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4 No.2 pp.139-146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2.24.2.139

A Study on Dominant Eye with Methods of Testing

In-Haeng Ryu1), In-Chul Jeon2)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Student, Naju
2)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Professor, Naju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In-Chul Jeon (https://orcid.org/0000-0002-3166-1392) 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Naju TEL: +82-61-330-3554, E-mail: icjeon@dsu.ac.kr
May 17, 2022 June 21, 2022 June 23, 2022

Abstract


Purpose : In this study, three of the various dominant eye test methods such as +2.00D test, circular hole card test and eyepiece approach test were identified,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dominant eye and other factors, the dominant hand and the corrective refractive power of both eyes was investigated.



Methods : Fifty eight adults (36 males and 22 females) age 23.79±5.03 years with no experience of general disease, eye disease and refractive surgery were participated. After full correction, a +2.00 D lens test, a hole in the card test and an eyepiece approach test were performed.



Results : The number of those with sensory dominant eye was 38 people on the right and 20 people on the left, sighting dominant eye was is 45 people on the right and 13 people on the left, and eyepiece dominant eye was 46 people on the right and 12 people on the left, showing that the ratio of right eye was high. The number of those with the dominant hand was 56 right-handed and 2 left-handed. Regarding agreement between dominant hand and dominant eye, it was revealed 38 sensory dominant eyes, 45 sighting dominant eyes and 44 eyepiece dominant eyes, showing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reement between the dominant hand and eye(p>0.050).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yes corrected with low refractive errors and the dominant eye(p>0.050).



Conclusion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sensory dominant eye and that of the visual dominant eye. Since the dominant eye was measured d differently depending on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it is considered that both a sensory dominant eye test and a visual dominant eye test should be performed for the dominant eye test.



검사방법에 따른 우세안에 관한 연구

류 인행1), 전 인철2)
1)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옵토메트리학과, 학생
2)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Ⅰ. 서 론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디지털화의 물결 속에서 정보를 디지털미디어라는 매개체를 통해 시각과 청각으로 받아 들이고 있다. 사람의 인체에서 시각과 청각은 눈과 귀에 해당하며, 우리 몸에 눈과 귀는 1쌍씩 대칭 구조를 이루 고 있다. 눈과 귀처럼 1쌍으로 이루어진 신체 기관은 각 각의 기능에 차이는 없으나 무의식적으로 한쪽을 우세하 게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손을 사용할 때 우리는 왼 손과 오른손 중 어느 한쪽을 우세하게 사용함을 쉽게 알 수 있다. 눈 또한 우안과 좌안 중 어느 한쪽을 우세하게 사용하게 되는데, 우세함을 보이는 눈을 우세안이라고 한다. 우세안이란 양안으로 물체를 정확하게 응시한 상 태에서 양안 중 주도적인 기능을 하는 눈이다.1) 우세안 은 감각 우세안(sensory dominant eye), 시야 우세안 (sighting dominant eye), 운동 우세안(motor dominant eye) 등으로 분류된다. 감각 우세안은 양안에 자극을 지 속해서 주었을 때 경쟁하여 더 많이 인식되는 눈이며, 시야 우세안은 양안을 동시에 사용하였을 때 선택적으로 주시 기준이 되는 눈이다.2,3)

    Lee 등4)의 연구에 따르면 우세안은 유전적인 성향을 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통상 3세 이전에 우세안이 결 정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우세안 검사 결과는 프리 즘 처방, 모노비전 처방, 멀티포컬 처방, 양안조절균형 검사 등 여러 검사와 처방에 활용되고 있고, 주로 시야 우세안 검사가 많이 알려져 있다.5)

    최근 정보화 시대로 인해 스마트폰, PC 등의 스마트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일상생활의 일부분이 되었다. 스마 트폰 사용 연령층은 어린이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층이 사용하고 있다.6) 디스플레이를 통한 근거리 작 업 요구량의 증가는 눈의 조절기능과 폭주근점 및 융합 예비량 변화에 연관성이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노안의 진행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7,8) 최근 노안 처방인 모노비 전, 멀티포컬 처방 등에 감각 우세안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9)

    우세안 검사법으로는 Ring 검사, Mirror 검사, +2.00 D 검사, 폭주근점 시 외전검사, 접안렌즈 접근 검사, 원·근 교대주시 검사, 조준 검사, 원형구멍카드 법(Hole in the card test) 등이 있다.4,5)

    본 연구에서는 우세안 검사방법 중 +2.00 D 검사, 원형구멍카드 검사, 접안렌즈 접근 검사를 측정하여 우 세안의 일치성을 알아보며, 우세안과 다른 요인인 우세 손, 양안의 교정굴절력 차이에 따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전신질환, 안질환, 굴절교정수술 경력이 없 는 성인 58명(남 36명, 여 22명, 23.79±5.03세)을 대 상으로 하였다.

    2. 방법

    1) 굴절검사

    자동안굴절계(HRK-8000A, Huvitz, Korea)를 사 용하여 타각적으로 굴절이상도를 측정한 후 포롭터 (HDR-7000, Huvitz, Korea)를 이용하여 원거리(5 m) 에서 자각적으로 교정굴절력을 측정하였다.

    2) 우세안과 우세손 검사

    (1) 감각 우세안

    완전 교정 상태에서 눈 앞 5 m에 위치한 백열등(100 W)을 주시한 후 +2.00 D 렌즈를 양안에 교대로 가입하 여 양안 중 백열등의 형상이 비교적 흐려지거나 불편하 다고 느낀 눈을 감각 우세안으로 기록하였다.

    (2) 시야 우세안

    정사각형(15×15 cm2)에 지름 3 cm 정도의 구멍 뚫 린 카드를 두 손으로 잡고 팔을 뻗어서 원거리(5 m)에 있는 0.5 시표를 주시하는 눈을 시야 우세안으로 기록하 였다.

    (3) 접안렌즈 우세안

    수동렌즈미터(LM-8,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피검자가 무의식적으로 접안렌즈에 접근한 눈을 접안렌 즈 우세안으로 하였다.

    (4) 우세손 검사

    우세손은 검사자의 문진을 통해서 일상생활에서 밥을 먹거나 연필을 잡는 손을 우세손으로 기록하였다.

    3) 통계 및 분석

    통계분석은 SPSS(version 18.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백분율은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표 시하였다. p-value가 0.050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 의하였다고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우세안

    전체 대상자 58명 중 감각 우세안은 우안 38명, 좌안 20명, 시야 우세안은 우안 45명, 좌안 13명, 접안렌즈 우세안은 우안 46명, 좌안 12명으로 3가지 우세안 모두 우안의 비중이 높았다(Table 1).

    감각 우세안과 시야 우세안이 일치하는 경우는 39명, 감각 우세안과 접안렌즈 우세안이 일치하는 경우는 37 명, 시야 우세안과 접안렌즈 우세안이 일치하는 경우는 55명이었다.

    감각 우세안과 시야 우세안, 감각 우세안과 접안렌즈 우세안의 일치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 나(p<0.050), 시야 우세안과 접안렌즈 우세안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Fig. 1).

    2. 우세안과 우세손

    우세손은 오른손 56명 왼손 2명이다(Fig. 2). 감각 우세안과 우세손이 일치하는 경우는 38명, 시야 우세안 과 일치하는 경우는 45명, 접안렌즈 우세안과 일치하 는 경우는 44명으로 우세손과 3가지 우세안과의 일치 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Table 2).

    3. 교정굴절력에 따른 우세안

    양안의 굴절이상도와 우세안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총 116안 중 양안의 차이가 0.25 D 이하 20안을 제외한 96안을 확인하였다.

    등가구면 굴절력은 OD –2.37±2.32 D, OS –2.24±2.31 D이고 구면 굴절력은 OD –2.39±2.10 D, OS –2.19±2.07 D이었으며, 원주 굴절력은 OD –1.08±0.70 D, OS –1.20±0.90 D 이었다(Table 3).

    1) 등가구면 굴절력에 따른 우세안

    3가지 우세안의 등가구면 굴절력은 –3.01±2.30 D, -3.05±2.31 D, -3.05±2.32 D, 비우세안 굴절력은 – 2.93±2.35 D, -2.89±2.34 D, -2.89±2.33 D로 나 타났다.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굴절력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p>0.050). 양안 중 등가구면 굴절력 이 높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 감각 우세안 30명, 시야 우 세안 34명, 접안렌즈 우세안 32명으로 굴절력이 높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가 높았다(Table 4, Table 5).

    2) 구면 굴절력에 따른 우세안

    3가지 우세안의 구면 굴절력은 –2.37±2.16 D, -2.46±2.15 D, -2.48±2.13 D, 비우세안 굴절력은 -2.40±2.13 D, -2.30±2.14 D, -2.31±2.13 D로 나 타났다.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굴절력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p>0.050). 양안 중 구면 굴절력이 높 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 감각 우세안 26명, 시야 우세안 29명, 접안렌즈 우세안 30명으로 굴절력이 높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가 높았다(Table. 6)(Table. 7).

    3) 원주 굴절력에 따른 우세안

    3가지 우세안의 원주 굴절력은 –1.13±0.76 D, -1.09±0.75 D, -1.08±0.75 D, 비우세안 굴절력은 –1.18±0.87 D, -1.22±0.88 D, -1.23±0.88 D로 나 타났다.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굴절력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p>0.050). 양안 중 원주 굴절력이 낮 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 감각 우세안 29명, 시야 우세안 27명, 접안렌즈 우세안 28명으로 굴절력이 낮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가 높았다(Table 8)(Table 9).

    Ⅳ. 고찰 및 결론

    우세안은 1593년 처음 소개되어 주시할 때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5,6,10) 굴절이상 처방 시 중요한 지표이다. 그 중 감각 우세안은 모노비전 처방 및 억제하기 쉬운 눈을 찾을 때 사용한다. Jung 등5)의 연구에 따르면 감 각 우세안을 검사하는 (+)렌즈 부가법은 시야 우세안을 검사하는 원형구멍카드법과 일치도가 낮았고 본 연구 에서도 비슷한 결과로 감각 우세안 검사와 시야 우세안 검사의 일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0).

    본 연구에서 우안이 우세안인 경우는 감각 우세안 65.51%, 시야 우세안 77.58%로 나타났다. 이는 Cho 등11)의 결과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성별 구분 없이 우안이 우세안인 경우가 많았다. Park 등13)과 Hwang 등14)에 따르면 눈과 손이 협응 관계가 있다고 하여 본 연구에서도 우세손과 우세안의 일치관계를 알아보았지 만 우세안과 우세손의 관계는 일치성을 띄지 않았고, 이 결과는 Shim 등15)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0). 그러나 Coren16)에 따르면 작업 성취도는 우세안, 비우세안 순 으로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Cho 등11)의 연구에서는 굴절이상에 따라 우세안의 교정굴절력 값이 비우세안보다 낮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 에서는 교정굴절력 값의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차이는 유 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양안의 교정 굴절력 값을 비교하였을 때 등가구면과 구면 교정굴절력 값에서 3가지 우세안 모두 높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가 많았고 원주 굴절력 값에서 3가지 우세안 모두 낮은 눈 이 우세안인 경우가 많았다.

    예비 검사를 진행하였을 때 상황에 맞는 적절한 우세 안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감각 우세안과 시야 우세 안이 다른 경우 감각 우세안을 기준으로 처방하는 모노 비전 처방, 프리즘 처방, 멀티포컬 처방 등과 시야 우세 안을 기준으로 하는 양안 균형 검사, 안경 처방 등 처방 에 오류가 생겨 시기능의 능률이 떨어질 수 있다.5) 그로 인해 시각적 만족, 양안시기능 및 시기능 훈련에도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

    본 연구에서 3가지 우세안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감각 우세안과 시야 우세안, 감각 우세안과 접안렌즈 우세안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시야 우세안과 접안렌즈 우 세안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굴절검사 및 양안시검사를 진행하였을 때 적절한 우세안 검사법을 고 려하지 않는다면 시기능의 능률이 떨어지므로 우세안 검 사법에 대해 구분하여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와 더불어 많은 이유로 인해 노안이 발생하 는 시기가 점차 빨라지는 추세로 노안처방에 사용되는 모노비전 처방, 멀티포컬 처방 등에 활용되는 우세안은 감각 우세안 검사방법으로 결정해야한다. 또한 원주 굴 절력의 경우 0.75 D 이상 차이가 날때 원주 굴절력이 낮 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가 많았다. 이는 추후 더 많은 연 구가 진행되어야 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KJVS-24-2-139_F1.gif

    Frequency of matching of dominant eye. A: sensory dominant eye - sighting dominant eye, B: eyepiece dominant eye - sensory dominant eye, C: eyepiece dominant eye - sighting dominant eye.

    KJVS-24-2-139_F2.gif

    Frequency of dominant hand.

    Table

    Frequency of dominant eye type

    Frequency of matching of dominant eye and dominant hand

    Mean of refractive error

    Dominant eye according to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

    Dominant eye according to high and low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power

    Dominant eye according to spherical refractive error

    Dominant eye according to high and low spherical refractive power

    Dominant eye according to cylinder refractive error

    Dominant eye according to high and low cylinder refractive power

    Reference

    1. Shin HS, Jang JG: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between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Korean J Vis Sci. 19(3), 249-256, 2017.
    2. Coren S, Kaplan CP: Patterns of ocular dominance. Am J Optom Arch Am Acad Optom. 50(4), 283-292, 1973.
    3. Ooi TL, He ZJ: Sensory eye dominance: Relationship between eye and brain. Eye Brain 12, 25-31, 2020.
    4. Lee WS, Ye KH et al.: The comparative research of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by ages. J Korean Oph Opt Soc. 18(2), 203-211, 2013.
    5. Jung SA, KIM HJ: Consistency of results between dominant eye tests: The effect of degree of eye dominance. J Korean Oph Opt Soc. 23(4), 401-406, 2018.
    6. Kang WS, Kim MS et al.: Effects of the smartphone information use and performa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 Korean Gerontol Soc. 33(1), 199-214, 2013.
    7. Kwon KI, Woo JY et al.: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 by the direction of eye movements during computer game. J Korean Oph Opt Soc. 17(2), 177-184, 2012.
    8. Kim SI, Kwon KI et al.: The change of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fusional reserves after computer gaming with different direction of eye movement. J Korean Oph Opt Soc. 18(1), 37-43, 2013.
    9. Lee MJ, Jang HS et al.: Evaluation of visual performance according to multifocal contact lens prescription methods in presbyopia. Korean J Vis Sci. 22(4), 397-407, 2020.
    10. Porac C, Coren S: The dominant eye. Psychol Bull. 83(5), 880-897, 1976.
    11. Cho KJ, Kim SY et al.: The refractive errors of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J Korean Ophthal Soc. 50(2), 275-279, 2009.
    12. Gur RC, Turetsky BI et al.: Sex differences in brain gray and white matter in healthy young adults: Correlations with cognitive performance. J Neurosci. 19(10), 4065-4072, 1999.
    13. Park JY, Jeon IC: Effect of aniseikonia induced by a size lens on contrast visual acuity and stereo acuity and eye-hand coordination. Korean J Vis Sci. 22(4), 477-484, 2020.
    14. Hwang JH, Seo JM: Effect of ocular vergence function on eye-hand coordination. Korean J Vis Sci. 20(3), 289-295, 2018.
    15. Shim MS, Shim HS et al.: Comparison of dynamic stereoacuity according to dominant eye and degree of dominant eye. J Korean Oph Opt Soc. 21(3), 227-233, 2016.
    16. Coren S: Sensorimotor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eye dorminance and handedness. Percept Mot Skills 88(2), 424-426, 1999.
    17. Leem HS, Wi DG et al.: The relationship of dominant eyes and fixing eyes in binocular anomalies. Korean J Vis Sci. 12(3), 173-17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