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3 No.2 pp.171-180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1.23.2.171

Factors Affecting the Occupational View of Optometrist

Youngju An1), Ka-Ul Choi1), Se-Jin Kim2), Myoung-hee Lee1)*
1)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2)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Myoung-hee Lee 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Cheonan TEL: +82-41-550-2938, E-mail: myounghee@bscu.ac.kr
May 23, 2021 June 22, 2021 June 24, 202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occupational view of the optometrist by surveying general characteristics, major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view of optometrist with optometry students.



Methods : An online survey of 26 question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11), professional self-concept (5), social perceptions (5), and optometrist’s professionalism (5) was conducted with 196 optometry students in Chungcheongnam-do. For the method of analysis,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was applied,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based on p<0.050.



Results : It was found that major subject satisfaction (β=0.36, p<0.001) and age (β=-0.20, p=0.002)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It was also found that major subject satisfaction (β=0.33, p<0.001) and age (β=-0.31, p<0.001)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perception, and major subject satisfaction (β=0.33, p<0.001) was significant for optometrist's professionalism.



Conclusion :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the optometry students, social percep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with the optometrist’s expertise. This is a research result that show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s in the current students is, the higher the occupational awareness is. It would consider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of the optometry students.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안경사 직업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 영주1), 최 가을1), 김 세진2), 이 명희1)*
1)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2)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Ⅰ. 서 론

    2019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로 인하여 교육 분야와 산업분야 등 삶의 모든 다양한 곳에서 커다란 변 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대학졸업 이후 삶 을 영위하기 위해 만들어온 일자리가 없어지면서 제 2의 직업과 안정적인 삶을 다시 만들어가기 위해서 전문대로 재입학하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보건계열 학 과의 경우 높은 취업률로 인하여 재입학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1)

    보건계열 전문 직종 중 하나인 안경사는 의료기사 등 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시력보정용 안경에 한정하여 조 제 및 판매를 하고 콘택트렌즈의 판매에 관한 업무를 담 당하며, 안경 및 콘택트렌즈의 도수를 조정하기 위한 목 적으로 약제를 사용하지 않는 자각적 및 주관적 굴절검 사를 시행할 수 있는 전문가이다.2)

    안경사는 1977년 안경통신교육으로 시작되어 1982 년 한국안경고등기술학교가 설립된 이후 안경사를 배출 하여 1987년 안경사 면허제도가 도입되었다. 이후로 1984년 대구보건전문대학에 국내 처음으로 안경광학과 가 개설되었고, 2000년에는 17개의 2년제 대학과 4개 의 4년제 대학에 안경광학과가 개설되었다.3) 현재 4개 의 2년제 대학, 27개의 3년제 대학과 13개의 4년제 대 학에 개설 되어 있다. 안경광학과의 개설로 인하여 국민 들이 안보건 향상과 체계적인 시력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관련 교육기 관의 무분별한 증가 및 안경사 인력의 과잉 배출로 인하 여 업계의 과다경쟁을 유발시켰으며, 2년제, 3년제 및 4 년제 대학의 혼합으로 안경사의 질적 저하를 야기 시켰 다. 또한 일부 3년제 대학의 2년제 학제 변경으로 업계 발전에 역행하는 상황이 일어나기도 하였다.4) 이러한 상 황으로 인하여 안경사 면허 국가시험 합격 누적 인원의 증가하였지만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 인력은 지 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앞으로 저출산에 따른 학령 인구 감소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안경광학과 입학인원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경광학과를 졸업한 이후 면 허 국가시험에 합격하더라도 자아실현 및 이윤창출이 어 려워졌다는 현실적인 이유로 관련 직종으로 취업하지 않 고 타 직종으로 취업하는 일도 발견된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미래 안경사인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안경사 직 업에 대한 직업관을 조사하여 안경사 직종에 대한 직업 존중감이 현장 근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자 하였다.

    직업존중감은 개인의 직업에 대한 신념과 가치평가의 한 개념으로 본인의 현재 또는 장래의 직업에 대해 스스 로 부여하는 가치 및 기대정도를 말하는 것으로,5) 안경 광학과 재학생들이 안경사로서 자신의 진로를 정확히 인 지하고 이와 관련된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안경사로서 사 회의 일원이 되기 전 학생으로 전공직업에 대한 사전지 식과 직업관에 대하여 조사함으로 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불안감을 이해하고 진로 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 연구 목적에 대 해 동의한 후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충남지역 안경 광학과 대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8문항)과 안경사 직업관(13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안경사 직업관은 하위 항목에 따라 전문적 자아개념(5문항), 사회적 인식(5문항), 안경사의 전문성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경사 직업관은 각 항문의 질문에 따라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가 1점에서 ‘매우 그렇다’가 5점으로 응답하게 하였 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일원배치 분산분 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피어슨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일반 적 특성과 안경사 직업관의 상관성을 알아보았으며, 다 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안경사 직업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version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 으며, 유의수준은 p<0.050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의 신뢰도 Cronbach’s는 0.88이었다.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Table 1). 총 대상자는 196명(남자 86명, 여자 110명)으로 여학생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연령은 20세 이하가 72명(36.7%), 21∼24세 98명(50.0%), 그리고 25세 이상이 26명 (13.3%)이었다. 학년은 1학년이 57명(29.1%), 2학년이 40명(20.4%), 3학년이 48명(24.5%), 그리고 4학년이 51명(26.0%)이었다. 형제 또는 자매가 본인을 제외하고 1명인 경우 17명(8.7%), 2명인 경우 124명(63.3%), 3 명 이상인 경우 55명(28.0%)이었고, 종교를 가지고 있 는 경우는 60명(30.6%) 그렇지 않은 경우는 136명 (69.4%)이었다. 현재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고 있는 경 우는 134명(68.4%), 그렇지 않은 경우는 62명(31.6%) 이었다. 직전학기 성적은 4.0 이상이 51명(26.0%), 3.5 ∼4.0 미만이 59명(30.1%), 3.0∼3.5 미만이 36명 (18.4%), 2.5∼3.0 미만이 31명(15.8%), 2.5 미만이 19명(9.7%)이었다. 안경광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매 우 만족하는 경우가 33명(16.8%), 만족하는 경우 88명 (44.9%), 보통인 경우 68명(34.7%), 불만족하는 경우 6 명(3.1%), 매우 불만족하는 경우 1명(0.5%)으로 전공에 대해 만족하는 학생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2. 안경사 직업관

    1) 안경사 직업관

    안경사 직업관의 평균점수(±표준편차)를 알아보았을 때, 전문적 자아개념의 총점은 3.65(±0.59)점이었고, 사회적 인식은 3.16(±0.64)점, 그리고 안경사의 전문 성은 3.60(±0.62)점이었다. 전문적 자아개념은 미래의 직업 영역과 관련된 자아만족감으로6) 자신의 진로를 확 실하게 결정하기 위해 안보건 전문가로서 미래를 준비하 는 안경광학과 학생은 본인의 전공교과목의 필요성에 대 한 이해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 서 전공교과목의 이해도는 안경사 현장 직무수행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연령과 성별에 따른 안경사 직업관

    연령에 따른 안경사 직업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3과 같았다. 연령대가 20세 이하에서 21∼24세, 25세 이상으로 증가할수록 전문적 자아 개념의 총점과 사회적 인식의 총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각각 p=0.008, p=0.001).

    전문적 자아개념의 하위항목에 대해서 안경광학과 학생 들은 ‘안경사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하여 전문지식을 획득 하여야한다’는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20세 이하 및 20세 이상 응답자에서 각각 ‘안경사는 전문인으로 서 요구되는 책임과 윤리를 보여준다.’는 응답과 ‘안경사는 훌륭한 인격을 갖추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는 응답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안경사의 업무가 독립적이고 자 율적이라는 부분에서 3.56(±0.73)점, 안경사로서의 업무 가 특수한 지식과 기술로 전문성이 인정된다는 부분에서는 3.94(±0.73)점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안경사 직업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4와 같았으며 전문적 자아 개념, 사회적 인식, 안 경사의 전문성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 지 않았다.

    전문적 자아개념의 하위항목에서는 안경사는 지속적 으로 노력하여 전문지식을 획득하여야 한다는 항목에 대 해 남녀 모두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인 식 부분에서는 업무의 독립성과 자율성 항목에 대해 높 은 점수가 나타났다.

    따라서, 안경사는 안 광학과 관련된 특수한 지식 및 기 술로 그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이 안경광학과 학생들에게 성별과 관계없는 안경사의 직업관 중 가장 높 은 항목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3. 일반적 특성과 안경사 직업관의 상관성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안경사 직업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았다. 전문적 자아개념은 연령(r=-0.18, p=0.014), 학년(r=-0.23, p=0.002)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공 만족도 (r=0.37, p<0.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령 이 증가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문적 자아개념에 대해 서는 부정적으로 변화하였으나 전공만족도는 긍정적 인 변화를 보였다. 사회적 인식은 연령(r=-0.17, p=0.017), 학년(r=-0.36, p<0.001)와 음의 상관관계 를 보였으며, 전공 만족도(r=0.38, p<0.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령이 증가하고 학년이 증가할수록 안경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대한 생각은 부정적으로 변화하였으나 전공만족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변화 를 보였다. 안경사의 전문성은 전공 만족도(r=0.33, p<0.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학과 교과목에 대한 전공교과목의 만족도가 높 을수록 안경사의 직업적 전문성도 높다고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안경사 직업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안경사 직업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았다. 전문적 자아 개념에는 전공 만족도(β =0.36, p<0.001)와 연령(β =-0.20, p=0.002)이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인식에는 전공 만족 도(β =0.33, p<0.001)와 연령(β =-0.31, p<0.001)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경사의 전문 성에는 전공 만족도(β =0.33, p<0.001)가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 론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안경사에 대한 전문적 자아개념, 사회적인식 및 직업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서 학생의 진로 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전문적 자아개념은 직업존중감 직업 에 대한 가치평가의 개념으로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 위항목으로 안경사의 박애정신, 전문성, 인격, 대중적 활동 및 책임윤리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였다. 전문적 자 아개념의 하위항목 중 전문성을 위한 전문지식획득에 대 하여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사회적 인식의 하위항목으로는 사회적 지위, 업무의 독립성, 사회적보상, 전문인으로서의 전문성 및 협력성 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였으며, 업무에 독립 성에 대해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직업관의 하위항 목으로는 안경사 업무의 난이도, 철학적개념, 전문성에 대해 물어보았으며, 전문성 부분에 대해 가장 높은 점수 로 나타났다.

    안경광광학과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는 전문적 자아 개념, 사회적인식 및 전문성 부분에 대하여 각각 β =0.36, β =0.33 및 β =0.33(all, p<0.001)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o7)의 연구에 의하면 본인이 선택한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학과에 대해 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보 고하여 본 연구와 결과가 일치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지역 안경광학과 학생들 중 일부를 대 상으로 국한된 연구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일부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생각하는 안경 사의 전문적 자아개념, 사회적인식, 전문성에 대한 전공 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유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재학생들의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적 인식이 높다 는 것을 나타내는 의미 있는 연구결과로 안경광학과 학 생들의 진로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되어질 수 있 다고 사료된다.

    Figure

    Table

    Subject's characteristics (N=196)

    Occupational view of optometris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views of optometrists according to age groups

    Differences in occupational views of optometrists according to gender

    Correlations between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view of optometrist

    Factors affecting the occupational view of optometrist

    Reference

    1. Son BH, Kim YM et al.: A study on nursing students' job-esteem, work values, and satisfaction of their major.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3), 240-249, 2011.
    2.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19, Available at https://www.law.go.kr. Accessed May 22, 2021.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168885#0000
    3. Mah KC, Lee HJ et al.: The projection of demand and supply for optometristry manpower. Korean J Vis Sci. 3(1), 25-40, 2001.
    4. Lee WS, Ye KH: A study on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optical stores and optometrists in Korea. J Korean Oph Opt Soc. 22(4), 279-290, 2017.
    5. Choi HJ, Jung KI: Development of job-esteem scale for Korean nurses. J Korean Acad of Nurs. 50(3), 444-458, 2020.
    6. Lee SH, Cha EJ: Effects of body image, career identity, family health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Sch Health 31(3), 127– 134. 2018.
    7. Seo ES, Chung KA: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a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 Vis Sci. 17(3), 213-226,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