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5 No.1 pp.11-1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3.25.1.11

Clinical Study on Near Addition Power after Cataract Surgery

Byung-Ho Ha1), Ki-Hong Kim2)
1)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Student, Kyongsan
2)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Professor, Kyongsan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i-Hong Kim (https://orcid.org/0000-0003-0876-6169) 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Kyongsan TEL: +82-53-850-2551, E-mail: kkh2337@cu.ac.kr
February 1, 2023 March 30, 2023 March 30, 2023

Abstract


Purpose :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the number of cataract patients is also increasing with age. As most cataract surgeries focus on distance vision, there is not much information about near vision. In the case of surgery with a multifocal intraocular lens, there would be side effects such as blurring of vision, so an effective prescription for near addition after cataract surgery is needed.



Methods : A total of 42 eyes of 21 adults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were measured for refractive errors, corrected visual acuity, addition, and stereoscopic visual acuity. The examination was performed 3 months after cataract surgery, when the refractive power was stabilized. Changes in addi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refractive error.



Results : Corrected visual acuity, stereoscopic visual acuity, and addition all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ataract surgery. It was confirmed that males had less change in addition than females, and that the greater change in addition was confirmed in hyperopia than in myopia.



Conclusion : After cataract surgery, the measured addition is lower than the theoretical addition due to pseudoaccommodation. It is judged that a better visual life can be achieved if the prescription is given considering the various factors that cause pseudoaccommodation. Considering the various factors that contribute to pseudoaccommodation when prescribing addition can lead to an improved quality of life.



백내장 수술 후 근거리 가입도 임상 연구

하병호1), 김기홍2)
1)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대학원생, 경산
2)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경산

    Ⅰ. 서 론

    UN(United Nation)은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 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 사회’라 칭하고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를 넘게 되면 ‘초 고령사회’로 구분하였다.1) 한국은 이미 2017년에 고령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통계청은 고령 인구의 비중이 앞 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해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 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2021년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는 853만 7,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6.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추세라면 4년 뒤인 2025년에 노인인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20.3% 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36년에는 30.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어 연령의 증가에 따른 대표적인 안질환 중의 하나인 백내장 환자의 증가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고령인구는 해마다 급격히 높아지고 있지만 대한민국 의 노인 빈곤률은 OECD 중 최고로 경제적인 문제로 병 원이 아닌, 개인의원에서 수술비중이 높아 백내장 수술 이 개인의원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일반화되는 추세에 있 다.2) 2020년도 건강보험공단에서 주요수술통계연보에 따르면 33개 주요 수술환자 약 160만 명 중 백내장수 술, 일반척추수술, 치핵수술 순으로 수술 인원이 많아지 고 있다. 노안과 백내장 모두 노화로 인해 수정체 기능 에 이상이 발생하는데 최근 전자기기의 많은 사용 등으 로 40~50대 이른 백내장 환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3)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 면 40~50대 백내장 환자는 최근 3년 사이 20.24%나 증가하여 점차적으로 연령이 낮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전자기기의 사용의 부작용3) 및 중위연 령대의 급격한 증가와 고령연령층의 증가에 따른 백내장 수술 후의 굴절도의 변화에 대한 가입도의 연구는 미흡 하다고 볼 수 있다.

    백내장과 관련하여 학계에서는 백내장 수술전후 굴절 이상부분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대부분 안과학 회를 중심으로 백내장 수술 시 인공수정체 도수계산과 긴 안축장의 경우 백내장 수술 후 안정성에 관련한 내용 등으로 구성되어서 백내장 수술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4,5) 백내장 수술의 대부분은 원거리 중심으 로 근거리에 대한 부분은 많은 정보가 없다. 다초점 인 공수정체를 사용한 백내장 수술의 경우 시력의 흐림 등 부작용에 대한 보고가 있어 현재까지는 다초점 인공수정 체의 역할이 제한적이다. 뿐만 아니라 안와 내 완전교정 으로 말미암아 자외선에 의한 황반의 화학적 손상을 입고 있는 실정이다.6)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백내장 수술 전․ 후의 성별 및 수술 전 교정시력에 따른 가입도 변화 를 비교 검토하고, 백내장 수술의 화학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및 백내장 수술 후 근거리 가입도의 효율적인 처방을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연구대상자는 경산 소재의 안경원에 2020년 1월에서 2022년 12월 사이 방문한 평균연령 64±0.20 세의 성 인 21명 총 42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남성 22 안, 여성 20안, 수술 전 굴절상태가 근시 22안, 원시 20 안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단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 한 성인으로 하였다. 백내장 수술 전 ․ 후의 원거리 굴절 이상도 및 원거리 교정시력, 근거리 가입도 및 근거리 교정시력, 입체시력을 비교하였다. 백내장 수술 전 ․ 후 의 굴절이상도와 교정시력 및 입체시력은 본원의 의무기 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백내장 수술 후 굴절이상 도와 교정시력 및 입체시력은 굴절력이 안정되는 3달 후 측정하였으며, 백내장 외 안과적 질환자, 사시 및 약시 환자들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 게는 실험 목적과 검사 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를 얻고 검사를 진행하였다.

    2. 연구 방법

    1) 검사방법

    원거리 굴절이상도는 자동안굴절계(KR-800, Topcon, Japan), 포롭터(RT-5100, Nidek, Japan), 디지털 시력 차트(PO-1001P, Polaopto, Korea)를 이용한 자각적 굴 절검사를 실시하였고, 굴절이상도는 구면렌즈대응치 (spherical equivalent)로 환산하여 분석하였다. 근거리 가입도는 40 cm 거리에서 근거리 십자시표와 양안크로스 실린더법(spherical equivalent)을 이용한 근점 조절반응 을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근거리 시력은 대수시력표 (logMAR chart)로 측정하였다. 근거리 입체시력은 티 트머스입체시표[Titmus-fly stereotest(Stereo Optical Co., Inc., IL,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0 cm 거리 에서 편광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시축에 수직이 되도록 검사판을 들고 입체적으로 보이는 그림을 고르도록 하였다.

    2) 통계분석

    통계적 분석은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version 2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다. 백내장 수술 전 ․후의 교정시력, 가입도, 입체시력의 변화를 분 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과 성별 및 굴절이상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 였다. 유의 수준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Ⅲ. 결 과

    1. 백내장 수술 전 ․ 후의 변화

    백내장이 있는 환자의 수술 전 가입도 평균은 1.70± 0.69 D이고, 근거리 교정시력은 0.48±0.12 logMAR, 근거리 입체시력은 224.76±58.64초각으로 측정되어 정상인의 근거리 시력(1.0 logMAR)과 평균 입체시력 (49.01±14.48초각) 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7,8) 수술 후 가입도 평균은 2.01±0.24 D이고, 근거리 교정 시력은 0.83±0.05 logMAR, 근거리 입체시력은 54.28 ±5.00초각으로 나타나 백내장 수술 후에서 정상인의 근거리 시력 및 입체시력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대응 표본 통계량에서 백내장 수술 전 ․ 후의 가입도 변화는 평균 0.30 D(p<0.003)로 나타났고, 근거리 시력의 경 우 평균 0.34 logMAR(p<0.000), 입체시력의 경우 170.47초각(p<0.000)으로 나타나 모든 결과에서 유의 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1).

    2. 백내장 수술 전 ․ 후의 성별에 따른 가입도 변화

    백내장 수술 전 남성의 가입도는 2.01±0.39 D, 수술 후 가입도는 2.02±0.18 D를 나타내었으며, 여성은 수 술 전 가입도는 1.35±0.77 D, 수술 후 가입도는 1.95±0.25 D를 나타내어 남성과 여성의 수술 후 가입 도는 비슷하였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가입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남성의 백내장 수술 전 ․후의 가입도 변화 량은 0.01 D이었고, 여성의 경우 0.60 D의 변화를 나타 내어 남성과 여성의 가입도는 변화량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상군에서 남성의 노안 진행 정도가 높은 상태에서 백내장 수술을 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 다. 또한 백내장 수술 전 ․ 후의 남성과 여성의 가입도 변 화는 수술 전 0.66 D(p<0.001), 수술 후 0.07 D(p<0.011)로 확인되었다(Table 2).

    3. 백내장 수술 전 ․ 후의 굴절이상에 따른 가입도 변화

    근시안의 경우 백내장 수술 전 가입도는 1.66±0.63 D이었고, 수술 후 가입도는 1.95±0.24 D로 수술 후 변화량은 0.29 D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원시안의 경우 백내장 수술 전 가입도는 1.76±0.76 D이었고, 수술 후 가입도는 2.07±0.23 D로 수술 후 0.31 D의 차이를 나 타내었다. 백내장 수술 후 가입도의 변화는 원시안이 근 시안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 수술 전 ․후의 근시안과 원시안의 가입도 변화는 수술 전 0.10 D(p<0.001), 수술 후 0.12 D(p<0.011)로 수술 전 ․ 후의 변화가 적음을 확인하였다(Table 3).

    4. 백내장 수술 전 ․ 후의 가입도 차이 비교

    백내장 수술 전 ․ 후의 성별에 따른 가입도 차이는 0.32 D로(p<0.091) 여성이 조금 차이가 있었으며 굴절 이상에 따른 가입도 차이는 0.06 D로(p<0.711) 원시안 에서 조금 더 큰 차이를 보였다(Table 4).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백내장 수술 후 평균 가입도가 증가하 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백내장 수술 후 전 방깊이가 감소하여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전방깊이 는 눈의 굴절력과 관련이 있는데 전방깊이가 얕아질 경 우 근시화가 진행되며 깊어질 경우 원시화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9) 또한 백내장 수술 후 전방깊이의 변화는 수술 전의 경우 얕을수록,10) 두꺼운 수정체를 가질수록 변화가 크게 나타나며 실제굴절력은 예상굴절력보다 원 시쪽으로 측정된다.11,12) Lee 등13)의 연구에서는 백내장 수술 후 전방깊이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 에서도 백내장 수술 후 전방깊이의 감소로 인하여 근시 화가 진행되어 가입도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Ahn 등14)의 연구 결과 백내장 수술 후 입체시력은 크 게 개선되었고 이는 근거리 시력의 향상으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Levy 등15)은 한쪽 눈의 시력이 점진적으로 낮아짐에 따라 입체시력의 점진적인 손실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고 Campos 등16)은 부동시, 부등상시, 입체시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Bradle 등17)은 백내장이 입 체시력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감소는 교정시력 감소와 관 련이 있으며, 백내장 수술은 통해 교정시력이 향상된다면 입체시력을 개선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백내장 수술 후 입체시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교 정시력 향상으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가입도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남성의 경 우 여성보다 가입도가 높게 나타났고 선행연구 결과 같 은 양상을 나타내었다.18) 이러한 결과는 남성의 경우 노 안이 여성보다 조금 빨리 진행되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 된다.19)

    굴절이상에 따른 차이는 근시안의 경우 원시안보다 가 입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눈 앞 유한거리에 원점이 있는 근시안에 비해, 원시안의 경우 원점이 눈 뒤 유한거 리에 위치하여 근시안보다 더 많은 필요조절력을 요구하 여 가입도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Jonathan 등20)의 연구에서는 최대조절력보다 더 많은 조절력이 요 구되면 잠복원시가 현성원시로 변화하여 원시화 현상이 진행된다고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원시안이 근시 안보다 높은 가입도가 측정된 원인으로 판단된다. 따라 서, 백내장 수술 전의 굴절이상을 가입도 처방에 적용하 면 적절한 가입도 예측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볼 수 있다.

    백내장 수술 이후에 조절이 없을 경우 예상되는 가입 도와 실제 측정 가입도가 차이나는 이유는 인공수정체안 이나 무수정체의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조절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를 수정체에 의한 조절과 구별하여 위조절 이라고도 표현한다. 이런 위조절이 일어나는 이유로는 수정체의 두께 변화는 일어나지 않으나 동공 크기 변화, 안축장의 변화, 초점심도 변화 및 인공수정체 움직임에 따른 전방 깊이의 변화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고 알려져 있다. Lee 등21)의 연구에서는 위조절로 인한 조절력은 0.50 D 정도 일 것이라고 추측하였으며, Ryu 등22)의 연구에서는 후방인공수정체에서 나타나는 위조 절력이 나타나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Shin 등 23)의 연구에서는 전방 깊이 및 안축장 길이로는 위조절 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하였고 Kim 등24)의 연구에서는 동공크기가 위조절이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 면 위조절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원인 중 동공 크기가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21,25) 즉, 백내장 수 술 후의 조절력 변화는 여러 원인 중 동공 크기로 인한 위조절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러한 위조절은 백내장 수술 후 가입도를 조절자극량보다 더 낮게 나타낸다. 위조절에 대한 개념을 적용시켜 가입 도 측정을 한다면 더욱 적절한 가입도 처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1. 본 연구는 백내장 수술 전 ․ 후의 가입도, 입체시력, 교정시력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성별 및 굴절이상도에 따 른 가입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백내장 수술 후 평 균 가입도는 2.00 D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원시안에서 근시안보다 높은 가입 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백내장 수술 후 입체시는 크게 개선되었으며, 이는 백내장 수술 후 나타 난 교정시력 향상으로 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2. 백내장 수술 후 근거리 가입도에 임상적 결과에 의 하여 적절한 가입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수정체는 실제수정체와 차이가 있지만 백내장 수술 후에는 위조절 에 의해 이론적인 가입도보다 낮은 가입도가 측정되야 한다.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위조절로 인한 가입도 차 이는 0.50 D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백내장 수술 전 위조절에 대한 요인을 고려하여 백내장 수술 후 의 가입도 처방에 조절자극량보다 0.50 D 낮게 예측하 여 적용한다면 더욱 적절한 처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본 연구에서는 성별 및 굴절이상에 대한 가입도 변 화를 분석하였으며 연령 및 난시유무 등의 다른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진다면 더욱 정확한 처방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내학술연구 비의 지원으로 연구되었습니다.

    Figure

    Table

    Comparison of visual function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Comparison of near addition power to gender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Comparison of near addition power to age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Difference in near addition power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Reference

    1.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Demographic of the 100 indicators Korea. 2021.
    2. Kim SH, Hwang JY et al.: Analysis of the change in the number of cataract surgeries. J Korean Ophthalmol Soc. 61(7), 726-736, 2020.
    3. Kim JS, Choi IK: Investigation of harm to the human body of electromagnetic waves. KIEES. 4(1), 84-100, 1993.
    4. Lee KC, Kim HG et al.: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ests and changes in measured values according to accommodative stimulation and fogging in the subjective and auto-refraction. J Korean Oph Opt Soc. 22(2), 175-182, 2017.
    5. Lim SJ, Choi O: Interrelationship of the refractory error the ocular axial length and the anterior chamber depth in the myopia eyes. J Korean Ophthalmol Soc. 27(3), 371-376, 1986.
    6. Park YH, Cha SC et al.: Acute phase retinal phototoxicity induced by blue fluorescent light. J Yeungnam Med Sci. 12(1), 2384-2393, 1995.
    7. Kim BC: The normal value of amplitude of accommodation in Koreans. J Korean Ophthalmol Soc. 20(2), 153-157, 1979.
    8. Kim DH, Cho JW et al.: Effect of EEG wave type on visual cortex of visual target according to position of fixation point. J Korean Oph Opt Soc. 5(1), 101-105, 2000.
    9. Olsen T: Sources of error in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J Cataract Refract Surg. 18(2), 125-129, 1992.
    10. Moon IG, Chung YT: Correlation between Lens Thickness and Anterior Chamber Depth after Cataract Oper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41(2), 377-382, 2000.
    11. Coleman DJ, Lizzi FL et al.: A determination of the velocity of ultrasound in cataractous lenses. Bibl Ophthalmol. (83), 246-251, 1975.
    12. Jansso F, Konk E: Determination of the velocity of ultrasound in the human lens and vitreous. Acta Ophthalmol (Copenh). 40, 420-433, 1962.
    13. Lee JY, Lee SH et al.: Decentration, tilt and anterior chamber depth: Aspheric vs spheric acrylic intraocular lens. J Korean Ophthalmol Soc. 50(6), 852-857, 2009.
    14. Ahn JH, Kim WS et al.: Factors affecting stereopsis after pediatric cataract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49(3), 493-498, 2008.
    15. Levy NS, Glick EB et al.: Stereoscopic perception and Snellen visual acuity. Am J Ophthalmol. 78(4), 722-724, 1974.
    16. Campos EC, Enoch JM: Amount of aniseikonia compatible with fine binocular vision: Some old and new concepts.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7(1), 44-47, 1980.
    17. Kwapiszeski BR, Gallagher CC et al.: Improved stereoacuity: An indication for unilateral cataract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2(4), 441-445, 1996.
    18. Joo SH, Shim HS et al.: Analysis of addition power for new wearer of progressive addition lenses. J Korean Oph Opt Soc. 18(3), 247-251, 2013.
    19. Yoon KH: A study on near addition of presbyopia. J Korean Oph Opt Soc. 1(1), 1-5, 2006.
    20. Pointer JS: The presbyopic add. III. Influence of the distance refractive type. Ophthalmic Physiol Opt. 15(4), 249-253, 1995.
    21. Lee SJ, Sung AY: The Study on Accommodation for eyes with pseudo-crystalline lenses. J Korean Ophthalmol Soc. 9(2), 203-209, 2004.
    22. Ryu KH, Kim HS: Apparent Accommodation in Posterior Chamber IOL Implanted Eyes. J Korean Ophthalmol Soc. 33(12), 1162-1167, 1992.
    23. Shim HS, Yoo JY et al.: A chang in anterior chamber depth between with accommodation and without accommodation in pseudophakie eyes. J Korean Ophthalmol Soc. 33(5), 64-68, 1992.
    24. Kim HJ, Kim HJ et al.: Change of pupil diameter after cataract surgery or after-cataract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46(1), 51-56, 2005.
    25. Shin HK, Yoo JH: The measurement of the apparent accommodation with AA-2000 accommodometer. J Korean Ophthalmol Soc. 37(7), 1179-1185,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