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3 No.1 pp.81-8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1.23.1.81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Optometric Clinical Practice

Kwang-Ho Shin1), In-Chul Jeon2), Hyun-Sung Leem3), Ki-Choong Mah3)*
1)Dept. of Optometry,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Professor, Yeoju
2)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Professor, Naju
3)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gnam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i-Choong Mah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262, E-mail: kcmah@eulji.ac.kr
February 25, 2021 March 26, 2021 March 28, 202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asic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a systematic clinical practice manual by comparing and
analyzing clinical practice manuals conducted by each university in optometry
and other fields.



Methods : In this study, clinical practice manuals of optometry
conducted by each university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manuals in other
fields. Clinical practice manuals of optometry were reviewed in four categories
such as procedure and application, operation standards, accreditation standards,
and operation subject while manuals in other fields were reviewed through four
categories such as introduction of clinical practice, understanding of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operation method and evaluation.



Results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linical training manuals in
each university, it was found that the procedure and utiliz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and subjects were not unified, and there was a limit to the
importance of clinical training in th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e
on-site training manuals of the four occupational groups (radiologist
technologist, physical therapist, nurse assistant an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re generally well equipped with evaluation elements and show a
unified operation method.



Conclusion :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clinical training manual
to redeem the expertise of prospective optometric students is insufficient. In
order to accumulate more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standard manual for clinical practice that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the job
of an optometrist and improve their job skills evenly.



안경광학과 임상실습 실태와 개선방향

신 광호1), 전 인철2), 임 현성3), 마 기중3)*
1)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여주
2)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나주
3)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Ⅰ. 서 론

    21세기는 과학기술과 시각화 정보가 고도로 발전하고 있 다. 현재 COVID-19로 인하여 산업 환경이 전 세계적으로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실용적 인재의 양성이 절실하다. 국내 의 료 4차 산업의 준비수준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분석 기술 의 발전과 다양한 의료 정보의 축적 및 활용으로 의료산업 이 급변하고 있다. 의료서비스는 과거 증상기반의 의료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밀의료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1)

    최근 4차 산업혁명은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역량과 협 업능력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으며 산업현장의 기술 변화로 인해 안경사들에게 통합적이고 분석적인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현장 기술의 변화로 예비안 경사들이 사회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절차에 의한 현장 실무 교육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최근 교육정책의 핵심적인 기조도 산업현장에서 필요 로 하는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는 데 있다. 일례로 2016년 1월에 발표한 교육부의 업무보고에 따르면, ‘사회수요 맞 춤형 인력 양성 및 일 학습 병행’을 상위목표로 첫째는 사 회수요 맞춤형 대학교육 강화, 둘째로 일 학습 병행제 및 선 취업, 후 진학 확산을 하위 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2)

    이러한 교육현장의 변화에 따라 예비안경사들에게도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기술이 요구되면서 체계적인 교육 에 대한 요구는 계속 높아졌다. 특히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안경사로서 국민의 건강증진에 필요한 사 업을 기획하고 수행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종합적으로 기를 수 있도록 학습 목표와 방법을 재정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안경사 직무를 사전 체험하 고 직무능력이 고루 향상될 수 있는 임상실습 표준 매뉴 얼의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하다.3) 현재 안경광학과 현장 실습은 대학마다 현장실습 절차와 기준 등이 다르고 현 장실습 교육내용도 제각기 다르므로 실무에서 현실적으 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현장실습 매 뉴얼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장실습은 전공 분야와 관련된 직종에 대하여 사전 체 험과 실습을 통해 자신의 소질과 적성, 전공 능력에 맞는 직업선택 능력 향상과 기회를 제공하며, 전문기술 인력 양 성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물리치료사, 방사 선사, 안경사는 의사, 간호사보다 현장실습 기간이 짧다.4)

    2019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4)에 따르면 한국 사회에서 보건의료인력 전반에 걸쳐 보건의료 측면에 서 업무 범위 갈등 및 종별 불균형, 과목 쏠림 현상이 발생 하고 있고 교육체계 측면에서는 교육평가프로그램이 부족 하고 이로 인한 서비스 질 하락이 우려되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양질의 보건의료인 확보를 위하여 현장실습 기간 및 전공능력 향상을 위해 균형적인 교육, 재교육 인프라 구축과 보건의료인의 포괄적인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을 위하여 직종별 실습운영 매뉴얼 종합계획 수립방 안이 필요하다고 하였다.3)

    본 연구에서는 대학별로 실시하고 있는 안경광학과 현장실습 매뉴얼과 타 분야의 매뉴얼을 비교·분석하여 체계적인 현장실습 매뉴얼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이러한 정보는 앞으로 안경광학과 현장실습 운영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 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Ⅱ. 대상 및 방법

    구글스칼라(Google Scholar),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코리아스칼라(Korea Scholar), 디비피아(DBpia)를 통 해 학술지 및 학위 논문을 검색하고 수집하였으며, 보건복 지부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보건의료인지원법, 교육부 (2017)에서 제시한 대학현장실습운영매뉴얼 등을 참조하 였다. 모든 문헌의 조사는 2020년 8월 1일부터 2021년 2 월 1일까지 수행하였다. 보건의료지원법에 준거된 보건 의료인력과 안경광학과 4개 대학 현장실습일지와 방사선학 과 임상실습서(대학서림, 2019년 출판), 물리치료 임상실 습 지침서(현문사, 2019년 출판), 응급구조학 응급의료기 관 실습지침서(룩스, 2017년 출판), 대상자 간호를 위한 실무지침서(은하출판사, 2019년 출판)를 비교·분석하였 다. 안경광학과 현장실습 매뉴얼을 학제별·지역별로 안배 하여 수도권 지역 4년제 1개 대학, 3년제 1개 대학과 비수 도권지역 4년제 1개 대학, 3년제 1개 대학을 조사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기타 보건의료인 현장실습 체계

    보건의료산업의 기술변화에 따른 보건의료인의 특성 에 맞게 통합적이고 분석적인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보건의료인의 교육체계를 향상하기 위해 현장실습 실태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등교육법상 현장실습은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수업의 한 방법으로 법상 수업 운영과 학점인정에 대한 권한은 원칙적으로 단위학교에 있다. 실습기관은 현장실 습생의 전공과 기술을 고려하여 직무를 배정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실습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1)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현장실습 체계

    의사, 간호사는 현장실습형태 ‘현장실습수업(인턴십)’ 을 시행하고 학교 내 학칙으로 정해지며 현장실습 기간 은 평균 6개월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간호조무사는 고 등학교 졸업자라면 인가받은 학원에서 740시간의 교육 과 780시간의 실습을 받아야 한다.

    2) 약사 현장실습 체계

    약사는 현장실습형태 학교 내 학칙으로 정해지며 평 균 현장실습시간은 필수실무실습 20주와 심화실무실습 15주로 유지하고 있다.

    3)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및 안경사 현장실습 체계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안경사 등은 학기 중 또는 방 학 중에 현장실습(수업)으로 시행하고 현장실습 수업 기 간은 학교 내 학칙으로 정해지며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안경사의 현장실습 기간은 평균 8주(320시간)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4) 응급구조사 현장실습 체계

    응급구조사는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있다. 2급 응급 구조사는 주로 국가기관에서 양성하며 1급 응급구조사 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응급구조학을 전공하고 현장 실습 수업 기간은 학교 내 학칙으로 평균 170시간을 유 지하고 있다.

    5) 영양사 현장실습 체계

    영양사는 대학교 또는 전문대학교에서 ‘식품학 또는 영양학’을 전공하고 현장실습 수업 기간은 학교 내 학칙 으로 평균 2주간 유지하고 있다.

    대학 현장실습운영매뉴얼은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 사, 방사선사, 안경사, 응급구조사 학교 내 현장실습 운 영 가이드라인을 다음과 같이 따르고 있고 간호조무사는 간호조무사 교육훈련기관 지정·평가계획 제도에 따라 실무관련 지침을 따르고 있다(Table 1).

    2. 타 직군 현장실습 매뉴얼

    본 연구에서 2017년 교육부의 대학 현장실습 운영매 뉴얼5)을 크게 현장실습 소개, 현장실습의 이해, 현장실 습 운영방법, 현장실습 평가로 범주화하여 다음과 같이 비교·분석하였다(Table 2).

    1) 현장실습 소개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간호조무사 및 응급구조사 매 뉴얼에서 현장실습의 목적과 정의가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다. 현장실습 교육은 실무능력을 키우는 것이기 때문 에 목적과 정의가 제시되지 않으면 방향성과 학습의 내 용도 불분명해지고 장황해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분석된 4개 대학의 현장실습 매뉴얼 의 경우, 이러한 목적과 정의를 설명하였지만 타 직종 4개 직군에 비해 제대로 제시되지 않거나 다루어지더라도 불분 명하고 애매하게 설명된 경우가 있었다. 즉 4개의 타 직군 의 경우 전반적인 목표뿐만 아니라 세부사항별로 구체적인 목적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4개 안경광학과의 현장실습 매 뉴얼에는 전반적으로 목적 자체가 제시되어 있지 않거나 제 시되어 있더라도 매우 추상적인 표현을 쓰고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사 매뉴얼의 경우 각 세부영역에 따 라서 구체적인 임상목적을 제시하고 있다. 현장실습 목 적을 제시하는 D 대학의 경우 기술향상, 직업 윤리관 확 립, 직업인으로서의 가치관 확립과 같은 추상적인 표현 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대학별로 표준화된 현 장실습 매뉴얼을 개발하는 경우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기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2) 현장실습의 이해

    운영원칙과 기준, 검사 및 평가도구, 그리고 체크리스트 와 관련하여 방사선사와 응급구조사의 현장실습 매뉴얼은 잘 갖춰져 있지만, 물리치료사는 체크리스트가, 간호조무사 는 운영원칙과 기준이 누락되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4개 대학의 안경광학과 매뉴얼은 운영원칙과 기준, 검사 및 평가도구를 포함하고 있지만 체크리스트는 미흡한 상황이다. 예를 들어, 간호조무사의 현장실습 매뉴얼의 경 우 병원실습 체크리스트는 병동 관련 15개 내외, 검사는 7 개 내외, 수술은 5개 내외로 구체적으로 평가 기준이 제시 되어 있다. 그리고 방사선사의 경우 세부항목별로 여러 개 의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반면에 체크리스트를 갖춘 B 대학의 경우 직무수행 평가 4개 기준이 전부이다.

    3) 현장실습 운영방법

    현장실습규정, 현장실습서약서, QR(Quick Response) 시스템, 동영상 강의, 현장실습 운영기관, 현장실습 운영 시 주의사항 등과 관련하여 방사선사의 경우 동영상 강의 를 제외한 모든 요소를 잘 갖추고 있으며, 물리치료사의 경우 동영상과 QR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간호조무사는 현장실습규정과 현장실습 서약서를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급구조사의 경우 QR 시스템과 동영상 강의를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전반적인 운영방법은 비슷하였으나 QR 시스템, 동영상 강의에서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안경광학과 4개 대학 모두 QR 시스템과 동영상 강의가 포함되어 있지 않 았다. 안경사 업무는 대부분 실무 위주로 행해지고 있어서 QR 시스템과 동영상 강의를 포함한 실습이 이루어지면 실 무능력의 학습 성취도가 높아질 것이다.

    4) 현장실습 평가

    실습생들에 대한 성취도 평가는 현장실습 매뉴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체계적인 평가는 실습업 체와 실습생의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일 뿐만 아니라 실습생의 불성실한 태도를 비롯한 수행태도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현 장실습 평가를 체계적이고 지속해서 관리해야 현장실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있다. 4개 타 직군 의 현장실습 매뉴얼은 학생들의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 는 기준들이 제시되어 있지만, 4개 안경광학과의 매뉴얼 은 오직 A 대학에서만 확인해볼 수 있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어, 간호조무사의 경우에는 실습생들을 평가하 기 위한 사항들이 그림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고 방사선사의 경우에는 실습태도, 학습숙지, 검사에 대한 이해, 환자 케어, 출결사항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또한, 응급구조사의 경우에는 실습내용 및 만족도, 교육에 대한 평가, 건의사항, 태도, 자질, 기술 및 지식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들이 제시되 어 있다. 물리치료사는 15가지의 검사에서 평가도구를 시 행하고 있다. 반면에 안경광학과의 경우 A 대학만이 중간 평가와 전체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5) 4개 직군의 현장실습 매뉴얼 구성

    첫째, 방사선사 임상실습서6)의 경우 총 9단계(방사선 사 국가고시 실기시험을 이루는 방사선영상검사, 투시조 영검사, 혈관조영 및 중재시술검사, 전산화단층영상검 사, 자기공명영상검사, 핵의학검사 및 방사선치료 PACS)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분야 별로 목표, 세부내용, 주의사항, 검사개요, 체크리스트, 검사별실습보고서, 영 상품질관리, 실습병원 특별검사법, 실습평가표 및 QR 시스템(검사개요 및 영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 단 계 체크리스트를 통해 실습자(학생)의 학교 수강 여부, 임상실습 교육 여부 확인이 가능하다. 현장 교사는 실습 자의 수강 여부에 따른 실습지도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 육을 실시할 수 있다. 지도교수는 실습 전에 학교 수강 여부를 확인하고 실습 후에는 임상 실습의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둘째, 물리치료 임상실습지침서7)의 경우 임상실습의 개요, 임상실습기록, 검사 및 평가도구, 의학용어 약어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임상실습 중요 요소들이 체계적 으로 분류되어 있어 임상교육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 아진다. 각 검사 단계별 구성(임상실습목표, 임상실습세 부실천사항, 주의사항)은 구성되어 있지 않았고 검사 단 계별로 체크리스트와 실습평가서도 구성되어 있지 않았 다. 실습평가표(임상실습일지, 경과노트)를 구성하여 공 통된 평가와 이해도 측정의 지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 어 있다.

    셋째, 간호조무사 실무지침서8)의 경우 실기 관련 QR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조무사 교육기관지정· 평가’제도에 맞추어 실습교육 및 지도에 대한 세부지침 수록으로 실무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간 호조무사 교육기관지정, 평가에 대비하여 대상자 간호의 실습 관련 주요지침 내용을 동영상으로 제작하였고 실기 관련 그림문제, 간호실습 체크리스트, 실습일지로 구성 된다. 간호조무사의 교육 기간은 740시간 이론교육, 780시간 실습교육을 받아야 한다. 병원이나 종합병원에 서의 실습교육 과정이 400시간 이상이어야 한다.

    넷째, 응급구조사 실습지침서9)의 경우 임상현장실습 의 목적으로 실습에 임하는 자세와 준수사항, 절차 및 과제, 실습준비물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1급 응급구 조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응급구조학을 전공하고 졸업한 사람이 국가시험(필기/실기) 실기시험에 합격하 여야 한다. 4주간(20일) 사용하는 응급의료기관 임상현 장 실습용 교재는 실습생이 직접 관찰한 술기의 절차를 스스로 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활성징후 기록지, 임 상현장실습 만족도 설문조사, 투약용어 등으로 정리되어 있다.

    3. 안경광학과 현장실습 매뉴얼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별로 실시하고 있는 안경광학과 현장실습매뉴얼을 분석하였다. 안경광학과 매뉴얼 분석은 절차 및 활용에 따라 현장실습 시기 및 실습형태, 현장실 습 총 기간 및 실습시간, 운영기준에 따라 현장실습 프로 그램 여부, 현장실습 보고서 여부, 현장실습 사전교육 및 현장실습 순회지도, 인정기준에 따라 현장실습졸업학점 반 영, 현장실습 총 학점 수, 운영교과목에 따라 현장실습 교 과명을 조사하였다. 이들 요소는 크게 절차 및 활용, 운영 기준, 인정기준, 운영 교과로 범주화할 수 있다(Table 3).

    1) 절차 및 활용

    현장실습 시행 시기는 A 대학과 B 대학은 방학 중에, C 대학과 D 대학은 학기 중에 운영되고 있다. 현장실습 시 행횟수는 A 대학, C 대학, D 대학은 1회를 실시하고 있 고, B 대학은 2회를 실시하고 있다. 한편 현장실습 총시간 은 A 대학과 D 대학은 240시간, B 대학과 C 대학은 320 시간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장실습 기간은 A 대학과 D 대 학은 6주, B 대학과 C 대학은 8주간 운영하고 있다. B 대 학 C 대학은 현장실습 총시간, 현장실습 기간이 가장 길었 으며 B 대학만 현장실습 횟수가 2회였다. 시행시기, 시행 횟수, 총시간, 실습기간 등에서 학교별로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학교 현장실습은 분야별 특성 및 교육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고려 하더라도 통일적인 현장실습 체계가 필요해 보인다.

    2) 운영기준

    현장실습프로그램, 현장실습보고서, 현장실습 사전교 육, 현장실습순회지도는 A 대학, B 대학, C 대학, D 대 학 모두 동일하게 운영되고 있다. 각 대학이 모두 보유 및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현장실습 중 운영기준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의 현 장실습 기간 중 실무기회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선택하기 때문에 운영기준에서 현장실습 프로그램과 현장실습 사전 교육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3) 인정기준

    현장실습 졸업학점 반영은 A 대학, B 대학, C 대학은 4학점을 유지하고 있으며 D 대학은 8학점을 유지하고 있다. 현장실습 총 학점 수는 A 대학, B 대학, C 대학은 4학점을 유지하고 있으며 D 대학은 8학점을 유지하고 있다. 절차 및 활용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학교 현장 실습은 분야별 특성 및 교육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할 수 있어 현장실습 인정기준은 학교 내규에 정해지기 때문에 통합적인 학점운영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

    4) 운영교과

    현장실습 교과명은 A 대학 현장실습, B 대학 산업체 현장실습, C 대학 임상실습, D 대학 임상실습으로 교과 명이 운영하고 있다. 병원에서 임상실습을 시행하는 보 건의료계열의 학과들과 다르게 다양한 교과명을 사용하 는 이유는 안경광학과 현장실습이 안경원에만 국한되지 않고 안과 병•의원, 안경 관련 업체, 안경렌즈 관련 업 체, 콘택트렌즈 관련 업체 등 다양한 산업체에서 실습하 기 때문이다. 이전부터 안경광학과의 다양한 학제와 개 설 증가로 인해 실습내용의 통일성이 결여되었다. 이러 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앞으로 효과적인 현장실습을 위해서는 교과명의 통일성이 필요하다.

    2010년 이후로 임상실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몇 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Lee 등10)은 임상실습의 현황 및 실태 를 파악한 결과 임상실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Shin 등11)은 임상실습의 전 반적인 중요도와 필요도를 조사한 결과 효과적인 임상실 습을 위한 다양한 현장실습지 선택이 필요하고 하였다.

    한편 Choi12)는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을 안경원과 안과 병•의원으로 나누어서 실시한 결과 매년 안과 병•의원의 실습생이 증가하고 있다고 하였다. Jang 등13)은 대구지역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정도와 안경원에서 실제 필요로 하는 직무를 조사하여 기술적인 부분은 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경영적인 부분의 수 업은 부족하고 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Lee 등14)은 안경광학과 전공 학생들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과 임상실습 교육에서 경험하는 다 양한 스트레스 요인 및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결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일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서는 안경사의 역할에 대한 자긍심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Jeon 등15)은 안경사 교육의 발전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안경사의 질 향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위 연구들과 타 직군 현장실습 매뉴얼의 운영 실태를 조 사하고 안경광학과 현장실습의 전반적인 운영 및 실태를 파악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타 직군 현장실습 매뉴얼은 목 적과 정의가 분명하였고 현장실습의 이해를 위해 운영원칙 과 검사 및 평가도구, 체크리스트를 갖추고 있었다. 이에 반해 4개 대학의 실습 매뉴얼에서는 목적과 정의가 분명하 였지만, 검사 및 평가도구와 체크리스트에 내용이 미흡하 여 향후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타 직군의 현장실습 매뉴 얼 중 운영방법은 4개 대학과 큰 차이점이 없었지만 타 직 군 중 방사선사와 간호조무사가 QR 시스템과 동영상 강의 시행하고 있었다. 다양한 검사와 처방이 필요한 안경사에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QR 시스템과 동영상 강의를 시행한 다면 실무능력은 향상될 것이다. 안경사의 질 향상을 위해 전문적이고 통합적인 현장실습 매뉴얼이 필요하다.

    Ⅳ. 결 론

    안경광학과 임상실습 매뉴얼과 타 분야의 매뉴얼을 비교·분석하여 체계적인 임상실습 매뉴얼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정보는 앞으로 안 경광학과 임상실습 운영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 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안경사의 업무 범위는 다양한 검사기술과 처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안경사는 실용학문을 학습한 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자격 검증을 통해 실무를 수행하게 된다. 예비안경사가 임상 실무능력 학습을 위해 안경사의 직무 를 체험하고 직무능력이 고루 향상될 수 있는 임상실습 표준 매뉴얼의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igure

    Table

    2017 university field practice operation manual (ministry of education)

    Comparison of on-site training manuals for 4 occupations

    Field Practice Manuals by 4 University

    Reference

    1. Hyndai Research Institute: Confirming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domestic medical industry, 2017. Available at http://hri.co.kr/. Accessed January 21, 2021. http://hri.co.kr/board/ReportView.asp?numIdx=29972&skin=&mode=&GotoPage=&keyword=&column=&firstDepth=1&fourthDepth=&secondDepth=6%20&thirdDepth
    2. Seo B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Based on the global connection to the Global MICE Association of K University. J Culture Contents (9), 7-34, 2017.
    3. Lee OJ, Park JS: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ffect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using the duty checklist. J Korean Oph Opt Soc. 25(4), 333-341, 2020.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survey on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2020. Available at http://www.mohw.go.kr. Accessed January 21, 2021.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52714&page=1
    5. Ministry of Education: University student field practice operation manual, 2017. Available at https://www.moe.go.kr/. Accessed January 21, 2021.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37&boardSeq=71347&lev=0&searchType=null&statusYN=C&page=9&s=moe&m=0303&opType=N
    6. Yoon JY: Radiographer's clinical practice, 1st ed., Seoul, Daihakseolim, pp. 7-13, 2018.
    7. Yoo HY: Physical therapy clinical practice guide, 1st ed., Seoul, Hyunmoonsa, pp. 9-12, 2019.
    8. Park IG: Working-level guidelines for nursing the care, 1st ed., Seoul, Eunha Publishing Co., pp. 3-9, 2019.
    9. Park SM, Lee JH et al.: Instructions for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in emergency rescue science, 1st ed., Seoul, Luxbook Publishing Co., pp. 5-21, 2017.
    10. Lee OJ, Jung SH et al.: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and optical shop owners. J Korean Oph Opt Soc. 16(4), 363-373, 2011.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117760841252.pdf
    11. Shin JA, Jung SH et al.: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needs of clinical practice in ophthalmic optics for students and optical shop owner. J Korean Oph Opt Soc. 17(4), 353-363, 2012. http://www.koreascience.kr/article/JAKO201217760895330.pdf
    12. Choi GH: Analysis of employment tendenci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field (clinical) practice among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optics. J Korean Clin Health Sci. 4(4), 671-679, 2019.
    13. Jang JY, Park JS et al.: A study on optician’s perception of curriculum based on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required jobs in Daegu. J Korean Clin Health Sci. 4(4), 762-768, 2016.
    14. Lee JY, Hwang HK: A study on the stressor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phthalmic optic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J Korean Oph Opt Soc. 22(4), 299-309, 2017.
    15. Jeon IC, Park SH et 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Korean optometric system. Korean J Vis Sci. 22(4), 503-514,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