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4 No.3 pp.263-273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2.24.3.263

Knowledge Level of Contact Lens Management and Practice Level of Management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cused on Some Optometrists

Ki-Kun Jang1), Hyo-Jin Kim2)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Baekseok University, Student, Seoul
2)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본 논문은 장기군의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 발췌 논문임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ojin Kim (https://orcid.org/0000-0001-7703-5170) 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Cheonan
TEL: +82-41-550-2841, E-mail: khj@bu.ac.kr
August 8, 2022 September 23, 2022 September 26, 2022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level of contact lenses (CL) management and practice level of education of management for some optometrist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on of COVID-19.



Methods : Among the data responding to the online survey from March to June 2021,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122 optometrists who had worked as domestic optometrists for more than a year.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9.80±6.92 years (75 males and 47 females). The survey was constructed 27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knowledge levels of COVID-19 (0 to 2 points) and CL management (0 to 2 points), practice level of education management for the prevention of COVID-19 infection (0 to 3 points).



Results : The knowledge of COVID-19, CL management, practice level of education of management was an average of 1.61±0.30, 1.69±0.29, and 2.45±0.45 points, respectively. Knowledge of COVID-19, the 'Symptoms of COVID-19' (1.93±0.34 points) showed the highest knowledge level, but 'The pathogen of COVID-19 is SARS-CoV-2' showed the lowest score (1.18±0.70 points). Knowledge of CL management showed the highest score in ‘Cleaning and rinsing are essential guidelines for CL management’ (1.98±0.13 points). In practice, general CL management rules were followed well, but 'Educated to stop wearing CL if you have a flu, fever, cough, or other body aches’ showed a lowest level (1.71±1.10 points).



Conclusion : In the COVID-19 pandemic, the general CL management guidelines of some optometrist have shown high knowledge and practice levels, while some items have low scores, which is considered to require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specialized items to prevent infection.



코로나19 상황에서 콘택트렌즈의 관리에 관한 지식수준과 관리 교육의 실천수준: 일부 안경사를 중심으로

장 기군1), 김 효진2)
1)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서울
2)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Ⅰ. 서 론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 19)는 2019년 12월 중국의 우한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SARS-CoV-2)가 유발한 신종 감염병이다.1) 코로나 19의 발병 이후 3개월 만에 약 114개국으로 감염이 확 산되었고, 4,000명 이상이 사망하였다.2,3)

    코로나19는 감염자 주변 2 m 범위 내에서 기침이나 재채기로부터 발생한 비말에 의해 전염이 가능하며4), 감 염된 사람과 직접 접촉 및 호흡을 통해 발생된 침방울이 눈, 코, 입에 튀어 묻는 것 등에 의해 전파가 가능하다.5) 게다가, 코로나19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손으로 눈을 비 빌 경우에도 감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지식 수준과 올바른 관리는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의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관련된 방역 수칙을 준수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6)

    시력 교정 도구인 콘택트렌즈는 착용할 때 손과 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오염된 물체나 표면을 만진 뒤에 콘택트렌즈 및 눈을 만지는 경우에도 감염이 확산할 수 있다.7) 감염성 각막염의 경우에는 환경적인 요인 이외에 도 올바르지 못한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관리 용액 에 의한 부작용 또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코로나19를 포함하여 타 바이러스 및 세균으로 인한 각막염을 예방하기 위해 감염 위험 인 식과 올바른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가 중요하다.

    일부 여대생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관리 교육을 조 사한 이전연구에서는 관리 교육을 받은 후에 지식수준이 높아졌고,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미용 콘택트렌즈의 관리 교육을 조사한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관리 교육에 의해 NIBUT, 착용감 등 자·타각적 증상이 개선되었다 고 보고하였다.9,10) 코로나19 대유행 동안에는 콘택트렌 즈 착용자가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이 되는 경우를 줄이 기 위해서 렌즈의 착용 및 관리, 손 씻기, 관리 용액, 그 리고 콘택트렌즈 보관 케이스의 위생과 같은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을 교육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11) 또한, 착용자들은 렌즈 회사 및 안경원에서 알려준 관리 관련 안내문과 관리 방법을 숙지하는 정도에서 머무르고 있어 올바른 착용 및 관리 교육의 개선이 필요한 상태이다.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일부 안경사 를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관련 관리 지식 및 관리 교육의 실천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감염예방을 위한 세부 적인 대응 지침을 세우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 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백석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고(승인번호 BUIRB- 202102-HR-040),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국내 안 경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안경사를 대상으 로 온라인 설문조사에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를 수행하기 전에 조사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과 내용에 대한 설명을 하였으며, 응답한 자료에 대해 비밀보장과 참여 연구자 들에게만 접근이 가능하고 연구 외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한 대상자는 응답 하지 않은 대상자 1명을 제외하여 122명이다.

    2. 연구 방법

    연구 도구는 코로나19에 대한 미국 검안협회의 콘택 트렌즈 착용 가이드라인13)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14) 영국의 콘택트렌즈 협회,15) 그리고 워터루 대학에서 발 표한 콘택트렌즈 관련 지침16)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 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개발한 Kim 등17)의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코로나19 에 대한 지식 및 콘택트렌즈의 관리에 관한 지식과 감염 예방을 위한 관리 교육의 문항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성별 등 일반적 특성 6문항부터 코로나19 에 대한 지식 5문항, 코로나19 상황에서 콘택트렌즈 관 리에 관한 지식 4문항, 관리 교육의 실천 12문항까지 총 2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코로나19 및 콘택트렌즈 관리 에 대한 지식은 “그렇다”= 2점, “모르겠다”= 1점, “아니 다”= 0점으로 나타내었으며, 2점에 가까울수록 지식수 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관리 교육의 실천은 “항상 한 다”= 3점에서 “대체로 한다”= 2점, “대체로 하지 않는 다”= 1점, “전혀 하지 않는다” = 0점까지의 Likert 3점 척도로 나타내었으며, 3점에 가까울수록 실천수준이 높 은 것을 의미한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sion 18(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를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 식수준 및 실천수준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Unpaired t-test)과 ANOVA를 시행하였다. 모 든 분석에서 p<0.050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대상자 중 남자가 75명(61.5%), 여자가 47명(38.5%) 이었다. 연령은 20대가 82명(67.2%)으로 가장 많았으 며, 30대가 27명(22.1%), 40대 이상이 13명(10.7%)이 었고 평균 연령은 29.80±6.92세였다. 근무 경력은 3년 이하인 대상자가 53명(43.4%)으로 가장 많았고, 4~5년 38명(31.2%), 6~10년 17명(13.9%), 그리고 11년 이 상은 14명(11.5%)이었다. 개인 매장에서 근무하는 대상 자가 64명(52.5%)이었으며, 체인점에서 근무하는 대상 자는 51명(41.8%), 렌즈 샵은 7명(5.7%)이었다. 포털사 이트를 통해 코로나19의 정보를 얻는다는 대상자가 84 명(68.9%)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 중 99명(81.1%) 이 코로나19가 대유행하는 동안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위험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Table 1).

    2.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수준

    일부 안경사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수준(0~2점)을 조사하여 각 항목의 평균은 표 2에 나타내고, 응답의 빈 도는 그림 1에 나타내었다. 코로나19와 관련된 지식 문 항에서는 (4) ‘코로나19의 증상은 고열, 호흡 곤란, 기 침, 재채기 및 식욕부진이다’에서 “그렇다”고 응답한 경 우가 116명(95.0%)으로 평균 1.93±0.34점을 보여 문 항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다음으로는 (2) ‘코로 나19는 비말과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는 항목이 평균 1.83±0.54점으로 높았고, “그렇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110명(90.1%)이었다.

    그에 비해, (5) ‘코로나19는 안경 프레임과 같은 단 단한 표면에 며칠 동안 생존할 수 있다’는 평균 1.35±0.72점으로, 60명(49.2%)이 “그렇다”에 응답하 였다.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1) ‘코로나19의 병 원체는 SARS-CoV-2 이다’로 평균 1.18±0.70점이었 고, “그렇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43명(35.2%)이었다. 위와 같은 5문항에 대한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수준은 평균 1.61±0.30점이었다(Table 2).

    3. 코로나19 상황에서 콘택트렌즈 관리의 지식수준

    코로나19 상황에서 콘택트렌즈 관리의 지식수준(0~2 점)을 조사하여 지식수준의 평균을 표 3, 지식수준에 대 한 응답의 빈도수를 그림 2에 나타내었다. 문항 중에서 (2) ‘코로나19 상황에서 콘택트렌즈의 세척과 헹굼은 필 수적인 관리지침이다’가 1.98±0.13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다음으로는 (3) ‘코로나19 동안에는 최소한 1개월마다 콘택트렌즈 보관 케이스를 교체한다’ 에서 1.81±0.45점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에, (3) ‘코로나19 동안에는 독감, 발열, 기침 등 몸이 아프면 렌즈 착용을 중단한다’는 평균 1.38±0.76 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위와 같은 4문항에 대 한 평균 지식수준은 1.69±0.29점이었다.

    4. 코로나19 상황에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감염예방을 위한 관리 교육의 실천수준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콘택트렌즈 관리 교육의 실천에 관한 3점 척도(0~3점)의 문항별 평균 점수를 분 석하여 표 4, 응답 빈도수를 그림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총 12문항의 평균 점수는 2.45±0.45점이었고, 항목별 로는 (5) ‘코로나19 환자가 사용하다 남은 렌즈 케이스 와 관리용액은 즉시 폐기하였다’에서 89명(73.0%)이 “항상 한다”로 평균 2.70±0.56점이었으며, (7) ‘일회용 콘택트렌즈를 다음날까지 연속하여 착용하지 않도록 교 육하였다’에서 92명(75.4%)이 “항상 한다”라고 답했고, 평균 2.70±0.60점으로 가장 높았다.

    그에 비해 (11) ‘코로나19 상황에서 독감, 발열, 기침 을 포함하여 몸이 아프면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교육하였다’에서 평균 1.71±1.10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때의 빈도수는 “항상 한다” 40명 (32.8%), “대체로 한다” 27명(22.1%), “대체로 하지 않 는다” 34명(27.9%), “전혀 하지 않는다” 21명(17.2%) 이었다.

    5. 코로나19 상황에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콘택트렌즈 관리의 지식 및 관리 교육의 실천수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코로나19에 대한 지 식 및 콘택트렌즈 관리의 지식 그리고 관리 교육의 실천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성별, 연 령, 근무 경력, 매장 형태, 정보수집 방법,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감염 위험 인식의 여부에 따른 지식 및 실 천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수준은 대상자의 근무 경력이 11년 이상인 대상자가 다소 높은 점수(1.71±0.25점)를 보였으나, 대상자의 수가 적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공공기관을 통해 코로나19의 관련 정보를 얻은 경우가 콘택트렌즈 관리 교육 실천수준에서 더 높은 점수 (2.81±0.22점)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었고, 응답자가 7명에 불과하여 직접적인 비교는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 30대가 콘택트 렌즈 관리 교육 실천수준에서 더 높은 점수(2.53±0.41 점)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Ⅳ. 고 찰

    본 연구는 국내에서 1년 이상 근무 경력을 가지고 있 는 122명의 안경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 서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콘택트렌즈 관리와 관련된 지 식수준과 관리 교육의 실천수준을 조사하였으며, 향후 신종 감염병 대유행 시 감염병과 관련하여 안경사를 대 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안경사를 대상으로 신종 감염병과 관련하여 조사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선행연구와 연구의 결과를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특히 코로나19의 대유행 동안 감염예방을 위한 콘택트 렌즈 착용 및 관리와 관련된 기초 자료를 조사하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항목에서 는 코로나19의 증상과 전파경로에 대해서는 잘 숙지하 고 있었지만, ‘단단한 표면에서 생존 시간’과 ‘코로나19 의 병원체는 SARS-CoV-2’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전 연구17)에서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코로나19와 콘택트렌즈의 착용에 관한 평균 지식수준(0~1점)이 0.89±0.20점, 올바른 관리 지침에 관한 평균 지식수준 (0~2점)은 1.77±0.29점을 보였다. 본 연구의 콘택트 렌즈의 관리에 관한 지식(0~2)과, 콘택트렌즈 관리 교 육의 실천(0~3)은 척도는 다르지만 각각 1.69±0.29 점, 2.45±0.45점을 보였다. 이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안경사보다 현재 코로나19와 관련되어 강조된 콘택트렌 즈의 착용 및 관리에 대한 수칙에 더 접촉이 많았을 것 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해 안경사에게 전문적인 교육 지 침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코로나19의 감염예방을 위한 관 리 교육의 실천은 항목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5) ‘코로 나19 확진자가 사용하던 렌즈 케이스와 관리 용액은 즉 시 폐기한다’와 (7) ‘일일 착용렌즈는 다음날 연속해서 착용하지 않도록 교육한다’는 각각 2.70±0.56점, 2.70±0.60점으로 높은 실천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나,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교육할 때 (11) ‘독감, 발열, 기침, 기타 몸이 아프면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교육하였다’(1.71±1.10점)에서 문항 중 가장 낮은 실천 수준을 보여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해 콘택트렌즈 관리 지침에 대한 교육과 안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는 비말 혹은 직접 접촉으로 확 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코로나19는 감염 경 로인 눈을 통한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현 재까지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와 관련 된 감염이 보고된 연구는 없었지만 직접적으로 손에 접 촉하는 콘택트렌즈의 특성상 올바르지 못한 착용 및 관 리는 코로나19의 감염 위험을 수반한다.18) 또한 결막염 을 앓고 있는 코로나19 환자의 눈물과 결막 분비물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견되었으며, 이런 경우에 콘택 트렌즈 착용 및 교육을 위해 환자의 눈꺼풀을 직접 만지 는 환경에서는 더 큰 감염 위험이 될 수 있다.19)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렌즈의 착용 전과 후 손 씻기와 같 은 기본적인 위생 등 올바른 콘택트렌즈의 착용 및 관리 사항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코로나19의 대유행 초기에는 콘택트렌즈의 착용 및 관리와 관련된 오보를 통해 잘못된 정보 습득이 빈번했기 때문에,20) 추후 신종 감염병 대유행 초기 상황에서는 이러한 혼란이 야기되지 않도록 신종 감염병 예방을 위한 콘택트렌즈의 착용 및 관리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도 반복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신종 감염병의 대유행 상황이 아 니라도 올바른 관리 방법을 통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은 여러 질병으로부터 눈을 통한 감염을 줄이고 건강 하게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중요한 사항임을 강조할 필 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 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일부 안경사를 대상으로 연구 가 시행되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모든 안경사에게 일 반화할 수 없다. 또한, 본연구의 대상자는 대부분 30대 이하로, 모든 연령대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연 령대의 대상자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상자의 근무 경력 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지식과 실천 의 차이를 찾지 못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근무 관련 세부 항목과 더 구체적인 표본 수집을 위한 설계가 필요 하겠다. 셋째,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의 초반에 설 계되어 이후에 새롭게 발표된 코로나19와 관련된 콘택 트렌즈의 지식 항목을 충분하게 포함하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안경사의 근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감염예방 지침을 고려하고, 콘택트렌즈와 관련된 감염의 최신 정 보를 바탕으로 교육 지침을 위한 지식 항목도 개발되어 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일부 안경사를 대상으 로 코로나19와 관련된 콘택트렌즈 관리의 지식수준과 관리 교육의 실천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 은 일반적인 콘택트렌즈의 착용 및 관리지침에 대한 지 식 문항은 잘 숙지하고 있었지만, 코로나19의 특성에 대 한 지식 항목에서는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대 상자들은 콘택트렌즈의 관리 교육은 대부분 잘 시행하고 있으나, 코로나19 상황에서 착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착용 문항에서는 가장 낮은 실천 점수를 보여, 안내와 홍보가 더 필요한 세부적인 항목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의 대유행 중 눈과 콘택트렌즈의 관리 과정에서 발생하 는 감염 경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콘택트렌즈 의 착용 및 관리 가이드라인 개발이 추가적으로 필요하 겠다.

    Figure

    KJVS-24-3-263_F1.gif

    Percentage of knowledge level related to COVID-19.

    KJVS-24-3-263_F2.gif

    Percentage of knowledge level for contact lenses manage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JVS-24-3-263_F3.gif

    Percentage of practice level for management of contact lenses education to prevent infe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verage knowledge level of COVID-19

    Average knowledge level of contact lenses manage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verage practice level of management of contact lenses education to prevent infe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VID-19-related knowledge, contact lens management, and managem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eference

    1. Zhu N, Zhang D et al.: A novel coronavirus from patients with pneumonia in China, 2019. N Engl J Med. 382(8), 727-733, 2020.
    2. Park SE: Epidemiology, vir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Coronavirus disease- 19). Clin Exp Pediatr. 63(4), 119-124, 2020.
    3. Jones L, Walsh K et al.: The COVID-19 pandemic: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contact lens practitioners. Cont Lens Anterior Eye. 43(3), 196-203, 2020.
    4. Kim EJ, Lee DS: Coronaviruses: SARS, MERS and COVID-19. Korean J Clin Lab Sci. 52(4), 297-309, 2020.
    5. Ministry of Health & Wellness: COVID-19 transmission route, Available at https://ncv.kdca.go.kr. Accessed April 25, 2022. https://ncv.kdca.go.kr/menu.es?mid=a30102000000
    6. WHO: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2020, Available at https://www.who.int/. Accessed June 15, 2020. https://www.who.int/health-topics/coronavirus#tab=tab_1
    7. Jones L, Walsh K et al.: Key considerations for contact lens practitioners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Optician 4, 8249-1, 2020.
    8. Cho CH, Lee SB: Analysis of inpatients with contact lens related bacterial keratitis: Causative microorganisms, clinical aspects, and prognostic factors. J Korean Ophthalmol Soc. 54(9), 1327-1338, 2013.
    9. Na EH: Development and effect of a contact lens care education program using team-based learning. J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struction 20(6), 91-108, 2020.
    10. Kim DJ: Effects of refractive anomalies on contact lens users’ quality of life. J Korean Oph Opt Soc. 24(2), 125-135, 2019.
    11. Cardona G, Alonso S et al.: Patient–practitioner communication and contact lens compliance during a prolonged COVID-19 lockdown. Cont Lens Anterior Eye. 44(6), 101433, 2021.
    12. Choi KS: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oft contact lens wearing, care and inconvenient symptoms. J Korean Oph Opt Soc. 24(4), 411-418, 2019.
    13. American Academy of Optometry: Contact lens wear and coronavirus, 2020, Available at https://www.aaopt.org. Accessed June 15, 2020. https://www.aaopt.org/docs/covid-19/aao-01 1 - c o t a c t - l e n s - w e a r - c o r o n a v i rus.pdf?sfvrsn=4d10ad23_0
    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althy contact lens wear and care, 2020, Available at https://www.cdc.gov. Accessed June 15, 2020. https://www.cdc.gov/contactlenses/protect-your-eyes.htm
    15. BCLA: Contact lens wear and coronavirus (COVID-19) guidance, 2020, Available at https://www.bcla.org.uk. Accessed June 15, 2020. https://www.bcla.org.uk/Public/Consumer/COVID-19--Coronavirus--Contact-Lens-Care-Guidance/Public/Consumer/Contact-LensꠓWear-and-Coronavirus-guidance.aspx?hkey=a6920621-8aa9-4488-8316-84421baee4c0
    16. Centre for Ocular Research and Education: COVID-19 and contact lenses: The facts you need to know, 2020, Available at https://core.uwaterloo.ca. Accessed June 15, 2020. https://core.uwaterloo.ca/covid-19/
    17. Kim HJ, Kim SJ: Knowledge of wearing eyeglasses and contact lenses with COVID-19: Focused on optometry students. Korean J of Vis Sci. 23(1), 1-9, 2021.
    18. Durán SC, Mayorga DC: The eye: An organ that must not be forgotten i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2019) pandemic. J Optom. 14(2), 114-119, 2021.
    19. Zeri F, Naroo SA: Contact lens practice in the time of COVID-19. Cont Lens Anterior Eye 43(3), 193-195, 2020.
    20. Jones L, Walsh K et al.: The COVID-19 pandemic: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contact lens practitioners. Cont Lens Anterior Eye 43(3), 196-203,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