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5 No.1 pp.39-4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3.25.1.39

The Effect Depends on the Use a Warm Massager of the Meibography and Tear Meniscus Height

Jung-In Moon1), Byoung-Sun Chu2)
1)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Student, Gyeongsan
2)Dept. of Optome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Professor, Gyeongsan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Byoung-Sun Chu (https://orcid.org/0000-0001-9419-2194) 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TEL: +82-53-850-2553, E-mail: bschu@cu.ac.kr
February 9, 2023 March 30, 2023 March 30, 2023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measure and evaluate the meibography and tear meniscus height to the change in eyelid temperature of the warm compression theraphy.



Methods : Targeting 3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group into dry eye group and normal eye group based on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survey score (15 for dry eye group, 15 for normal eye group). The warm compression theraphy is used warm eye massger OA-MA011 (OA, Seoul, Korea), OA-MA 030 (OA, Seoul, Korea), DP-EM50 (Caremedi, Hanam, Korea), the eyelid temperature change with wear time for each group. The eyelid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an A400 camera before wear and 15 min while wearing. The meibography and TMH was measured with an Keratograph 5m before and after warm eye massger wearing time 15min.



Results : It was confirm when in the dry eye group, the eyelid temperature before wearing is 33.89±0.64℃ and 39.77±0.69℃ after wearing it. The normal eye group is 33.79±0.57℃ before wearing it. It was 39.78±0.57℃ after wearing and was statistically validated in the normal eye group (p=0.024). Meibography was 1.18±0.28 before wearing in the dry eye group, 0.85±0.33 after wearing, 1.04±0.27 before wearing in the normal eye group, and was measured at 0.80±0.32 after wearing and statistically validated in the normal eye group (p=0.030). The TMH was 0.28±0.04 mm before wearing, an increase of about 10.7% to 0.31± 0.06 mm after wearing, and the normal eye group was 0.29±0.06 mm before wearing, an increase of about 10.3% to 0.32±0.07 mm after wearing. statistically validated in Dry eye group (p=0.030) and normal eye group (p=0.004).



Conclusion : If the eyelid temperature rises, it can affect meibography and TM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dry eye are treatable.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wearing method and time and when heat is applied as an improvement method the temperature and method should be set according to the symptoms.



온열마사지기를 이용한 마이보그래피 및 눈물띠 높이 평가

문정인1), 추병선2)
1)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구
2)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대구

    Ⅰ. 서 론

    2007년 Dry Eye Workshop(DEWS)에서 건성안의 정의를 크게 눈물 생성 부족 또는 눈물막이 증발 속도가 빠르면 안구 표면에 건조함을 일으키는 질환이라고 정의 했고 성별, 나이별, 인종별, 국가별 따라 자극감, 통증, 시야 흐림이 보이는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1)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만성적으로 마이봄샘에서 분비되는 지방의 양과 성분에 변화가 생기고 일부는 마이봄샘 폐쇄 및 위 축이 생기는 질환이며, 안구건조증 유발 원인 중 제일 비중이 크다.2-3) 그래서 건성안 환자에서 마이봄샘 기능 이상에 따른 평가는 치료를 위한 중요하며, 마이봄샘 기 능 개선을 목적으로 한 치료법들이 다양하게 개발 및 사 용 중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마이봄샘 기능 이상의 치료법으로는 눈꺼풀 위생 관리, 안약 및 전신 항생제 치료, 온열 압박 치료가 있다.4) 선행연구에서는 마이봄샘 기능에 문제가 발생 시 지방 배출에 문제가 발 생이 되며, 이에 따라 증발성 안구건조증이 발생 되고 5-6) 마이봄샘에서 지방을 융해하는데 필요로 하는 온도 는 약 40℃ 이상이고 예전부터 오랫동안 치료 방법으로 눈꺼풀에 온열치료와 동일한 방법이며, 온열을 통해 마 이봄샘의 지방을 원활하게 배출하게 되면 건성안 치료에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7)

    이러한 마이봄샘의 기능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오래전 부터 마이봄샘 기능 이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 법의 온열치료를 진행했으며 또한 오늘날 증상이나 자각 적인 정도에 따라 치료 기간 및 방법에서 차이가 생기고 건성안 개선 효과로 인하여 관심도가 많이 높아지고 있 다. 온열 마사지기를 이용할 때 온도의 유지성과 마이봄 샘 기능 이상으로 발생 되는 안구건조증의 개선에 대한 온열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지금도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OSDI(ocular surface disease index) 설문을 통해 분류한 건성안과 정상안 두 그룹을 대상으로 온열치료 전과 후의 눈꺼풀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온도 변화에 따른 마이보그래피와 눈물띠 높이를 측정을 통해 마이봄샘 평가하여 온열치료가 건성안과 정상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으면서 피부에 온열을 가했을 때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고 눈꺼풀의 피 부질환, 전신질환, 건성안을 제외한 안질환, 시력 교정 및 안과적 수술 경험이 없는 선별된 참여자 30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다만, 눈물 평가와 관련된 실험이기 때문 에 안질환 중에서 건성안 유무 여부는 제한을 두지 않았 다. 실험에 참가한 모든 참가자로부터 대구가톨릭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IRB)의 기준에 따라 연구동의 설명문 및 동의서를 받은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실험자 평균 연령은 23.7±2.60(남자:19명, 여자11명)세이었으며, 건성안 그룹은 23.86±3.36(남자 7명, 여자 8명)세, 정 상안 그룹은 23.53±1.51(남자12명, 여자3명)세이다.

    본 실험은 실험에 참여하는 모든 연구 대상자들에게 실험에 대한 안내와 사전에 동의를 얻었으며, 대구가톨 릭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의 실험 승인 후 진행하였다 (CUIRB-2022-0057).

    2. 연구 방법

    1) 건성안과 정상안 판별

    본 연구에서는 피실험자는 OSDI 설문지를 통해 1점 에서 12점은 정상안 그룹으로, 33점 이상은 건성안 그 룹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룹의 점수에 따라 해당이 안 되는 경우 대상에서 제외하고 실험을 진행하 였다.8)

    OSDI 설문지 결과에서 보통 13점 이상이 되는 경우를 안구건조증으로 진단하고 13점에서 22점은 경도 건성안 (mild), 23점에서 32점은 중등도의 건성안(moderate)으 로 구분되지만, 건성안과 정상안을 비교 실험을 위해 증상 에 따라 분류되는 13점부터 32점 사이의 대상자는 제외하 였다.

    2) 안구마사지

    눈꺼풀에 온열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안전상 간접적인 방법으로 온열 마사지기는 OA-MA011(OA, Seoul, Korea), OA-MA 030(OA, Seoul, Korea), DP-EM50 (Caremedi, Hanam, Korea)를 선정하였다. 마이봄샘에 서 지방이 융해가 가능한 온도 40℃ 기준으로 제품 선택 기준은 발열 시기기 온도가 40℃ 이상이 유지되고 기기 작동시간이 15분 이상 되는 제품으로 사용하였다.9)

    3) 눈꺼풀 온도 측정

    온열치료 전과 후에 눈꺼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 는 비접촉식으로 눈꺼풀 온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A400 열화상 카메라(FLIR, Wilsonville, USA)를 사용하였다.

    눈꺼풀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온도 변화에 영향을 쉽게 받는다. 이로 인한 측정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험실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였다(23~25℃). 또한 피실험자들이 실험실로 이동할 때 눈꺼풀 온도에 영향을 받은 상태이므로 검사를 시작하기 전에 20분 정도 충분 히 휴식을 취하면서 눈꺼풀의 온도 안정화를 진행하 였다.

    4) 마이보그래피

    마이보그래피와 눈물띠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는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건성안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진 단할 수 있는 keratograph 5m(OCULUS, Wetzlar, Germany)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값은 측정장비에서 제 공하는 Grade 0에서 Grade 3까지의 등급표와 비교, 분 석을 하였다(Table 1). 다양한 안구 건조에 대한 안구 정보를 정밀하게 측정이 가능하고 검사 결과를 정확하고 상세하게 분석할 수 있고 측정 장비 기능을 통해 마이봄 샘을 촬영하여 기록 후 분석하였다.

    온열치료 전에 눈꺼풀 온도를 측정하고 치료 이후에 다시 한 번 동일하게 측정하고 기록하며 그룹별로 나누 었고 온열치료 전과 후에 마이봄샘과 눈물띠 높이를 측 정하며, 마이봄샘 측정 시 윗눈꺼풀이 완전히 포개진 상 태에서 멸균처리가 된 면봉으로 윗눈꺼풀과 속눈썹을 고 정한 상태에서 마이봄샘 측정을 진행하고 아랫눈꺼풀은 아래쪽으로 잡아서 당기는 방식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측 정한다(Fig. 1).

    5) 눈물띠 높이 검사

    눈물띠 높이 검사 장비는 Keratography 5m(OCULUS, Wetzlar, Germany) 동일하게 사용하였으며, 검사 장비 는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안구 건조와 관련해서 정밀하게 측정이 가능하고 건성안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진단이 가능 하다. 눈물띠 높이 검사 시 온열치료 시간은 15분이며, 온열치료 전에 검사한 뒤 온열치료 후 15분 뒤에 기기 탈거 후 시간 지체 없이 동일하게 검사하였고 검사 시 눈물막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실험실의 조명은 어두운 상태를 유지 하며, 측정값에 오류가 발생 경우 최소한 과정으로 재측정 을 진행한다.

    측정 횟수는 기기 사용에 따라 총 3회씩 측정하고 나 온 결과 값을 기록하고 분석하였고 눈물띠 높이 검사 시 결과값에 따른 평가는 측정 장비에서 제공하는 등급과 비교 분석했다. 측정된 이미지에서 눈물띠 높이를 mm 단위로 측정하고 TMH(tear meniscus heigt) 0.20 mm 초과하면 일반적인 형태이고 미만일 경우 눈물막이 불안정한 상태 또는 눈물의 양이 부족하다고 판단하 였다.

    6) 통계처리

    연구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 통계처리는 OSDI 점수에 따라 분류된 그룹과 마이보그래피 및 눈물띠 높이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정리하 였다. 그 후,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IBM SPSS(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건성안과 정상안 두 그룹 간의 비교 분석( Two sample T-test)하였으 며, 눈꺼풀 전과 후 온도 변화, 마이보그래피, 눈물띠 높 이는 ANOVA 비교 분석을 하였고 통계분석 결과에 따 른 유의 확률은 p<0.050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대상은 총 30명(23.7±2.60세, 남자19명, 여자 11명)으로 OSDI를 통해 각각 15명씩 건성안그룹(23.86 ±3.36세, 남자:7명, 여자:8명)과 정상안 그룹(23.53± 1.51세, 남자12명, 여자3명)으로 나누었다. OSDI 점수 는 건성안 그룹은 35.69±3.69점이었으며 정상안 그룹 은 7.12±3.25점이었다.

    2. 건성안와 정상안 그룹별 온열치료 전과 후 눈꺼풀 온도 측정

    온열치료 전과 15분 치료 후의 눈꺼풀 온도를 측정하 기 위해 A400를 사용하여 눈꺼풀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A400를 사용한 온열치료 전과 후의 측정 온도는 건성안 그룹에서는 각각 33.89±0.64℃, 39.77±0.69℃이었 으며 정상안 그룹에서는 각각 33.79±0.57℃, 39.78± 0.57℃이었다(Fig. 2). 건성안그룹(p<.0001)과 정상안 그룹(p<.0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3. 온열치료 전과 후에 마이보그래피를 통한 마이봄샘 평가

    Keratography 5m를 사용하여 마이봄샘을 비접촉 시 적외선 방식으로 촬영하여 마이보그래피를 통해 평가 를 진행하였다. 온열치료 전과 후에 각각 측정을 하였으 며, 이때 온열치료 시간은 15분으로 하였다. 건성안 그 룹의 경우 온열치료 전에는 Grade 1.18±0.28, 온열치 료 후에는 Grade 0.85±0.32로 나타나 온열치료로 인 한 개선은 있는 것으로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79). 반면에 정상안 그룹의 경우 온열치료 전에는 Grade 1.04±0.27, 온열치료 후 에는 Grade 0.80±0.33로 나타나 온열치료로 인한 개 선은 있는 것으로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31).

    4. 온열치료 전과 후 눈물띠 높이 측정

    Keratography 5m를 사용하여 눈물띠 높이를 측정하 였다(Fig. 4). 건성안 그룹은 온열치료 전 0.28±0.04 mm이며, 후에는 0.31±0.06 mm이었고 정상안 그룹은 온열치료 전 0.29±0.07 mm이며, 후에는 0.32±0.07 mm로 측정하였다(Fig. 5). 측정기기 매뉴얼의 기준으로 눈물띠 높이가 0.2 mm 미만인 경우를 건성안이라고 판단 하였다.7) 두 그룹 모두 온열치료 전보다 온열치료 후에 눈물띠의 높이가 상승하였다. 통계적으로 건성안 그룹에 서 유효성을 확인 할 수 있었고(p=0.012) 정상안 그룹 역 시 유효성이 확인되었다(p=0.004, Table 4).

    Ⅳ. 고 찰

    마이봄샘 기능 장애는 안구건조증 유발에 큰 영향을 주는 여러 원인들 중 하나이다.2,8) 마이봄샘 기능 이상으 로 마이봄샘에서 분비되는 지방이 낮은 온도로 인해 응 고되거나 원활한 지방이 기능을 못 하는 경우 이에 따라 마이봄샘의 지방 분비가 줄어든다고 알려져 있다.9)

    마이봄샘에서 지방 분비가 줄어들면 눈물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증발성 안구건조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눈물 막의 지방층은 수분 증발 방지, 안구 윤활제 역할,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현재 건성안 치 료 방법으로 안검 위생 관리, 온열치료, 압박치료, 항상 제 투여,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 료를 하고 있고 그중에서 온열치료는 압박치료와 동시에 진행시 더욱 효과가 있다. 하지만 사용방법에 대한 번거 로움과 온열치료 시 온도 상승 및 유지에 대한 차이가 발생되어 치료 결과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10)

    마이봄샘 생성된 지방 성분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건 성안의 불편함을 호소하고 증발성 건조증에 대한 불편함 중 제일 큰 이유이다. 지방 성분의 융해점은 약 32~4 0℃이고 마이봄샘 기능 이상 및 증발성 건조증 환자 경 우 지방 성분이 변하여 최소 35℃ 이상 온도에서 융해가 된다. 마이봄샘 입구에서 융해되지 않은 지방은 물리적 인 압출 방식을 이용해서 배출하고 나머지 지방은 온열 을 통해 융해시킨다.11) 마이봄샘 기능 이상 환자들에게 는 마이봄샘에 있는 지방들을 효과 있게 융해하기 위해 서는 온열치료를 진행하며 지방 융해점을 까지 온도를 도달하기 위해 온열 마사지기가 도움을 줄 수 있다.12)

    선행연구에서는 건성안 치료에 있어 온열치료에 대한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며 여러 가지 온열치료 방법에 대 해서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온열을 발생시켜 치료했을 시 건성안을 치료한다면 치료 효과에 대한 긍 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Lee 등13)은 건조안을 치료할 때 온열치료로 하는 방법이 인공누액을 넣을 때보다 효과가 있다고 보고 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온열치료가 마 이봄샘의 지방을 융해 후 분비 및 증가시켜 눈물의 빠른 증발을 억제하는 기능을 포함해서 일반적으로 안구건조 증 환자들이 느껴지는 건조증 증상 이외에도 여러 요인 의 영향이 있을 거라고 주장하고 있다.

    온열 마사지가 마이봄샘 기능 장애에서 필요로 하는 만큼의 열을 눈꺼풀로 마이봄샘에 정확하게 전달하면서 눈물막에 변화가 생기는지 본 연구에서 열화상 카메라 (A400 FLIR사)를 통해 눈꺼풀의 온도를 온열 치료하기 전과 15분 치료 진행 후 눈꺼풀의 온도를 측정하였고 눈 꺼풀 온도는 건성안 그룹은 온열치료 전에 33.89±0.6 4℃, 정상안 그룹은 39.57±0.77℃이며, 15분 온열치 료 후 건성안 그룹은 39.77±0.69℃, 정상안 그룹은 39.78±0.57℃로 측정하였다. 온열 마사지기를 이용한 온열치료는 그룹과 상관없이 비교적 눈꺼풀 마이봄샘 지 방을 융해할 수 있는 온도가 전달되었음을 보여주고 마 이봄샘 기능 이상 환자에게도 유용할 것이라 판단되 었다.

    건성안과 정상안 그룹 모두 온열치료 시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시간은 치료 전, 착용 후 5분, 10분, 15분 5분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건성안 그룹에서 는 착용 전 33.89±0.64℃, 착용 5분 후 38.79±0.8 9℃, 10분 후 39.40±0.71℃, 15분 39.77±0.69℃ 측 정하였다. 정상안 그룹은 착용 전 33.79±0.57℃, 착용 5분 후 38.47±1.08℃, 10분 39.76±5.80℃, 15분 39.78±0.57℃ 측정 되었다. 두 그룹 모두 10분 이상 온열치료 시 약 39℃를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온열치료 시간은 충분하게 온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10분 이상 진 행하는 것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이 든다.

    마이보그래피 측정에서는 온열치료 전 건성안 그룹은 온열치료 전 Grade 1.18±0.28이며, 온열치료 후 Grade 0.85±0.32이고, 정상안 그룹은 온열치료 전 Grade 1.04±0.80, 착용 후 Grade 0.80±0.33으로 측정되었으 며 건성안 그룹은 온열로 인한 개선은 되었지만, 통계적으 로 유의성을 찾지 못하였고(p=0.079) 정상안 그룹은 개선 이 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 다.(p=0.030).

    눈물띠 높이 측정은 건성안 그룹은 온열치료 전 0.28± 0.04 mm이며, 온열치료 후에는 0.31±0.06 mm이었고 정상안 그룹은 온열치료 전 0.29±0.07 mm이며, 후에는 0.32±0.07 mm으로 측정하였고 통계적으로 두 그룹 모 두 온열치료 하기 전보다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건성안 그룹에서 유의성을 확인하였고(p=0.012) 정상안 그룹에 서도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4).

    또한 온열치료가 마이봄샘 기능을 활성화하고 눈물막 의 기능 측면에서의 향상을 가져오고 동시에 각막에 기 능을 개선한다고 밝히고 있고 유사한 다른 연구에서는 Nam 등14) 연구에서는 자동 온열 압박 치료는 중등도 이하의 마이봄샘 기능 이상 환자를 안정하게 치료할 방 법이며, 특히나 건성안 치료 시 일반적인 정상안 보다 효과가 더 크다고 하였고 Kang 등15) 온열마사지 후 마 이봄샘에서 생성된 지방 성분으로 눈물막 지방층의 두께 는 치료하기 전보다는 평균 52% 두꺼워진다고 하였다. 하지만 눈물띠 높이 측정을 통한 분석에 있어서는 두 그 룹 모두 유의성이 발견되어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으 나 마이보그래피 평가를 통한 분석에 있어서는 정상안 그룹에서만 유의성이 발견되어 선행연구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온열마사지기 대한 단기간으로 눈꺼풀 온도 변화에 따라 마이보그래피 및 눈물띠 높이 변화에 대해 측정한 것으로 증발 건성안에 한정적으로 진행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사용 및 치료 따른 개선 효과 및 안정 화 측면을 연구하는 것이 추가적인 부분이 될 것이다. 연구의 기간 및 여건상 그룹별 15명의 피실험자가 한정 되었으며, 온열마사지기도 대표적으로 3가지만 선택되 었다. 향후 많은 대상과 많은 온열 기능제품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건성안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온열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온열치료 전후로 눈꺼풀 온도 변화에 따른 마이보그라피와 눈물띠 높이를 측정하였고 비교 분석을 위하여 건성안 정상안 그룹으로 나눠서 실 험을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온열 치료 시 건성안 치료에 효과적이고 마이봄샘 기능 이상을 해결할 수 있 다고 하였다.2-4)

    그래서 본 연구의 결과 두 그룹 모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위해 실시간으로 온도 측정 시 10분 이상 착용했 을 때 약 39℃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치료 권장 시간은 최소 10분 이상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 다. 하지만 온열치료 전과 후에 따라 마이보그라피는 정 상안에서만 효과를 확인하였고 눈물띠 높이는 건성안, 정상안 그룹 모두 효과가 발생했다. 따라서 온열치료를 위해 안구 마사지기를 사용 시 착용 방법과 눈꺼풀 온도 유지가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온열치료 시간을 최 소 10분 이상 하고 반복적인 치료를 해야 건성안 및 마 이봄샘 기능 이상에 효과가 있을 거라고 사료 된다. 또 한 눈물막 개선을 위해 온열 치료 시 횟수와 상관없이 치료 효과가 보였다. 그러므로 온열 치료 시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환자 상태 확인 및 조언을 할 수 있 어야 할 것이다.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y have no interest in the products associated with this study.

    Figure

    KJVS-25-1-39_F1.gif

    The meibomian upper eye lid, lower eye lid was measured with an Keratograph 5m (OCULUS, Wetzlar, Germany).

    KJVS-25-1-39_F2.gif

    Eyelid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wear time for each group.

    KJVS-25-1-39_F3.gif

    Evaluation of Meibomian by non-contact infrared meibography.

    KJVS-25-1-39_F4.gif

    TMH (tear meniscus height) was measured with an Keratograph 5m (OCULUS, Wetzlar, Germany), (sample for image : 0.27 mm).

    KJVS-25-1-39_F5.gif

    Tear meniscus heigt time changes with warm wear times for all participants.

    Table

    Keratograph 5m meibography grade

    Eyelid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wear time for each group

    Evaluation of Meibomian by non-contact infrared meibography

    Tear meniscus heigt time changes with warm wear times for all participants

    Reference

    1. Lemp MA, Foulks GN: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Ocul Surf. 5(2), 75-92, 2007.
    2. Finis D, Schrader S et al.: Meibom-drüsendysfunktion. Klin Monbl Augenheilkd 229(5), 506-513, 2012.
    3. Geerling G, Tauber J et al.: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meibomian gland dysfunction: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management and treatment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2(4), 2050-2064, 2011.
    4. Knop E, Knop N et al.: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meibomian gland dysfunction: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anatomy,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the meibomian gland. Invest Ophthalmol Vis Sci. 52(4), 1938-1978, 2011.
    5. Lemp MA: Report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 Industry workshop on clinical trials in dry eyes. CLAO J. 21(4), 221-232, 1995.
    6. Lee SH, Tseng SC: Rose bengal staining and cytologi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lipid tear deficiency. Am J Ophthalmol. 124(6), 736-750, 1997.
    7. Koh S, Ikeda C et al.: Effect of non‐invasive tear stability assessment on tear meniscus height. Acta Ophthalmol. 93(2), e135-139, 2015.
    8. Ozcura F, Aydin S et al.: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for the diagnosis of dry eye syndrome. Ocul Immunol Inflamm. 15(5), 389-393, 2007.
    9. Ong BL, Larke JR: Meibomian gland dysfunction some clinical, biochemical and physical observations. Ophthalmic Physiol Opt. 10(2), 144-148, 1990.
    10. Freedman HL, Preston KL: Heat retention in varieties of warm compresses: A comparison between warm soaks, hard-boiled eggs and the re-heater. Ophthalmic Surg. 20(12), 846- 848, 1989.
    11. Matsumoto Y, Dogru M et al.: Efficacy of a new warm moist air device on tear functions of patients with simple meibomian gland dysfunction. Cornea 25(6), 644-650, 2006.
    12. Arita R, Morishige N et al.: Effects of eyelid warming devices on tear film parameters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Ocul Surf. 13(4), 321-330, 2015.
    13. Lee JE, Kim NM et al.: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a thermal massager with artificial teardrops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Br J Ophthalmol. 98(1), 46-51, 2014.
    14. Nam SW, Lim DH et al.: Effects and prognostic factors of automated thermodynamic system treatment for meibomian gland dysfunction. J Korean ophthalmol Soc. 57(5), 724-733, 2016.
    15. Kang DW, Eom YS et al.: The effects of warm compression on eyelid temperature and lipid layer thickness of tear film. J Korean ophthalmol Soc. 57(6), 876-880,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