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3 No.1 pp.41-50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1.23.1.41

Analysis on Accommodative Function and Change of Phoria due to Noise Stress

Bong-Hwan Kim1), Sun-Hee Han1), Jae-Joon Park2), Gwang-Hae Kim2), Geun-Hee Park2), Jeong-Beop An2), Hyeong-Su Kim1)*
1)Dept. of Optometry,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Professor, Ulsan
2)Dept. of Optometry,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Student, Ulsan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eong-Su Kim Dept. of Optometry,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Ulsan TEL: +82-52-270-0331, E-mail: khs@ch.ac.kr
February 15, 2021 March 23, 2021 March 23, 202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from noise on various visual functions.



Methods : Sixty young adults (23.12±1.26 years) with no eye diseases, surgical history, and eye movement abnormalities were involved. Before and after exposure to noise, Perceived Stress Scale (PSS), accommodative amplitude, response of accommodation, distance and near phoria, and NITBUT were measured.



Results : After exposure to noise stress, the PSS was increased. While the accommodative amplitude, the response of accommodation, and NITBUT were decreased, the distance and near phoria were increased. After exposure to noise stress, the perceived stress scale increased. The accommodative amplitude measured by the push-up and minus lens addition method and response of accommodation decreased. While the NITBUT also decreased, the distance and near phoria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noise stress affects visual function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the optometry clinic environment so that noise stress caus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oes not occur during refraction test and visual function evaluation.



소음 스트레스로 인한 조절기능 및 사위량 변화 분석

김 봉환1), 한 선희1), 박 재준2), 김 광해2), 박 근희2), 안 정법2), 김 형수1)*
1)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울산
2)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 울산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Ⅰ. 서 론

    인체에는 5가지의 감각기관이 존재하는데, 감각기관 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뉴런을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감각기관 중 소리의 경우 청각기 관인 귀로 감지되며, 소리를 청취 했을 때 이로운 소리 뿐만 아니라 불쾌한 소리도 존재하는데, 이 때 사람이 원하지 않는 불쾌한 소리를 소음이라 한다.1)

    사람에 따라서 소음에 반응하는 정도는 다르게 나타 나며, 소음에 민감한 사람의 경우 수면방해, 심장병 등 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러한 소음은 두뇌에서 소리를 처리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며, 지속된 소리보다는 새롭게 발생한 소리에 더 크게 반응한다. 소음은 단순히 소리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신물리학적 정보로 작용한다는 점 에서 큰 의미가 있다.3) 또한 소음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뇌기능의 변화를 초래한다면 단순히 청각시스템만의 문 제가 아니라 우리의 시각체계에도 다양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4)

    현대사회는 점차 육체노동에서 정신노동으로 대체되 고 있으며, 생활환경 속에서의 발생하는 소음은 집중력 을 저하시키고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 져 있다.5) 소음으로 인해 흥분 수준이 증가하게 되면 주 의력이 감소되고,6) 소음을 처리하는 동안 뇌기능의 과부 하로 작업능률 또한 저하될 수 있다.7) 이처럼 여러 연구 결과들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소음이 다양한 신체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공통된 의견 이다.8)

    인간은 주위 환경에 따라서 어떠한 소리든 소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이때 소음의 발생원인은 주로 자동 차, 철도, 비행기 등과 같은 교통수단이며, 공장에서 나 는 기계음 등도 소음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러한 소음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으로써 교감신경 계를 자극하여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며 신경과민, 불쾌 감, 작업 방해 등과 같은 스트레스 반응을 보이게 된 다.9) 과도한 소음 스트레스는 생체 항상성 리듬과 생리 변화를 일으켜 내분비계의 장애뿐만 아니라 신경계의 이 상을 초래하여 인간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10) 지속적인 소음에 노출되면, 수면 장애나 정신적인 스트레스, 더 나아가 출산율 저하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11) 소음 스트레스는 학업성적, 인간관 계 및 심리 사회적 기능의 저하 등을 유발하며 신체의 회복력과 정신적 통합력이 약해져 학습장애 및 불안감을 증가시켜 삶의 질을 떨어트리기도 한다.12,13)

    소음 스트레스로 인한 영향은 눈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데, 눈의 기능 중 조절은 부교감신경계에 의하여 작용한 다. 동공 반응 및 누액 분비에 있어서 이러한 작용을 일으 키는 신경 및 구조물이 자극을 받게 되면 축동과 누액배 출의 증가를 일으키고, 눈물막 파괴시간이 짧아지며, 이 때 과도한 조절을 하게 되면 안정피로를 느끼게 된다.14)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소음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고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쳐 신체적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교감신경계 작용에 의해 크게 변 화할 수 있는 조절기능과 버전스 기능 그리고 누액분비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눈물막 파괴시간 검사를 통해 소 음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계 변화로 기인하는 다양한 시 기능적 문제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안질환 및 안구운동에 이상이 없고, 안과수 술 경험이 없으며, 스트레스 지수가 정상인 젊은 성인 60명(23.12±1.26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 참 여한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과 검사 방법에 대하여 구두 와 서면으로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를 얻고 검사를 진행 하였다.

    2. 연구 방법

    1) 소음 스트레스 유발

    헤드폰(Monster Beats by Dr.Dre Studio, Beats Electronics, California, Santa Monica, USA)과 청 력테스트 어플리케이션(e-audiologia.pl)15,16)을 이용하 여 장시간 노출하여도 난청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인 50 dB부터 80 dB까지 10 dB 간격으로 소음을 무작위 순서 로 유발시켜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소음 스트레 스 단계에 따른 검사를 시행하기 전 5분 동안 해당 소음 에 적응시킨 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주변의 소음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외부 소음이 완벽히 차단되 는 검사실을 구성하였다.

    2)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 는 10문항으로 이뤄진 체크리스트로, 5분 이내에 본인 이 직접 평가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도 표준화되어 있다. 이를 이용하여 소음 노출 전과 50~80 dB까지 무작위 순서로 소음 스트레스를 유발시킨 후 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소음 단계 평가가 종료된 후 30분간의 소음이 유발되지 않는 상태로 헤드폰을 착용 시켜 휴식을 취하도록 한 후에 다음 단계의 평가를 진행 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지난 한 달 동안 자 신이 느낀 스트레스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총점이 높을 수록 스트레스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3~15점은 경도 스트레스, 16~18점은 중등도 스트레 스, 19점 이상은 심한 스트레스로서 우울증, 불안증 검 사 및 정신과 전문의와 면담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17)

    3) 최대 조절력검사

    (1) 마이너스 렌즈 부가법(minus lens-to-blur method)

    포롭터(HDR-7000, Huvitz, Gyeonggi-do, Korea) 의 근거리 시표를 피검자의 눈으로부터 40 cm 거리에 설 치한 후, 그 시표를 계속해서 주시하게 한 상태에서 (-) 렌즈를 0.25 D씩 부가하면서 시표의 지속적인 흐림이 나 타날 때까지의 굴절력을 측정하였다. 그 후 50~80 dB 사이의 소음을 유발시키면서 같은 검사를 반복하였다.

    (2) 푸쉬업 검사법(push-up method)

    포롭터의 근거리 시표를 앞쪽 시표삽입부에 장착한 후 피검자의 눈 쪽으로 천천히 이동시켜 시표가 지속적 으로 흐린 지점의 거리(m)를 역수로 환산하여 최대조절 력을 측정하였다. 그 후 50~80 dB 사이의 소음을 유발 시키면서 같은 검사를 반복하였다.

    4) 조절반응량 검사

    자동굴절검사기(Speedy-i K-model, Righton Mfg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굴절이상도 및 조절반응 량을 측정하였다(Fig. 1). 조절반응량은 0.00 D~-3.00 D까지 0.50 D 간격으로 총 7단계로 소음 유발 전과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5) 원-근거리 사위검사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검사는 폰그라페 검사법(Von Graefe method)으로 평가하였으며, 이 때 포롭터에 원 용 완전교정 굴절력을 장입한 상태에서 우안에 6 ⧍BU 을 가입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0.5 시표를 상-하로 분리 시킨 다음 검사를 진행하였다. 0 dB에서 사위량을 측정 한 후 50~80 dB 사이의 소음 스트레스를 무작위로 유 발시키면서 같은 검사를 반복하였다. 근거리 수평사위검 사는 피검자의 40 cm앞에 시표를 위치시키고 원거리 수 평사위 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6) 비침습적 눈물막 파괴시간 검사

    비침습적 눈물막 파괴시간 검사(non-invasive tear break-times, NITBUT)는 각막지형도 검사기(Cornea 550 Topograph, Essilor, Vincennes, France)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다(Fig. 2). 먼저 단안에 3회씩, 양안을 총 6회를 측정하여 평균을 사용하였고, 소음 스트레스를 받 기 전과 후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50~80 dB 사이의 소음을 무작위 순서로 유발시키며 검사를 반복하였다.

    7) 통계처리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 며, SPSS version 20.0(SPSS Inc, Chicago, IL, USA) 을 사용한 t-test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분석하였고, 반복측정 ANOVA 분석을 통해 최대조절력, 조절반응량, 원-근거리 사위량, 비침습적 눈물막 파괴시간에 대한 분 석을 시행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0을 적용하였다.

    Ⅲ. 결 과

    1.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소음을 유발하기 전 스트레스 정도는 17.67±4.22점 이었으며, 소음을 유발시킨 후에는 그 소음 스트레스의 강도에 따라서 점차 증가하여 80 dB에서는 22.80±3.90 점까지 상승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Table 1).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은 다양하겠지만, 단순히 소음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최대조절력 변화 비교

    푸쉬업 검사법으로 측정된 최대조절력 검사 결과는 Table 2와 Fig. 3에 제시하였으며, 소음 스트레스가 증 가할수록 조절력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또 한 0 dB과 비교했을 때 모든 소음 스트레스(50~80 dB) 에 대해 최대조절력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00)가 나타났지만 60~80 dB 사이에서 측정된 최대조절력 결과만을 비교했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747).

    마이너스 렌즈 부가법으로 측정된 최대조절력 검사 결 과에서도 소음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조절력은 점점 감 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또한 0 dB과 비교했을 때 모든 소음 스트레스(50~80 dB)에 대해 최대조절력은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가 나타났지만 60~80 dB 사이에서 측정된 최대조절력 결과만을 비교했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123).

    3. 조절반응량 변화 비교

    소음 스트레스에 따른 조절자극량에 대한 조절반응량 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3과 Fig. 4에 제시하였다. 소 음 스트레스의 양이 증가할수록 조절반응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절자극량의 크기가 1.50 D까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2.00 D 이상의 조 절자극량이 주어지는 경우에는 소음 스트레스가 증가함 에 따라서 조절자극량에 대한 조절반응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able 3).

    4. 원-근거리 사위량 변화 비교

    폰그라페 검사법으로 측정된 원거리 수평사위량 결과 는 Table 4와 Fig. 5에 제시하였으며, 소음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사위량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89).

    근거리 수평사위량의 경우에도 소음 스트레스가 증가 할수록 사위량도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는 않았다(p=0.362).

    5. 비침습적 눈물막 파괴시간 변화 비교

    최초 눈물막 파괴시간은 0 dB에서 8.89±4.28초, 50 dB 에서 7.59±3.06초, 60 dB에서 6.68±2.32초, 70 dB에서 5.99±2.28초, 80 dB에서 5.18±2.06초로 소음 스트레스 가 증가할수록 최초 눈물막 파괴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평균 눈물막 파괴시간의 경우에도 소음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Table 5, Fig. 6),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Ⅳ. 고 찰

    눈은 뇌를 포함한 신경계와 마찬가지로 방대한 양의 신경세포가 분포하고 있는 복잡한 기관이다. 신경세포 (뉴런)는 전기 화학적 작용에 의해 신경 자극 정보를 전 달하는 특수한 종류의 세포이다.18,19) 눈으로 인식되는 시각정보는 시신경을 통해 뇌의 1차 시각피질 영역으로 전달되며 뇌는 이러한 정보를 해석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한다.20,21)

    우리가 무언가를 보려고 할 때, 뇌에서 전달된 신경자 극에 의해 눈 근육을 수축시키거나 이완시켜 그 방향으 로 눈을 움직이게 한다. 전체적인 시각화 과정에서 우리 의 눈과 신경계가 정상적으로 기능한다면 문제가 없겠지 만 신체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러한 신경전달 체계에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스트레스 반응은 모든 생리적, 정신적, 감정적 변화를 유발하여 신체에 스트레스를 주게 되며, 이로 인해 위험 을 감지할 수 있는 감각을 높이고, 신체가 부상에서 쉽 게 회복할 수 있도록 근육을 긴장시키며, 신경계와 신체 가 스트레스 요인에 더 빠르게 반응할 수 있도록 뉴런의 활동을 증가시키다.22) 결국 소음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되면 눈 속 섬모체 등의 불수의근의 긴장도도 증가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결국은 가용할 수 있는 최대조절력 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한 소음 스트레스는 일정하게 주어지는 조절자극량에 대 한 신경전달의 손실로 작용하여 그 반응량의 감소로 이 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모든 변화는 스트레스 요인이나 위협에 대처 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발적인 반응이며 이로 인해 시각적인 변화도 초래할 수 있다.23) 즉, 더 많은 시 각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동공이 확장된다거나 눈깜빡 임 횟수를 감소키고 위협에만 초점을 맞추기 위해 시야 를 축소시키기도 하며 눈의 근육으로 흐르는 혈류의 양 을 증가시키기도 한다.24)

    사위검사 결과에서 소음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서 사위량이 증가한 것은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의 긴장도 증가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즉, 소음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외안근의 긴장도 증가로 인한 긴장성 버 전스 변화에 기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심리적인 스트레스는 타액 및 눈물 생성과 관련 된 분비샘의 활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구건조증 환자에게서 스트레스 지수가 높게 나타나기 도 한다.25) 소음 스트레스로 인해 시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눈 깜빡임 횟수의 저 하는 결국 안구건조증을 유발하여 NITBUT를 감소시키 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의 경우 (1) 소음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 하는 다양한 시기능적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 어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할 만한 근거가 부족한 점, (2) 시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음 점 등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소리 자극에 대 한 2차적인 시기능 변화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 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Ⅴ. 결 론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소음 으로 인해 전반적인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음 스트레스를 받기 전에 비해 스트 레스를 받은 후에 최대조절력, 조절반응량, NITBUT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대로 소음스트레스가 증가하 게 되면 원거리와 근거리 사위량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근거리 사위량의 증가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음 스트레스의 경우 근거리 작업 시 더욱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소음 스트레스는 시기능에 다 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굴절 검사 및 시기능 평가 시 주변 환경에 의한 소음 스트레 스가 작용하지 않도록 검사실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중 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2020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research grants.

    Figure

    KJVS-23-1-41_F1.gif

    Response of accommodation test using Speedy-i (Speedy-i K-model, Righton Mfg Co. Tokyo, Japan).

    KJVS-23-1-41_F2.gif

    NITBUT using Topograph (Cornea 550, Essilor, France).

    KJVS-23-1-41_F3.gif

    Changes in amplitude of accommodation as noise stress increases (The bar represents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s).

    KJVS-23-1-41_F4.gif

    Changes in response of accommodation (D) as noise stress increases.

    KJVS-23-1-41_F5.gif

    Changes in horizontal phoria (△) as noise stress increases (The bar represents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s).

    KJVS-23-1-41_F6.gif

    Changes in NITBUT (s) as noise stress increases (The bar represents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s).

    Table

    Perceived stress scale (PSS) change by noise stress

    Changes of amplitude of accommodation (AA) by noise stress comparing between different measuring methods

    Changes of Response of accommodation (D) by noise stress

    Changes of phoria (△) by noise stress

    Changes of NITBUT (s) by noise stress

    Reference

    1. Loukzadeh Z, Shahrad S et al.: Effect of combined exposure to noise and vibration on hearing. Indian J Occup Environ Med. 23(3), 121-125, 2019.
    2. Fukushima A, Yagi R et al.: Frequencies of inaudible high-frequency sounds differentially affect brain activity: Positive and negative hypersonic effects. PLoS One 9(4), e95464, 2014.
    3. Oohashi T, Nishina E et al.: Inaudible high-frequency sounds affect brain activity: Hypersonic effect. J Neurophysiol. 83(6), 3548-3558, 2000.
    4. Münzel T, Sørensen M et al.: The adverse effects of environmental noise exposure on oxidative stress and cardiovascular risk. Antioxid Redox Signal. 28(9), 873-908, 2018.
    5. Maffei L, Iachini T et al.: The effects of vision-related aspects on noise perception of wind turbines in quiet area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0(5), 1681-1697, 2013.
    6. Zijlema WL, Kluizenaar Y et al.: Associations between road traffic noise exposure at home and school and ADHD in school-aged children: The trails study.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30(1), 155–167, 2021.
    7. Khajenasiri F, Zamanian A et al.: The effect of exposure to high noise levels on the performance and rate of error in manual activities. Electron Physician 8(3), 2088-2093,2016.
    8. Westman JC, Walters JR: Noise and stress: A comprehensive approach. Environ Health Perspect. 41, 291–309, 1981.
    9. Kim AR, Sung JH et al.: Effects of self-reported sensitivity and road-traffic noise levels on the immune system. PLoS One 12(10), e0187084, 2017.
    10. Thorpy MJ: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Neurotherapeutics 9(4), 687-701, 2012.
    11. Basner M, Babisch W et al.: Auditory and non-auditory effects of noise on health. Lancet 383(9925), 1325-1332, 2014.
    12. Beebe DW, Wells CT et al.: Neuropsychological effects of pediatric obstructive sleep apnea. J Int Neuropsychol Soc. 10(7), 962-975, 2004.
    13. Stansfeld S, Clark C: Health effects of noise exposure in children. Curr Environ Health Rep. 2(2), 171–178, 2015.
    14. Hyon JY, Yang HK et al.: Association between dry eye disease and psychological stress among paramedical workers in Korea. Sci Rep. 9(1), 3783, 2019.
    15. Masalski M, Kipiński L et al.: Hearing tests on mobile devices: Evaluation of the reference sound level by means of biological calibration. J Med Internet Res. 18(5), e130, 2016.
    16. Masalski M, Kręcicki T: Self-test web-based pure-tone audiometry: Validity evaluation and measurement error analysis. J Med Internet Res. 15(4), e71, 2013.
    17. Lee ES, Shin HC et al.: Development of the perceived stress inventory: A new questionnaire for Korean population surveys. Korean J Fam Med. 36(6), 286-293, 2015.
    18. Bear MF, Connors BW et al.: Neuroscience: Exploring the brain, 4th ed., Burlington, Jones & Bartlett Learning, pp. 126-137, 2015.
    19. Karikari TK: Neuroscience for kids: Online resources that promote student engagement, teaching and learning about the brain. J Undergrad Neurosci Educ. 13(2), R14-R15, 2015.
    20. Son JB, Lee SH et al.: A study on visual fatigue and binocular visual function before and after watching VR image. Korean J Vis Sci. 21(4), 535-552, 2019.
    21. Kim JB, Hwang JH et al.: Analysis of elderly driver’s visual function. Korean J Vis Sci. 20(4), 505-511. 2018.
    22. Teixeira RR, Díaz MM et al.: Chronic stress induces a hyporeactivity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response to acute mental stressor and impairs cognitive performance in business executives. PLoS One 10(3), e0119025, 2015.
    23. Ye KH, Cho SA: A study on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by depression and stress of students in dept. of optometry. J Korean Oph Opt Soc. 24(3), 197-203, 2019.
    24. Hannibal KE, Bishop MD: Chronic stress, cortisol dysfunction, and pain: A psychoneuroendocrine rationale for stress management in pain rehabilitation. Phys Ther. 94(12), 1816-1825, 2014.
    25. Li M, Gong L et al.: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Curr Eye Res. 36(1), 1-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