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4 No.2 pp.155-163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2.24.2.155

Analysis on Chromatic Aberration of the Gullstrand Schematic Eye through 3D Simulation

Bon-Yeop Koo1), Myoung-Hee Lee2), Young-Chul Kim3)
1)Dept. of Optometry, Shinsung University, Professor, Dangjin
2)Dept. of Optometry, Beakseok Culture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3)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oung-Chul Kim (https://orcid.org/0000-0001-5103-900X)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201, E-mail: yckim@eulji.ac.kr
May 18, 2022 June 24, 2022 June 24, 2022

Abstract


Purpose : The chromatic aberrations were theoretically calculated with the Gullstrand schematic eye, confirmed through 3D simulation, and two results were compared.



Methods : The theoretical chromatic aberrations were calculated by Mathematica 12.3.1 (Wolfram Research, USA), and the 3D modelling of the Gullstrand schematic eye was achieved by Ansys SPEOS Ver. 2012 (ANSYS Inc., USA).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hromatic aberrations were measured in yellow (λd =586.700 nm), blue (λF =486.100 nm), and red (λc =656.300 nm) rays of the visible ray wavelength region.



Results : In both theoretically calculated and simulated methods, the focal length through the schematic eye was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incident ray height increased as, the wavelength decreased. As the center to the periphery of the schematic eye progressed, the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decreased, but the transverse chromatic aberration was shown to increase.



Conclusion : The chromatic aberrations identified by theoretically calculated and simulated methods showed almost similar trends, whereas a very slight difference was found. To identify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hromatic aberrations, it is believed that follow-up studies reflecting the detailed schematic eye modelling of parameters, such as accommodation or refractive errors in the model will be necessary.



3D 시뮬레이션을 통한 굴스트란드 모형안의 색수차 분석

구 본엽1), 이 명희2), 김 영철3)
1)신성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당진
2)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3)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Ⅰ. 서 론

    수차는 일반적으로 광학계를 통과한 광선들의 결상점 이 한 점으로 모이지 못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색수차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선들이 파장별로 굴절률이 서로 달라 광학계를 통과할 때 속도 감소에 차이가 발생 하고, 광학계를 통과한 후 한 점으로 결상되지 못하는 현상으로 정의된다.1) 사람 눈에서 색수차는 종색수차 (longitudinal 혹은 axial chromatic aberration, LCA)와 횡색수차(transverse 혹은 lateral chromatic aberration, TCA)를 주로 고려하는데, 종색수차는 파 장 별 결상점이 광축 상에서 최단 및 최장초점 간 거리 차이를, 횡색수차는 파장 별 결상점이 광축을 벗어난 지 점에서 최단 및 최장높이 간 거리차이를 각각 의미한 다.2,3)

    색수차를 적절하게 보정하지 못한 광학계와는 다르게 사람 눈에서 색수차는 거의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 려졌는데, 가시광선 영역 전반에 걸친 굴절률의 차이는 상당히 존재하지만 눈의 상대적인 광 민감도가 색수차가 크게 발생하는 단파장 영역에서 감소하기 때문에 그 영 향이 미비한 것으로 제시된다.4) 즉, 명소시에서 눈은 중 심와에 존재하는 원뿔(추체)세포가 주로 반응하며 555 nm 파장의 광선에 가장 민감하기 때문에 색수차를 인 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5) 선행연구에서 제 시된 것으로 동일한 높이로 눈에 입사한 광선은 종색수 차로 인하여 장파장 영역에 비해 단파장 영역에서 더 굴 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종색수차는 대부분 중 심 시력에서 자각적 굴절검사를 통해 추정되었는데, 중 심와를 벗어난 주변 시력은 급격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주변부에서 측정은 거의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타각적 인 측정도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Fig. 1).6-9)

    실제 눈에서 색수차의 측정은 파장 별 결상점에 대한 주관적 판단이 정확하지 못하고, 타각적인 측정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일부 제시된 안 매질의 수치를 통해 추 정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3D 시뮬레이션을 통 해 구현된 모형안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다 양한 광학적 조건 설정과 생체보다 상대적으로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눈에서의 색수차를 분석하기에 더 적합 할 것으로 판단된다.10)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정의에 따라 색수차를 이론적으로 산출하였으며,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된 Gullstrand 모형안에서 이를 확인하였고, 두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이론적 색수차

    본 연구에서 이론적 색수차는 Mathematica 12.3.1 (Wolfram Research, USA) 프로그램을 통해 산출하였 다. 색수차 산출에 필요한 공식은 선행연구를 통해 검토 되었으며,11-14) 파장에 따른 안 매질의 굴절률 변화를 가 장 일반적으로 설명하고 있다고 판단된 Cauchy의 결과 를 사용하였다.

    2. Gullstrand 모형안의 3D 시뮬레이션

    Gullstrand 모형안의 3D 구현은 Ansys SPEOS Ver. 2012(ANSYS Inc., USA)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안 매질의 수치를 기반으로 하였 다.15) 이때, 각막 전·후면, 수정체 피질 전·후면, 수정체 핵질 전·후면의 곡률반경과 굴절률은 각각 7.700 mm, 6.800 mm, 1.376(각막), 10.000 mm, -6.00 mm, 1.386(수정체 피질), 7.910 mm, -5.760 mm 및 1.406(수정체 핵질)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망막에 해당 하는 24.380 mm 위치에는 다수의 탐지기(detector)를 설치하였다(Fig. 2).

    Ⅲ. 결 과

    1. 색수차의 이론적 정의

    사람의 눈을 단일렌즈와 같은 단순한 광학계로 간주 하였을 때, 눈을 통과한 노란색(λd =586.700 nm), 파 란색(λF =486.100 nm), 빨간색(λc=656.300 nm) 광 선들에서 종색수차는 파란색 파장에 대한 굴절력과 빨간 색 파장에 대한 굴절력 차 LCA = DF′ - DC′로 정의 된다. 여기서 굴절력은 초점거리의 역수이므로 선형 종색수차는 빨간색과 파란색의 초점거리 차이인 LCA = fC′ - fF′로 나타낼 수 있다.

    종 방향으로 종색수차가 발생하면 광축의 수직 방향 에서도 결상점의 차이가 반드시 발생하는데 이것을 횡색 수차(TCA)라고 한다. 즉, 광축과 θ 의 각도를 이루는 주 광선이 빨간색 및 파란색 파장의 입사광선과 서로 교차 하는 점에서 횡 방향 차이로 정의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선형 종색수차와 tan θ 의 곱인 TCA = LCA × tanθ 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내용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 식을 이용한 광선 추적 방법과 3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 여 수차를 분석하였다. 종색수차는 파장별 굴절광선과 광축과의 접점 차이 값으로 계산되었고 횡색수차는 망막 상면에서 굴절광선의 수직 방향으로의 접점 차이로 산출 하였다(Fig. 3).

    2. 색수차의 이론적인 산출

    선행연구12)에서 Cauchy는 광선들의 파장 별 안 매 질의 굴절률 변화를

    n ( λ ) = A + B λ 2 + C λ 4 + D λ 6 +
    Eq. 7.

    과 같이 제시하였다. 이때, 계수 A, B, C 및 D는 다음 과 같다(Table 1).

    식 7 및 표 1의 계수를 통해 산출된 Gullstrand 모형 안에서 광선들의 파장에 따른 안 매질의 굴절률 및 아베 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Table 2).

    2에 제시된 값을 통해 산출된 입사광선의 파장에 따른 초점거리, 종색수차와 횡색수차는 다음과 같이 나 타났다(Table 3, Fig. 4).

    3. 색수차의 모의적인 산출

    그림 5는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델링된 Gullstrand 모형안에서 색수차를 분석한 것으로 (a), (b), (c)는 각 각 파란색(λF ), 노란색(λd ) 및 빨간색(λc ) 파장의 입사 광선을 나타낸다.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델링된 Gullstrand 모형안 의 망막 위치(24.830 mm)를 기준으로, 입사광선의 파 장에 따른 초점거리, 종색수차와 횡색수차는 다음과 같 이 나타났다(Table 4, Fig. 6).

    4. 이론적 및 모의적 색수차 간 비교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Gullstrand 모형안에서 이 론적 및 모의적으로 산출된 색수차 값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5, Fig. 7).

    Ⅳ. 고찰 및 결론

    Marcos 등2)은 3명의 대상에서 파면 수차를 통해 색 수차를 측정하였는데, 종색수차는 대상 별로 다소 차이 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값과 유사했으며, 동공 크 기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제시하였고, 횡색수 차는 대상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동일한 대상의 눈마다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타각적 및 자각적 방 법을 통해 눈의 색수차를 측정한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 면, 종색수차는 매질의 굴절률과 굴절력에 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안축을 벗어난 편심으로는 중요한 변화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중심에서 주변으로 갈 수록 약간 증가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고 제시하였다.3) 이는 본 연구에서도 일부 일치하는 것으 로 확인되었는데, 동일한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에서는 입사광선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초점거리는 약간 감소하 였으며, 동일한 입사광선 높이에서는 파장이 증가할수록 초점거리는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입사광선의 높이를 눈에서 동공의 크기로 간주했을 때, 동공의 크기가 증가하면 안 광학계 의 주변부로 더 많은 광선이 입사하게 되며, 중심부에 비해 주변부에서 광학계의 프리즘 영향은 증가하고, 파 장이 짧을수록 안 광학계를 구성하고 있는 굴절면(각막 및 수정체)의 굴절률은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결 과적으로 초점거리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종색수차는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색수차의 정의에 따라 파란색(λF =486.100 nm)과 빨간색(λc =656.300 nm) 파장 간 초점거리의 차이 값으로 산출하였는데, 모든 파장에서 입사광선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초점거리는 짧아졌으나, 오히려 두 파장 간 초점거리 차이는 감소하였고, 그 수치는 매우 미세하였지만, 최종적으로 종색수차는 약간 감소한 것으 로 확인되었다. 이는 중심부에 입사한 광선에 비해 주변 부에 입사한 광선은 프리즘 영향으로 더 굴절되고 이에 따라 광선의 꺽임각이 증가하기 때문에 두 파장 간 거리 가 상대적으로 짧아진 결과로 예측된다. 또한 본 연구에 서 모형안의 설계는 눈에서 조절을 배제하고 설계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조절의 영향을 받지 않는 망막의 위 치에서 두 파장 간 수직 방향의 거리 차이로 산출한 횡 색수차는 입사광선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더 증가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Gullstrand 모형안에서 이 론적으로 산출한 색수차와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의 적으로 산출한 색수차의 결과는 거의 유사한 추의를 보 였으나, 값의 차이는 존재하였는데, 시뮬레이션 결과에 서 미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각 파장에서 굴절률을 인식하는 방법에서 기인한 것으로 예측되고, 추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아쉽게도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눈에서 조절이 배제되었으며, 굴절이상과 같은 특 정 조건을 설정할 수 없었는데, 색수차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추후 모형안에서 수정체의 조절이나 굴절이상 등을 세밀하게 모델링하는 방법을 마련할 필요 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Gullstrand 모형안에서 이 론적 및 모의적으로 색수차를 산출한 결과 입사광선의 높이가 증가하고, 가시광선 영역에서 파장이 짧을수록 모형안을 통과한 입사광선의 초점거리는 감소하였다. 모 형안의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종색수차는 미세하 게 감소하였으나, 횡색수차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론적 및 모의적으로 산출한 색수차는 거의 유사한 추의를 보였으나, 매우 미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색수 차의 다양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눈의 굴절이상과 같은 조건을 통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KJVS-24-2-155_F1.gif

    Change of the LCA in accordance with the wavelength in previous studies.

    KJVS-24-2-155_F2.gif

    The schematic eye modelling. (a) The Gullstand schematic eye and its media components†,‡, (b) 3D simulation schematic eye.

    Mean refractive index are air (n0)=1.000, cornea (n1)=1.376, aqueous humor (n2)=1.334, crystalline cortex lens (n3)=1.386, crystalline nucleus lens (n4)=1.406, and vitreous body (n5)=1.336, respectively.

    ‡Radius of curvature are cornea anterior surface (d1)=+7.700 mm, cornea posterior surface (d2)=+6.800 mm, crystalline cortex lens anterior surface (d3)=+10.000 mm, crystalline nucleus lens anterior surface (d4)=+7.910 mm, crystalline nucleus lens posterior surface (d5)=-5.760 mm, and crystalline cortex lens posterior surface (d6)=-6.000 mm, respectively.

    KJVS-24-2-155_F3.gif

    Schematic diagram of the chromatic aberrations application in this study.

    KJVS-24-2-155_F4.gif

    Change of the calculated focal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wavelength for incident ray height.

    KJVS-24-2-155_F5.gif

    The 3D simulation results of this study. (a) λF (486.100 nm), (b) λd (586.700 nm), (c) λc (656.300 nm).

    KJVS-24-2-155_F6.gif

    Change of the simulated focal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wavelength for incident ray height.

    KJVS-24-2-155_F7.gif

    Comparison between the calculated and simulated chromatic aberration. (a) LCA, (b) TCA.

    Table

    Coefficients for the ocular medium of Cauchy’s equation

    Changes in refractive index and Abbe’s number in accordance with the wavelength for the Gullstrand schematic eye

    Calculated focal length and chromatic aberr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wavelength for incident ray height

    Simulated focal length and chromatic aberr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wavelength for incident ray height

    Comparison between the calculated and simulated chromatic aberrations

    Reference

    1. Kim YC: Geometrical & Visual Optics, 2nd ed., Korea, Bookhill, pp. 270-281, 2021.
    2. Marcos S, Burns SA et al.: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ocular chromatic aberrations. Vision Res. 39(26), 4309-4323, 1999.
    3. Rynders MC, Navarro R et al.: Objective measurement of the off-axis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in the human eye. Vision Res. 38(4), 513-522, 1998.
    4. Rosenfield M, Logan N: Optometry: Science, Techniques and Clinical Management, 2nd ed., USA, Elsevier Health Sciences, pp. 9-10, 2009.
    5. Ronald BR: Clinical Visual Optics, 4th ed., UK, Elsevier Health Sciences, p. 145, 2007.
    6. Wald G, Griffin DR: The change in refractive power of the human eye in dim and bright light. J Opt Soc Am. 37(5), 321-336, 1947.
    7. Howarth PA, Bradley A: The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of the human eye, and its correction. Vision Res. 26(2), 361-366, 1986.
    8. Thibos LN, Bradley A et al.: Effect of ocular chromatic aberration on monocular visual performance. Optom Vis Sci. 68(8), 599-607, 1991.
    9. Charman WN, Jennings JAM: Objective measurements of the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of the human eye. Vision Res. 16(9), 999-1005, 1976.
    10. Koo BY, Kim YC: Analysis of optical characteristics on the Gullstrand schematic eye through 3D simulation. Korean J Vis Sci. 23(3), 247-257, 2021.
    11. Atchison DA, Smith G: Chromatic dispersion of the ocular media of human eyes. J Opt Soc Am A Opt Image Sci Vis. 22(1), 29-37, 2005.
    12. Cauchy ALB: Mémoire sur la dispersion de la lumière. 1st ed., France, JG Calve, pp. 3-123, 1836.
    13. Chen YC, Jiang CJ et al.: Development of a hu man eye model incorporated with intraocular s cattering for visual performance assessment. J Biomed Opt. 17(7), 075009, 2012.
    14. Kim SJ, Lim HS et al.: According to the wavelength, the analysis of individual eye model's aberration change. J Korean Oph Opt Soc. 13(3), 61-64, 2008.
    15. Vojniković B, Tamajo E: Gullstrand’s optical schematic system of the eye–modified by Vojniković & Tamajo. Coll Antropol. 37(1), 41-45,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