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최근 디지털 시대에 살게 되면서 노안이 발생되는 시 기가 빨라지고1) 그에 따른 노안 교정의 필요성이 증가하 고 있다. 대표적인 노안 교정 방법으로는 돋보기, 누진 굴절력 안경 및 기능성 안경 착용이 있으며, 최근에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노안교정용 안경은 선명한 원·근거리 시력을 제공하지만, 안경테가 얼굴에서 흘러내리거나 시선 방향으로 안구를 움직일 때 렌즈의 부적절한 부위를 통해 물체를 보게 되어 상이 선 명하지 않고 어지러움, 메스꺼움 등의 불편함을 수반할 수 있으며, 콘택트렌즈와 비교하여 시야가 좁은 단점이 있다. 반면, 콘택트렌즈는 눈과 밀착되어 위치하기 때문 에 안경의 단점인 시선의 이동에 따른 불편함이 없어 안 경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고, 넓은 시야와 높은 활동성 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건조감, 감염의 위험성의 단점이 있다.
콘택트렌즈로 노안을 교정하는 방법에는 모노비전 (monovision), 이중초점 콘택트렌즈(alternating bifocals) 및 멀티포컬 콘택트렌즈(multifocal contact lens, MFCL) 처방이 있다. 콘택트렌즈의 도수는 렌즈의 중심 부 커브와 곡률반경과 관련이 깊어 최근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비구면 디자인으로 제 작되어 노안을 교정할 수 있는 도수 분포를 갖게 된다.2)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영역마다 다른 도수를 갖도록 제 작하기 위해서는 콘택트렌즈의 구면수차를 조정하는데 이론적으로는 중심-근용 콘택트렌즈에는 음(-)의 구면 수차를, 중심-원용 콘택트렌즈에는 양(+)의 구면수차를 적용시킨다. 따라서 전면 비구면의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중심부에 근용 도수가 들어가고, 점진적으 로 주변부 방향으로 마이너스 도수가 증가하여 주변부에 는 원용 도수가 들어가는 도수 분포를 형성한다.3) 따라 서 이러한 도수 분포를 갖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렌 즈 내부에 구면수차를 갖게 되므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안구 구면수차를 음(-)의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선행연구에서 안구 구면수차가 음(-)의 방향으로 증가 하였다고 보고되었다.4-7) 반면 반대 구조를 갖는 중심- 원용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는 구면 수차가 양(+)의 방향으로 증가했다고 보고된 바 있다.8) 따라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구면수차의 변화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디자인과 가입도와 상관성이 있 다고 할 수 있다.5,8,9)
정상안에서 발생되는 수차는 눈의 전체수차 중 90%를 차지하는 저위수차(lower-order aberrations)와 10%를 차지하는 고위수차(higher-order aberrations)로 구성 되며, 고위수차 중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와 수 직 코마수차(vertical coma aberration)는 시력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연령과 굴절이상도에 따 라 수차의 양과 방향성이 다르다고 보고되었다.10-12) Zhang 등13)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구면수차가 양의 방 향으로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으나, Karimian 등14)은 음의 방향으로 증가한다고 보고하는 등 연구자마다 다르게 보고 되었지만,13-16) 최근의 연구에서는 연령군에 따라 구면수 차의 방향이 다르다고 보고되었다. 한국 성인의 경우 40세 이하에서는 양(+)의 구면수차를 갖지만, 젊은 성인의 15.5%에서 음(-)의 값을 가지며, 중년층의 36.5%는 음 (-)의 값을 갖는다고 보고되었다.10,11)
개인에 따라 구면수차의 양과 방향이 다르면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구면수차에 의한 시력의 질은 착 용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안구 구면수차의 방향에 따라 원거리 또는 근거리 교정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멀티 포컬 콘택트렌즈의 처방률을 높이기 위해서 많은 연구와 교육이 진행되고 있고,17,18-20) 멀티포컬 콘택트렌즈가 조절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었지만,17,18,21,22) 한국에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률은 다른 나라의 25~35% 처방율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실정이다.23) 낮 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처방을 쉽고 정확하게하여 처 방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절기능 향상에 대한 연구 뿐 만 아니라 시기능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것으 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노안을 대상으로 중심-근 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구면수차의 변화와 구 면수차가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중심- 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재료)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연령 37세에서 46세를 대상으로 시력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안과질환 및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와 각막 굴절교정수술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고 대상자 50 명(평균연령: 40.38±2.38세, 평균 등가구면굴절력: –2.65±1.67 D, 평균 가입도 1.15±0.05 D)을 선정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검사과정과 규약은 기관생명윤 리위원회(승인번호: EU21-076)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였 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과 검사 방법에 대하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히 설명한 후 참여 동의를 얻었다.
2) 연구재료
(1) 콘택트렌즈
연구에 사용한 콘택트렌즈는 ComfilconA 재질의 바이 오피니티 멀티포컬콘택트렌즈(CooperVision, Fairport, NY)로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였다 (Table 1).
2. 검사방법
1) 자각식 굴절검사를 이용한 굴절이상도 및 구면수차 측정
굴절이상도의 측정은 AutoRef-Keratometer(HRK- 8000A, Huvitz, USA)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굴절이상도 와 각막직경 및 수차를 측정한 후, 포롭터(HRT-7000, Huvitz, USA)를 사용하여 최고시력의 구면굴절력과 원주 굴절력을 측정하였다. 구면수차는 Micro lens array를 사용한 자동 굴절검사기(Auto Ref-Keratometer, HRK- 8000A, Huvitz, US)를 사용하여 암소시 상태에서 기기 내의 물체를 주시하게 한 후, 동공영역 4.0 mm 영역에서 RMS(root mean square)로 계산된 구면수차 값을 분석하 였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구면수차를 확인 후 양(+)의 구 면수차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와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를 나누어 평가하였다.
2) 덧댐굴절검사
개인별 기존 처방법에 맞는 가입도의 멀티포컬 콘택트 렌즈를 각각 착용하게 한 후 ±0.25 D 및 ±0.50 D 플리퍼 를 사용하여 원, 근거리 시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3) 원·근거리 시력평가
원거리 시력과 근거리 시력은 EDTRS Chart(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Precision Vision, USA)를 사용하여 진행하였고, logMAR로 단위 로 측정하였다. 근거리 시력은 고대비(100%)와 저대비 (25%, 10%, 5%, 2.5%)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4) 설문조사
설문조사는 거리별 일상생활에서의 시력 만족도를 각 각의 상황에서 NEI-VFQ-25(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를 변형하여 평가하 였다. 설문 항목은 거리별 적절한 상황에 따라 만족도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원거리·중간거리·근거리에서 의 전반적인 시력 만족도, 불편감, 일상적 거리별 상황 에 대한 만족도, 일상생활에서 운전할 때의 만족도로 각 6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설문을 평가하였다. 만족도는 10점 척도(1점: 매우 불만족 - 10점: 매우 만족)로 평 가하였다.
3. 통계처리
측정값에 대한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version 21.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다. 연령과 굴절이상도,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s), 상관관계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 증분석은 신뢰구간 95%로 모두 유의수준 p<0.050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 정보
1) 평균 굴절이상도 및 조절력
대상자는 총 50명으로 평균연령은 40.38±2.38세, 평균 등가구면굴절력은 -2.65±1.67 D, 평균 가입도는 +1.15±0.05 D이었다. 대상자의 구면수차 방향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한 결과 총 50명 중 37명(72%)이 양의 구면수차를 갖는 그룹이었으며 13명(28%)이 음의 구면 수차를 갖는 그룹으로 나타났다(Table 2).
2. 나이와 구면수차의 관계
양(+)의 구면수차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와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나이와 구면수 차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구면수 차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01, Fig. 1).
3. 굴절이상도와 구면수차의 관계
양(+)의 구면수차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와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굴절이상도와 구면수차를 비교한 결과 원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면수 차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01, Fig. 2).
4.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구면수차의 변화
각기 다른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들에게 중심-근용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결과이다.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의 나안 평균 구면수차는 0.028±0.170 μm이 었고,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후에는 구면수차가 –0.012±0.050 μm로 음(-)의 방향으로 유의 하게 증가하였다(p<0.001).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 의 나안 평균 구면수차는 –0.020±0.010 μm를 나타내었 고,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후 구면수 차는–0.043±0.010 μm로 음(-)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47, Table 3).
5.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
1) 원거리 시력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의 경우 중심-근용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시력(logMAR)은 평균 – 0.014±0.090을 나타내었으며,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의 경우에는 평균 0.022±0.120으로 양의 구면 수차를 가진 그룹에서 더 좋은 시력을 보였다(p<0.001). 최고의 원거리 시력을 제공하기 위해 멀티포컬 콘택트렌 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덧댐굴절검사를 한 결과 양의 구 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는 –0.08±0.02 D의 추가 교정 굴절력이 더 필요하였으며,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 에서는 -0.02±0.18 D의 교정굴절력이 더 필요하였으 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4). 추가 마이너스(-) 교정굴절력으로 선명한 시력이 나타난 대상자는 양의 구 면수차를 가진 대상자 37명 중에 13명(35.14%),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 13명 중에 4명(30.77%)인 것 으로 나타나 두 그룹 모두 30% 이상의 대상자에서 최고 의 원거리 시력을 얻기 위해서 추가적인 마이너스 교정 굴절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2) 근거리 시력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력 (logMAR)은 100% 고대비에서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 룹에서는 0.127±0.090,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 는 0.118±0.09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25% 저대비시력 또한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는 0.236±0.080,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는 0.206±0.120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그 러나 10% 이하의 저대비시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0, Table 6). 100% 대비도에서 최고의 근거리 시 력을 제공하기 위해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 서 덧댐굴절검사를 한 결과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 서는 0.05±0.11 D(16.21%)의 추가 교정굴절력이 더 필요 하였으며,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그룹에서는 0.04±0.09 D (15.38%)의 추가 교정굴절력이 더 필요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04, Table 7).
6. 설문조사 결과
원거리 시력 만족도 평가 시 건너편의 간판을 볼 때, TV를 볼 때, 건너편 교통표지판, 야간 시력 등 모든 영 역에서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가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p<0.050). 중간거리 만족도의 경우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가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p<0.050) 근 거리 시력 만족도의 경우 신문과 핸드폰, 영수증 등의 모든 영역에서 동일하였다(p<0.050). 운전 시 주간과 건너편 표지판을 볼 때에는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 자의 경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야간 및 네비게이션 항목에서는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에서 높은 만족 도를 보였다(p<0.050). 불편감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0, Table 8).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초기노안에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 용 시 변하는 구면수차가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 인하고자 하였다. 눈의 고위수차 중 구면수차는 시력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8,24-27) 나이가 증가하면서 각 막의 양(+)의 구면수차보다 수정체의 음(-)의 구면수차 가 더 증가하게 되어 안구의 전체 구면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28) Lim의 연구에서 구면수차는 청년층에서 중년층으로 갈수록 평균값이 음(-)의 방향 으로 증가하여 노년층에서는 음(-)의 값을 나타낸다고 하였고,11,12) Karimian 등14)과 Song 등29)도 연령이 증 가할수록 구면수차가 음(-)의 방향으로 증가한다고 보 고하여 본 연구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Amano 등30)은 구면수차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한다고 보고한 경우 도 있다. 구면수차는 나이에 따라 변할 뿐만 아니라 굴 절이상도와도 관련이 된다. Karimian 등14)이 보고한 결과 등가구면굴절력이 음(-)의 방향으로 증가할수록 구면수차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게 된다고 하였으 며, Lim의 연구결과에서도 이와 동일하게 근시도가 증 가할수록 구면수차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한다고 보 고하였다.11,12) 본 연구 결과에서도 근시도가 증가할수록 구면수차가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며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구면수차의 방향에 따라 초점 이 맺히는 위치와 관련되는데, 양(+)의 구면수차를 갖는 경우 음(-)의 구면수차에 비해 초점은 망막 앞쪽에 결상 되며 이는 결상되는 초점의 위치가 망막 앞쪽에 있기에 근시도가 증가할수록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다고 사 료된다.10-13) 이처럼 개개인이 가진 구면수차는 방향과 크기가 다르며 나이와 굴절이상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경우에는 저위수차만을 고려한 처방 뿐 만 아니라 원·근거리 시력 만족도를 높이기 위 해서는 구면수차를 고려한 처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구면수차는 콘택트렌즈 착용 시에도 그 방향과 크기가 변하는데, Lim 등8) 은 평균연령 23세의 젊은 성 인의 경우 단초점 콘택트렌즈 착용 시 구면수차는 음(-) 의 방향으로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으며, Lindskoog 등24) 과 Danny 등31)도 콘택트렌즈의 착용이 안구의 구면수 차를 변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콘택트렌즈 착용 시 구면수차가 변하는데 이는 시력에 영향을 주고, 특히 비구면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에는 구면 수차의 변화가 더 현저히 나타날 수 있다고 예측된다. 본 연구와 동일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여 연구 한 선행논문에서는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에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한다고 보고하 였으며,32,33⁾ Kwon5)은 젊은 성인의 경우 중심-근용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구면수차가 음(-)의 방향으 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는 초기 노안을 대상으 로 진행한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전면 비구면의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렌 즈 중심에서 바깥부위로 갈수록 이심율이 증가하도록 제 조된 렌즈로, 콘택트렌즈의 구면수차가 음(-)의 방향으 로 생성되게 되므로,6-8⁾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하 게 되면 착용자 안구의 구면수차의 방향과 양이 변하게 되고 이는 시력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되며, 개인이 가지고 있는 구면수차에 따라 각기 다른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그 결과가 다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양(+)의 구면수차 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의 경우에는 원거리 시력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었고, 근거리 시력의 경우, 음(-) 의 구면수차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서 더 높은 만족도 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안구의 음(-)의 구면수차와 중심 -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음의 구면수차가 더해져 중심부 가입도 효과가 더 높아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 시 교정시력이 만 족스럽지 않고 시기능 관련 불편감을 호소할 경우 시력 개선을 위한 기존 2차 처방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 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까지 원·근거리 시 력개선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먼저 우 세안의 원용도수에 마이너스(-) 추가 교정굴절력 추가 또는 가입도를 낮추는 방법, 둘째로 우세안과 비우세안 의 판정이 정확한지 다시 확인하는 방법, 마지막으로 비 우세안의 원용도수를 낮춰 양안의 선명도 차이를 높여 양안의 경쟁상태를 억제하는 방법 등이 있고, 근거리 시 력이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에는 비우세안의 원용도수에 플러스(+) 추가 교정굴절력을 넣어주거나 비우세안의 가입도를 높이도록 조정하는 방법이 있다.34) 이처럼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 후 흐린 원·근거리 시력의 개 선 효과를 얻기 위해 우세안과 비우세안을 고려하여 굴 절력과 가입도를 조정하여 처방하는 방법도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개인이 갖는 안구의 구면수차의 방향을 고려 하여 2차 처방을 예측한다면 시간과 효율적인 면에서 좋 을 것으로 생각한다. 양(+)의 구면수차가 큰 대상자의 경우에는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구면 수차가 상쇄되어 가입도 효과가 감소할 수 있어 이에 대 한 2차 처방이 필요할 것이며, 음(-)의 구면수차가 큰 대상자의 경우에는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 용 시 원거리 시력 개선을 위하여 추가 마이너스 (-) 교 정굴절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노안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근거 리 시력에서 불편감과 가입도를 추가할 필요는 없었고,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가 많았다. 그러나 노안이 진행되면서 구면수차가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여 음의 구 면수차를 갖는 대상자가 증가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 와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노안 의 진행 정도에 따라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와 시력에 영 향을 주는 코마수차 등 다른 고위수차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변화하는 구 면수차는 개인의 시력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다.
-
초기노안의 구면수차는 대상자의 72%가 양(+)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28%가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
나이와 원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면수차의 방향 은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안구의 구면수차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원거리 시력은 양(+)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에서 더 좋은 시력을 나타내었으며 근거리 시력은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자에서 더 좋은 시력을 나타 내었다.
-
시기능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원거리 만족도는 양(+)의 구 면수차를 가진 대상자들의 경우 높았고 중간거리 와 근거리 시력은 음(-)의 구면수차를 가진 대상 자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 시 개인이 가진 구 면수차의 방향과 양에 따라 시력 만족도가 다를 수 있어 구면수차를 고려한 처방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 처방 후 시력적 불편감을 개선하기 위해 서 구면수차의 양과 방향을 확인한 후 추가 교정굴절력 을 예측하여 처방한다면 시력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 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초기 노안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로 중기 및 말기 노안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처방 시 시력 만족도를 예측하고, 처방 성공 률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