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4 No.1 pp.13-22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2.24.1.13

Comparison of Face Width and Frame Design between Korean and Chinese Spectacle Wearers

Zhen-Zhuo Zhang1), Yee-Rin Jung2), Byoung-Sun Chu2), Hyung-Min Park3)
1)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Student, Gyeongsan
2)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Professor, Gyeongsan
3)Dept. of Optometry, Suseong University, Professor, Daegu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ung-Min Park (https://orcid.org/0000-0003-1402-7274) Dept. of Optometry, Suseong University, Daegu
TEL: +82-53-749-7263, E-mail: hmpark@sc.ac.kr
December 6, 2021 March 24, 2022 March 25, 2022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face width and pupillary dista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adults and to compare the frame size and design shape of the currently worn spectacle fram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in a prospective manner for 10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10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respectively, who visited the Optometry office in Jilin Province China, Gyeongsan Korea. The face width was measured using a mobile application and PD meter was used to for far and near PD. The frame siz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Boxing system, and the frames design was e classified into shapes (round, oval, rectangle), rim shapes (full rim, half rim, no rim) and materials (plastic, metal, and combinations). For the analysis, one-way ANOVA for comparison among groups, Chi-Square analysis for frequency, Z-test for ration difference.



Results : Range of face width was 149.73±6.28 (Chinese woman) ~ 152.29±14.71 <단위 앞 mm (Korean mal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p=0.147).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in both far and near PD (p<0.001).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for all of frame measurement (eye size, bridge size, vertical height) (p<0.001).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frame design except for the combination material (p=0.790).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face width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adult,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PD measurement. Frame size from Korean and Chinese wearers were clearly different showing that more Korean worn round shape of frame while rectangle shape was preferred by Chinese. Therefore when Chinese customer visit optometric practice in Korea, practitioner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different preference of frame design. When designing frame for overseas market,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face shape and local preference.



한국과 중국 안경착용자의 안면크기 및 안경테 디자인 비교

장전 주오1), 정 예린2), 추 병선2), 박 형민3)
1)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 경산
2)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경산
3)수성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대구

    Ⅰ. 서 론

    2020년에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근시로 인한 국내 시력 보정용 안경을 착용하는 성인의 비율이 2013년에 47.1% 에서 2019년에는 54.5%로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보고하 고 있다.1) 전 세계적으로 근시 유병률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고 추세이며, 특히나 동아시아의 근시 유병률이 높게 나 타나고 있어 안경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2-3) 이런 안경 착용 인구가 늘어나는 것과 관련하여 해당 품목에 대한 수출입도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한국무역협회의 통계에 의하면, 안광학 관련 품목 중에 안경테의 2021년 수출입 동향에 의하면, 2021년 10월 기준 수출액이 505,228,000달러이며, 수입액은 539,966,000달러로, 이는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39.23% 증가, 수입은 10.10% 증가한 수치로 많은 수입과 동시에 많은 수출이 일어나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4) 이런 안경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은 안경이 본연의 목적인 시력 보정 을 위한 의료기기로 사용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재에는 패션 및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면서 그 적용 범위가 점진적 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Lee 등5)의 안경테 착용과 전문직 이미지에 관한 연구에서 안경 착용 시 안경을 착용 하지 않았을 때 보다 전문직 이미지가 높게 평가된다고 하였다. 또한 안경을 착용함으로써 의복과 같이 외모 향상 효과가 있을 수 있어 착용자의 매력을 높여주는 요소가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6) 안경이 패션적인 기능이 추가되 면서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 되고 있으며 인체공학적 요소가 가미된 안경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요 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7) 이런 안경테는 시대에 따라서 기능적 측면과 패션적 측면에서 변화하였는데, 특히 20세 기 후반에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안경테가 디자인되었고, 얼굴의 형태, 눈의 형상, 피부 및 눈의 색과 조화를 이루는 안경테가 만들어지게 되었다.8) 이러한 요소 들 중 얼굴의 형태는 안경이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 로, 안경테의 크기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안면 형상에 대한 측정은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주로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안면에 착용하는 용구나 헬멧 디자인 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측정되기도 한다.9-10) 머리의 형태 또한 서양인과 동양인의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 서양인들 의 경우 위에서 내려 봤을 때 머리 형태가 타원형에 가까우 며, 동양인은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고 있어, 서양인 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헬멧이 동양인의 얼굴형 상과 차이 가 있어, 착용감의 문제 및 안전성의 문제가 있다고도 지적 된 바 있다.11) 이러한 차이가 반영되어 기존 안경디자인을 변형하여 출시한 형태가 아시안 핏이며, Ray ban 선글라 스가 그 예라 할 수 있다. Ray ban 아시안 핏은 안경테의 연결부 길이를 줄이고, 안경테 자체를 더 편평하고, 코 받 침대를 크게 하고, 안경다리의 구부림 정도에 변화를 준 것이다. 선호하는 안경테의 형태도 연령대에 따라서 차 이가 나는데, 중국의 학생들은 금속보다는 플라스틱 재 질을 선호하고, 학부모들은 안경테의 형태에서 원형보다 는 직사각형이나, 타원형의 안경테를 선호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12) 하지만 국내에는 이런 안경 착용자에 대한 안면의 크기나 선호되는 안경테 디자인에 연구가 제한적 이다. 또한 안경테에 관하여 한국과 중국은 많은 무역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상호 국가 간 선호되는 안경 디자인에 대한 자료도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한국과 중국의 성인 남녀의 안면 크기와 현재 착용하 고 있는 안경테 디자인적인 부분(안경테 크기, 형태와 재 질)을 비교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및 안경원

    한국의 경산에 있는 안경원과 중국 지린성에 소재한 안경원을 방문한 고객 중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20~30 대 남녀 고객 400명(한국 남성 100명과 여성 100명, 중 국 남성 100명과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기관인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진 행되었으며(CUIRB-2020-0014), 자료수집에서 고객 개인정보는 제외하고, 본 연구에 필요한 정보만을 수집 하도록 한정하였으며, 향후 데이터로 구매자의 식별이 불가하여지도록 하였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전향적 연구 설계로서, 데이터는 한국과 중 국의 안경원에서 2021년 8월부터 해당 안경원을 방문한 순서대로 20~30대 남녀 자료를 각각 수집하였다.

    1) 안면 크기와 동공 간 거리 측정

    본 연구에서 안면 크기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안경테 의 다리가 위치하는 지점 간의 거리를 기준으로 하였다. 안면 크기는 한국과 중국의 다른 장소에서 측정되므로, 측정자 간의 오차를 줄이고, 대상자들에 대한 측정시간 을 줄이기 위하여 안면 크기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Eye measure 1.21, Dotty Digital 2018, USA)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모바일 애플리케이 션에 대한 정확성은 국내 예비 연구에서 20명을 대상으 로 캘리퍼로 측정한 값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측정 한 값을 비교 검증 후 사용하였다. 동공 간 거리 측정은 PD meter(PD-5,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원 거리와 근거리(40 cm) 설정 후 측정하였다.

    2) 안경테의 크기 측정

    본 연구 대상자가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의 크기 는 국제표준기구에서 채택하고 있는 Boxing system 표 기를 적용하였으며, 렌즈 삽입부의 크기(eye size), 연 결부의 길이(bridge size)는 안경테의 다리에 표기된 수 치를 적었으며, 그리고 수직 길이(height)를 실제 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안경테의 형태 구분

    본 연구 대상자가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를 안경 테의 모양(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안경테 림의 여부 (온테, 반무테, 무테), 재질(플라스틱, 금속, 콤비)로 구 분하도록 하였다. 실제 안경원 현장에는 매우 다양한 모 양과 재질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용이성을 위 하여 간소화하여 분류한 것이며,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 는 것은 가장 가까운 형태로 분류하도록 하였다.

    3. 통계 분석

    통계 처리는 SPSS(SPSS Inc., Chicago, IL, USA)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한국과 중국 성인 남녀 간의 안면 크기, 동공 간 거리, 안경테 크기는 일원 배치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 하였으며, 착용 중인 안경테의 분류는 기대빈도와 관찰빈도에 대한 분석을 위 해 Chi-Square 교차 분석과 비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양측 Z 검정(two-tailed Z-test)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

    한국과 중국 남녀 대상자의 그룹별 평균 연령과 표준 편차는 Table 1과 같으며, 그룹 간 연령의 통계적 차이 는 없었다(p=0.517).

    2. 안면 크기 및 동공 간 거리

    1) 안면 크기

    예비 연구에서 20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안면 크기를 모 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측정한 값은 152.55±3.44 mm, 자로 측정한 값은 150.95±2.78 mm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mean difference 1.6, t=1.62, DF=38, p=0.113). 따라서 본 연구에서 두 나라에서 동일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 남성 그룹의 평균은 152.29±14.71 mm로 가장 크 게 측정되었고, 중국 여성이 149.73±6.28 mm로 가장 짧게 측정되었지만,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p=0.147).

    2) 원용 및 근용 동공 간 거리

    원용 동공 간 거리 측정은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한국 남성의 평균 원용 동공 간 거리 는 65.21±2.98 mm로 다른 그룹에 비해서 크게 나타 났으며, 한국 여성이 62.69±2.59 mm로 가장 적게 나 타났다. 근용 동공 간 거리 측정에서도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한국 남성의 평균 근용 동 공 간 거리는 62.82±4.08 mm로 다른 그룹에 비해서 크게 나타났으며, 한국 여성이 60.29±3.79 mm로 가 장 짧게 나타났다(Table 2).

    3. 착용 중인 안경테 크기

    대상자들이 현재 착용한 안경테의 측정 요소인 렌즈 삽입 부의 크기(eye size), 연결부의 길이(bridge size) 그리고 수직 길이(vertical height) 모두에서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 을 보였다(Table 3). 렌즈삽입부의 크기는 중국 남성의 안경 테가 52.13±2.34 mm로 가장 크게 측정되었으며, 반면 한국 남성의 안경테는 49.49±3.49 mm로 가장 적게 나타 났다. 연결부 길이는 한국 남성의 안경테가 21.17±2.20 mm로 가장 긴 반면, 중국 남성의 안경테는 18.03±1.23 mm로 가장 짧게 나타났다. 안경테의 수직 길이는 한국 여성의 안경테가 45.24±3.95 mm로 가장 길었으며, 중국 남성의 안경테가 42.58±5.95 mm로 가장 짧았다.

    4. 착용 중인 안경테 디자인

    대상자들이 현재 착용하고 있던 안경테를 모양, 림의 형태 그리고 재질로 분류하였을 때 관찰빈도는 Table 4 와 같다. 관찰빈도에 관한 Chi-square 통계 분석에서, 중국 여성의 안경의 형태인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에 대한 빈도는 유의성이 없었지만(p=0.350), 다른 모든 분석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Table 5).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에 대한 양측 Z 검정 (two-tailed Z-test)에서, 표 4에 표기한 바와 같이 한 국과 중국 남성 간의 안경테 림의 형태에서는 모두 통계 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였고 재질에서도 플라스틱 재질 과 금속 재질에서 착용 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여성 간의 경우에는 안경테의 형태는 모두 통계적 차이가 있었으며, 안경테 림의 경우에는 무테를 착용한 비율에서 중국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안 경테의 재질적인 부분에서는 한국과 중국 여성 간의 차 이는 없었다.

    Ⅳ. 고 찰

    신체의 안면에 착용하는 제품은 안면의 크기 및 형상 을 고려한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제품 본연의 기능을 살 릴 수 있고 착용자에게 편안함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안경은 안경렌즈와 결합하여 안면에 착용하여 본연의 기 능인 시력 교정을 하게 되며, 개개인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제품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한국과 중국 성인 남녀에 대한 안면 크기와 원용 및 근용 동공 근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 한 두 나라 간의 성인남녀들이 현재 착용 중인 안경테의 분류에 따라서 나라 간의 안경테 선호도에 대한 비교 분 석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안면의 크기 는 한국 남성이 152.29 mm, 중국 남성이 151.95 mm 로 크게 측정되었지만,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 다. 여성 간 비교에서도 한국 여성이 150.14 mm, 중국 여성이 149.73 mm로 그룹 간의 차이는 없었다. Leslie 등13)의 연구에서는 안면 크기와 측정지점을 양협골간의 거리(bizygomatic width)로 측정한 결과 북미 백인 남 성은 137.1 mm, 여성은 129.9 mm로 측정되었으며, 아시안에 해당하는 중국계 싱가포르 남성은 144.6 mm, 여성은 136.2 mm로 측정된 바 있다. 중국 근로자에 대 한 안면 측정을 진행한 Du 등9)의 연구에서는 캘리퍼를 이용한 측정을 하였을 때, 남성은 147.5 mm, 여성은 139.9 mm로 측정된 바 있다. Yu 등14)의 연구에서는 3D 스캔을 이용하여 중국 근로자 3,000명의 안면 크기 연구를 측정한 연구에서는 146 mm로 보고된 바 있는 데, 이는 1998년에 측정된 141 mm보다 더 안면 크기 가 더 커졌다고 보고하고 있다. Ewa 등15)의 연구에서는 안면에 대한 사진을 촬영 후 이미지를 소프트웨어를 이 용하여 아시안,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백인 남녀 각각 60 명의 안면 크기를 비교하였는데, 아시안 남성이 180.4 mm,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178.9 mm 그리고 백인이 175.0 mm, 여성의 경우 아시안 여성은 168.7 mm, 아 프리카계 미국인이 167.3 mm 그리고 백인이 166.4 mm로 측정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의 측정치 범위는 149.73~152.29 mm로 Leslie, Du 그리고 Yu 등13-15) 의 연구의 결과에 비해서는 5 mm 내외 오차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Ewa 등15)의 연구는 다른 연구 결과들과 많 은 차이를 보이는데, 다른 연구들과의 측정지점 간의 차 이, 그리고 측정방식 간의 차이로 오차가 발생했다고 사 료된다.

    동공 간 거리는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과 주시선의 일치를 통하여 편안한 시각적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서 측정되어야 할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원용 및 근용 동공 간 거리가 한국 남성이 가장 크게 측정되었는데, 65.21 mm와 62.82 mm로 측 정되었다. Yu 등14)의 연구에서는 중국 성인 남녀의 원용 동공 간 거리는 62 mm이며, 이는 1998년 측정된 59 mm 보다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와 동일한 측 정방식인 수동 PD 미터기를 이용해 측정한 Du 등9)의 연구에서는 원용 동공 간 거리 기준 중국 남성은 64.2 mmm, 여성은 61.0 mm로 측정되었지만, 본 연구에서 측정된 동공간 거리는 중국 남성의 경우 63.36 mm, 중 국 여성의 경우 62.96 mm로 2 mm 이내의 오차를 보이 고 있다. 이는 본 연구의 경우 대상자들이 20~30대로 한정되지만, Yu 등14)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연령층이 18~66세로 광범위하게 설정하여 이 같은 차이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현재 착용 중인 안경테의 크기 를 측정한 결과, 한국과 중국 남성 간 비교에서는 중국 남성의 안경테의 렌즈 삽입부 크기가 52.13±34 mm로 가장 컸으며, 수직 방향의 길이는 한국 남성의 안경테가 43.42 mm로 중국 남성이 착용 중인 안경테의 수직길이 인 43.58 mm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 여 성 간 비교에서도 유사하게 한국 여성의 안경테의 렌즈 삽입 부가 작고, 수직길이는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Zhou 등12)의 연구에서 중국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안경 테의 형태에서 직사각형 혹은 타원형의 안경테를 선호한 다고 보고한 바 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둥근 형태의 안경테를 선호하는 한국인의 안경테에 비해 렌즈삽입부 가 길고, 상대적으로 수직길이가 작은 형태의 안경테를 착용하는 것과 연관이 된 것이라 사료된다.

    현재 착용 중인 안경테의 분류에 대한 비교에서 한국 남녀는 모두 유사한 정도로 원형의 안경테를 착용하고 있지만, 중국은 직사각형의 안경테가 가장 많이 착용되 고 있었다. 또한 안경테의 림 유무에서 한국 성인 남녀 에서 무테를 착용한 경우가 본 연구에서는 한 명도 없던 반면, 중국에서는 14명이 착용을 하고 있어, 뚜렷한 차 이를 보였다. 재질적 측면에서 한국 남녀와 비교하면 중 국 남녀가 플라스틱 소재의 안경테를 착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 또한 Zhou 등12)의 연구에서 밝 힌 중국 소비자의 선호도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며, 제 품출시의 회전이 빠른 제품 특성상 디자인에 민감한 한 국 소비자들이 과거에 유행했던 무테 혹은 뿔테에 대한 선호도가 낮지만, 새로운 디자인과 재질로 만들어진 안 경테를 선호한다고 판단된다. 이와 관련해 Cho 등16) 5 인의 연구에서도 국내 소비자들이 안경 구매 시 안경 디 자인을 최우선으로 고려(52.7%)한다고 하였으며, 유사 하게 Park 등17)의 연구에서도 국내 소비자가 안경 구매 시 최우선으로 고려 사항이 디자인(40.6%)이라고 밝히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안경 착용자들의 안 면 크기 및 동공 간 거리, 그리고 착용 중인 안경테의 분 류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각기 다른 두 나라에서 측정되는 만큼 측정 시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최소화하 기 위해 안면 크기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으 나, 3D 스캔 같은 정밀한 측정기기로 이루어진 것이 아 니기에 측정값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착용 중인 안경테에 대한 비교에서는 분류의 간소화를 위해 모양, 림의 형태, 재질을 모두 3가지로 크게 분류 하였으나 착용 중인 안경테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3가지 분류로 모두 구분하는 것은 한계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안경 착용자 간의 안 면 크기 및 착용 안경테에 대한 최소한의 선호도의 차이 를 보여 주었다고 판단되며, 향후 더 많은 변수를 고려 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성인 남녀 간의 안면 크기 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동공 간 거리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착용 중인 안경테의 크기는 한국 과 중국 착용자 간의 선호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 며, 안경테의 분류에서도 한국 성인은 상대적으로 원형 테를 많이 착용하고 있지만, 중국은 직사각형의 안경테 를 더 많이 착용하고 있었다. 또한 림의 형태 및 안경테 의 재질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안경원에 서 중국 소비자를 맞이하는 경우 나라 간 선호도가 다름 을 이해하고, 기호에 맞는 제품을 추천할 수 있어야 하 고, 수출을 위한 안경 디자인을 할 때 안면의 형상 및 현 지인의 기호에 대한 제품 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Figure

    KJVS-24-1-13_F1.gif

    Red arrow indicates face width measurement point used for this study (Permission obtained from participant to use photo).

    KJVS-24-1-13_F2.gif

    Frequency distribution of frame shape (n=400, KM=Korean male, KF: Korean female, CM: Chinese male, CF: Chinese female).

    KJVS-24-1-13_F3.gif

    Frequency distribution of frame rim (n=400).

    KJVS-24-1-13_F4.gif

    Frequency distribution of frame rim (n=400).

    Table

    Mean age for each group

    Mean of face width and pupillary distance(PD) for each group

    Mean of frame size measurement(eye size, bridge width and vertical height) for each group

    Frequency distribution of frame shape, rim and material (n=400)

    Chi-square analysis for frame shape, frame rim and frame material by different groups

    Two Proportion Z-Test for frame shape, frame rim and frame material by different groups

    Reference

    1. Lee YI, Park SH et al.: The Wearing Rate of Vision Correction Spectacles in Korea(2013~2019). Korean J Vis Sci. 22(3), 259-276, 2020.
    2. Dolgin E: The myopia boom. Nature 519(7543), 276-278, 2015.
    3. Holden BA, Fricke TR et al.: Global prevalence of myopia and high myopia and temporal trends from 2000 through 2050. Ophthalmology 123(5), 1036–1042, 2016.
    4.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Analysis of import and export trends of optics, 2021, Available at https://www.eyewearportal.or.kr. Accessed December 5, 2021. https://www.eyewearportal.or.kr/information/sub04.asp#
    5. Lee MH: Influence of Appearance Decoration on Women’s Professional Image. J Korean Fash Costume Design Assoc. 14(4), 1-16, 2012.
    6. Lee MH: The Effect of Accessory Wearing on Professionalism and Attractiveness of Women. J Korean Fash Costume Design Assoc. 8(1), 1-12, 2006.
    7. Yun EY: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Glasses Design Industry in Korea. J Korean Fash Costume Design Assoc. 15(3), 199-211, 2013.
    8. Lee KH: Design Transition of Eyeglasses. J Fash Bus. 17(4), 90-106, 2013.
    9. Du L, Zhuang Z et al.: Head-and-Face Anthropometric Survey of Chinese Workers. Ann Occup Hyg. 52(8), 773–782, 2008.
    10. Roger B, Johan M: Measuring Chinese heads and faces. Proceed 9th Int Congress Physiolog Anthropol. 150-155. 2008.
    11. Roger B: 3-D Design Tools from the SizeChina Project. Ergonom Design 17(3), 8-13, 2009.
    12. Zhou Z, Kecman M et al.: Spectacle Design Preferences among Chinese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PLOS ONE 9(3), 1-8, 2014.
    13. Leslie F, Marko K et al.: International Anthropometric Study of Facial Morphology in Various Ethnic Groups/Races. J Craniofac Surg. 16, 615-46, 2005.
    14. Yu Y, Benson S et al.: Digital 3-d headforms representative of Chinese workers. Ann Occup Hyg. 56(1), 113-22, 2012.
    15. Parciak EC, Dahiya AT et al.: Comparison of maxillary anterior tooth width and facial dimensions of 3 ethnicities. J Prosthet Dent. 118(4), 504-510, 2017.
    16. Cho HK, Moon BY et al.: Survey of the brand and Design Recognition Between Domestic Goods and Foreign Ones in the Eye Glasses Industry. J Korean Oph Opt Soc. 11(3), 207-215, 2006.
    17. Park JH, Lee EH et al.: A Plan to Improve Consum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Opticians by Analyzing Consumers' Spectacles Purchasing Behavior. J Korean Oph Opt Soc. 15(1), 1-7,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