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4 No.1 pp.51-6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2.24.1.51

Comparison of Static and Dynamic Stereopsis before and after Distance Subjective Fixation Disparity Correction

Hyeong-Man Kim1), Hyun-Il Kim2)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Konyang University, Student, Daejeon
2)Dep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Professor, Daejeon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un-Il Kim (https://orcid.org/0000-0003-2160-7656) Dep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Daejeon
TEL: ++82-42-600-8428, E-mail: hyunik@konyang.ac.kr
February 22, 2022 March 27, 2022 March 28, 2022

Abstract


Purpose : To compare and analyze static and dynamic stereopsis before and after correction of distance subjective fixation disparity using tests of different designs.



Methods : Twelve (male 7, female 5) symptomatic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stance subjective horizontal associated phoria was corrected using MKH chart, chart projector cross. Distance static and dynamic stereoacuity and distance stereoscopic dept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correction of fixation disparity for those subjects.



Results : Distance subjective horizontal associated phoria measured using MKH chart, chart projector cross test was 0.77±0.53 Δ, 0.29±0.30 Δ, respectively and showing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sts (p=0.011). The distance static stereoacuity before fixation disparity correction was 102.50±73.99" and after fixation disparity correction using MKH chart, chart projector cross test was 42.50±29.27" (p=0.003), 50.00±44.52" (p=0.003),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The distance dynamic stereoacuity before fixation disparity correction was 24.46±6.60" and after fixation disparity correction using MKH chart, chart projector cross test was 15.26±7.61" (p=0.008), 17.56±5.67" (p=0.019),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The distance stereoscopic depth before fixation disparity correction was 1,107.08±52.72 mm and after fixation disparity correction using MKH chart, chart projector cross test was 1,136.08±62.40 mm (p=0.002), 1,120.00±51.52 mm (p=0.028),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Conclusion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ance subjective associated phoria according to the test design, and the static and dynamic stereopsis after fixation disparity corre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test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distance subjective fixation disparity correc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ereopsis. In this study, stereopsis was relatively improved the most after fixation disparity correction using the MKH chart.



원거리 자각적 주시시차 교정 전, 후의 정적 및 동적입체시 비교

김 형만1), 김 현일2)
1)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전
2)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대전

    Ⅰ. 서 론

    양 눈을 통해 보는 것은 양 눈의 망막 상을 통합하여 시각적 성능과 입체시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1,2) 첫 번째 단계로는 두 눈의 일정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신 경활동을 통해 외안근을 조정하여 각 눈의 중심와가 주 시점을 향해 정확하게 향하도록 하는 운동성융합이 발생 한다. 그 후 감각성융합을 통해 시각피질의 신경처리는 두 이미지의 최적의 통합을 제공한다.1,3,4) 하지만 정상 적인 양안시에서도 운동성 및 감각성 융합의 작은 오류 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작은 오류를 주시시차로 볼 수 있다.1,5)

    주시시차는 양안시 상태에서 매우 경미한 안위 오정 렬로 두 눈으로 주시하는 상이 중심와내의 망막대응점에 정확하게 결상되지 않아도 망막중심파늄영역(central Panum′s area) 내에 결상되어 양안단일시가 가능한 상 태이다.6) 이러한 경미한 오정렬은 양안시에서 지속적인 버전스 시스템의 유지를 위해 필요하지만, 더 큰 오류는 안정피로 및 감소된 입체시 기능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시 생활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1,7,8) 따라서 주시시차 검 사는 양안시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임상적 검사이며, 타각적 및 자각적 방법으로 검사할 수 있다.1,2)

    입체시는 두 눈에 형성된 수평방향의 상의 시차에 의 해 상대적인 거리감을 감지하는 능력으로 임상에서 양안 시 기능을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며 최소입체각으 로 평가할 수 있다.8)9) 정상범위는 30~50″ 범위가 일반 적이며10,11), 입체시력은 입체시기능을 최소입체각으로 제시한 것으로 물체의 원근감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의 양안비대응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12)

    입체시는 정적입체시(static stereoacuity)와 동적입 체시(dynamic stereoacuity)로 구분하고, 정적입체시 와 동적입체시는 기능이 서로 다른 시각경로를 사용한 다.13,14) 따라서 정적입체시와 동적입체시는 각각 다른 검사법으로 실시해야 하는 필요성이 보고되었다.13,14)

    완전융합제거사위(dissociated phoria)는 융합 가능 한 윤곽이 제공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정위안위로부터의 편차이며, 일부융합제거사위(associated phoria)는 주 시시차의 프리즘 교정 시 나타나는 눈의 편차이다.15) 그 리고 일부융합제거사위는 주시시차를 교정하는 정렬프 리즘(aligning prism)과 같다.16) 완전융합제거사위와 일부융합제거사위 모두 안정피로가 있는 경우 프리즘 교 정을 위한 지표로 권장되었고, 양 눈에 동일한 형상이 제시되는 일부융합제거사위에 대한 자극이 더 자연스럽 기 때문에 더 선호되는 경우도 있다.15,17,18)

    동적입체시력과 관련한 기존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양안시 기능이상의 교정 없이 굴절이상만을 교정 후 연 구를 진행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MKH(Mess-und Korrektionsmethodik nach Hans-Joachim Haase, MKH) 차트와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를 사용하여 원거리 자각적 주시시차 교정 전, 후의 정적 및 동적입체시를 비교하여 양안시 기능이상의 교정이 정적 및 동적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에서는 안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는 그리고 원, 근거리에서 사시가 있는 대상자를 제외한 성인으로 굴절 교정 후에 설문지 참여를 통해 시각적 증상을 갖는 12명 (남자 7명, 여자 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 의 평균 연령은 42.33±17.68세이었고, 원거리 단안 최 대 교정시력은 0.9 이상, 양안 최대 교정시력은 1.0 이 상이었다. 구면 굴절오류는 –1.04±1.76 D, 난시 굴절 오류는 –0.58±0.74 D 이었다. 주시시차 검사에서 수직 방향의 주시시차가 존재하면 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모 든 검사과정과 규약은 생명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번호: KYU 2021-09-009- 002)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 자에게 실험 목적과 검사방법에 대하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를 얻고 검사를 진행하였다.

    2. 연구 방법

    1) 검사방법

    (1) 설문지 조사

    설문지 조사에서 1개 항목 이상의 시각적 증상이 나 타나면 대상자로 선정하였다(Table 1).19)

    (2) 굴절검사

    자동굴절력계(WAC700, Essilor, France)을 이용한 타각적 방법과 폴라테스트(VISUSCREEN 500, Carl Zeiss Vision GmbH, Germany)의 문자시표를 사용한 자각적 방법을 통해 5 m 거리에서 각 눈의 원거리 단안 교정굴절력을 측정하였다.

    (3) 완전융합제거사위(dissociated phoria) 및 일부융합제거사위(associted phoria) 검사

    모든 검사에서는 편광필터가 장착된 시험테(Oculus trial frame, Oculus, Germany)를 사용하였고 같 은 정점간거리에서 0.25, 0.5, 1 △ 단계의 시험렌즈 (Oculus trial lens, Oculus, Germany)를 사용하였다. 검사 시작 시 시험테에 십자표기가 된 보조렌즈를 착용 후 동공중심과 광학중심점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검 사거리는 5 m이었고, 검사는 동일 대상자들로 4일 간격 으로 실시하였다.

    ① MKH 차트

    VISUSCREEN 500을 사용하여 십자시표(cross test), 시계침시표(pointer test, Fig.1), 삼각형입체시검사시 표(stereo triangle test, Fig.1), 입체시균형검사시표 (stereo balance test, Fig.1) 순서로 실시하였다. 십자 시표 검사에서는 운동성융합으로 보정되는 수평 사위와 시계침시표, 삼각형 입체시검사시표, 입체시균형검사시 표에서는 수평 주시시차를 검사하였다.

    ②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

    차트프로젝터(CCP-3100, Huvitz, Korea)를 사용하 여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십자시표에서는 운동성융합 으로 보정되는 수평 사위를 검사하였고, 중심융합자극점 이 있는 십자시표에서는 수평 주시시차를 검사하였다 (Fig. 2). 위쪽 수직선과 오른쪽 수평선은(┗) 오른쪽 눈 에, 아래쪽 수직선과 왼쪽 수평선은(┑) 왼쪽 눈에 인식 되고, 수평방향에서 어긋남 인식이 나타나는 경우 교정 하였다.

    (4) 원거리 정적입체시력 검사

    VISUSCREEN 500의 D8 시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able 2, Fig. 3). 8단계 검사로 측정할 수 있으며 각 단계에서 5개의 선 중에서 한 개의 선에서만 입체감을 인식 할 수 있다. 주시시차 교정 전,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입체 감을 인식하는 선은 반복 검사 시 임의적으로 계속 바뀌기 때문에 학습효과는 없었다.

    (5) 원거리 입체시깊이 검사

    삼각형입체시검사 시표의 원리는 일반적인 제시형식 에서는 편광필터를 통해 시표 중앙의 점을 주시한 경우 에 삼각형들은 양 눈에 교차성망막시차를 갖고 결상되는 관계로 시표 중앙의 점을 기준으로 위, 아래의 삼각형이 입체시깊이(stereoscopic depth)에 상응하여 △A만큼 거리를 갖고 인식된다(Fig. 4). 본 검사시표에서는 20 mm의 입체시차를 사용하였고, 입체시깊이의 측정은 이 동 및 거리 측정이 가능한 장치를 제작하여 피검자가 인 식하는 삼각형들의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측정하였다. 4 회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주시시차 교정 전, 후 에 각각 측정하였다.

    (6) 원거리 동적입체시력 검사

    하워드-돌만검사(HDTEST, Bernell, U.S.A)를 사용 하여 4 m 거리에서 측정하였다(Fig. 5). 실제 공간에서의 깊이인식(depth perception)에 대한 검사로 두 막대의 세 로거리를 판단하는 임의의 양을 측정한다. 검사에서 mm 단위의 양안시차 측정값이 제시되고, 검사거리에 대한 공 식이 제공된다. 4회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고, 제시된 공식을 사용하여 초각 단위의 동적입체시력을 계산하였 다.13) 주시시차 교정 전,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2) 자료분석

    MKH 차트, 차트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에서 측정한 교정 값 비교 및 D8과 하워드-돌만 검사 값의 비교는 Wilcoxen signed-rank test를, 정적입체시력과 동적입 체시력의 상관관계는 Spearman's rank correlation을 이용하였다. 통계 결과의 판단은 95%의 신뢰구간으로 설 정하여 p<0.050 이면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원거리 자각적 수평 사위 및 수평 주시시차 교정 값 비교

    외사위(N=6)와 내사위(N=6) 구분 없이 MKH 차 트의 십자시표 및 나머지 시표에서 각각 2.54±1.91, 0.77±0.53 △,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그리고 있는 차 트프로젝터 십자시표에서 각각 2.52±2.12, 0.29±0.30 △으로 측정되었다(Table 3). 교정 값은 외사위와 내사 위 구분 없이 모두 절대 값으로 표기하였다. MKH 차트 의 십자시표와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차트프로젝트의 십자시표에서 측정한 교정 값들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MKH 차트의 나머지 시표 및 중심융합자극점이 있는 차트프로젝트십자시표의 십자시표에서 측정한 교정 값들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1)(Table 3).

    내사위(N=6) 피검자에서 MKH 차트의 십자시표 및 나머지 시표에서 각각 2.75±2.04, 0.63±0.47 △, 중 심융합자극점이 없는 그리고 있는 차트프로젝터 십자시 표에서 각각 2.29±1.93, 0.50±0.27 △으로 측정되었 다(Table 4). 교정 값은 +부호를 사용하였다. MKH 차 트의 십자시표와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차트프로젝트 의 십자시표에서 측정한 교정 값들은 서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고(p=0.039), MKH 차트의 나머지 시표 및 중 심융합자극점이 있는 차트프로젝트십자시표에서 측정한 교정 값들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4).

    외사위(N=6) 피검자에서 MKH 차트의 십자시표 및 나머지 시표에서 각각 -2.33±1.93, -0.92±0.58 △,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그리고 있는 차트프로젝터 십 자시표에서 각각 -2.75±2.46 △, -0.08±0.13 △으 로 측정되었다(Table 5). 교정 값은 -부호를 사용하였 다. MKH 차트의 십자시표와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차 트프로젝트의 십자시표에서 측정한 교정 값들은 서로 유 의한 차이가 없었고, MKH 차트의 나머지 시표와 중심 융합자극점이 있는 차트프로젝트십자시표의 십자시표 에서 측정한 교정 값들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27)(Table 5).

    2. 원거리 주시시차 교정 전, 후의 정적입체시력 및 입체시깊이 비교

    D8 검사 및 삼각형입체시검사에서 주시시차 교정 전의 원거리 정적입체시력 및 입체시깊이는 102.50±73.99″ 및 1,107.08±52.72 mm이었다(Table 6). MKH 차트 의 십자시표 및 나머지 시표에서 교정 후 D8 검사 및 삼 각형입체시검사에서 원거리 정적입체시력 및 입체시깊 이는 42.50±29.27″ 및 1,136.08±62.40 mm이었 다(Table 6).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그리고 있는 시표 에서 교정 후 D8 검사 및 삼각형입체시검사에서 원거리 정적입체시력 및 입체시깊이는 50.00±44.52″ 및 1,120.00±51.52 mm이었다(Table 6). MKH 차트, 차 트프로젝터 십자시표에서 주시시차를 교정한 후 원거리 정적입체시력은 각각 약 60.00″(p=0.003), 52.50″ (p=0.003) 만큼 모두 유의하게 향상하였으며, 원거리 입체시깊이는 각각 약 29 mm(p=0.002), 13 mm (p=0.028) 만큼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able 6). 각각의 시표를 통한 교정 후의 원거리 정적입체시력 및 입체시깊이는 서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6). 모 든 시표에서 교정 후 원거리 정적입체시력 및 입체시깊 이가 향상되었으며, MKH 시표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많 이 향상되었다.

    내사위(N=6) 피검자에서 주시시차 교정 전 D8 검사 및 삼각형입체시검사에서 피검자의 원거리 정적입체시 력 및 입체시깊이는 110.00±101.59″ 및 1,080.83±44.59 mm이었다(Table 7). MKH 차트의 십자시표 및 나머지 시표에서 교정 후 D8 검사 및 삼각형입체시검사에서 원 거리 정적입체시력 및 입체시깊이는 50.00±40.00″ 및 1,105.50±36.06 mm이었다(Table 7). 중심융합자극 점이 없는 그리고 있는 차트프로젝트 십자시표에서 교정 후 D8 검사 및 삼각형입체시검사에서 원거리 정적입체 시력 및 입체시깊이는 60.00±62.29″ 및 1,097.83±33.93 mm이었다(Table 7). MKH 차트, 차트프로젝터 십자 시표에서 주시시차를 교정한 후 원거리 정적입체시력은 각각 약 60″(p=0.027), 50″(p=0.027) 만큼 모두 유의 하게 향상하였으며, 원거리 입체시깊이는 각각 약 25 mm(p=0.027), 17 mm(p=0.027) 만큼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able 7). 각각의 시표를 통한 교정 후의 원 거리 정적입체시력 및 입체시깊이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7). 모든 시표에서 교정 전 보다 교정 후 최소입체각 및 원거리 입체시깊이가 향상되었으며, MKH 시표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외사위(N=6) 피검자에서 주시시차 교정 전 D8 검사 및 삼각형입체시검사에서 피검자의 원거리 정적입체시 력 및 입체시깊이는 95.00±39.87″ 및 1,133.33±49.71 mm이었다(Table 8). MKH 차트의 십자시표 및 나머지 시표에서 교정 후 D8 검사 및 삼각형입체시검사에서 원 거리 정적입체시력 및 입체시깊이는 35.00±12.25″ 및 1,166.67±70.86 mm이었다(Table 8). 중심융합자극 점이 없는 그리고 있는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에서 교정 후 D8 검사 및 삼각형입체시검사에서 원거리 정적입체 시력 및 입체시깊이는 40.00±15.49″ 및 1,142.17±59.23 mm이었다(Table 8). MKH 차트, 차트프로젝터 십자시 표에서 주시시차를 교정한 후 D8 검사 및 삼각형입체시 검사에서 최소입체각은 각각 약 60″(p=0.039), 55″ (p=0.041) 만큼 모두 유의하게 향상하였으며, 원거리 입체시깊이는 각각 약 33 mm(p=0.027), 9 mm 만큼 증가하였고, MKH 차트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able 8). 각각의 시표를 통한 교정 후의 원거리 정적 입체시력 및 입체시깊이는 입체시깊에서만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p=0.027)(Table 8). 모든 시표에서 교정 전 보다 교정 후 원거리 정적입체시력 및 입체시깊이가 향 상되었으며, MKH 시표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향상 되었다.

    3. 원거리 주시시차 교정 전, 후의 동적입체시력 비교

    하워드-돌만 검사에서 주시시차 교정 전의 원거리 동 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각각 24.46±6.60″ 및 29.96±7.81 mm 이었다(Table 9). MKH 차트의 십자시표 및 나머지 시표에서 교정 후 하워드-돌만 검사에서 원거리 동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각각 15.26±7.61″ 및 18.51±9.13 mm 이었다(Table 9).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그리고 있는 차트프로젝트 십 자시표에서 교정 후 하워드-돌만 검사에서 원거리 동 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각각 17.56±5.67″ 및 21.36±6.34 mm 이었다(Table 9). MKH 차트, 차트 프로젝터 십자시표에서 주시시차를 교정한 후 원거리 동 적입체시력은 각각 약 9″(p=0.008), 7″(p=0.019) 만큼 모두 유의하게 향상하였으며, 원거리 입체시차는 각각 약 12 mm(p=0.008), 9 mm(p=0.018) 만큼 모두 유의 하게 감소하였다(Table 9). 각각의 시표를 통한 교정 후 의 원거리 동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서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Table 9). 모든 시표에서 교정 전보다 교정 후 원거리 동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가 향상되었으며, MKH 시표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내사위(N=6) 피검자에서 하워드-돌만 검사에서 주시 시차 교정 전의 원거리 동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22.79±7.30″ 및 27.18±8.41 mm 이었다(Table 10). MKH 차트의 십자시표 및 나머지 시표에서 교정 후 원 거리 동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13.44±6.40″ 및 13.34±9.92 mm 이었다(Table 10).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그리고 있는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에서 교정 후 원거리 동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16.93±3.88″ 및 20.19±4.23 mm 이었다(Table 10). MKH 차트, 차트 프로젝터 십자시표에서 주시시차를 교정한 후 원거리 동 적입체시력은 각각 약 9″(p=0.027), 6″(p=0.027) 만큼 모두 유의하게 향상하였으며, 원거리 입체시차는 각각 약 14 mm(p=0.027), 7 mm(p=0.026) 만큼 모두 유의 하게 감소하였다(Table 10). 각각의 시표를 통한 교정 후의 원거리 동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10). 모든 시표에서 교정 전 보다 교정 후 원거리 동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가 향상되었으 며, MKH 시표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외사위(N=6) 피검자에서 하워드-돌만 검사에서 주시 시차 교정 전 원거리 동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23.05±4.19″ 및 29.12±5.63 mm 이었다(Table 11). MKH 차트의 십자시표 및 나머지 시표에서 교정 후 원거리 동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15.30±9.28″ 및 19.00± 11.35 mm 이었다(Table 11).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그 리고 있는 차트프로젝트 십자시표에서 교정 후 원거리 동 적입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17.75±7.44″ 및 22.08±8.29 mm 이었다(Table 11). MKH 차트, 차트프로젝터 십자시 표에서 주시시차를 교정한 후 원거리 동적입체시력은 각각 약 8″, 5″ 만큼 향상하였고, 원거리 입체시차는 각각 약 10 mm, 7 mm 감소하였지만 모두 유의성은 없었다 (Table 11). 각각의 시표를 통한 교정 후의 원거리 동적입 체시력 및 입체시차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11). 모든 시표에서 교정 전 보다 교정 후 원거리 동적입체 시력 및 입체시차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MKH 시표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4. 원거리 주시시차 교정 전, 후의 정적입체시력 및 동적입체시력의 비교

    주시시차 교정 전의 D8 및 하워드-돌만 검사에서 원 거리 정적 및 동적입체시력은 각각 102.50±73.99″, 24.46±6.6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2, Table 13). 하지만 상관분석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Table 12).

    MKH 차트 및 차트프로젝트 십자시표를 사용한 주시 시차 교정 후의 D8 및 하워드-돌만 검사에서 원거리 정 적 및 동적입체시력은 각각 42.50±29.27″, 15.26±7.6 1″ 및 50.00±44.52″, 17.56±5.67″로 각각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p=0.002, p=0.010, Table 13). 하지만 상 관분석에서는 각각 모두 유의성이 없었다(Table 13).

    Ⅳ. 고 찰

    주시시차(fixation disparity)는 융합된 주시점이 각 눈의 중심와 중심에 결상되지 않은 양안시의 상태이며, 수평 주시시차의 경우 중심와 중심과 관련하여 주시선 방향은 주시점에서 교차하지 않고 앞 혹은 뒤에서 교차 한다. 이러한 버전스 오류는 정상적인 양안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몇 분 정도의 크기로 망막 중심파늄영역보다 작아서 복시로 이어지지 않는다.20,21) 하지만 큰 주시시차는 안정피로 관련한 증상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20,22)

    주시시차는 주시선 방향의 오정렬을 나타내는 반면 일부융합제거사위(associated phoria)는 주시시차를 교 정하는 프리즘 값이다. 이러한 변수는 융합반사가 활성 화된 상태에서 입체시와 같은 양안 시스템에 관한 정보 를 제공한다.23)

    주시시차가 최소입체각을 감소시킴으로써 입체시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측하였다.24) 그리고 최 소입체각은 주시시차가 존재하는 경우 높은 경우로 보고 되었다.25-27) Kim 등28)은 주시시차의 교정 후에 최소입 체각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MKH (Mess-und Korrektionsmethodik nach Hans-Joachim Haase, MKH) 차트 및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를 통한 주시시차 교정 후에 교정 전 대비 최소입체각이 유의하 게 향상되었다.

    완전융합제거사위(dissociated phoria)는 융합이 차단된 사위 검사이고, 일부융합제거사위(associated phoria)는 융합이 허용된 상태에서 주시시차를 교정하 기 위해 필요한 프리즘 굴절력의 결정을 의미한다.25) 일 부융합제거사위가 있는 대상자는 양안시각피질 반응 감 소,29) 근거리에서 시각증상,30) 양안시력 감소31) 등이 나 타났고, 말렛유닛(Mallett unit)에서 측정된 일부융합제 거사위가 40세 미만에서 1 Δ이상인 경우 증상과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되었다.32) 본 연구에서 측정된 일 부융합제거사위는 1 Δ이하의 평균값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MKH 차트의 십자시표와 차트프로젝 트의 중심융합자극점이 없는 십자시표를 완전융합제거 사위(dissociated phoria) 값 결정을 위해 사용하였고, MKH 차트의 시계침시표, 삼각형입체시시표, 입체시균 형시표와 차트프로젝트의 중심융합자극점이 있는 십자 시표를 사용하여 일부융합제거사위(associated phoria) 값 결정을 위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시시차 교정 값인 일부융합제거사위 (associated phoria)는 MKH 차트에서 유의하게 더 크 게 측정되었다. 파늄영역은 타원형의 형태로 망막중심에 서 주변부로 갈수록 파늄영역의 크기가 증가하므로33), 주시점과 단안으로 인식하는 시표 끝부분 사이의 거리가 가장 긴 MKH 차트의 시계침시표에서 더 많은 망막중심 주변부 파늄영역이 관여하므로 교정 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28) 또한 시계침시표로 검사가 가능한 2형 주시시차 1단계(FD Ⅱ/1) 검사 시 시표의 어긋난 정도 는 중심융합사물과 각 눈에서 인식하는 단안 시표들의 간격이 증가할수록 더 커졌다고 보고되었다.34) MKH 차 트의 시계침시표는 중심융합자극사물과 각 눈에서 인식 되는 시표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가장 크다.28) 그리 고 본 연구에서는 입체시균형시표에서 일부 대상자에서 교정 값이 측정되었다. 이러한 이유들을 통해 MKH 차 트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주시시차 교정 값이 측정된 것 으로 생각된다.

    입체시는 일반적으로 배경 시표가 고정되어 있는 정적 입체시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반면에 입체시는 정적 및 동적입체시로 서로 다른 시차처리과정을 가지므로 두 기 능을 각각 다른 검사법으로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다.13,14)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에서 대부분의 망막신경절세포 는 시상의 외측슬상핵으로 신호를 보낸다. 외측슬상핵 을 통한 두 가지 주요 경로는 소세포경로(parvocellular pathway) 및 대세포경로(magnocellular pathway) 경 로이며 소세포경로의 특성은 높은 공간 시력 및 적록시 각에 중요함을 나타내는 반면 대세포경로의 특성은 무채 색 시각 감도 및 움직임 시각에 중요함을 나타낸다.35) 정적 입체시는 소세포경로, 동적 입체시는 대세포경로를 각각 따른다고 하였다.14)

    하워드-돌만 입체시검사는 원거리에서 입체시 역치 를 측정하도록 고안되었고 다른 모든 입체시 검사를 비 교하는 표준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36) 이러한 검사 는 다른 검사의 역치상(suprathreshold) 측정과 대조적 으로 역치(threshold) 수준에서 입체시를 측정하기 때문 에 우수하다고 하였다.36)

    본 연구에서 MKH 차트 및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를 사용하여 원거리 자각적 주시시차의 교정 전, 후의 동적 입체시력을 비교하였다. Kim 등37)이 2.5 m 거리에서 삼간계(three-rods test)를 사용하여 측정한 동적입체 시력은 23.44±20.96″ 이었다. Kim 등38)이 2.5 m 거 리에서 하워드돌만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한 동적입체시 력은 28.44±25.03″이었고, 자동삼간계를 사용하여 2.5 m, 4 m 거리에서 측정한 동적입체시력은 각각 29.89±22.00″, 18.99±12.06″ 이었다.39)

    본 연구에서 주시시차 교정 전의 4 m 거리에서 측정 한 동적입체시력은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MKH 차트 및 차트프로젝트 십자시표를 사용한 교정 후 의 동적입체시력은 선행연구보다 더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다. 6 m 거리에서 유도된 사위에서 수정된 하워드- 돌만 검사를 통해 동적입체시력의 저하가 나타났다고 보 고되었다.36) 선행 연구들은 굴절이상은 교정되었지만 양 안시 기능이상에 따른 교정은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되었다보니, 본 연구에서보다 저하된 동적입체시력 이 측정된 것으로 생각된다.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에 대 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Lam A 등40)은 6 m 거리에서 삼간계를 사용하여 동적입체시를 측정한 결과 정위가 가장 최적의 상태이었으며 외사위, 내사위 순서로 측정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 전의 내사위와 외사위에서 거의 비슷한 값으로 측 정되었다.

    관찰자가 보고한 감각적 경험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물리적 자극의 기하학적 배열을 구별하는 것은 개념적으로 중요하다고 하였다.41) 예를 들어 자각적 속 성인 "밝기"를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타각적 속성의 " 휘도"와 구별할 수 있다. 유사하게 입체시에서 감각적 경험에 해당하는 자각적 속성은 "입체시깊이(stereoscopic depth)"로, 입체시를 유발하는 타각적 속성은 "수평시차 (horizontal disparity)"로 구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41)

    깊이인식(depth perception)은 사물의 3차원 공간배 열을 식별하는 능력이다. 깊이감지를 위한 정보의 근원 은 한 쪽 눈의 입력에서 사용 가능한 단안단서 및 양쪽 눈의 입력이 필요한 양안단서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양안단서는 양안시차 및 버전스를 포함한다.42) 단 안단서는 상대적인 크기, 원근감, 겹침, 조명 등을 포함 한 정적 정보와 운동성시차와 같은 동적 정보로 구성된 다.43)

    본 연구에서는 편광시표인 삼각형입체시시표에서 MKH 차트와 차트프로젝트 십자시표를 사용하여 주시 시차 교정 전, 후의 원거리 입체시깊이를 측정하였다. 두 시표 모두에서 입체시깊이가 교정 후에 유의하게 증 가하였으며, MKH 차트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증가하 였다. MKH 차트를 통한 교정 후 입체시력이 상대적으 로 더 많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입체시깊이 역시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근거리 입체시 검사뿐만 아니라 원거리 입체시 검사 도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다.44,45) 원거리 입체시 검사가 근거리 입체시 검사보다 간헐외사시 등과 같은 이상 발 견에 더 우수하다는 보고가 많다.44,46) 또한 근거리 입체 시 검사에서는 감지할 수 없는 입체시를 원거리 입체시 검사로 감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44,47) 검사방법은 근거 리에서 TNO, Randot, Titmus fly 등, 원거리에서는 Mentor Binocular Visual Acuity Tester System (BVAT), Frisby Davis Distance Stereotest 등을 사 용한다.48) 모두 시표 배경이 고정되어있는 정적입체시검 사이다. Yo 등44)이 3D 모니터로 구현한 원거리 Randot 입체시검사에서 2.5, 5, 7.5 m의 서로 다른 거리에서 측정한 정적입체시력은 각각 44.91±16.16, 34.83±10.84, 24.75±7.27 이었다. Kim 등37)이 3 m 거리에서 원거 리 Randot 입체시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정적입체시 력은 155.77±133.11″이었다. 원거리 사위도가 증가할 수록 입체시력은 감소하고 사위 교정 후 입체시는 개선 된다고 보고되었다.48)

    본 연구에서 원거리 주시시차 교정 전의 정적입체시 력은 MKH 차트 및 차트프로젝트 십자시표를 사용한 교 정 후에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MKH 차트에서 상 대적으로 더 많이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MKH 차트에 서 차트프로젝트 십자시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주시시차 교정 값이 측정되었고 이러한 교정을 통해 입 체시깊이, 정적 및 동적입체시력이 더 많이 개선된 것으 로 생각된다.

    따라서 MKH 차트와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를 사용 한 원거리 자각적 주시시차 교정 값은 시표의 디자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주시시차 교정 후의 정적 및 동적입체시는 두 시표 모두 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 다. 본 연구에서는 MKH 차트를 통해 주시시차를 교정 한 후 정적 및 동적 입체시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향 상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대상자의 수가 적어 후속 연구에서는 더 많은 대상자를 선정하여 관련된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MKH 차트와 차트프로젝터 십자시표를 사용한 원거리 자각적 수평 주시시차 교정 전, 후의 정적 및 동적입체시를 비교한 결과 시표의 디자인에 따른 주시시차 교정 값에는 유의 한 차이가 있었고, 주시시차 교정 후의 정적 및 동적입 체시는 두 시표 모두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 에서는 MKH 차트를 통해 주시시차를 교정한 후 정적 및 동적 입체시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추 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대상자를 선정하여 진행할 필요 가 있다고 생각된다.

    원거리 자각적 수평 주시시차 교정은 정적 및 동적입 체시를 개선하였기 때문에 입체시 기능의 개선에 긍정적 인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KJVS-24-1-51_F1.gif

    Targets of MKH test.

    KJVS-24-1-51_F2.gif

    Chart projector cross test without(left) and with(right) a central fusion lock.

    KJVS-24-1-51_F3.gif

    D8 line stereoscopic acuity chart.

    KJVS-24-1-51_F4.gif

    Principle of stereopsis test(left), Device for measuring stereoscopic depth(right). PD: pupillary distance, A: Test distance, △A: stereoscopic depth, YP: Stereoscopic parallax.

    KJVS-24-1-51_F5.gif

    Howard-Dolman test.

    Table

    Questionnaire of 6 items related to visual symptoms

    D8 line stereo test performance level and stereoscopic image disparity

    Distance subjective horizontal phoria and associated phoria measured using MKH chart, chart projector cross test

    Distance subjective horizontal phoria and associated phoria measured using MKH chart, chart projector cross test at eso phoria

    Distance subjective horizontal phoria and associated phoria measured using MKH chart, chart projector cross test at exo phoria

    Distance static stereoacuity and stereoscopic depth measured using D8 and stereo triangle test at uncorrected and corrected fixation disparity

    Distance static stereoacuity and stereoscopic depth measured using D8 and stereo triangle test at uncorrected and corrected fixation disparity at eso phoria

    Distance static stereoacuity and stereoscopic depth measured using D8 and stereo triangle test at uncorrected and corrected fixation disparity at exo phoria

    Distance dynamic stereoacuity and stereoscopic parallax measured using Howard-Dolman test at uncorrected and corrected fixation disparity

    Distance dynamic stereoacuity and stereoscopic parallax measured using Howard-Dolman test at uncorrected and corrected fixation disparity at eso phoria

    Distance dynamic stereoacuity and stereoscopic parallax measured using Howard-Dolman test at uncorrected and corrected fixation disparity at exo phoria

    Correlation between distance static and dynamic stereoacuity at uncorrected fixation disparity

    Correlation between distance static and dynamic stereoacuity corrected using MKH chart and chart projector cross test

    Reference

    1. Jaschinski W: Individual objective versus subjective fixation disparity as a function of forced vergence. PLoS One 13(7), e0199958, 2018.
    2. Jaschinski W: Individual Objective and Subjective Fixation Disparity in Near Vision. PLoS One 12(1), e0170190, 2017.
    3. Fredenburg P, Harwerth RS: The relative sensitivities of sensory and motor fusion to small binocular disparities. Vision Res. 41(15), 1969-1979, 2001.
    4. Edwards M, Pope DR et al.: First-and second-order processing in transient stereopsis. Vision Res. 40(19), 2645-2651, 2000.
    5. Schor CM: A dynamic model of cross-coupling between accommodation and convergence: Simulations of step and frequency responses. Optom Vis Sci. 69(4), 258-269, 1992.
    6. Evans BJ, Doshi S: Binocular Vision & Orthoptics: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1st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pp. 34-38, 2001. http://www.riss.kr/link?id=M11314240
    7. Schor CM, Ciuffreda KJ: Vergence eye movements: Basic clinical aspects, 1st ed., Boston, Butterworth, pp. 517–540, 1983.
    8. Schor CM: The relationship between fusional vergence eye movements and fixation disparity. Vision Res. 19(12), 1359-1367, 1979.
    9. Jiménez JR, Olivares JL et al.: Associated phoria in relation to stereopsis with random-dot stereograms. Optom Vis Sci. 77(1), 47-50, 2000.
    10. Saladin JJ: Effects of heterophoria on stereopsis. Optom Vision Sci. 72(7), 487-492, 1995.
    11. Shim HS, Kim SH et al.: Correlation of near stereoacuity and phoria, and refractive error. J Korean Oph Opt Soc. 20(1), 67-73, 2015.
    12. Sung PJ: Optometry, 6th ed., Seoul, Daihakseorim, pp. 233-234, 2009.
    13. Kim YC, Shim HS et al.: Comparison of Dynamic Stereoacuity According to Monocular Cue. J Korean Oph Opt Soc. 22(2), 127-132, 2018.
    14. Tyler CW: A stereoscopic view of visual processing streams. Vision Res. 30(11), 1877-1895, 1990.
    15. Otto MN, Kromeier M et al.: Do dissociated or associated phoria predict the comfortable prism?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46(5), 631–639, 2008.
    16. Evans BJW: Pickwell’s binocular vision anomalies, 5th ed., Scotland, Butterworth- Heinemann, pp. 75, 81-82, 2007.
    17. Sheard C: Zones of ocular comfort. Optom Vis Sci. 7(1), 9-25, 1930. https://journals.lww.com/optvissci/citation/1930/01000/zones_of_ocular_comfort_.1.aspx
    18. Sheedy JE, Saladin JJ: Association of symptoms with measures of oculomotor deficiencies. Am J Optom Physiol Opt. 55(10), 670–676, 1978.
    19. Alhassan M, Hovis JK et al.: Comparison of MKH-Haase Associated Phoria Charts with Other Common Clinical Tests. Optometry & Visual Performance 4(5), 254-264, 2016.
    20. Jaschinski W, Bröde P et al.: Fixation disparity and nonius bias. Vision Res. 39(3), 669-677, 1999.
    21. Ogle KN, Martens TG et al.: Oculomotor imbalance in binocular vision and fixation disparity, 1st ed., Philadelphia, Lea & Febiger, pp. 450-451, 1967.
    22. Mallett RF: Fixation disparity-its genesis and relation to asthenopia. Ophthalmic Optician 30, 1159-1168, 1974.
    23. Jiménez JR, Olivares JL et al.: Associated phoria in relation to stereopsis with random-dot stereograms. Optom Vis Sci. 77(1), 47-50, 2000.
    24. Fry GA, Kent PR: The effects of base-in and base-out prisms on stereo-acuity. Optom Vis Sci. 21(12), 492–507, 1944.
    25. Ukwade MT, Harwerth RS et al.: Stereoscopic acuity, observation distance and fixation disparity: A commentary on 'Stereoscopic acuity and observation distance' by Bradshaw and Glennerster (2006). Spat Vis. 20(5), 489-492, 2007.
    26. Saladin JJ: Stereopsis from a performance perspective. Optom Vis Sci. 82(3), 186-205, 2005.
    27. Ukwade MT, Bedell HE et al.: Stereopsis is perturbed by vergence error. Vision Res. 43(2), 181-193, 2003.
    28. Kim HI, Kim SY: A study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Distance Subjective Associated Phoria Measured with MKH Chart, Mallett Unit and Chart Projector Cross Test with a Central Fusion Lock. Korean J Vis Sci. 21(3), 373-387, 2019.
    29. Heravian-Shandiz J, Douthwaite WA et al.: Effect of induced fixation disparity by negative lenses on the visually evoked potential wave. Ophthalmic Physiol Opt. 13(3), 295-298, 1993.
    30. Karania R, Evans BJW: The Mallett Fixation Disparity Test: Influence of test instructions and relationship with symptoms. Ophthalmic Physiol Opt. 26(5), 507-522, 2006.
    31. Jenkins TCA, Abd-Manan F et al.: Fixation disparity and near visual acuity. Ophthalmic Physiol Opt. 15(1), 53-58, 1995.
    32. Jenkins TCA, Pickwell LD et al.: Criteria for decompensation in binocular vision. Ophthalmic Physiol Opt. 9(2), 121-125, 1989.
    33. Carter DB: Fixation disparity with and without foveal fusion contours. Am J Optom Arch Am Acad Optom. 41, 729–736, 1964.
    34. Feind ST: Untersuchungen zur Fixationsdisparation und mikroanomalen Netzhautkorrespondenz, Fachhochscule Aalen, Diplomarbiet, pp. 61-78, 1989. https://hs-aalen.de/de/theses
    35. Solomon SG: Retinal ganglion cells and the magnocellular, parvocellular, and koniocellular subcortical visual pathways from the eye to the brain. Handb Clin Neurol. 178, 31-50, 2021.
    36. Heravian J, Hoseini YSH et al.: Effect of Induced Heterophoria on Distance Stereoacuity by using the Howard-Dolman Test. Iran J Ophthalmol. 24(1), 25-30, 2012.
    37. Kim YC, Kim SH et al.: Comparison and Correlation between Distance Static Stereoacuity and Dynamic Stereoacuity. J Korean Oph Opt Soc. 20(3), 385-390, 2015.
    38. Kim YC, Shim HS et al.: Assessment of Dynamic Stereoacuity of Adults in their 20s’ with Howard-Dolman Test. J Korean Oph Opt Soc. 20(1), 61-66, 2015.
    39. Kim JS, Lee KY et al.: Comparison of Dynamic Stereoacuity in Terms of Test Distance. J Korean Oph Opt Soc. 23(4), 423-431, 2018.
    40. Lam AKC, Tse P et al.: Crossed and uncrossed stereoacuity at distance and the effect from heterophoria. Ophthalmic Physiol Opt. 22(3), 189-193, 2002.
    41. Westheimer G: Clinical evaluation of stereopsis. Vision Res. 90, 38-42. 2013.
    42. Iehisa I, Ayaki M et al.: Factors affecting depth perception and comparison of depth perception measured by the three-rods test in monocular and binocular vision. Heliyon 6(9), e04904, 2020.
    43. Wong BP, Woods RL et al.: Stereoacuity at distance and near. Optom Vis Sci. 79(12), 771-778, 2002.
    44. Iwata Y, Fujimura F et al.: Effects of Target Size and Test Distance on Stereoacuity. J Ophthalmol. 2016(3), 1-5, 2016.
    45. Holmes JM, Birch EE et al.: New tests of distance stereoacuity and their role in evaluating intermittent exotropia. Ophthalmol. 114(6), 1215–1220, 2007.
    46. Feng X, Zhang X et al.: Improvement in fusion and stereopsis following surgery for intermittent exotropia.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52(1), 52-57, 2015.
    47. Singman EL, Matta NS et al.: Comparison of the INNOVA Visual Acuity System Stereotest with the Frisby-Davis 2 Stereotest for the Evaluation of Distance Stereoacuity. Binocul Vis Strabolog Q Simms Romano 28(2), 78-83, 2013.
    48. Chun YY, Joo SH et al.: Effect of distance phoria on stereoacuity. J Korean Oph Opt Soc. 13(1), 101-10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