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안경집은 안경을 담아두고 휴대하기 위한 도구이며, 많은 경우 안경을 구매한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안경테와 함께 하나의 묶음으로 구매 또는 획득하게 되는 물품이 다. 가격이 높은 고급 안경테 회사들이 자신들의 안경테 와 어울리는 안경집을 함께 판매하는 경우도 있으나, 안 경을 맞추는 대부분의 고객들은 안경원에서 사은품으로 제공하는 일반 안경집을 이용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최근에는 안경테의 디자인과 재료가 다양해지고 시장 규모가 확대 및 세분화 되면서 안경집의 디자인 또한 이 러한 경향에 맞추어 발전하고 있다. 아울러 안경에 대한 인식 변화와 마찬가지로 안경집 또한 단순한 생활필수품 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패션용품으로 간주되는 경향 또 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20대에서 두드러 지게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20대는 패션과 여가 등의 항목에 대하여 다른 세대의 평균 이상으로 지출하는 것 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자신의 취향을 만족시켜 주는 제 품을 망설이지 않고 구매하는 가치소비 성향을 강하게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본 논문에서는 취향 만족 을 위해 과감한 지출을 마다하지 않는 소비 패턴을 가진 20대가 안경집 디자인에 대해서도 더욱 민감할 것이라 전제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안경 산업의 급속한 환경 변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 와 라이프 스타일로 인하여 안경 관련 분야의 소비 패턴 이 변화하고 있다. 임상 현장의 안경원은 이러한 환경변 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판매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나, 현 실적으로 안경원 전체의 수익구조는 꾸준히 악화되고 있 는 실정이다. 많은 안경원이 부가가치 높은 검안보다는 박리다매와 같은 매출 위주의 경영을 선호하며 서로에게 악영향을 끼치는 출혈경쟁을 자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한 가지 대안은 안경원에 디자인 경영의 개념을 적극 도입하여 소비자를 세분화하 고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적 용하는 것이다.2)
최근의 마케팅 연구에서는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itcation) 개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IMC 개념의 주요 전략 요소로 5P mix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의미는 product, people, promotion, price, place를 적절히 배치해야 효율적인 마케팅을 성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3) IMC 개념을 바탕으로 안경원 에서 제공하는 안경집을 마케팅의 관점에서 분석한다면, 안경집은 5P mix에서 product에 해당되며 안경원의 브 랜드 패키지(package)이자 독자성(personality)을 나타 내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안경원에서 제공하는 기본 안경집 디자인에 차별화를 주는 것만으로도 안경원만의 브랜드를 강화하고 마케팅 역량의 강화에 기여할 수 있 다. 안경집 디자인의 차별화가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 극하는 마케팅 전략의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 라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안경집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 해 현황을 분석하고 안경집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감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20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안경집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대학 재학생(안경광학과 재학생 포함)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집단의 특성은 빠른 패션 트렌드에 민감 하고 소비 시에 가성비보다 감성을 더 중요시하는 것이 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감성평가를 이용하여 안경집을 평가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감성 평가는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SD법은 대중들의 선 호도를 계량화하는 것으로서 대상의 이미지나 선호도를 평가할 때 형용사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방 법은 평가대상으로부터 어떤 형용사를 연상하는지 파악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감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야 하는 디자인 분야에 적합한 평가 방식으로 널리 알려 져 있다. SD법의 연구진행 과정은 Fig. 1에 제시되어 있다.
SD법과 같은 방식의 디자인 감성평가는 화장품 패키 지 디자인, 가전제품 디자인, 실외 디자인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사용된 바 있다.4,5) 안경 분야에서도 안경 원 쇼윈도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감성평가가 이미 수행된 바 있다. 도출된 감성 의미들과 응답자들의 선호도를 분 석하여 대학생 집단에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 유형을 도출하는 내용의 선행연구였다.6)
첫 번째 단계로, 선행연구의 연구방법을 따라,6) 인터 넷 또는 안경원에서 판매되는 안경집 디자인의 사례를 인터넷으로 조사하거나 직접 답사하는 방법으로 최대한 수집한 다음, 크게 30 종류의 대표적인 디자인으로 분류 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바탕으로 하여 안경집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기본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 거주 대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소 비자 인식 조사(설문조사)를 2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이 단계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부록 1에 주어져 있다.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로 선호도 상위의 안경집 디자 인 6개와 하위 6개의 디자인이 도출되었다. Fig. 2의 (a)와 (b)는 각각 소비자들에게 제시된 상위 6개 안경집 이미지와 하위 6개 안경집 이미지이다. 이후 단계의 설 문조사 연구 과정에서는 응답자들에게 Fig. 2의 이미지 12개만 제시되었다. 응답자들에게 제시된 안경집 이미 지들은 모두 같은 각도에서 촬영된 것으로 제시되었으며 하나의 안경집마다 각 3장의 이미지가 제시되었다.
두 번째 단계로 국내 모(某) 대학 안경광학과 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안경집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를 평가 하기 위한 척도가 될 감성 의미들을 다양한 형용사 중에 서 추출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앞의 설문조사에서 도출된 Fig 2의 상위와 하위 총 12개 디자인의 이미지 를 제시하고, 예제로 주어진 94개의 감성 형용사 중에서 각 대상에 부합한다고 느끼는 어휘를 10개씩 선택하게 하였다. 94개의 감성 형용사의 선정은 선행연구의 내용 을 따랐다.7) 이 단계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부록 2에 주 어져 있다. 응답자들이 선택한 감성 형용사를 빈도수에 따라 순위를 부여하고 유사한 감성 형용사들을 제거하여 의미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 12개의 안경집 디자인에 대한 감성 형용사 8개를 선정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2차 설문조사 대상자와 중복되지 않는 서울 거주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 에서 추출된 12개의 안경집 디자인에 대하여 2차 설문 조사에서 추출된 8개의 감성 형용사와 부합하는 정도를 5단계 의미 미분 척도에 의하여 SD법으로 평가하도록 실시하였다. 이 단계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부록 3에 주 어져 있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MS Excel 2010(Microsoft Inc., Redmond, WA, USA)과 SPSS 27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 였다. MS Excel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SPSS 27을 이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시 행하였다. 요인분석은 단순한 요인으로 복잡한 것을 설 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의 하나이 다. 통계적 현상의 배경에는 여러 종류의 복잡한 요인이 있지만 그 요인을 ‘공통요인’으로 집약하여 그 공통의 요 인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설명한다. 평가대상 상호의 관련을 분석하며 그 안에 잠재해있는 구조를 평가하는 것이 목표이기에 본 연구에 적합한 분석 방법으로 여겨 진다.8) 분석에는 주성분 분석방법을 이용하였고 회전방 법은 베리맥스(varimax)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고유값이 1.0 이상인 2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인터넷과 안경원에서 판매되는 사례를 조사하여 다양 한 30개의 안경집을 선별한 후 진행된 선호도 조사 결과 로 상위 6개와 하위 6개의 안경집 디자인이 선정되었다. 상위 안경집 디자인들은 단순하고 무채색인 박스형 또는 접이형의 디자인이 선호된 반면, 하위 안경집 디자인은 복잡한 무늬와 다양한 색상이 사용된 박스형 또는 지퍼 형의 디자인이라는 공통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Table 1은 첫 번째 단계인 소비자 인식조사의 결과이 다. 먼저 안경집만 구매할 의향을 조사한 결과로 ‘예’라 는 의견이 60.8%였고 ‘아니오’라는 의견이 39.2%로 나 타났다. 안경집만 단독으로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적절한 안경집의 가격대를 질문한 결과는 ‘7,000원 이상~10,000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30.4%로 가장 높았으며 ‘5,000원 이상 7,000원 미만’이 25.3%였고 ‘3,000원 이상~5,000원 미만과 ‘3,000원 미만’이 각각 16.5%로 나타났다.
20대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안경집 디자인의 형태를 박스형, 지퍼형, 접이형으로 크게 분류하여 설문하였을 때, ‘박스형’ 안경집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가 61.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접이형’ 안경집 디자인에 대한 선호 도가 26.9%로 그 뒤를 이었으며 ‘지퍼형’ 안경집 디자인 에 대한 선호도는 10%에 그쳤다. 안경집의 재질의 경우 플라스틱, 가죽, 금속 3종류로 크게 분류하여 설문하였 는데 ‘가죽’ 재질에 대한 선호도가 48.5%로 가장 높았고 ‘플라스틱’ 재질에 대한 선호도 또한 42.3%로 가죽 재질 안경집에 대한 선호에 버금갔으며 ‘금속’ 재질에 대한 선 호도는 6.9%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 외에는 ‘천’ 재 질이나 ‘자석’ 등의 안경집 재질을 선호한다는 기타 의견 이 2.3% 정도 존재하였다.
안경집 선호도 설문조사에서 선정된 12개의 안경집 디자인에 대한 감성 형용사를 추출하는 두 번째 단계의 설문조사 결과가 Table 2에 주어져 있다. ‘둥근’, ‘단단 한’, ‘무광의’, ‘실용적인’, ‘단순한’, ‘가벼운’, ‘깔끔한’, ‘고급스러운’ 등 모두 8개의 감성 형용사가 추출되었다.
세 번째 단계로, 두 번째 단계에서 추출된 감성 형용 사를 이용하여 첫 번째 단계에서 선정되었던 각 12개의 안경집 디자인들에 대하여 감성평가를 실시한 결과의 평 균치가 Fig. 3에 주어져 있다. 가로축은 5단계의 의미 미분 척도를, 세로축은 두 번째 단계에서 추출된 감성형 용사를 각각 의미한다.
Fig. 3에 나타나는 결과 값을 바탕으로 안경집 디자 인의 감성 형용사에 대한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평가의 구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에 주어져 있다. 고유값 1을 기준으로 하고 2개의 축으로 8 개의 어휘가 분류되었다. 전체 평가에 대한 제Ⅰ요인은 기여율이 45.307이고 고유치가 3.625이었다. Ⅰ요인의 형용사들은 ‘단순한’, ‘실용적인’, ‘가벼운’, ‘단단한’, ‘깔 끔한’ 등의 어휘들이었다. ‘단단한’의 경우 음의 상관 값 을 가지고 있어 다른 Ⅰ요인 형용사들과는 반대되는 평 가가 나타났다. Ⅰ요인의 제품분석으로부터 단단하지 않 고 가볍고 단순하고 깔끔한 안경집 디자인이 실용적인 이미지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 평가에 대한 제Ⅱ요인은 기여율이 27.003%이고 고유치가 2.160이었다. Ⅱ요인의 형용사들은 ‘고급스러 운’, ‘둥근’, ‘무광의’와 같은 어휘들이었다. ‘둥근’의 경우 음의 상관값을 가지고 있어 다른 Ⅱ요인 형용사들과 반 대되는 평가가 나타났다. Ⅱ요인의 제품분석으로부터 형 태적으로 둥글지 않고 무광의 안경집 디자인이 고급스러 운 이미지를 준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Fig. 4는 안경집 디자인에 대한 인자별 플로트도(plot diagram)로 x축에 Ⅱ요인을, y축에 Ⅰ요인을 배치한 산 점도이다. x축에서는 ‘고급스러운’, ‘무광의’ 이미지를 나 타내는 안경집 디자인들이 우측에 배치되었고 ‘둥근’ 이 미지를 나타내는 안경집 디자인들이 좌측에 배치되었다. y축에서는 ‘단순한’, ‘실용적인’, ‘가벼운’, ‘깔끔한’ 이미 지를 나타내는 안경집 디자인들을 우측에 배치하였고 ‘단단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안경집 디자인들을 좌측에 배치하였다. 플로트도 상의 ■표식 등과 같은 검은색 표 식은 선호도 조사에서 상위 안경집 디자인들을 가리키 고, □표식 등과 같은 흰색 표식은 하위 안경집 디자인 들을 의미하며, 순위에 따라 표식의 모양이 달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선호도 조사에서 상위를 차지한 6개의 안경집 디자인 들 가운데 6위 디자인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Ⅰ요인이 높게 나타났고, 5위 디자인 하나를 제외하고는 Ⅱ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다른 한편으로 선호도 조사에서 하위를 차지한 6개의 안경집 디자인들 가운데 5위 디자인 하나 를 제외하고는 모두 Ⅰ요인이 낮게 나타났고, 6위 디자 인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Ⅱ요인이 낮게 나타났다.
Ⅰ요인과 Ⅱ요인의 값이 양의 값으로 나타난 상위 1 ∼4 위의 안경집 디자인(●■▲▼)과 Ⅰ요인과 Ⅱ요인의 값이 음의 값으로 나타난 하위 1∼4 위의 안경집 디자인 (◯□△▽)을 각각 그룹으로 묶어 그 감성형용사 평가 결과의 평균을 비교·분석한 결과가 Fig. 5에 주어져 있 다. 선호도 조사에서 상위를 차지한 안경집 디자인들(● ■▲▼)은 전반적으로 ‘깔끔한’, ‘실용적인’, ‘고급스러 운’, ‘가벼운’, ‘무광의’, ‘단순한’ 이 높게 나타나고 ‘단단 한’, ‘둥근’이 낮게 나타났지만, 하위를 차지한 안경집 디 자인들(◯□△▽)은 ‘단단한’, ‘둥근’이 높게 나타나고 ‘깔 끔한’, ‘실용적인’, ‘고급스러운’, ‘가벼운’, ‘무광의’, ‘단순 한’이 낮게 나타나 서로 대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이 또렷이 나타나고 있다.
Ⅳ.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20대를 대상으로 선호하는 안경집 디자인의 특성을 감성평가 방법으로 연 구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설문조사를 통해 선호되는 안경집 디 자인 상위 6개와 하위 6개를 선정한 후, 두 번째 단계로 선정된 디자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감성 형용사를 추출하 고 감성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대가 안경집 디자 인을 평가할 때 가장 우선순위로 선택한 것은 기능성과 관련된 ‘실용적인’, ‘단순한’, ‘가벼운’, ‘단단한’, ‘깔끔한’ 등의 형용사에 관련된 항목들이었으며, 그 다음 순위로 심미성과 관련된 ‘고급스러운’, ‘둥근’, ‘무광의’ 등의 형 용사와 관련된 항목들이 안경집을 구매하는데 주로 고려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 인식조사 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실용적인 이미지가 두드러 지는 박스형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주는 가죽 재질이 다른 디자인들보다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0대의 소비 가치에 관한 Kwon 등9)의 선행연구 결 과와 본 연구에서 도출된 20대 선호 안경집 디자인의 특 성을 비교해보면 많은 유사점들을 찾아볼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 20대들이 중점을 두는 소비 가치가 효용 지향 가치와 심미 지향가치 순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 도 Ⅰ요인으로 추출된 감성형용사들은 주로 기능성관 관 련된 어휘들이었고 Ⅱ요인으로 추출된 감성형용사들은 심미성과 관련된 어휘들이었다는 점에서 Kwon 등의 선 행연구 결과와 잘 부합한다고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인식조사에서는 안경집을 독자적인 상품 으로 구매할 의사가 있는지 설문한 결과, 과반수가 넘는 60.8%가 구매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 결과로부 터 안경집이 단순히 안경을 판매할 때 함께 제공되는 사 은품을 넘어 별도의 패션 상품으로 판매될 가능성이 충 분히 있다는 해석을 도출할 수 있었다. 안경집을 별도로 구매 의사가 있는 이들에게 적당한 안경집의 가격대를 설문한 결과 가장 많은 빈도수(30.4%)의 응답이 나온 7,000원∼10,000원 의 범위가 적정 가격대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21년 현재 서울특별시에 거주하 는 20대로만 한정되었기 때문에 적용 범위에 한계가 존 재한다. 다양한 연령대와 거주 지역의 응답자를 대상으 로 차후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