. 그 리고 대상자의 동공크기는 어두운 박명시 환경인 0.30 lx 에서 5.94±0.56 mm로 측정되었다. 모든 검사과정과 규 약은 건양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번호: KYU-2020-113-01)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 과 검사방법에 대하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를 얻고 검사를 진행하였다.

    2. 방법

    1) 콘택트렌즈

    본 연구에서 사용한 콘택트렌즈는 쿠퍼비전 사의 바이 오피니티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의 동일한 변수의 동 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였다(Table 1, Fig 1). Fig 1은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제시하는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광학적 디자인이 다. 콘택트렌즈 굴절력은 포롭터(CV-5000, Topcon, Japan)를 사용한 자각식 굴절검사를 이용하여 원거리 완전 교정 굴절력 및 가입도를 결정하였다. 동공 크기는 자동굴절력계(KR 800, Topcon, Japan)의 동공측정기 기능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콘택트렌즈 피팅 상태 확인

    최소 30분 이상 콘택트렌즈를 착용 후 조명확대경 (illuminated magnifying, XingTe, China)을 사용하 여 정면 주시에서 중심안정, 눈 깜빡임 시 렌즈 움직임, 상방 및 측면 주시 상태에서 래그(lag)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푸쉬업(push up) 검사를 사용하여 피팅 상태의 가파른 정도를 확인한 후 이상적인 피팅 상태에 포함되 는 경우만 대상자로 제한하였다.

    3) 검사순서

    본 연구에서는 1차로 중심-근용 디자인의 콘택트렌 즈를 일주일간 착용 후 검사를 진행하였고, 2차로 중심 -원용 디자인의 콘택트렌즈를 일주일간 착용 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배부한 렌즈의 종류를 연구 대상자 에게 알려 주지 않았고, 1, 2차 실험 사이에 실험이 서 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7일 간의 기간을 두었다. 검사 항목으로는 조절래그, 스트레이라이트, 원거리 및 근거 리 입체시력, 원거리 및 근거리 수평사위 교정 값, 근거 리 BI 및 BO 버전스, 원거리와 중간, 근거리 자각적 시 력 만족도를 검사하였다.

    (1) 조절래그

    검영기(HEINE BETA 200 LED Retinoscope, HEINE Optotechnik GmbH & Co. KG, Germany)를 사용하여 MEM 동적검영법을 사용하여 조절래그를 측 정하였다.

    (2) 스트레이라이트(stray light)

    C-quant(C-quant stray light meter, Oculus GmbH, Wetzlar, Germany)를 사용하여 스트레이라이 트 값을 측정하였다. 광학적 매체로서 안구는 눈 내부의 산란을 통해 빛의 분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빛의 분산을 '스트레이라이트'라고 하며 증가할수록 시력의 질 은 저하된다고 보고되었다.19)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스트레이라이트 값을 측정하 여 눈부심 지표로 사용하였다.

    (3) 원, 근거리 입체시력

    원거리는 원거리 란도트 입체시검사(Distance Randot Stereotest, STEREO OPTICAL CO.,INC., USA)를 사용 하여 측정하였고, 근거리는 티트무스 입체시검사(Titmus stereo test, STEREO OPTICAL CO.,INC., USA)의 원 형시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원, 근거리 수평사위 교정 값

    원거리 사위 교정 값은 포롭터(CV 5000, Topcon, Japan)와 연동된 LCD 차트(PC-50, Topcon, Japan)의 편광십자시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근거 리 사위 교정 값은 폰 그라페 프리즘 분리법을 사용하 여 측정하였다.

    (5) 근거리 BI 및 BO 버전스

    HTS(Home Therapy System) iNet을 사용하여 측 정하였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모니 터 기반 환경에서 안구 운동을 훈련할 수 있는 시기능 훈련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모니터 및 적청안경, 자판 방 향키를 사용하여 실시하며, 근거리 BI 및 BO 최대 버전 스를 측정할 수 있다(Fig. 2).

    (6) 원거리와 중간, 근거리 자각적 시력 만족도

    일상생활에서의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에서의 자 각적 시력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5점 척도(5점: 매우 만족, 4점: 만족, 3점: 보통, 2점: 불만족 1점: 매우 불 만족)로 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3. 통계 처리

    측정값의 분석은 SPSS 18.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고,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동시 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의 측정 값 및 설문조 사 결과 비교는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사용하 였다. 분석 결과는 p-value가 p<0.050일 경우 통계적 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Ⅳ. 결 과

    1. 콘택트렌즈 교정시력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근거리 교정 시력은 각각 0.72±0.12, 0.70±0.09 이었고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원거리 교정시력은 모두 1.00±0.00 이었다(Table 2).

    2. 조절래그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각각 0.73±0.15, 0.75±0.15 D 이었고,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Table 3).

    3. 스트레이라이트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각각 1.29±0.21, 1.28±0.17 이었고,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Table 4).

    4. 원, 근거리 입체시력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근거리 입 체시력은 각각 76.15±40.93, 90.77±94.82" 이었고, 중심-근용 디자인에서 더 양호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 원거리 입체시력은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 인 착용 후 각각 75.38±20.25, 69.23±17.53" 이었 고, 중심-원용 디자인에서 경미하게 더 양호했지만 유 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5).

    5. 원, 근거리 수평사위 교정 값

    근거리 수평사위 교정 값은 –6.54±4.05 △이었고,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각각 – 6.77±4.55, -6.42±4.05 △이었다. 중심-근용 디자 인 착용 후 외사위 교정 값이 경미하게 증가하였고, 중 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외사위 교정 값이 경미하게 감 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6).

    원거리 수평사위 교정 값은 –1.04±1.20 △이었고,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각각 – 0.81±1.76, -1.00±1.29 △로 중심-근용 디자인 착 용 후 외사위 교정 값이 경미하게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7).

    6. 근거리 BI 및 BO 버전스

    근거리 BI 버전스는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각각 13.27±5.14, 13.04±5.27 △으로 중심- 근용 디자인에서 경미하게 더 증가하였지만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Table 7). 근거리 BO 버전스는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각각 21.15±10.27, 23.27±9.96 △으로 중심-원용 디자인에서 경미하게 더 증가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8).

    7. 원거리와 중간, 근거리 자각적 시력 만족도

    원거리 자각적 시력 만족도는 중심-근용 및 중심-원 용 디자인 착용 후 각각 2.77±1.01, 3.54±1.05로 중 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중간거리 자각적 시력 만족도는 중심- 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각각 3.23±1.36, 3.00±0.82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거리 자각적 시 력 만족도는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후 각각 3.77±1.01, 2.77±1.09로 중심-근용 디자인 착 용 후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able 9).

    Ⅴ. 고 찰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20)에 따르면 동시이미지 혹은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란 서로 다른 시각거리에 대해 렌즈의 기능이 렌즈 움직임에 의존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굴절 영역이 지속적으로 동공 앞에 위치하는 것 을 의미한다. 이 때 착용자는 흐린 이미지는 억제하고 주어진 거리에서 가장 선명한 이미지를 선택한다. 이러 한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성능은 다양한 요인 에 영향을 받으며 동공 크기, 중심안정 등이 포함된 다.21,22) 중심-근용 디자인은 비정시와 관계없이 자각적 인 수용차원에서 양쪽 눈에 선호될 수 있다. 이것이 가 능한 이유는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로 볼 때 동 공의 상호 작용과 변화하는 조명 조건이 큰 영향을 미치 기 때문이다. 즉, 가까이에서 볼 때 특히 이상적으로 밝 은 빛과 결합할 때 동공이 작아지고 중앙에 위치한 근용 부 영역을 사용하며 원치 않는 주변 영역의 원용부 이미 지는 억제된다. 그리고 원거리를 볼 때에는 동공이 확장 된 상태에서 렌즈 주변부에 위치한 원용영역은 원거리 시각을 위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비구면 디자인의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렌 즈 중앙에서 주변으로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변경되고, 이 러한 다초점 특성을 통해 단초점 콘택트렌즈보다 상대적 으로 초점심도가 확장된다.11) 노안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비구면 디자인의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기능 중 하나는 초점심도를 확대하는 것이므로 노안의 조절력 감소 효과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23) 비구면 디자인의 중심-근용의 경우 렌즈 중심에서 가장 높은 플러스 굴절 력을 갖고 렌즈 주변부에서 음의 구면수차를 통해 굴절력 을 감소시키며, 비구면 디자인의 중심-원용의 경우 렌즈 중심부에서 가장 낮은 플러스 굴절력을 갖고 렌즈 주변부 에서 양의 구면수차를 통해 굴절력을 증가시킨다.23,24)

    본 연구에 사용된 바이오피니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로 구면 및 비구면 광학에 기반을 두어 일정한 영역을 사용하여 중심-근용 및 중심- 원용 렌즈를 생성한다.25) 원용 렌즈는 원거리 시각을 위한 직경 2.3 mm의 구면 중앙 영역으로 형성되고, 5.0 mm의 비구면 고리모양 영역과 8.5 mm의 구형 고리모양 영역으 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두 영역에서 가입도 굴절력이 증가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5) 그리고 근용 렌즈는 1.7 mm 의 구면 중앙 영역으로 근거리 시각에 관여하고, 5.0 mm 비구면 고리모양 영역 및 8.5 mm 구면 고리모양으로 둘 러싸여 있으며 이 두 영역에서 가입도 굴절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5) Plainis 등26)은 바이오피니티 중심 -원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프로파일(power profiles)을 분석한 결과 반경 1.5 mm의 중앙 원형 영역 은 일정한 굴절력을 가지며, 중앙 주변 부위에 굴절력이 선형으로 증가하는 두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고 보고하 였다. 콘택트렌즈 디자인, 동공 크기, 중심안정 등은 초점 심도와 망막 이미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다.27,28) Vasudevan 등25)은 서로 다른 제조사의 두 개 제 품의 중심-원용 디자인과 한 개 제품의 중심-근용 디자 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조절반응에서 렌즈 간 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가입도 굴절 력이 낮은 경우 조절반응은 렌즈 유형 사이에서 크게 다르 지 않았다고 보고되었다.29)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변수의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근거리에서 조절반응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MEM 검영법을 통해 조절래그를 양안 관찰 조건에서 측 정한 결과 렌즈 디자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 따라서 동일한 변수의 두 디자인 사이에서 조절반응의 차이는 없었으므로, 동시보기 디자인 차이에 따른 근거리 에서 초점심도의 확대 차이는 없다고 생각된다.

    랜덤 도트 입체시검사는 단안의 단서가 없으며 피검 자 입장에서 입체도형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유추할 방법 이 없기 때문에30), 입체시검사를 포함한 노안 콘택트렌 즈에 대한 연구는 랜덤 도트(Random dot) 입체시검사 를 많이 사용한다.31-33) 다초점 콘택트렌즈는 모노비전 보다 더 나은 입체시를 제공하기 때문에 일부는 노안 교 정을 위해 모노비전보다 다초점 콘택트렌즈를 선호한 다.25) Vasudevan 등25)은 서로 다른 제조사의 두 개 제 품의 중심-원용 디자인과 한 개 제품의 중심-근용 디자 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원, 근거리 입체시검 사에서 렌즈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Lee 등17)은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의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근거리 입체시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원거리 랜덤 도트 입체시검사 및 근거 리 티트무스 원형시표 입체시검사에서 중심-근용 및 중 심-원용 디자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중심-근용 디자인에서는 근거리 입체시력, 중심-원용 디자인에서 는 원거리 입체시력이 상대적으로 더 양호한 경향을 보 였다.

    Madrid-Costa 등34)은 서로 다른 제조사의 중심-근 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렌즈 유형 간에 원, 근거리 대비감도 검사에서 유의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대비감도와 눈부심 감도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5) 본 연 구에서는 스트레이라이트를 눈부심감도의 지표로 사용 하였고, 스트레이라이트의 증가는 시력의 질을 저하시킨 다.36,37) 본 연구에서 스트레이라이트 값은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각각 의 값들은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연령 별 스트레이라이트 값 범위에 포함되었다. 따라서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간에 시력의 질 차이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Lee 등38)은 비노안 근시 대상자에게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원거리 단초 점 콘택트렌즈 착용 후 근거리 사위 교정 값은 렌즈 유 형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멀티포컬 콘택트렌 즈 착용 시 외사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고하였다. 노안 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도 원, 근거리 사위 교정 값 은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근거리 사위 교정 값은 중심-근용 디자인 착용 후 착용 전보다 상대적으로 외사위가 경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심-근용 디자인에서 근거리 주시의 경우 축동되면서 동공이 차지하는 원용부 영역이 감소하 면서 가입도 효과가 강조되어 외사위가 경미하게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근거리 BI 및 BO 버전스도 중심-근 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렌즈 디자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미한 증 감의 차이는 근거리 외사위 변화량에 영향을 받은 것으 로 생각된다.

    Lee 등17)은 서로 다른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법에 따른 렌즈 착용 후 주시거리에 따른 전반적인 시력 만족 도 설문조사 결과 원거리에서는 중심-근용 디자인, 중 심-원용 디자인, 수정된 모노비전 순으로 높았고, 근거 리에서는 수정된 모노비전, 중심-원용 디자인, 중심-근 용 디자인 순으로 높았다고 보고하였다.17) 또한 원거리 시력만족도는 야외광고, TV를 볼 때, 운동을 할 때에는 양안에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을 착용할 때 높 았고, 야간 운전 시에는 중심-원용 디자인 착용 시 높았 으며, 신문, 영수증을 볼 때의 근거리 시력만족도는 수 정된 모노비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17) 따 라서 시각적 요구에 따라 렌즈 디자인의 적합성이 다른 것으로 보고하였다.17)

    본 연구에서는 동시보기 디자인 차이에 따른 자각적 인 시력 만족도 차이는 없었다.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적 은 대상자 수와 상대적으로 세분화되지 않은 설문 항목 에 따른 차이가 만족도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 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낮은 가입도의 근시성 노안 의 경우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디자인 차이에 따른 스트레이라이트, 입체시력, 조절래그, 수평사위, 근 거리 버전스, 자각적 시력 만족도 관련한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낮은 가입도의 근 시성 노안에서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디자인에 따른 시기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관련된 연 구에서는 더 많은 대상자에 대해 진행이 되었으면 한다.

    Ⅵ.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낮은 가입도의 근시성 노안을 대상으 로 동일한 변수의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동시보기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력의 질 그리고 조절 및 버전스 반응과 관련한 시기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낮은 가입도의 근시성 노안에서 동시보 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디자인 선택 시 참고자료로 활 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cknowledgement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Konyang University Research Fund in 2020.

    Figure

    KJVS-23-1-21_F1.gif

    Two different optical designs (D and N).18)

    KJVS-23-1-21_F2.gif

    The method of near vergence measurement.

    Table

    Lens specification of contact lenses used in this study

    Distance and near visual acuity after wearing center near and center distance multifocal contact lenses

    Accommodative lag after wearing center near and center distance multifocal contact lenses

    Stray light value after wearing center near and center distance multfocal contact lenses

    Near and distance stereoacuity after wearing center near and center distance multifocal contact lenses

    Near horizontal phoria before and after wearing center near and center distance multifocal contact lenses

    Distance horizontal phoria before and after wearing center near and center distance multifocal contact lenses

    Near BI and BO vergence after wearing center near and center distance multifocal contact lenses

    Subjective satisfaction of overall vision after wearing center near and center distance multifocal contact lenses for 1 week

    Reference

    1. Contact Lens Spectrum: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in 2019, 2019, Available at https://www.clspectrum.com. Accessed December 10, 2020. https://www.clspectrum.com/issues/2020/january-2020/international-contact-lens-prescribing-in-2019
    2. Contact Lens Spectrum: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in 2016-Our 16th report in Contact Lens Spectrum outlines the latest trends in contact lens prescribing around the world, 2017, Available at https://www.clspectrum.com. Accessed January 1, 2021. https://www.clspectrum.com/issues/2017/january/international-contact-lens-prescribing-in-2016
    3. The Korea Optical News: A survey on the drop out rate and wearing schedule of contact lens wearers, 2019, Available at http://www.opticnews.co.kr. Accessed December 15, 2020.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021
    4. The Korean Optical News: Multifocal rival, 2017. Available at http://www.opticnews.co.kr. Accessed December 19, 2020.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150
    5. Llorente-Guillemot A, García-Lázaro S et al.: Visual performance with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Clin Exp Optom. 95(1), 54-59, 2012.
    6. Johannsdottir KR, Stelmach LB: Monovision: A review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Optom Vis Sci. 78(9), 646-645, 2001.
    7. Evans BJ: Monovision: A review. Ophthalmic Physiol Opt. 27(5), 417-439, 2007.
    8. Morgan PB, Efron N et al.: An international survey of contact lens prescribing for presbyopia. Clin Exp Optom. 94(1), 87-92, 2011.
    9. Peyre C, Fumery L et al.: Comparison of high-order optical aberrations induced by different multifocal contact lens geometries. J Fr Ophtalmol. 28(6), 599-604, 2005.
    10. Fisher K, Bauman E et al.: Evaluation of two new soft contact lenses for correction of presbyopia: The focus progressives multifocal and the Acuvue Bifocal. Int Contact Lens Clin. 26(4), 92–103, 2000.
    11. Contact Lens Spectrum: Simultaneous visionthe science behind the art, 2010, Available at https://www.clspectrum.com. Accessed December 29, 2020. https://www.clspectrum.com/supplements/2010/march-2010/presbyopia-opportunity/simultaneous-vision-the-science-behind-the-art
    12. Fielmann Akademie Kolloquium: Neue konzepte bei multifokalen kontaktlinsen, 2018, Available at https://www.fielmann-akademie.com. Accessed December 10, 2020. https://www.fielmann-akademie.com/fileadmin/user_upload/schloss-ploen-fielmann-akademie/PDF-Kolloquien/Fielmann_Kolloquium_40.pdf
    13. Biofinity Multifocal Lens Fitting Guidelines: A simplified fitting philosophy, 2021. Available at https://coopervision.com/practitioner. Accessed December 10, 2020. https://coopervision.com/sites/coopervision.com/files/practitioner-fitting-guides/1131_biofinity_mf_fitting_guide_4.15_mech.pdf
    14. Cakmak HB, Cagil N et al.: Refractive error may influence mesopic pupil size. Curr Eye Res. 35(2), 130-136, 2010.
    15. Madrid-Costa D, García-Lázaro S et al.: Visual performance of two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Ophthalmic Physiol Opt. 33(1), 51-56, 2012.
    16. Llorente-Guillemot A, García-LazaroS et al.: Visual performance with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Clin Exp Optom. 95(1), 54-59.
    17. Lee MJ, Jang HS et al.: Evaluation of visual performance according to multifocal contact lens prescription methods in presbyopia. Korean J Vis Sci. 22(4), 397-407, 2020.
    18. Biofinity Multifocal: Balanced progressive technology, 2021. Available at https://coopervision.com. Accessed January 10, 2021. https://coopervision.com/product-technology/balanced-progressive-technology
    19. Beirne RO: Macular pigment levels do not influence C-Quant retinal straylight estimates in young Caucasians. Clin Exp Optom. 97(2), 171-174, 2014.
    20.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 Ophthalmic optics-contact lenses, Part 1: Vocabulary, classification system and recommendations for labelling specifications. ISO 18369-1:2006. Geneva, Switzerland: ISO, 2006. https://www.iso.org/obp/ui/#iso:std:iso:18369:-1:ed-2:v2:en
    21. Zandvoort SW, Kok JH et al.: Good subjective presbyopic correction with newly designed aspheric multifocal contact lens. Int Ophthalmol. 17(6), 305-311, 1993.
    22. Bullimore MA, Jacobs RJ: Subjec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of soft bifocal contact lens performance. Optom Vis Sci. 70(6), 469-475, 1993.
    23. Pérez-Prados R, Piñero DP et al.: Soft multifocal simultaneous image contact lenses: A review. Clin Exp Optom. 100(2), 107-127, 2017.
    24. Jane V, John M et al.: Essential contact lens practice, 1st ed., Edinburgh, Butterworth Heinenmann, pp. 55-56, 2002. https://www.amazon.com/Essential-Contact-Lens-Practice-MCOptom/dp/0750649127
    25. Vasudevan B, Flores M: Objective and subjective visual performance of multifocal contact lenses: Pilot study. Cont Lens Anterior Eye 37(3), 168-174, 2014.
    26. Plainis S, Atchison DA et al.: Power profiles of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their interpretation. Optom Vis Sci. 90(10), 1066-1077, 2013.
    27. Borish IM: Pupil dependency of bifocal contact lenses. Am J Optom Physiol Opt. 65(5), 417-423, 1988.
    28. Baude D, Miège C: Presbyopia compensation with contact lenses-A new aspheric progressive lens. J Br Contact Lens Assoc. 15(1), 7-15, 1992.
    29. Montées-Micóo R, Madrid-Costa D et al.: Accommodative functions with multifocal contact lenses: A pilot study. Optom Vis Sci. 88(8), 998–1004, 2011.
    30. Blakemore C, Julesz B: Stereopsis depth after effect produced without monocular cues. Science 171, 386-388, 1971.
    31. Gupta N, Naroo SA et al.: Visual comparison of multifocal contact lens to monovision. Optom Vis Sci. 86(2), 97-105, 2009.
    32. Richdale K, Mitchell GL et al.: Comparison of multifocal and monovision soft contact lens corrections in patients with low-astigmatic presbyopia. Optom Vis Sci. 83(5), 266-273, 2006.
    33. Ferrer-Blasco T, Madrid-Costa D: Stereoacuity with balanced presbyopic contact lenses. Clin Exp Optom. 94(1), 76-81, 2011.
    34. Madrid-Costa D, García-Lázaro S et al.: Visual performance of two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Ophthalmic Physiol Opt. 33, 51-56, 2013.
    35. Maniglia M, Thurman SM: Effect of varying levels of glare on contrast sensitivity measurements of young healthy individuals under photopic and mesopic vision. Front Psychol. 9(899), 1-4, 2018.
    36. IJspeert JK, De Waard PW et al.: The intraocular straylight function in 129 healthy volunteers; Dependence on angle, age and pigmentation. Vision Res. 30(5), 699-707, 1990.
    37. Van Den Berg TJ, Van Rijn LJ et al.: Straylight effects with aging and lens extraction. Am J Ophthalmol. 144(3), 358-363, 2007.
    38. Lee JY, Kim SR et al.: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 and vision satisfaction in their twenties according to the design difference of multifocal soft contact lenses. J Korean Oph Opt Soc. 22(4), 459-467,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