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3 No.3 pp.365-372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1.23.3.365

Parkinson’s Disease and the Eye Symptom

Hye-Won Park1), Tae-Hun Kim2),3)*
1)Dept. of Optometry, Kookje University, Professor, Pyeongtaek
2)Dept. of Visual Optics,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Baekseok University, Professor, Seoul
3)Dept. of Visual Optics,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Tae-Hun Kim (https://orcid.org/0000-0002-2840-650X) Dept. of Visual Optics, Baekseok University, Cheonan
TEL: +82-41-550-2259, E-mail: kth@bu.ac.kr
August 7, 2021 September 27, 2021 September 28, 2021

Abstract


Parkinson’s disease is a neurodegenerative disease by cognitive dysfunction, neurological abnormalities, motor dysfunction, and sensory dysfunction. Among the sensory functions, various symptoms appear in the eyes. The eye symptoms that can occur with Parkinson’s disease may include decreased visual acuity, colour vision abnormality contrast sensitivity, blinking, abnormal eye movements, diplopia, hallucinations, and visual field. In particular, mainly blue and green abnormalities in color vision. In addition, if the number of blinks is decreases, and the blinking time is delayed, which may cause dry eye. When abnormal in eye movements, it appears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Hence, sometimes it appears there are hallucinations that diplopia occurs. It is associated with glaucoma and may cause visual field. Along with drug treatment, eye examination and general eye condition will be checked, and steady management will be required.



파킨슨병과 안구증상

박 혜원1), 김 태훈2),3)*
1)국제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평택
2)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교수, 서울
3)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Ⅰ. 서 론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뇌의 신경세포 손상 으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질환1)이다. 이 질환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뇌의 흑질(substantia nigra)에 도파민성 계통의 신경세포가 신경독소 물질에 의해 소실되어 발생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때 손상된 흑질의 신경세포 안에서는 루이체(lewy body)라는 특정 단백질 덩어리가 존재하며 병리소견으로 중요하다.2) 대부 분은 산발적으로 발병하게 되는데 약 5~10% 정도는 유전적 돌연변이로 인해 단백질 기능을 변화시켜 발병하게 된다.3) 파킨슨병은 일반적으로 운동장애, 신경이상, 감각기능 장애 를 보이게 된다.4) 특히 떨림(tremor), 경직(rigidity), 운동 완만(bradykinesia), 균형장애(balance disorder), 자세 이상(postural abnormality) 등의 운동장애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5) 이러한 증상은 대뇌피질(cerebrum cortex)에 운동을 명령하고 무의식적으로 근육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기저핵(basal ganglia)에서의 신경변성으로 신경전달물질 인 도파민(dopamine)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서서히 감소 하여 발생하게 된다.6) 파킨슨병은 만성질환으로 오랜 시간 진행되면서 색상식별 장애, 얼굴표정 인식감소, 공간지각장 애 등과 같은 감각기능에서도 이상증상들이 나타나게 된 다.7) 감각기능 중 안구에서는 도파민 감소로 인해 망막의 무축삭 세포(amacrine cell) 및 망상간세포(interplexiform cell)에 영향을 받게 되거나8) 외측슬상핵(lateral geniculate nucleus), 시각피질(visual cortex) 등의 시각경로에 손상 이 발생하게 되면서 파킨슨병으로 안구에도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9)

    Ⅱ. 파킨슨병에서 안구증상

    1. 시력(visual acuity)

    파킨슨병이 진행됨에 따라 시력저하가 발생할 수 있 다.10) 파킨슨병 환자군과 연령과 성별이 동일한 조건의 대조군에서 시력 차이가 보고되었다. 파킨슨병 환자 그 룹의 평균 시력은 20/39이고 대조군의 평균 시력은 20/28으로 질병이 진행될수록 시력 변화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0) 파킨슨병에서 시력저하와 관련이 직 접적으로 있는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시각피질 에 손상보다 망막에서 도파민 부족이 시력저하를 발생하 게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11,12) 또한, 비정상적인 안구운 동이나 깜박임의 부족 등으로도 시력저하는 발생할 수 있다.11)

    2. 색각(colour vision)

    파킨슨병 초기 환자들에게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으로 색각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13) 특히, 청색과 녹색에서 두드려지게 색각이상을 보였다.14,15) 정확한 메커니즘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단파장(short-wavelength)인 청색 의 빛에 반응하는 S 원뿔세포(cone cell)는 망막에서 수 가 적고 넓게 퍼져있어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도파민에 의해 무축삭 세포가 반응하는 데 도파민의 감소로 색각 이상을 느끼게 된다.15)

    최근 연구들에서는 적색과 녹색에서도 색각이상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었다.16,17) 이러한 색각이상은 인지 기능 이상과는 구분을 해야 한다.18) 색각검사는 주로 Farnsworth-Munsell 100-hue 색각검사를 이용하는 데 이 검사는 명도와 채도는 같고 색상이 변화된 100개 의 색상판을 순서대로 배열하는 검사로 색상의 차이를 구별하게 된다.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고 파킨슨병은 주 로 고령층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인지기능 이상과 구분이 필요하다.19) 색상의 구별은 파킨슨병이 악화되거나 운동 기능의 손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0) 따 라서 색각이상은 파킨슨병의 초기 단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므로 색각검사는 중요하다. 고령층에 서 색각이상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색각검사 방법 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3.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대비감도는 물체로부터 배경과 구별하는 능력으로 임 상에서 검사 시 중요하게 고려되지는 않지만, 일상생활 에서 물체를 인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파킨슨병 환자에서는 대비감도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정상적 인 시력의 파킨슨병 환자 그룹과 동일한 조건의 대조군 에서 같은 크기의 글자로 된 시력 차트에서 대비감도를 줄이면 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1) 이는 도 파민으로 인한 신경세포 퇴화, 흑질 선조체 시스템 (nigrostriatal system) 이상뿐만 아니라 망막의 도파민 감소로 색각이상과 시력저하, 중심와(fovea) 주변의 도 파민 감소로 인한 시야 손상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 다.22-24) 대비감도의 저하는 정상적인 노화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파킨슨병 증상의 중증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5) 대비감도 검사는 일반적으로 잘 시행하지 않으나 파킨슨병 환자들에게는 대비감도 저 하와 병의 중증도가 관련이 있으므로 대비감도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4. 눈 깜박임(eye blinking)

    파킨슨병이 있는 환자의 눈 깜박임이 감소할 수 있 다.26,27) 자발적으로 깜박인 경우에는 눈을 감고 뜨는 사 이에 시간이 더 길다는 보고가 있었다.28) 또한, 반복적 인 깜박임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는 신경세포를 자극 해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데 분비가 감소하 여 나타나는 증상이다.29) 눈 깜박임이 감소하게 되면 눈 물막이 불안정하게 되고 안구건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시력저하까지 발생할 수 있다.30)

    5. 안구 움직임(eye movements)

    파킨슨병 환자에서 안구의 움직임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EOG(electrooculography)를 사용하여 안구운동 기능을 평가하였는데 눈이 먼 곳을 주시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파킨슨병 환자에서 EOG는 종종 정상으로 나타 나지만 안구가 움직일 때 75%에서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31) 특히, 수평 시선으로 움직일 경우 반응 시간과 속도가 더 느리게 나타났다.31) 이는 뇌간, 소뇌, 기저핵 및 전두엽 피질에서 도파민의 영향으로 안구운동 의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32) 또한 파킨슨병 환자에게 안구 움직임의 이상으로 폭주부족(convergence insufficiency)도 발생하기도 한다. 폭주부족으로 인해 주변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 읽기를 할 경우 복시를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33,34)

    6. 복시(diplopia)

    파킨슨병 환자에서 가장 흔한 시각 증상인 복시10)는 안구 움직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데 파킨슨병 초기보다 중등도로 진행한 환자에게서 나타난다.35) 복시는 폭주부 족으로 발생한 외사위(exophoria)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36) 복시는 파킨슨병 환자의 낮 동안의 졸림과도 관 련이 있고12) 두통, 안구 통증 및 피로가 유발할 수 있다 는 보고가 있으며37) 환각의 발생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 고되었다.38)

    7. 환각(hallucination)

    환각은 파킨슨병에서 여러 증상의 합병으로 환자들에 서 종종 발생한다.39,40) 아직 병태생리학으로 완전히 설 명되지 않지만, 신경세포 이상, 뇌의 측두부에서 특이한 루이체 병리나 도파민계열로 치료받는 환자에게서 발생 한다.41) 또한, 복시와 인지장애가 있는 경우 발생하며38) REM(rapid eye movement) 수면 장애와도 관련이 있 다는 최근 보고가 있었다.42) 환각은 어두운 경우에 종종 발생하며 시력저하와 관련이 있지만,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환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12,26,43)

    8. 시야(visual field)

    파킨슨병과 시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으 나 몇몇 연구에서 파킨슨병 환자에서 시야 이상을 확인 하였다.44) 파킨슨병 환자 49명 중 24%에서 녹내장 합 병증으로 시야 결손 및 시신경유두함몰비(cup-disc ratio)가 0.8 이상으로 나타나 시야와 파킨슨병이 관련 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5) 또한, 파킨슨병 환자는 주변부에서 대비감도 저하를 보이며46) 주변부의 움직임 을 감지하는 지각이 손상되어 주변부에 움직임을 감지하 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15,47) 이는 파킨슨병이 시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시사된다.

    Ⅲ. 치료 및 관리

    파킨슨병은 치료가 불가능한 질환으로 질병의 완치보 다는 병의 진행을 지연하거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치 료한다.48) 주로 약물로 치료하게 되며 안구증상만을 위 한 치료는 하지 않는다. 약물치료는 도파민계열을 사용 하는 데 약물로 인해 안구증상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레보도파(levodopa)는 시력 개선11) 및 안구운 동에 효과49)가 있다는 연구도 있는 반면에 이러한 증상 의 개선 효과와 도파민의 치료 효과에 대한 관련성이 부 족하며50) 치료 효과가 없다는 연구도 있었다.51) 또한, 약물로 인하여 각막부종, 동공확대, 조절력 감소, 안구 근육 마비, 안구건조 등의 안구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구에 불편함이 증가할 수도 있다.52-54) 약물치 료로 인한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약물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제외하고 보행 및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해결 하기 위해 눈 관리가 필요한데 시력저하 및 눈의 피로를 완화하기 위해 안경을 착용하여 개선될 수 있도록 처방 하고 이러한 환자는 근거리 시력의 손상이 있을 수 있고 폭주부족이 나타나 이를 위해 프리즘 안경으로 교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55)

    Ⅳ. 결론

    파킨슨병 환자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 내에서도 증가하는 추세이다.56,57) 파킨슨병의 원인은 아 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뇌의 신경세포 손상으로 도파민이 감소하여 운동장애, 신경이상, 감각기능 장애 등이 나타나게 된다. 도파민 감소는 망막 및 시각경로 등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안구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파 킨슨병으로 인한 안구증상으로는 시력저하, 색각이상, 대비감도 저하, 눈 깜박임 감소, 안구 움직임 변화, 복 시, 환각, 시야 결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안구증상은 운동장애와 인지장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 다.58) 파킨슨병은 치료할 수 없지만 증상을 완화하기 위 해 주로 약물치료를 하고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로 인해 안구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약물치료로 인한 부 작용을 제외하더라도 일상생활의 불편함과 눈의 피로를 완화하기 위해 안경을 착용하여 개선될 수 있도록 처방 하고 폭주부족이 발생할 수 있어 프리즘 안경으로 교정 이 필요하여 시력검사가 중요하다. 또한, 색각이상은 파 킨슨병의 초기 단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증상으로 색각 검사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의학기술 발달로 고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이 증가하고 있지만, 파킨슨병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미 미하다. 파킨슨병에 대한 지속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 며 이를 통해 안구증상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파킨슨병 환자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안구증상들은 환자가 주로 고령층이라는 점 때문에 노화라 생각하여 소홀히 하기 쉽다. 따라서 고령층에서도 시력검사 및 전 반적인 눈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진하고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Figure

    Table

    Reference

    1. Parkinson J: An essay on the shaking palsy.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14(2), 223-236, 2002.
    2. Gibb WR, Lees AJ: The relevance of the Lewy body to the pathogenesis of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51(6), 745-752, 1988.
    3. Seol WG: Genes causing familial parkinson’s disease. Korean J Psychopharmacol. 19(1), 29-37, 2008.
    4. Hoehn MM, Yahr MD: Parkinsonism: Onset, progression, and mortality. Neurology 17(5), 427-442, 1998.
    5. Stacy M, Jankovic J: Differential diagnosis of Parkinson’s disease and the parkinsonism plus syndromes. Neurol Clin. 10(2), 341-359, 1992.
    6. Corti O, Hampe C: Parkinson’s disease: Form causes to mechanisms. Neurosciences 328(2), 131-142, 2005.
    7. Antal A, Bandini F et al.: Visuo-cognitive dysfunctions in Parkinson’s disease. Clin Neurosci. 5(2), 147-152, 1998.
    8. Frederick JM, Rayborn ME et al.: Dopaminergic neurons in the human retina. J Comp Neurol. 210(1), 65-79, 1982.
    9. Hesselmann G, Hebart M et al.: Differential BOLD activity associated with subjective and objective reports during “blindsight” in normal observers. J Neurosci. 31(36), 12936–12944, 2011.
    10. Repka MX, Claro MC et al.: Ocular motility in Parkinson’s disease.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33(3), 144-147, 1996.
    11. Jones RD, Donaldson IM et al.: Impairment of high-contrast visual acuity in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7(3), 232-238, 1992.
    12. Archibald NK, Clarke MP et al.: Visual symptoms in Parkinson’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dementia. Mov Disord. 26(13), 2387-2395, 2011.
    13. Price MJ, Feldman RG et al.: Abnormalities in color vision and contrast sensitivity in Parkinson’s disease. Neurology 42(4), 887-890, 1992.
    14. Pieri V, Diederich NJ et al.: Decreased color di scrimination and contrast sensitivity in Parkin son’s disease. J Neurol Sci. 172(1), 7-11, 2000.
    15. Haug BA, Trenkwalder C et al.: Visual thresholds to low-contrast pattern displacement, color contrast, and luminance contrast stimuli in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9(5), 563-570, 1994.
    16. Archibald NK, Clarke MP et al.: The retina in Parkinson’s disease. Brain 132(Pt 5), 1128-1145, 2009.
    17. Oh YS, Kim JS et al.: Color vision in Parkinson’s disease and essential tremor. Eur J Neurol. 18(4), 577-583, 2011.
    18. Regan BC, Freudenthaler N et al.: Colour discrimination thresholds in Parkinson’s disease results obtained with a rapid computercontrolled colour vision test. Vision Res. 38(21), 3427-3431, 1998.
    19. Silva MF, Faria P et al.: Independent patterns of damage within magno-, parvo- and koniocellular pathways in Parkinson’s disease. Brain 128(Pt 10), 2260-2271, 2005.
    20. Diederich NJ, Raman R et al.: Progressive worsening of spatial and chromatic processing deficits in Parkinson disease. Arch Neurol. 59(8), 1249-1252, 2002.
    21. Regan D, Neima D: Low-contrast letter charts in early diabetic retinopathy, ocular hypertension, glaucoma, and Parkinson’s disease. Br J Ophthalmol. 68(12), 885-889, 1984.
    22. Harnois C, Di Paolo T: Decreased dopamine in the retinas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Invest Ophthalmol Vis Sci. 31(11). 2473-2475, 1990.
    23. Nguyen-Legros J: Functional neuroarchitecture of the retina: Hypothesis on the dysfunction of retinal dopaminergic circuitry in Parkinson’s disease. Surg Radiol Anat. 10(2), 137-144, 1988.
    24. Nguyen-Legros J, Harnois C et al.: The retinal dopamine system in Parkinson’s disease. Clinical Vision Sci. 8(1), 1-12, 1993.
    25. Struck LK, Rodnitzky RL et al.: Circadian fluctuations of contrast sensitivity in Parkinson’s disease. Neurology 40(3 Pt 1), 467-470, 1990.
    26. Biousse V, Skibell BC et al.: Ophthalmologic features of Parkinson’s disease. Neurology 62(2), 177-180, 2004.
    27. Deuschl G, Goddemeier C: Spontaneous and reflex activity of facial muscles in dystonia, Parkinson’s disease, and in normal subject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64(3), 320-324, 1998.
    28. Agostino R, Bologna M et al.: Voluntary, spontaneous, and reflex blinking in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23(5), 669-675, 2008.
    29. Peshori KR, Schicatano EJ et al.: Aging of the trigeminal blink system. Exp Brain Res. 136(3), 351-363, 2001.
    30. Garland HG: Parkinsonism. Br Med J. 1(4750), 153-155, 1952.
    31. Shibasaki H, Tsuji S et al.: Oculomotor abnormalities in Parkinson’s disease. Arch Neurol. 36(6) 360-364, 1979.
    32. Rieger JW, Kim A et al.: Cortical functional anatomy of voluntary saccades in Parkinson disease. Clin EEG Neurosci. 39(4), 169-174, 2008.
    33. Almer Z, Klein KS et al.: Ocular motor and sensory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Ophthalmology 119(1), 178–182, 2012.
    34. Nowacka B, Lubinski W et al.: Ophthalmological features of Parkinson disease. Med Sci Monit. 20, 2243-2249, 2014.
    35. Naumann W, Gogarten J et al.: Diplopia in Parkinson’s disease: Indication of a cortical phenotype with cognitive dysfunction? Acta Neurol Scand. 144(4), 440-449, 2021.
    36. Lepore FE: Parkinson’s disease and diplopia. Neuro-Ophthalmology 30(2-3), 37-40, 2006.
    37. Kesler A, Korczyn AD: Visual disturbances in Parkinson’s disease. Practical Neurology 6(1), 28-33, 2006.
    38. Nebe A, Ebersbach G.: Selective diplopia in Parkinson’s disease: A special subtype of visual hallucination? Mov Disord. 22(8), 1175-1178, 2007.
    39. Diederich NJ, Goetz CG et al.: Repeated visual hallucinations in Parkinson’s disease as disturbed external/internal perceptions: Focused review and a new integrative model. Mov Disord. 20(2), 130-140, 2005.
    40. Fénelon G, Mahieux F et al.: Hallucinations in Parkinson’s disease: Prevalence, phenomenology and risk factors. Brain 123(4), 733-745, 2000.
    41. Williams DR, Lees AJ: Visual hallucinations in the diagnosis of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A retrospective autopsy study. Lancet Neurol. 4(10), 605-610, 2005.
    42. Manni R, Terzaghi M et al.: Hallucinations and REM sleep behaviour disorder in Parkinson’s disease: Dream imagery intrusions and other hypotheses. Conscious Cogn. 20(4), 1021-1026, 2011.
    43. Holroyd S, Currie L et al.: Prospective study of hallucinations and delusions in Parkinson’s diseas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70(6), 734-738, 2001.
    44. Yenice O, Onal S et al.: Visual field analysi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arkinsonism Relat Disord. 14(3), 193-198, 2007.
    45. Bayer AU, Keller ON et al.: Association of glaucoma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s with apoptotic cell death: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Am J Ophthalmol. 133(1), 135-137, 2002.
    46. McDowell SA, Harris J: Irrelevant peripheral visual stimuli impair manual reaction times in Parkinson’s disease. Vision Res. 37(24), 3549-3558, 1997.
    47. Mestre D, Blin O et al.: Spatiotemporal contrast sensitivity differs in normal aging and Parkinson’s disease. Neurology 40(11), 1710-1714, 1990.
    48. Lee CW: A comparative study of Parkinson’s disease dementia. J Korea Soc Occ Ther. 3(2), 59-71, 2009.
    49. Marino S, Lanzafame P et al.: The effect of L-Dopa administration on pursuit ocular movements in suspected Parkinson’s disease. Neurol Sci. 31(3), 381-385, 2010.
    50. Racette BA, Gokden MS et al.: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responsive to levodopa. Strabismus 7(3), 169-174, 1999.
    51. Pandey PK, Chaudhuri Z et al.: Effect of levodopa and carbidopa in human amblyopia.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39(2), 81-89, 2002.
    52. Pearlman JT, Kadish AH et al.: Vision loss associated with amantadine hydrochloride. Arch Neurol. 34(3), 199-200, 1977.
    53. Kubo S, Iwatake A et al.: Visual impairment in Parkinson’s disease treated with amantadine: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Parkinsonism Relat Disord. 14(2), 166-169, 2008.
    54. Ghaffariyeh A, Honarpisheh N: Amantadineassociated corneal edema. Parkinsonism Relat Disord. 16(6), 427, 2010.
    55. Rodnitzky RL: Visual dys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Clin Neurosci. 5(2), 102-106, 1998.
    56. Karikari TK, Charway-Felli A et al.: Commentary: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of neurological disorders during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Front Neurol. 9, 201, 2018.
    57. Park HJ, Son HG: Influence of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J Korea Con Assoc. 18(11), 516-526, 2018.
    58. Dong W, Yan B et al.: Ischaemic stroke: The ocular motor system as a sensitive marker for motor and cognitive recover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84(3), 337-34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