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3 No.2 pp.231-236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1.23.2.231

A Case of Normal Retinal Blood Vessel Pattern Using Fundus Camera

Dae-Gwang Wi1), Mi-A Jung1), Hyun-Sung Leem2)*
1)Dept. of Optometry,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Professor, Yeoju
2)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un-Sung Leem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262, E-mail: hsl@eulji.ac.kr
June 4, 2021 June 24, 2021 June 24, 202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specific pattern of retinal blood vessel morphology in subjects with normal retina. The fundus of a 22-year-old female subject with normal ophthalmic history and visual acuity was tested. 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tinal nerve fiver layer thickness and C/D ratio were normal.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stribution of retinal blood vessels using a fundus camera, there were no specific findings in the optic nerve papilla originating from the central retinal artery. But it was observed that the central retinal artery in the right ey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branches after toward the ear. There may be retinal blood vessels travel that is not included in the 10 modalities that classify the morphology of the central retinal arter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confirmation is necessary.



안저카메라를 이용한 정상 망막혈관 양상 사례

위 대광1), 정 미아1), 임 현성2)*
1)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여주
2)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Ⅰ. 서 론

    안저 검사는 안과에서 매우 중요한 검사 중 하나로, 안과적 질환 판정뿐만 아니라 전신질환의 진단과 경과의 판정에도 중요한 검사이며 고혈압과 심장혈관계통의 질 환 및 당뇨병 등에 동반되는 변화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검사이다.1) 또한, 이러한 질환의 변화를 절개나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직접 관찰할 수 있다.2) 정상인 의 안저 소견은 개인에 따라 심한 차이를 나타내므로, 안저의 병적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안저의 정상 상 태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중 안동 맥은 안와와 안구에 혈액을 공급하고 있고, 특히 망막중 심 동맥과 후모양 동맥이 안구에 직접적인 혈액 및 영양 공급을 하는 주요 동맥이다. 따라서 안동맥의 기시부와 주행 방향, 분지 분포는 안저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된다.3)

    안동맥의 해부학적인 연구는 많이 보고되어져 왔고, 1948년 Wood4)는 정상인의 시신경유두를 망막중심동맥 분지의 분포에 따라 10가지 양상으로 분류하여 보고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류되는 10가지의 양 상에 포함되지 않은 망막중심동맥 분지의 양상을 보고하 고자 한다.

    Ⅱ. 증 례

    대상자는 안과적 병력과 자각적 불편함이 없고, 특이 소견이 없는 22세 여성이며 굴절검사 결과 우안은 Sph +0.50 D ⁐ Cyl –0.25 D, Ax60°이고 좌안은 Sph +0.75 D ⁐ Cyl –0.25 D, Ax65°이었다. 최대교정시력 은 양안 모두 1.0으로 정상 시력을 보였다. 안저카메라 (Fundus camera TRC-400, Topcon, Tokyo, Japan) 를 이용한 망막혈관 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신경유두 에서 망막중심동맥이 나오는 위치는 Wood1)가 제시한 10가지 양상으로 비교하였고, 그 외 잔가지는 7등분으 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혈관분포 이외 의 망막을 분석하기 위하여 빛간섭 단층촬영(Cirru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arl Zeiss Meditec, Jena, Germany)을 시행하여 시신경유두 함몰/시신경 유두 직경(C/D) 비율과 망막신경섬유층(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두께를 측정하였다.

    안저촬영 결과 우안의 망막중심동맥분지의 주행이 특 이 소견을 보였으나 좌안은 정상 혈관 분포를 보여 양안 이 다른 형태의 혈관 양상이 관찰되었으며(Fig. 1.), 우 안의 귀쪽 방향으로 주행하는 동맥 분지의 특이 양상은 Wood4)가 제시한 10개 분류에 속하지 않았다(Fig. 2.).

    빛간섭 촬영으로 망막을 단층 촬영한 결과 양안의 시 신경유두함몰/시신경유두직경 비율과 망막신경섬유층은 모두 정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3.).

    또한 시신경유두에서 망막중심동맥의 잔가지가 나오 는 위치를 7등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7번 중심부 의 영역으로 확인 되었다(Fig. 4.)

    Ⅲ. 고 찰

    망막은 인체에서 가장 대사가 활발한 조직중의 하나 이므로 높은 밀도로 혈관이 분포하고 있다.5) 망막은 두 가지의 서로 다른 혈관계로부터 이중으로 혈액을 공급 받는다. 망막의 바깥쪽 1/3은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망 막의 안쪽 2/3는 망막중심동맥에서 혈액 공급을 받는 다.6) 망막중심동맥의 주행은 내경동맥에서 기원한 눈동 맥의 첫 분지로서 안구의 1.2 cm 후방에서 시작되어 시 신경내 혹은 시신경유두부위에서 상하분지를 내고 상이 측, 상비측, 하이측, 하비측으로 분지를 내어 망막에 혈 액을 공급한다.6)

    이러한 망막중심동맥이 분포하는 형태에 대하여 Wood4)는 시신경유두를 상비측, 하비측, 상이측, 하이 측으로 4등분하고, 망막중심동맥이 4개의 주분지로 나 누어지는 형태에 따라 총 10개로 구분하였다. 그 중 하 지는 하비측에, 상지는 상비측과 상이측에 있는 5번 유 형이 가장 많다고 하였고,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Chang 및 Choi7)와 Leem 등8)의 연구에서는 모두 각 4 부위에 한 분지씩 있는 9번 대칭 유형이 가장 많다고 보 고하였다.

    망막중심동맥은 눈동맥의 분지로 안구의 후방 10 mm 부위에서 시신경으로 들어간 후 시신경 유두 중앙 부위에서 분지를 형성하여 나온다.6) 이러한 망막중심동 맥이 기시하는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신경유두를 7 개 영역으로 나누어(Fig. 4.) 어느 부위에서 기시하는지 를 관찰하고 양안을 비교한 결과 Chang 및 Choi7)와 Jeong 등9)은 비측중앙부(1번 영역)에서 기시하는 경우 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중앙부(7번 영역)가 많다고 보고 하였다. 또한 Jeong 등10)은 비측중앙부에서 기시하는 경우가 81%라고 하였으며, Leem 등8)은 중심부(7번 영 역)에서 기시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시력 검사 결과와 빛간섭 단층촬영 결과(시신경유두 함몰/시신경유두 직경 비율과 망막신경 섬유층 두께)는 모두 정상이었으며, 망막중심동맥이 시 신경유두부에서 기시하는 위치 또한 선행 연구와 큰 차 이를 보이지 않는 특이 소견이 없는 대상자였다. 하지만 망막중심동맥 분포가 일반적인 10개 양상에 포함되지 않고 시신경유두 직경만큼 비측으로 주행 후 상측과 하 측으로 분리되는 등의 시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이 양상의 혈관 분포를 갖는 사례가 있을 수 있어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KJVS-23-2-231_F1.gif

    Fundus photography image. A: abnormal central retinal artery in the right eye, B: normal central retinal artery in the left eye.

    KJVS-23-2-231_F2.gif

    Ten types of the central retinal artery origin in the optic disc by Wood classification.

    KJVS-23-2-231_F3.gi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nalysis report. A: right eye RNFL thickness, B: left eye RNFL thickness.

    KJVS-23-2-231_F4.gif

    Fundus measurement of the central retinal artery in the optic disc. 1: NC (nasal center), 2: TC (temporal center), 3: IN (inferior nasal), 4: SN (superior nasal), 5: ST (superior temporal), 6: IT (inferior temporal), 7: C (center).

    Table

    Reference

    1. Kwak HW, Joo MJ et al.: The significance of fundus photography without mydriasis during health mass screening. J Korean Ophthalmol Soc. 38(9), 1585-1589, 1997.
    2. Spaide RF, Klancnik Jr. JM et al.: Retinal vascular layers imaged by fluorescein angi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JAMA Ophthalmol. 133(1), 45-50, 2015.
    3. Rispoli M, Savastano MC et al.: Capillary network anomalies in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Retina 35(11), 2332-2338, 2015.
    4. Wood EH: The normal optic nerve: Classification of the optic disc based on branching of the central retinal artery. Arch Ophthal. 39(3), 305-312, 1948.
    5. Buttery RG, Hinrichsen CF et al.: How thick should a retina be? A comparative study of mammalian species with and without intraretinal vasculature. Vision Res. 31(2), 169-187, 1991.
    6. Kim JM, Park KH et al.: Comparison of the results between heidelberg retina tomography 2 and stratu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glaucoma. J Korean Ophthalmol Soc. 47(4), 556-562, 2006.
    7. Chang HR, Choi O: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c disk and retinal vessels. J Korean Ophthalmol Soc. 23(3), 601-611, 1982.
    8. Leem HS, Paik DJ et al.: Morphological analysis of papillary retinal vessels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in koreans. J Korean Ophthalmol Soc. 48(10), 1369-1378, 2007.
    9. Juhng JH, Kim HW et al.: Classification of the optic disk based on branching of the central retinal artery. J Korean Ophthalmol Soc. 17(3), 275-279, 1976.
    10. Jeong TM, Lee JH et al.: Classification of the optic disk based on branching of the central retinal artery. J Korean Ophthalmol Soc. 16(3), 205-208,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