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3 No.4 pp.509-524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1.23.4.509

A Study on Selection Attributes of Glasses Using Conjoint Analysis

Yeo-Joo Suh1), Hyun-Sung Leem2)
1)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Lecturer, Seongnam
2)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un-Sung Leem (https://orcid.org/0000-0003-3430-6932)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155, E-mail: hsl@eulji.ac.kr
November 25, 2021 December 24, 2021 December 24, 202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ection factors that are important for purchasing glass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s that consumers prefer to purchase glasses the most, and to suggest implications by finding the attributes that require change from the important attributes.



Methods : A conjoint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ombination and importance of the most preferred selection attribute among the important selection factors when purchasing glasses.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important selection attributes when purchasing glasses, the material is 'strong', the design is 'suitable for the face shape', the price is '7 million won to less than 15 million won', the place to buy glasses is 'purchase online', and the sales method is 'one-stop support service' appeared 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However, as a result of the conjoint analysis, the combination of the selection attributes that give the most utility when purchasing glasses is 'comfort' for material, 'suitable for the face shape' for design, 'less than 7 million won' for price, and the place to buy glasses is 'at an optical shop' and sales method were analyzed as 'one-stop support service'. As a result of chi-sqare analysis by demographic variables and spectacle use characteristic variables for the important selection attributes when purchasing glas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the group by sex, age, and average period of replacing glasses.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not only to derive the combination of optimal selection attributes and important attributes that consumers prefer to purchase glasses, but also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onsumer demographic variables and glasses use characteristic variables based on this.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안경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서 여주1), 임 현성2)
1)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강사, 성남
2)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Ⅰ. 서 론

    최근 안경 소비자들은 안경을 구매하는 선택에 다양 한 선호가 나타나고 있다. 안경은 잘 보이는 것뿐만 아 니라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두통 및 안통을 완화하 며, 시(視)기능을 향상시키고, 시(視)기능 저하를 예방하 기에 의료기기로 분류되었으며, 안보건 전문가인 안경사 가 조제, 가공한 안경으로 착용하게 된다, 안경 소비자 는 편안한 시 생활을 하기 위한 제품, 기능, 서비스 등을 동시에 원한다. 다시 말해, 구매를 결정에 있어 어떠한 선택이 나에게 혜택을 제공해 줄 것인가를 판단하고, 어 떤 욕구를 충족시킬 것인가를 생각하여 자신이 설정한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의해 구매를 결정짓는다.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안경 구매 시 가장 중요한 선택 요인을 분석한 연구에서 안경의 디자인(52.6%), 가격(23.2%), 소재(13.6%), 브랜드(6.6%) 순으로 안경 구매에 중요한 선택요인이 분석되었고,1) 일반 소비자를 30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디자인(40.6%), 가격 (34.0%), 소재(18.2%), 브랜드(4.7%) 순으로 안경 구매 에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분석하였다.2) 서울, 인천, 부 산, 대구, 울산, 경남, 강원 등 7개 지역 안경사 518명 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에서는 도수 안경 구매에 있어 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디자인(84%), 가격(62%) 순 으로 나타났다.3)

    대구 지역 20대 안경 소비자 200명과 안경광학과 학 생 200명을 대상으로 안경 구매 성향의 요소와 두 집단 의 구매 요구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도, 대구 지역 20대 안경 착용자들은 개성적인 환경의 안경원 (41%)에서 자신의 패션 스타일에 맞추어 안경테를 선택 하고 있으며(72%), 10~20분 내에 시력 검사를 하고 (53%) 당일 바로 조제된 안경이 피팅되기를 원하며 (47%), 이 모든 과정을 한 명의 담당자가 수행해 주기를 원하였고(47%),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단색을 가진 디자 인의 안경원에서(38%) 본인의 얼굴형에 맞추어 안경테 를 선택하고(48%), 10~20분(41%) 또는 20~30분 (38%) 동안 검사를 받고, 당일 바로 조제된 안경이 피팅 되기를 원하며(65%), 시력 검사, 안경 조제, 상품 선택 의 과정이 세분화된 담당자에 의해 이루어지기를 원하고 있었다(55%).4) 광주, 대구, 대전 지역의 안경원 구매고 객 437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5)에서는 안경을 구매 할 때, 중요한 결정 요인은 고객서비스 및 디자인 요인, 상품특성 요인, 구매경험 요인, 컨텐츠 및 커뮤니티 요 인 순으로 분석되었다.

    더욱이 안경 소비자들의 편의와 안경업계의 판로확대 를 위해 정부는 도수 안경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정책 을 검토하였는데,6) 안경 소비자는 안경원을 안경 구매에 따른 개별적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공간으로 인식하였 다.7) 즉 안경원에서 소비자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황이 다르기에 안경사와의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여겼다. 따라 서 정부의 이 같은 정책이 안경 소비자에게 안경 구매에 중요한 선택 요인인지 확인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밝힌 안경 구매 에 주요한 선택 요인들을 종합하여, 안경 구매에 중요한 결정요인을 제품 속성과 매장 속성으로 구분하여 안경 구매에 중요한 선택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한 다. 이러한 속성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품속성으 로 내재적 속성(예: 소재)과 외재적 속성(가격, 디자인 등)을 제시하였고, 매장속성으로는 물리적 속성(예: 매 장형태 등)과 판매방식(예: 시력 검사, 안경 조제, 상품 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 과정을 one-stop 지원 유무)을 제시하였다.

    안경 구매 시 중요한 선택요인을 분석하는데 있어 컨 조인트 분석(conjoi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컨조인 트 분석이란 소비자들이 제품의 속성에 근거하여 최종 선택을 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는데, 제품이 가지고 있 는 다양한 속성에 소비자가 부여하는 상대적 중요도와 각 속성 수준에 대한 효용(utility)을 추정함으로써 소비 자가 선택할 제품을 예측하는 분석기법으로 선호 체계 및 효용을 측정하는 고차원적인 분석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안경 구매에 중요한 선택요인을 분석하여 안경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안경 구매 선택요인에 대 한 특징을 파악하고, 안경을 구매할 때, 중요 속성에서 변화가 요구되는 속성을 찾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 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 대상의 표본은 2021년 8월 12일부터 8월 17 일까지 도수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 전문업체인 ㈜마크로밀엠브레인의 온라인 패널을 활용하여 총 25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2. 조사 항목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문항(성별, 연령, 거주지, 학력, 직업, 안경 착용기간, 안경 교체주기, 안경 보유개수), 안경 구매에 중요한 선택 속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 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Table 1).

    설문 문항구성에 각자의 취향에 맞는 안경을 선택하 는 경향이 많다고 생각되면 안경의 구매가격은 일반적인 평균값을 적용하여 그룹을 구성하였습니다.

    3.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SPSS 24.0 통계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 성 및 안경구매 선택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수를 바탕으로 안경 선택 시 중요한 선택요인 간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 석을 실시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여 안경 구매 시 중요 선택 요인 중 가장 선호하는 소비자 선택 속성 의 조합과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은 속성 에 대한 효용성과 속성수준에 대한 선호를 기초로 하여 소비자에 실제행동을 예측하기에 적합하다.8)

    컨조인트 분석방법의 절차를 자세히 살펴보면, 전체 프로필법(full profile method)을 사용하여 컨조인트 분 석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속성을 모두 이용하여 가상적인 프로필을 만들어 이들을 응답자에게 제시하고 가장 선호 하는 순서대로 프로필을 정하도록 하였으며 부분요인설 계(fractional factorial design)을 이용하여 평가할 프 로파일의 수를 줄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도수 안경 선택 속성 5개(3개 속성 수준, 2개의 속성 수준)로 나누어져 있는데, 모든 속성을 고려하는 전체 프로파일 법을 사용하여 프로파일을 만들었다. 전체 프로파일을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가능한 모든 프로파일의 개수는 총 108개(3³×2²)이나, 소비자가 108개의 프로 파일을 순서대로 정한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직교 설계방법을 사용하여, 16개의 가상 도수 안경 선택 프로 파일을 선정하였다. 부분인수 실험설계법은 프로파일 간 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선택속성들의 수 준을 다 포함하고 있으므로 적은 수의 프로파일만으로도 적절하게 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

    Ⅲ. 결 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변수 분석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도수 안경 착용 소비자 258명의 인구통계적 변수의 설문조사 결과, 남성 129명 (50.0%), 여성 129명(50.0%)이 응답하였으며, 평균 연 령은 40.0세, 표준편차 12.0로 나타났으며, 30대가 72 명(27.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20대가 62 명(24.0%), 40대가 55명(21.3%)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응답자가 79명(30.6%)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 69명(26.7%), 광역시(부산/대구/인천/광 주/대전/울산) 63명(24.4%), 기타(강원도/충청도/전라 도/경상도/제주도/세종시) 47명(18.2%) 순으로 나타났 다. 학력별로 4년제 대학 졸업자가 전체 146명(58.6%) 로 가장 높았으며, 대학재학/2·3년제 대학 졸업자 55 명(21.3%), 고등학교 졸업 이하 35명(13.6%), 대학원 졸업 이상 22명(8.5%) 순으로 나타났고, 직업으로는 사 무직/공무원 106명(41.1%)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 고, 그다음은 전업주부 31명 (12.0%), 기타 30명 (11.6%), 학생 24명(9.3%), 자영업과 전문직 각각 18명 (7.0%), 판매/서비스직 17명(6.6%), 기능/생산직 14명 (5.4%) 순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으로는 15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79명(30.6%)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150만원 미만 58명(22.5%), 300만원 이 상~450만원 미만 46명(17.8%), 450만원 이상~600만 원 미만 45명(17.4%) 600만원 이상 30명(11.6%) 순으 로 나타났다(Table 2).

    2) 조사대상자의 도수 안경 사용 특성 분석

    도수 안경 착용 기간, 도수 안경 교체 주기, 도수 안 경 보유 개수 분석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도수 안경(시 력교정용) 착용기간은 10년 이상 90명(34.9%)으로 가 장 높았고, 3년 이상~5년 미만 49명(19.0%), 5년 이 상~10년 미만 46명(17.8%), 1년 미만 33명(12.8%) 순 으로 나타났다. 도수 안경(시력교정용) 교체 주기는 1년 이상~2년 미만 112명(43.4%)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 음으로는 2년 이상 70명(27.1%), 6개월 이상~1년 미만 51명(19.8%), 6개월 미만 25명(9.7%) 순으로 나타났 다. 도수 안경(시력교정용) 보유 개수는 2개 124명 (48.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개 83명(32.2%), 3개 이상 51명(19.8%)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3) 조사대상자의 도수 안경 구매 시 중요 선택 속성 분석

    본 연구에서 안경 소재의 어떤 점을 중요시 여기는지 묻는 질문에 ‘견고함’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92명 (35.7%), 안경 디자인은 ‘얼굴형에 맞는’ 디자인을 중요 하게 여긴다고 답한 응답자가 133명(51.6%), 안경 가격 은 ‘7만원 이상~15만원 미만’을 답한 응답자가 113명 (43.8%), 안경 구매 장소는 ‘온라인에서 구매’ 160명 (62.0%), 판매 방식은 ‘시력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정을 one-stop 지원으로 판 매함’ 239명(92.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4).

    2. 안경 구매 시 중요 선택 속성에 관한 집단별 차이 분석

    1) 인구통계적 변수에 따른 집단별 차이 분석

    인구통계적 변수별로 안경 구매 시 중요 선택속성에 관한 집단별 차이를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할 결과, 성별, 연령별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성별에 따라 안경 구매 시 중요 선택 속성에서 안경 구매 선택 속성 중 소재 부분에서만 카이제곱 통계 값은 7.32, 유의확률 0.026으로써 유의수준 0.05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인 경우 소재 의 ‘견고함’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56명(43.4%)으 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인 경우 소재의 ‘편안함’이 중요 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48명(37.2%)로 가장 많았다(Table 5).

    연령별로 도수 안경 구매 시 중요 속성인 소재, 디자 인, 가격, 구매장소, 판매방식에 대한 연령별 차이를 카 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소재, 디자인, 가격, 구매 장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 별로 편안함, 견고함, 기능적인 소재의 차이가 카이제곱 통계값 17.77, 유의확률 0.023으로써 유의수준 0.050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세하게는 20대는 편안 함이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32명(51.6%), 30대는 기능적인 소재가 중요하다가 답한 응답자가 30명 (41.7%), 40대와 50대는 견고한 소재가 중요하다고 답 한 응답자가 각각 22명(40.0%), 23명(44.2%), 60대 이 상은 편안하고, 기능적인 소재가 중요하다고 각각 6명 (35.3%)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얼굴형에 맞는, 개성을 표현하는, 최신 유행 하는 디자인 속성의 차이가 카이제곱 통계값 49.55, 유 의확률 p<0.001으로써 유의수준 0.05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세하게는 20대에서 ‘얼굴형 에 맞는 디자인’이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26명 (41.9%), 30대는 ‘최신 유행하는 디자인’이 중요하다가 답한 응답자가 35명(41.7%), 40대는 ‘얼굴형에 맞는 디 자인’이 25명(45.5%), 50대와 60대 이상은 ‘얼굴형에 맞는 디자인’이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각각 42명 (80.8%), 11명(64.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7만원 미만, 7만원 이상~15만원 미만, 15 만원 이상의 가격 속성의 차이가 카이제곱 통계값 27.34, 유의확률 0.001으로써 유의수준 0.050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세하게는 20대에 서 ‘7만원 미만’ 가격이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42명 (67.7%),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은 ‘7만원 이 상~15만원 미만’의 가격이 중요하다가 답한 응답자가 각각 37명(51.4%), 31명(56.4%), 22명(42.3%), 7명 (41.2%)으로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 구매장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 아보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카이제곱 통 계값 33.16, 유의확률 p<0.001으로써 유의수준 0.050 에서 연령별로 구매장소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20대~40대까지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각각 43명(69.4%), 59 명(81.9%), 32명(58.2%)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고, 50 대~60대 이상은 안경원에서 구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각각 30명(57.75), 13명(76.5%)로 가장 많았다(Table 6).

    2) 도수 안경 사용 특성에 따른 집단별 차이 분석

    도수 안경 사용 특성별로 안경 구매 시 중요 선택속성 에 관한 집단별 차이를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할 결 과, 도수 안경 교체주기별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Table 7과 같이, 도수 안경 교체 주기별 도수 안 경 구매 시 중요 속성인 소재, 디자인, 가격, 구매장소, 판매방식에 대한 도수 안경 교체 주기별 차이를 카이제 곱 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소재와 구매장소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도수 안경 교체 주기별 로 도수 안경의 소재(편안함, 견고함, 기능적임)의 속성 의 속성의 차이가 카이제곱 통계값 15.44, 유의확률 0.017로써 유의수준 0.05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다. 자세하게는 도수 안경 교체 주기가 ‘6개월 미만’과 ‘6개월 이상~1년 미만’인 경우 ‘편안한’ 소재가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각각 12명(48.0%), 25명 (49.0%)으로 가장 많았고, ‘1년 이상~2년 미만’과 ‘2년 이상’인 경우는 ‘견고한’ 소재가 중요하다가 답한 응답자 가 각각 40명(35.7%), 29명(41.4%)으로 가장 높았다.

    도수 안경 교체 주기별로 도수 안경의 구매 방식(안경 원에서 구매, 온라인에서 구매)의 속성의 차이가 카이제 곱 통계값 10.72 유의확률 0.013로써 유의수준 0.050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세하게는 도수 안경 교체 주기가 6개월 미만인 경우 안경원에서 구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16명(64.0%) 으로 가장 많았고, 이외의 집단에서는 온라인에서 구매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각각 28명 (54.9%), 75명(67.0%), 48명(68.6%)으로 가장 많았다.

    3. 컨조인트 분석

    1) 컨조인트 분석 프로파일 설정

    도수 안경 선택속성 5개(3개 속성 수준 3개, 2개의 속성 수준 2개)로 나누어져 있는데, 모든 속성을 고려하 는 전체 프로파일법을 사용하여 프로파일을 만들었고,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의 직교설계를 통해서, 16개의 가상의 도수 안경 선택 프로파일을 Table 8과 같이 디 자인하였다.

    2) 컨조인트 분석 및 속성 중요도

    전체 응답자의 컨조인트 분석결과, 컨조인트 프로파 일들에 대한 선호도 평가를 계량 척도로 한 경우의 속성 프로파일에 대한 응답순위와 추정 효용값(순위)간의 모수적 상관관계인 Pearson R값은 0.991(p-value <0.001)으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속 성 프로파일에 대한 응답순위와 추정 효용값(순위)간의 비모수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Kendall tau 값은 0.917(p-value<0.001)으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 타났다. Pearson R값과 Kendall tau 값은 개별 모형의 적합성을 나타내며, 추정된 모형으로부터 얻은 효용값에 의한 프로필 순위와의 상관관계 값으로 이 값이 클수록 모형의 설명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컨조인트 분석결과 나타난 각 속성의 수준 값을 토대 로 보면, 가격은 ‘7만원 미만(1.087)’, 디자인은 ‘얼굴형 에 맞는(1.304)’, 구매장소는 ‘안경원에서 구매(0.652)’, 소재는 ‘편안함(0.200)’, 판매방식은 ‘시력검사, 안경조 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정을 one-stop 지원으로 판매방식(0.725)’일 때 최적 효용의 속성 조합 이 도출되었다(Table 9).

    전체 응답자가 생각하는 1순위 안경 구매시 선택속성 은 소재-편안함(0.200) + 디자인-얼굴형에 맞는(1.304) + 가격-7만원 미만(1.087) + 구매장소-안경원에서 구 매(0.652) + 판매방식-onestop지원(0.725)을 통해 3.968 이라는 추정 값 합계를 도출하였고, 소비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수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되 었다.

    각 속성의 중요도 값은 각 속성별 전체 응답자들의 중 요도 값의 평균인데, 전체 응답자들의 속성들에 대해 중 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28.985), 디자 인(23.721), 구매장소(17.901), 소재(17.040), 판매방 식(12.353)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컨조인트 분석 차이

    1) 성별 컨조인트 분석 차이

    성별에 따른 컨조인트 분석결과, Pearson R값과 Kendall tau 값을 통해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p-value <0.001)을 분석되었다. 남성 응답자들이 속성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29.471), 디 자인(23.363), 소재(18.107), 구매장소(17.798), 판매 방식(11.260)의 순으로 나타났고, 각 속성의 수준을 보 면, 가격은 ‘7만원 미만(1.134)’, 디자인은 ‘얼굴형에 맞 는(0.934)’, 소재는 ‘기능적임(0.189)’ 구매장소는 ‘안경 원에서 구매(0.382)’, 판매방식은 ‘시력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정을 one-stop 지 원으로 판매방식(0.656)’을 통해 3.295라는 추정 값 합 계를 도출하였고, 남성 응답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 택 속성 변수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되었다. 여성 응 답자들이 속성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28.498), 디자인(24.080), 구매장소(18.004), 소재(15.973), 판매방식(13.445)의 순으로 나타났고, 각 속성의 수준을 보면, 가격은 ‘7만원 미만(1.039)’, 디 자인은 ‘얼굴형에 맞는(1.674)’, 구매장소는 ‘안경원에서 구매(0.922)’, 소재는 ‘편안함(0.265)’, 판매방식은 ‘시력 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정 을 one-stop 지원으로 판매방식(0.795)’을 통해 4.695 라는 추정 값 합계를 도출하였고, 여성 응답자가 생각하 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수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 되었다(Table 10).

    2) 연령별 컨조인트 분석 차이

    연령에 따른 컨조인트 분석결과, Pearson R값과 Kendall tau 값을 통해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p-value <0.001)을 분석되었다. 20대 응답자들이 속성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30.584), 디 자인(24.622), 구매장소(17.309), 소재(16.422), 판매 방식(11.064)의 순으로 나타났고, 각 속성의 수준을 보 면, 가격은 ‘7만원 이상~15만원 미만(0.780)’, 디자인은 ‘얼굴형에 맞는(1.578)’, 구매장소는 ‘안경원에서 구매 (0.796)’, 소재는 ‘기능적인(0.160)’, 판매방식은 ‘시력검 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정을 one-stop 지원으로 판매방식(0.480)’을 통해 3.794라 는 추정 값 합계를 도출하였고, 20대 응답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수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되 었다(Table 11).

    30대 응답자들이 속성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디자인(26.125), 가격(25.770), 소재 (16.782), 판매방식(16.014), 구매장소(15.309)의 순으 로 나타났고, 각 속성의 수준을 보면, 디자인은 ‘얼굴형 에 맞는(1.653)’, 가격은 ‘7만원 미만(1.139)’, 소재는 ‘편안함(0.375)’, 판매방식은 ‘시력검사, 안경조제, 상품 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정을 one-stop 지원으 로 판매방식(1.069)’ 구매장소는 ‘안경원에서 구매(0.573)’ 을 통해 4.809라는 추정 값 합계를 도출하였고, 30대 응답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수의 최적 조 합 1순위로 분석되었다.

    40대 응답자들이 속성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29.839), 디자인(24.141), 구매 장소(18.649), 소재(16.492), 판매방식(10.879)의 순으 로 나타났고, 각 속성의 수준을 보면, 가격은 ‘7만원 미 만(1.279)’, 디자인은 ‘얼굴형에 맞는(1.194)’, 구매장소 는 ‘안경원에서 구매(0.393)’, 소재는 ‘편안함(0.124)’, 판매방식은 ‘시력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 의 사후관리과정을 one-stop 지원으로 판매방식 (0.741)’을 통해 3.731이라는 추정 값 합계를 도출하였 고, 40대 응답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수 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되었다.

    50대 응답자들이 속성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30.137), 구매장소(21.071), 디 자인(19.652), 소재(18.496), 판매방식(10.644)의 순으 로 나타났고, 각 속성의 수준을 보면, 가격은 ‘7만원 미 만(1.122)’, 구매장소는 ‘온라인에서 구매(0.988)’, 디자 인은 ‘얼굴형에 맞는(0.763)’, 소재는 ‘편안함(0.439)’, 판매방식은 ‘시력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정을 one-stop 지원으로 판매방식 (0.519)’의을 통해 3.831이라는 추정 값 합계를 도출하 였고, 50대 응답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 수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되었다.

    60대 이상 응답자들이 속성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 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30.480), 디자인(21.347), 구매장소(18.922), 소재(17.710), 판매방식(11.541)의 순으로 나타났고, 각 속성의 수준을 보면, 가격은 ‘7만원 미만(1.363)’, 디자인은 ‘얼굴형에 맞는(0.843)’, 구매 장소는 ‘안경원에서 구매(0.272)’, 소재는 ‘기능적임 (0.387)’, 판매방식은 ‘시력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정을 one-stop 지원으로 판 매방식(0.743)’을 통해 3.603이라는 추정 값 합계를 도 출하였고,60대 이상 응답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수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되었다.

    5. 도수 안경 사용 특성에 따른 컨조인트 분석 차이

    1) 도수 안경 교체주기별 컨조인트 분석 차이

    도수 안경 교체주기에 따른 컨조인트 분석결과, Pearson R값과 Kendall tau 값을 통해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p-value<0.001)을 분석되었다(Table 12).

    도수 안경 교체주기가 6개월 미만인 응답자들이 속성 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 (33.629), 디자인(23.019), 구매장소(15.194), 소재 (14.606), 판매방식(13.553)의 순으로 나타났고, 각 속 성의 수준을 보면, 가격은 ‘7만원 미만(1.553)’, 디자인 은 ‘얼굴형에 맞는(1.300)’, 구매장소는 ‘안경원에서 구 매(0.615)’, 소재는 ‘기능적임(0.407)’, 판매방식은 ‘시 력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 정을 one-stop 지원으로 판매방식(1.040)’을 통해 4.915라는 추정 값 합계를 도출하였고, 도수 안경 교체 주기가 6개월 미만인 응답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수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되었다.

    도수 안경 교체주기가 6개월 이상~1년 미만인 응답 자들이 속성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27.434), 디자인(23.127), 구매장소(19.370), 소재(17.820), 판매방식(12.250)의 순으로 나타났고, 각 속성의 수준을 보면, 가격은 ‘7만원 미만(1.513)’, 디 자인은 ‘얼굴형에 맞는(0.837)’, 구매장소는 ‘안경원에서 구매(0.966)’, 소재는 ‘기능적임(0.220)’, 판매방식은 ‘시 력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 정을 one-stop 지원으로 판매방식(0.757)’을 통해 4.293이라는 추정 값 합계를 도출하였고, 도수 안경 교 체주기가 6개월 이상~1년 미만인 응답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수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되 었다.

    도수 안경 교체주기가 1년 이상~2년 미만인 응답자 들이 속성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28.919), 디자인(24.555), 구매장소(16.997), 소재(16.860), 판매방식(12.669)의 순으로 나타났고, 각 속성의 수준을 보면, 가격은 ‘7만원 미만(1.045)’, 디 자인은 ‘얼굴형에 맞는(1.527)’, 구매장소는 ‘안경원에서 구매(0.416)’, 소재는 ‘편안함(0.238)’, 판매방식은 ‘시력 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정 을 one-stop 지원으로 판매방식(0.605)’을 통해 3.831 이라는 추정 값 합계를 도출하였고, 도수 안경 교체주기 가 1년 이상~2년 미만인 응답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수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되었다.

    도수 안경 교체주기가 2년 이상 응답자들이 속성들에 대해 중요시하는 순서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가격 (28.561), 디자인(23.072), 구매장소(19.244), 소재 (17.630), 판매방식(11.492)의 순으로 나타났고, 각 속 성의 수준을 보면, 가격은 ‘7만원 이상~15만원 미만 (0.844)’, 디자인은 ‘얼굴형에 맞는(1.290)’, 구매장소는 ‘안경원에서 구매(0.814)’, 소재는 ‘기능적임(0.388)’ , 판매방식은 ‘시력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정을 one-stop 지원으로 판매방식 (0.782)’을 통해 4.118이라는 추정 값 합계를 도출하였 고, 도수 안경 교체주기가 2년 이상 응답자가 생각하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변수의 최적 조합 1순위로 분석되 었다.

    Ⅳ.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안경 구매 시 중요한 속성 요인을 제품 속성인 소재, 디자인, 가격과 매장 속성인 구매장소와 판매방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도수 안경 구매 시 중요한 선택 속성을 분석한 결과, 소재는 ‘견고함’, 디자 인은 ‘얼굴형에 맞는’, 가격은 ‘7만원 이상~15만원 미 만’, 안경구매장소는 ‘온라인에서 구매’, 판매방식은 ‘시 력검사, 안경조제, 상품선택, 안경피팅 등의 사후관리과 정을 one-stop 지원’을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컨조인트 분석 결과, 안경 구매 시 최대의 효 용을 주는 선택 속성의 조합은 소재는 ‘편안함’, 디자인 은 ‘얼굴형에 맞는’, 가격은 ‘7만원 미만’, 구매장소는 ‘안 경원에서 구매’, 판매방식은 ‘one-stop 지원’으로 분석 되었다. 안경 구매 시 중요 선택 속성을 인구통계적 변 수와 도수 안경 사용 특성 변수별 카이제곱 분석을 한 결과, 성별, 연령별, 도수 안경 교체주기별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도수 안경 온라인 판매 정책이 시행되더라도, 현재 안경 소비자는 안경 구매 선택 속성 중 구매장소를 ‘안경원’에서 구매 효용을 크게 인식한다는 점을 실증적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는데, 이는 매우 의미가 있는 결과로 해석 될 수 있다.

    안경 소비자가 ‘안경원’에서 안경을 구매하는 방식은 ‘온라인’에서 안경을 구매하는 방식보다도 더 큰 효용성 을 나타냈지만, 도수 안경 구매시 전체 중요 선택 속성 중 ‘구매 장소’ 요인이 최우선 순위가 아닌 3순위 였던 만큼 ‘안경원’에서 구매해야만 하는 중요한 이유를 소비 자에게 전해주지 못한다면, 안경 구매에 중요 선택 속성 은 언제든 바뀔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현재 소비자가 인식하는 안경을 ‘안경원’에서 구매하는 방식에 효용성을 보다 면밀하게 모니터링하여 세부적으로 중요 요인을 찾 는 노력이 향후 연구에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안경 구매에 중요한 소비자가 선호하 는 최적의 선택 속성의 조합 및 중요 속성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인구통 계적 변수와 안경사용 특성 변수별로 차이를 비교하였다 는 것에 의의가 있다.

    Figure

    Table

    Attributes and levels used in the surve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surveyed (N=258)

    Analysis of respondents' use of prescription glasses (N=258)

    Analysis of purchasing glasses (N=258)

    Chi-sqaure analysis of important attributes when purchasing prescription glasses by sex

    Chi-sqaure analysis of important attributes when purchasing prescription glasses by age

    Chi-sqaure analysis of important attributes when purchasing prescription glasses by average period of replacing glasses

    profiles on the attributes of buying glasses for conjoint analysis

    Results of conjoint analysis

    Conjoint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sex

    Conjoint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age

    Conjoint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average period of replacing glasses

    Reference

    1. Lee SM, Park NY: A study on consumption value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of the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spectacles purchasing behavior. Korean J Vis Sci. 19(4), 361-373, 2017.
    2. Park JH, Lee EH et al.: A plan to improve consum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opticians by analyzing consumers' spectacles purchasing behavior. J Korean Oph Opt Soc. 15(1), 1-7, 2010.
    3. Jang JY, Kim DN et al.: Purchase behavior of eyewear and eyewear design. J Korean Oph Opt Soc. 12(4), 23-27. 2007.
    4. Lee JY, Oh HJ: A comparative on purchasing propensity between eyeglass consumer of the twenties and optometric students in Daegu city. Korean J Vis Sci. 12(4), 255-264, 2010.
    5. Kim IK, Lee JH et al.: Comparison of purchasing decision factors for eyeglasses buyer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 Korean Oph Opt Soc. 17(2), 107-117, 2012.
    6.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Held the first meeting of the 2021 one step model win-win coordination organization, 2021, Available at https://www.moef.go.kr. Accessed August 8, 2021.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55772&menuNo=4010100
    7. Jung SY: Service design for optical store focused on interaction between customer and optician, Sungkyunkwan University MS Thesis, pp.2-3, 2017.
    8. Lee HS, Lim JH: SPSS 24.0 Manual, Seoul, JHJbook, pp. 527-558,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