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3 No.2 pp.147-15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1.23.2.147

Comparison of Different Types of Objective Auto Refractors with Subjective Refraction

Yee-Rin Jung1), Inn-Jee Park2), Byoung-Sun Chu2)*
1)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Student, Gyeongsan
2)Dept. of Optometry, Daekyeung University, Professor, Gyeongsan
3)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Professor, Gyeongsan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Byoung-Sun Chu 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TEL: +82-53-850-2553, E-mail: bschu@cu.ac.kr
May 9, 2021 June 21, 2021 June 24, 202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sults from three different types of autorefractor including open-view, closed-view and hand-held type with subjective refraction.



Methods : One hundred students (the mean age of 25.2±1.63) underwent objective refraction using three types of autorefractor including open-fied, closed type and hand-held type (Nvision-k 5001P, KR-8100P and Righton Retinomax K-plus). Subjective refraction for all was performed by an experienced optometrist without reference of autorefractors’ results. The difference of results between three autorefractors and subjective refraction was compared.



Results : With the result of subjective refraction, the difference was shown minimum with open-view autorefractor followed by closed-view and hand-held autorefractor, which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evices (p<0.001).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refractions in spherical equivalent. The difference was minimum with open-view autorefractor followed by closed-view and hand-held autorefractor (p<0.001).



Conclusion : The difference between open-view and closed-view type of autorefractor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results from these devices would be a good reference for subjective refraction. However, attention needs to be taken for held-held type as it may stimulate accommodation or cause measurement error.



다른 종류의 타각적 자동굴절검사기기와 자각적 굴절검사 처방값의 비교

정 예린1), 박 인지2), 추 병선2)*
1)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 경산
2)대경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경산
3)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경산

    Ⅰ. 서 론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정하고 있는 안 경사의 업무는 시력 보정용 안경의 조제 및 판매와 콘택 트렌즈의 판매 업무로 정하고 있다.1) 또한 도수 조정을 위한 시력검사는 자동굴절검사기기를 사용하도록 정하 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모든 안경원은 자동굴절검사기 기를 갖추고 있으며, 굴절검사에서 간단하고, 편리성, 용이성이 있어 안경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2-4) 이렇 듯 안경원 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기이지만 자 동굴절검사기기는 구현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제 한된 공간의 안경원에서 주로 사용이 되는 내부형 자동 굴절검사기기로 검사기기 내부에 가상의 원거리 시표가 있는 형태, 피검사자가 시야가 개방되어진 상태에서 기 기 외부의 시표를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측정하는 개 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 그리고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 기와 동일한 방식이지만, 휴대할 수 있는 이동형 자동굴 절검사기기 있다. Kim 등5)은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 3종과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를 비교하였는데, 자동 굴절검사기기는 기계적인 오차가 있으므로 굴절검사 값 을 그대로 안경 처방 값으로 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유사하게 Goos는 자동굴절검사기기는 자각적 굴절검사 를 위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안경 처방을 위한 자각식 굴절검사를 대신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 하고 있다.6) 자각적 굴절검사에 의한 굴절 이상도의 측 정 결과 값과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측정값에는 차이가 발 생하게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7-11) Elliott 등7) 및 Kinge 등10) Kim 등11), Rassow 등12)은 모두 자각적 굴 절검사에 비해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측정값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런 차이는 기기의 성능 및 피검자 의 긴장상태, 그리고 검사자의 경험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타각적 굴절검사는 굴절이상 정도 등 안구와 관련 된 모든 내용에 대하여 객관적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는데 기본적인 데이터로 제공되므로 숙련된 안경사에게 있어서 신속성 과 용이성을 주어 효율성을 높인다.13) 자동굴절검사기기 의 측정시간이 신속하며 조작이 용이하고 반복 측정이 가능하나 오차가 크고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보고하고 있 으며14) 특히나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안경원 환경 이 아닌 외부에서 진행되는 사회봉사활동 및 선별검사 목적으로 손쉽게 사용되고 있으나, 턱받침이 없어 머리 가 기울어지면서 눈의 위치도 함께 기울어지면서 난시축 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오차 발생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기존 논문의 사례에도 불구하고,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으 로 안경사는 시력검사 시 자동굴절검사기기 사용으로 한 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 많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사기기와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 를 포함하도록 하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 고 있는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측정값과 숙련된 안경사가 자각적 굴절검사값 간의 결과 값을 비교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실험의 취지에 동의하고 안과 질환과 시력 교정술 등 안과 수술 경력이 없고 전신질환이 없는 근시 성 난시의 굴절이상이 있는 참여자 200안(남자 80안, 여자 120안)을 대상으로 평균 연령은 25.2±1.63이었 다. 모든 피실험자로부터 사전 동의를 얻었으며, 본 기관 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획득한 후 진행되었다 (CUIRB-2020-0073).

    2. 방법

    1) 자동굴절검사기기 측정 및 자각적 굴절검사

    본 연구에서는 다른 형태의 3가지 자동굴절검사기기 를 사용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안경원 환경에서 흔히 사 용되고 있는 테이블에 올려놓고 측정하는 방식으로 피검 사자의 기기내의 주시타켓을 보는 동안 측정이 이루어지 는 자동굴절검사기기(KR-8100P, Topcon, Japan), 두 번째로는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전방이 투명한 창으로 되 어 있어, 기기내부의 주시타켓이 아닌 기기외부의 전방 타켓 주시가 가능한 형태로 양안이 자연스럽게 개방되어 있어 조절개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형태의 자동굴절검 사기기(Nvision K-5001, Shin-nippon, Japan)로 조 절관련 연구에 많이 적용되는 자동굴절검사기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외부환경이나 턱받침을 할 수 없는 피검사자 들에 대한 굴절검사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이동형(휴 대형) 자동굴절검사기기(Retinomax K-plus 3, Righton, Japan)으로 이 기기는 턱받침대가 없이 피검사자의 이 마에 기기를 밀착 고정하여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방식 으로 검사자의 안정적인 측정자세가 요구되는 기기이다. 검사과정에서 기기를 정렬하는 동안 대상자에 자연스럽 게 눈을 깜빡이도록 하고 측정 시에는 눈을 깜빡이지 않 도록 지시 하였으며,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스크린에 나타 나는 마이어상이 초점이 중앙에 선명하게 정렬이 잘 이 루어졌을 때 양안을 연속으로 3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자각식 굴절검사는 현장 임상 경험이 3년 이상인 안경사에 의해 수동 포롭터(VT-10,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기기의 정 확도를 비교기 위하여 한 검사자에 의해 무작위 순서로 양안을 각각 3회씩 측정하였고 검사자는 한 기기의 검사 가 끝난 후 5분 이내에 다시 다른 기기로 측정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기 및 자각적 굴절검사의 신뢰도를 평가 하기 위해 모든 검사가 끝난 후 최소 1시간이 지난 후 반복 측정하였다.

    2) 통계처리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력, 등가구면 굴절력을 측정하 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SPSS Inc., Chicago, IL, USA)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각적 굴절검사 결 과와 측정방식이 다른 자동굴절검사기기의 분석은 일원 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평균비교는 독립표 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유의확률 0.050 미만일 때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정하였다.

    Ⅲ. 결 과

    굴절검사기기에 따른 성별간 평균 비교에서 자각적 굴절검사에서 남자 –3.08±1.85 D, 여자 –3.06±1.84 D(p=0.605),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남자 – 3.19±1.90 D, 여자 –3.13±1.86 D(p=0.505), 내부 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남자 –3.24±2.00 D, 여자 – 3.21±2.01 D(p=0.405),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남자 –3.74±1.89 D 여자, –3.70±1.86 D(p=0.650)으 로 성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따라서 결과에 서는 남자 피검자와 여자 피검자의 데이터를 함께 분석 하였다.

    1. 굴절이상도의 분포

    피검자의 구면굴절이상도 평균값과 범위는 자각적 굴 절검사에서 –3.07±1,86 D(-0.50 D~-6.50 D)이고,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3.16±1.88 D(-0.75~ -7.00 D),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3.22±2.04 D(-0.50~-7.25 D),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 3.73±1.87 D(-1.00~-8.50 D)로 나타났다. 또한 원 주 굴절이상도는 자각적 굴절검사와 개방형, 내부형, 이 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각각 –0.99±1.86 D(-0.25~ -1.75D), -1.09±1.88D(-0.50~-2.25D), -1.30±0.55 D(-0.50~-2.50 D), -1.44±0.66 D(-0.75~-2.75 D) 로 측정되었다(Table 1).

    2. 자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신뢰도 분석

    Table 2는 안경사에 의한 자각적 굴절검사와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측정값을 표로 나타내었다. 자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자각적 구면굴절력의 평균값은 –3.07±1.86 D, 개방형 구면 굴 절력의 평균값은 –3.16±1.88 D이며, 자각적 굴절검사 에 대한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구면 굴절력에서 신 뢰도 계수는 0.99이다. 자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자각적 원주 굴절력의 평균값은 – 0.99±1.86 D이며, 개방형 난시 굴절력의 평균값은 – 1.09±1.88 D이며, 신뢰도 계수는 0.97로 나타났다. 자 각적 등가 굴절력 값의 평균값은 –3.57±1.95 D이고, 개방형 등가 굴절력 값의 평균값은 –3.70±1.97 D이며, 신뢰도 계수는 0.99로 나타났다. 자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 Coefficient로 판단하였으며, 자각적 굴절검사와 개방형자동굴절검사기기는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구면 굴절력(p<0.001)과 원주 굴절력(p=0.030)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 되었다(Table 5).

    3. 자각적 굴절검사 처방 값에 대한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신뢰도 분석

    Table 3는 사에 의한 자각적 굴절검사와 내부형 자동 굴절검사기기의 측정값을 표로 나타내었다. 자각적 굴절 검사 값에 대한 내부형 굴절검사 값에서 자각적 구면굴 절력의 평균값은 –3.07±1.86 D, 내부형 구면굴절력의 평균값은 –3.22±2.04 D이며, 자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구면 굴절력에서 신뢰도 계 수는 0.95이다. 자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내부형 자동굴 절검사기기에서 자각적 원주 굴절력의 평균값은 – 0.99±0.43 D이며, 내부형 원주 굴절력의 평균값은 – 1.30±0.55 D이며, 신뢰도 계수는 0.93으로 나타났다. 자각적 등가 굴절력의 평균값은 –3.57±1.95 D이고, 내 부형 등가 굴절력의 평균값은 –3.87±2.12 D이며, 신뢰 도 계수는 0.95로 나타났다.

    자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 Coefficient로 판단하였으 며, 자각적 굴절검사와 내부형 자동굴절검사는 높은 신 뢰성을 가지며, 통계적으로 원주 굴절력(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6).

    4. 자각적 굴절검사 처방 값에 대한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신뢰도 분석

    Table 4는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 측정값에 대한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력, 등가구면 굴절력의 평균값, 표준편차, 신뢰도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력, 등가구면 굴절력은 각각 –3.73±1.87 D, -1.44±0.66 D, -4.45±1.95 D이며, 자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이동 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구면 굴절력에서 신뢰도 계수가 0.99, 원주 굴절력의 신뢰도 계수는 0.84, 등가구면 굴절력의 신뢰도 계수는 0.99로 나타났다. 신뢰도는 Cronbach alpha coefficient로 판단하였으며, 높은 신 뢰성을 가지며, 통계적으로 구면 굴절력(p<0.001), 원 주 굴절력(p<0.001), 등가구면 굴절력(p<0.001)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7).

    5. 자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자동굴절검사기기 간의 비교

    1)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

    Table 5는 자각적 굴절검사의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 력, 등가구면 굴절력과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력, 등가구면 굴절력을 비교 분석한 것이 다.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구면굴절력 평균값은 – 3.16±1.88 D, 자각적 굴절검사의 평균값은 –3.07±1.88 D이며, 표준오차의 평균은 0.13 D이다. 개방형 자동굴절 검사기기의 원주 굴절력 평균값은 –1.09±0.47 D, 자각적 굴절검사의 평균값은 –0.99±0.44 D로 표준오차의 평균 은 0.03 D이다.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등가구면 굴 절력의 평균은 –3.70±1.97 D, 자각적 굴절검사의 등가구 면 굴절력의 평균은 –3.57±1.95 D로, 표준오차의 평균은 0.14 D로 나타났다.

    2)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

    Table 6은 자각적 굴절검사의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 력, 등가구면 굴절력과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력, 등가구면 굴절력을 통계적으로 분석 한 것이다.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구면굴절력 평균 값은 –3.27±1.96 D, 자각적 굴절검사의 평균값은 – 3.07±1.86 D이며, 표준오차의 평균은 0.17 D이다. 내 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원주 굴절력 평균값은 – 1.30±0.55 D, 자각적 굴절검사의 평균값은 –0.99±0.43 D로 표준 오차의 평균은 0.05 D이다. 내부형 자동굴절검 사기기의 등가구면 굴절력의 평균은 –3.87±2.12 D, 자각 적 굴절검사의 등가구면 굴절력의 평균은 –3.57±1.95 D 로, 표준오차의 평균은 1.44 D로 나타났다.

    3)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

    Table 7은 자각적 굴절검사의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 력, 등가구면 굴절력과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력, 등가구면 굴절력을 통계적으로 분석 한 것이다.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구면굴절력 평균 값은 –3.73±1.87 D, 자각적 굴절검사의 평균값은 – 3.07±1.86 D이며, 표준오차의 평균 0.13 D이다.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원주 굴절력 평균값은 –1.44±0.66 D, 자각적 굴절검사의 평균값은 –0.99±0.43 D로 표준오 차의 평균은 0.03 D이다.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등 가구면 굴절력의 평균은 –4.45±1.97 D, 자각적 굴절검사 의 등가구면 굴절력의 평균은 –3.70±1.96 D로, 표준오차 의 평균은 0.14 D로 나타났다.

    6. 측정 장비에 따른 굴절 차이값

    Table 8은 자각적 굴절검사에 따른 자동굴절검사기기 간의 구면굴절력 평균이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 결과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F= 3962.66, p<0.001, 내 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F=155.02, p<0.001,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F=798.65,p<0.001으로 유의 수 준이 0.050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Fig. 2는 구면굴절력에 대한 측정 장비에 따른 굴절력 차이 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자각적 굴절검사 값을 기준으로 하여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 기,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 순으로 차이가 증가 되었다.

    Table 9는 자각적 굴절검사에 따른 자동굴절검사기 기 간의 원주 굴절력 평균이 차이를 보여준다. 그 결과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F=430.07, p<0.001, 내 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F=141.68, p<0.001, 이동 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F=63.09, p<0.001으로 유의 수준이 0.050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 다. Fig. 3은 원주 굴절력에 대한 측정 장비에 따른 굴 절력 차이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자각적 굴절검사 값 을 기준으로 하여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 내부형 자 동굴절검사기기,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 순으로 차이 가 증가 되었다.

    Table 10은 자각적 굴절검사에 따른 자동굴절검사기 기 간의 등가구면 굴절력 평균이 차이를 보여준다. 그 결과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F=2162.85,p<0.001,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F=98.25,p<0.001, 이동 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서 F=369.53,p<0.001으로 유 의 수준이 0.050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 났다. Fig. 4는 등가구면 굴절력에 대한 측정 장비에 따 른 굴절력 차이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자각적 굴절검 사 값을 기준으로 하여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 내부 형 자동굴절검사기기,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 순으로 차이가 증가 되었다.

    Ⅳ. 고 찰

    굴절이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자 동굴절검사기기를 이용한 타각적 검사를 선행한 후 그 값을 토대로 자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하고 있어 자동굴절 검사기기의 정확성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자동굴절검 사기기에는 양안을 개방하여 검사하는 양안 개방 굴절검 사와 검사하지 않는 눈은 차폐하고 검사하는 단안시 굴 절검사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양안 개방 굴절검사란 피 검자의 일상 자연에 가까운 상태 즉 양안시에서 굴절이 상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 검사와 반대되는 것은 단 안시굴절검사가 있다. 이것은 단안시 상태에서 굴절 이 상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현재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현재 자동굴절검사기기는 국내의 안경원 또는 안과에 서 필수적인 측정기기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자동 굴절검사기기는 임상적으로 자각적 굴절검사를 위한 예 비검사의 필수적인 단계이며,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에 서 또한 자동굴절검사기기는 안경원 개설시 필수적인 기 기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안경 처방을 위한 자각적 굴절 검사를 대신하기에는 충분하지는 않으며5,6) 굴절검사의 신뢰도에서도 정확도와 반복성에는 한계가 있다.7-11) 그 러므로 실무에서 안경사는 안경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 동굴절검사기기의 오차와 특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법률로 정하고 있는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측 정은 피검사자의 굴절이상 상태에 대한 어느 정도 정확 한 검사 값을 제공한다. 하지만 조절마비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자동굴절검사기기를 통한 측정값은 측정과 정에서 조절개입으로 근시방향의 굴절 값으로 측정이 된 다고 지적하고 있다.15) 따라서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측정 값을 그대로 처방하는 경우 과교정이 되게 되고, 이는 두통, 안정피로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6) 특 히나 Jabbur 등17)의 논문에서는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환자 중 30%가 이후에 과교정으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굴절검사기기에 안경 사의 개입을 통하여, 시각적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경사에 의하여 자각적 굴절검사를 통해 처방된 값과 이러한 기기 중에서 주시 표적이 기기 외부에 있는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와 주시 표적이 기 기 내부에 있는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와 이동형 자동 굴절검사기기 신뢰도와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측정값 의 평균값과 차이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안경사에 의한 자각적 굴절검사 값과 자동굴절검사기 기의 검사 값의 차이를 평균하여 보았을 때 모두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 이동형 자 동굴절검사기기 순으로 증가하는 차이가 나타났다. 자각 적 굴절검사에 따른 측정기기 간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 과 모두 신뢰도 계수는 1에 가까운 계수로 높은 신뢰도 로 판단된다. 자각적 굴절검사와 측정기기 간의 측정값 에 대한 차이에서는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와의 차이 가 개방형과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결과 값보다는 더 많은 차이가 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형 자동굴절검 사기기(Retinomax K-plus 3)는 별도의 턱받침대 지지 대가 없어, 피검사자의 자세가 고정이 될 수 형태이다. 또한 검사자가 측정을 위한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서 기 기를 피검사자에게 밀착시켜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런 과정에서 피검사자의 과도한 기계적 근시를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Akil 등18) 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와 동일한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 기인 Retinomax K-plus 3와 테이블 고정형인 Canon RK-F1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에서 Retinomax K-plus 3가 0.06 D인 반면, RK-F1은 0.41 D로 Retinamax가 근시방향으로 측정되며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Samanta 등19)의 리뷰논문에 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 (Netra, Quicksee, Retinomax and SVOne)간 측정값 에 대한 비교하였는데, Retinomax가 빠른 측정의 장점 이 있지만, 정확성 측면에서는 Quicksee에 비해 떨어진 다고 보고하였다. 연구에서는 안경사가 임상에서의 자각 적 굴절검사를 위해 예비검사 단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동굴절검사기기중 측정방식이 다른 세 가지 자동굴절 검사기기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로서 이 세 가지 중에 서는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가 자각적 굴절검사 처방 값과 가장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개방형 자동굴절검사 기기의 장점인 검사자의 일상 자연 시에 가까운 상태에 서 주시 표적이 기계 외부에 있어서 개방형 주시 표적을 이용해 기계 근시, 조절개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라고 사료 된다.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 도 다양한 회사에서 조절개입의 방지를 해결하기 위한 표적의 연구와 측정 기기들의 연구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더 많은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들이 계속해서 개 발되고 있으며, 임상에서 안경사들은 내부형 자동굴절검 사기기 장단점을 이해하고 자각적 굴절검사를 하기 전 충분히 고려하여 정확하고 편안한 시력검사를 하기 위해 연구해야 할 것이다.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 원리의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주로 외부에서 측정기기의 설치가 어려운 환경에서 굴절검사를 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측정기기이다. 검사자와 피검사자의 정확하고 신속 한 각도와 자세가 요구되므로 측정의 숙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숙련된 안경사여도 구조적으로 고정이 힘든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검사자의 충분한 숙련이 필 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Davies와 Mallen20)은 성인 에 대한 자각적 굴절검사를 할 때 조절마비제를 점안한 굴절검사가 아닌 현성굴절검사를 하므로 자동굴절검사 기기와 비교하는 것은 오류가 있으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자동굴절검 사기기를 자각적 굴절검사와 비교하는 것에 대한 것이 적절한가에 대해 의문점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1)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에서와 동일한 의문점이 있음에도 비교한 이유는 보편적으로 안과나 안경원과 같은 임상에 서 시력검사를 하기 위해 가장 처음 접하는 검사 기계는 자동굴절검사기기이다. 굴절이상을 정확하면서도 신속 하게 측정하기 위해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예비검사로 자동굴절검사기기를 이용한 타각적 검사를 선행하고 있는 경향으로 이런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중요 성은 잘 알려져 있다. 자동굴절검사기기보다 자각적 굴 절검사 값을 더 신뢰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실이지만, 사 전에 어느 정도의 차이를 예상할 수 있는 것은 안경사에 게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특히나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이동형 자동굴절검 사기기는 외부에서 간단한 교육 이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 깊은 사용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결과적인 측면에서 동 일한 맥락을 보이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이동형 자동굴 절검사기기를 사용한 부분이 차별이라 할 수 있다. 하지 만 이런 차이를 넘어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측 정값이 끝이 아닌, 안경사의 전문성이 개입되어야 안경 원을 찾는 고객에게 편안한 시력보정용 안경의 조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결과이며, 안경사의 전문성이 중요하다 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판단된다.

    Ⅴ. 결 론

    본 연구 결과 안경사에 의한 자각적 굴절검사의 처방 값과 측정방식이 다른 개방형, 내부형, 이동형 자동굴절 검사기기 중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하게 적은 차이 값은 개방형이었으며, 이중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에 서의 측정값은 안경사에 의한 자각적 굴절검사 값과는 차이가 많았다. 이는 숙련된 안경사여도 구조적으로 고 정이 힘든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검사자의 충분한 숙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한국의 안경원에 내 부형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만큼, 예비검사에서 필수로 피검사자의 전반적인 굴절이상을 예측하고 안경사는 자 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할 때에 측정기기의 특성과 오차를 잘 파악하고 장비교육과 측정함에 있어 숙련도가 있다 면, 자동굴절검사기기의 데이터 측정값은 자각적 굴절검 사를 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그러나 자각적 굴절검사와 자동굴절검사를 비교하 여 정확성과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더라도 자동굴절검사 만으로 굴절이상을 교정을 할 경우 조절에 의한 교정오 류의 위험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며, 양안균형검사의 문제점 등에 따른 자동굴절검사로 측정한 타각적 굴절검 사 값을 기초로 하여 자각적 굴절검사를 반드시 시행하 여야 한다.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research grants from Daegu Catholic University in 2020.

    Figure

    KJVS-23-2-147_F1.gif

    Autorefractors used in the study. a: Nvision K-5001, b: KR-8100P, c: Retinomax K-plus 3.

    KJVS-23-2-147_F2.gif

    Difference of refractive errors according to measuring equipment (Spherical power).

    KJVS-23-2-147_F3.gif

    Difference of refractive errors according to measuring equipment (Cylindrical power).

    KJVS-23-2-147_F4.gif

    Difference of refractive errors according to measuring equipment (Spherical equivalent).

    Table

    Mean values of refractive error (mean±SD)

    Reliability analysis of refractor (Open Auto refractor)

    Reliability analysis of refractor (Closed Auto refractor)

    Reliability analysis of refractor (Portable Auto refractor)

    Autorefractor and subjective refractive statistical analysis (Open Auto refractor)

    Autorefractor and subjective refraction statistical analysis (Closed Auto refractor)

    Autorefractor and subjective refraction statistical analysis (Portable Auto Refractor)

    Difference of spherical power

    Difference of cylindrical power

    Difference of Spherical equivalent

    Reference

    1. Health and Welfare: Enforcement decree of the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ETC. ACT, 2018, Available at https://elaw.klri.re.kr. Accessed May 26 2021. https://elaw.klri.re.kr/eng_mobile/viewer.do?hseq=49834&type=part&key=36
    2. Zadnik K, Mutti D et al.: The repeatability of measurements of the ocular components. Invest Ophthalmol Vis Sci. 33(7), 2325-2333, 1992.
    3. Bullimore MA, Fusaro RE et al.: Therepeatability of automated and clinician refraction. Optom Vis Sci. 75(8), 617-622, 1998.
    4. Pesudovs K, Weisinger HS: A comparison of autorefractor performance. Optom Vis Sci. 81(7), 554-558, 2004.
    5. Jinabhai A, Donnell C et al.: A comparison of subjective refraction and autorefractions. Korean J Vis Sci. 12(4), 283-290, 2010.
    6. Goss DA, Grosvenor T et al.: Reliability of refraction a literature review. J Am Optom Assoc. 67(10), 619-30, 1996.
    7. Elliott M, Simpson T et al.: Repeatability and accuracy of automated refraction: A comparison of the Nikon NRK-8000, the Nidek AR-1000, and subjective refraction. Optom Vis Sci. 74(6), 434-438, 1997.
    8. Walline JJ, Kinney KA et al.: Repeatability and validity of astigmatism measurements. J Refract Surg. 15(1), 23-31, 1999.
    9. Thompson AM, Li T et al.: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 Tomey ViVA infrared photorefractor. Optom Vis Sci. 73(10), 644-652, 1996.
    10. Kinge B, Midelfart A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the Allergan Humphrey 500 autorefractor and the Nidek AR-1000 autorefactor. Br J Ophalmol. 80(1), 35-39, 1996.
    11. Kim YS, An HS et al.: A study about the accuracy of automated refraction. J Korean Ophthalmol Soc. 36(12), 2207-2212, 1995.
    12. Rassow B, Wesemann W: Automatic infrared refractors a comparative study. Am. J. Optom. Physiol. Opt Invest Ophthalmol Vis Sci. 64(9), 627-638, 1987.
    13. Roorda A, Bobier R et al.: An infrared eccentric photo-optometer. Vis Res. 38(13), 1913-1924, 1998.
    14. Kim MS, Chang HR et al.: The evaluation of noncycloplegic and cycloplegic autorefraction in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J Korean Ophthalmol Soc. 39(4), 728-734, 1998.
    15. Kobashi H, Kamiya K et al.: Comparison of subjective refraction under binocular and monocular conditions in myopic subjects. Sci Rep. 5(12606), 1-7, 2015.
    16. Nakaishi H, Yamada Y: Abnormal tear dynamics and symptoms of eyestrain in operators of visual display terminals. Occup Environ Med. 56(1), 6-9, 1999.
    17. Jabbur NS, Sakatani K et al.: Survey of co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management in dissatisfied patients seeking a consultation after refractive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30(9), 1867–1874, 2004.
    18. Akil H, Keskin S et al.: Comparison of the refractive measurements with hand-held autorefractometer, table-mounted autorefractometer and cycloplegic retinoscopy in children. Korean J Ophthalmol. 29(3), 178-184, 2015.
    19. Samanta A, Shetty A et al.: Better one or two? A systematic review of portable automated refractors. J Telemed Telecare. 10, 2020.
    20. Davies LN, Mallen EAH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the Shin-Nippon NVision-K5001/Gand Seiko WR-5100K autorefractor. Optom Vis Sci. 80(4), 320-324, 2003.
    21. McCaghrey GE, Matthews FE: Clinical evaluation of a range of autorefractors. Ophthalmic Physiol Opt. 13(2), 129-137,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