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최근 스마트 기기 발달로 인해 근거리 작업이 증가하 고, 최근 눈 건강과 관련해서 특히 전자기기에서 방출되 는 청색광(blue light)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전 자기기 사용으로 인한 근거리 작업은 안구에 유해 광선 을 노출시키는 원인이 되며,1) 특히 청색광은 380~500 nm의 청색 계열의 영역으로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큰 특성을 가지고 있다.2) 또한 청색광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지는 빛인 자외선은 280~380 nm의 영역으로,3) 가벼 운 눈부심부터 실명 위험이 높은 중증까지 다양한 안질 환을 발병시킬 수 있다.4,5) 대표적인 안질환은 백내장, 황반변성, 광각막염, 익상편 등이 있으며, 특히 청색광 은 눈의 각막이나 수정체에서 빛이 흡수되지 않고 대부 분 망막까지 도달하여 시세포를 손상시키고, 수면을 방 해한다.6) 여러 연구에 따르면 청색광에 의한 망막 손상 및 안구건조증 등이 보고되었다.7-9) 이로 인해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을 위한 안경 렌즈와 콘택트렌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콘택트렌즈 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 리콘 하이드로겔 재료는 친수성이 높은 하이드로겔 소재 와 산소투과성이 높은 실리콘 소재가 결합된 것으로, 기 존 하이드로겔 소재인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보다 산소투과성이 매우 높아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하이드로겔 소재는 실리콘의 소수성의 영 향으로 함수율 및 습윤성이 낮아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 점이 있으며,10)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11,12) 또한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 는 컬러 콘택트렌즈는 다양한 패턴 디자인 및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컬러 콘택트렌즈 제조에 사용되는 안 료 및 염료는 대부분 소수성을 가진다. 렌즈의 색소층은 안구와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설계되어 있으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3겹 이상을 인쇄하여 일반 클리어 렌즈보다 두께가 두껍고, 렌즈의 함수율 및 산소투과율 을 저하시켜 더욱 많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13,14) 이에 따라 현재 컬러 콘택트렌즈는 FDA 승인이 완료된 안료를 콘택트렌즈 내부에 인쇄하여 다양한 공법을 통해 제작하고 있으며, 최근 이를 통한 컬러 콘택트렌즈의 개 발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실 리콘 하이드로겔 소재의 기능성을 향상시켜 안과적 부작 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콘택트렌즈 소재에 관해 연구하 였으며, 특히 안구에 유해한 광선인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을 위한 안료중합체를 합성하고, 렌즈 표면을 개질 시키기 위해 기능성 첨가제를 활용하여 렌즈에 적용시켰 으며, 그에 따른 렌즈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시약 및 재료
청광 차단용 안료 중합체를 개발을 위해 reactive yellow 86(RY-86), methacryloyl choline chloride (MCC),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MPC),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glycidyl methacrylate (GMA), methacrylic acid(MA), benzoyl peroxide, 2-ethoxyethanol, n-butyl acetate을 사용하였다. 또 한 고분자 중합을 위해 3-[tris(trimethylsiloxy)silyl] propyl methacrylate(TRISS),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N,N-dimethylacrylate(DMA), methacrylic aci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azobisisobutyronitrile(AIBN), propyl gallate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시약은 시그마 알드리치(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고분자 중합
본 실험에서는 청광차단용 안료를 개발하기 위해 청광 차단이 가능한 염료인 RY-86와 MPC 및 MCC를 각각 첨가하여 합성하였다. 이후 MCC, RY-86 및 HEMA, MMA, GMA, MA, Benzoyl peroxide, 2-Ethoxyethanol, N-Butyl acetate를 사용하여 청광차단용 안료 중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숫몰드에 인쇄하였다. 또한, 고분자 중합을 위해 TRISS, HEMA, DMA, MA, EGDMA 그리고 AIBN를 주재료로 하고 Propyl gallate를 1∼10% 의 비율별로 첨가하였으며, 주형 주조 방법을 사용하여 120℃에서 1시간 열중합 하였다.
RY-86와 MPC가 합성된 조합은 RY-MPC로, RY- 86와 MCC가 합성된 조합은 RY-MCC로 각각 명명하였으 며, 고분자 중합을 위해 기본 조합으로 제조된 시료는 Ref 로, 기본 조합에서 Propyl gallate를 비율별로 첨가한 시 료들은 P1, P5 및 P10으로 각각 명명하였다. 제조된 안료 중합체 및 렌즈의 배합비를 Table 1와 Table 2에 각각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된 시약의 화학구조 식을 Fig. 1에 나타내었다.
3. 측정기기 및 분석
합성된 안료 중합체는 점도 측정기(DV2TLVCJ0, Brookfield, USA)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안료 중합체를 활용한 몰드 인쇄는 렌즈 분석기(Optimec, UK)를 통한 육안검사 및 박막두께 측정기(Bristol, USA)를 통해 렌 즈 단층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조된 콘택트렌즈는 24시 간 동안 phosphate-buffered saline(PBS)에 수화 후, 함수율, 산소투과율, 접촉각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렌즈 의 산소투과율은 ISO 18369-4:2006를 기준으로 polarographic metho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함수율 은 Gravimetric method를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습윤 성을 판단하기 위해 Sessile drop method를 사용하여 각 렌즈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시료를 5회 이상 측정하였으며, 결과 오차 값이 큰 시료는 제외시킨 후 평균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기능성 안료 중합체 개발
1) 안료 중합체 합성
안료 중합체를 합성하기 위해 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MPC)와 Methacryloyl choline chloride(MCC)를 RY-86에 각각 첨가한 후, 증류수 및 N2 gas bubbling과 함께 45℃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 였다. 그 후, 배합한 안료와 용매인 2-Ethoxyethanol과 N-Butyl acetate를 사용하여 HEMA, EGDMA, Benzoyl peroxide moxture에 75℃에서 중합하였다. 그 결과, MPC는 반응시간이 너무 짧게 진행되어 끓는 현상이 나 타나 중합체 합성에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시제 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 내부에서 급격히 라디칼 반응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MCC가 첨가된 경우, 7 5℃에서 1~2시간 중합할 때 가장 인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1시간 미만의 중합 시간에서는 불안정한 망점 및 잉크 뭉침 현상을 확인하였다. 중합 시간에 따 른 MPC가 첨가된 안료 중합체 합성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2) 안료중합체 최적화
MCC 및 RY-86의 안료를 중합체 소재인 HEMA, EGDMA, GMA, MA, Benzoyl peroxide와 함께 최적 화하기 위해 드로핑 시스템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용 매는 2-Ethoxyethanol, N-Butyl acetate을 사용하였 으며, 용매와 함께 배합된 단량체를 2시간 동안 100~ 135℃에서 드로핑 펀넬을 사용하여 배합하였고, 그 후 2시간 동안 열교반하여 합성하였다. 중합 시간 및 온도 조절에 따른 중합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130℃ 이하 중합 및 모노머와 용매를 동시에 첨가하여 합성한 경우, 중합 과정에서 끓는 현상 발생 및 점성이 낮아 안료 중 합체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매와 모노머를 낮은 온도에서 동시에 첨가하면 점도가 820 cp 이상으로 증가하여 인쇄 시 불량률이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135℃ 중합 및 용매를 먼저 첨가하고 이후에 80℃에서 배합된 모노머를 첨가하여 합성한 결 과, 점도가 700 cp로 나타났으며 정상적으로 컬러 렌즈 인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박막두께 측정기를 통해 렌즈 단층을 측정한 결과, 잉크 중합체가 인쇄된 후 렌즈의 원재료 층에 잉크가 번지지 않고 컬러 콘택트 렌즈의 인쇄층과 원 재료층으로 뚜렷하게 구분된 것으로 나타났다. Fig. 2에 제조된 렌즈의 단층 촬영 결과를 나 타내었다.
2. Gallate group이 포함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제조
TRISS, HEMA, DMA, MA, EGDMA 및 AIBN를 기본 조합으로 사용하여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제조 하였으며, 소수성 표면을 개질하기 위해 기본 조합에 Propyl gallate를 비율별로 첨가하여 제조된 렌즈의 특 성을 평가하였다.
1) 물리적 특성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제조된 렌즈의 함수율과 산소투과율을 각각 측정하였 다. 함수율 측정 결과, Ref은 62.96%으로 나타났으며, Propyl gallate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62.98~62.73% 으로 측정되어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산소투과 율 측정결과, Ref은 30.25×10⁻¹¹(cm²/sec)(mlO2/ml× mmHg)으로 나타났으며, 기본 HEMA로만 이루어져 있는 하이드로겔 소재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ropyl gallate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30.65~31.86× 10⁻¹¹(cm²/sec)(mlO2/ml×mmHg)으로 나타나 다소 증 가하였으나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표면특성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표면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접촉 각을 통해 렌즈의 습윤성을 평가하였다. 접촉각 측정결 과, Ref은 82.54˚로 나타났으며, Propyl gallate의 비 율이 증가함에 따라 P1은 68.25˚, P5는 54.76˚, P10 은 42.50˚로 각각 나타나 점차 습윤성이 향상된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Propyl gallate의 말단기에 위치한 수산기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조된 렌 즈의 표면을 확인하기 위해 AFM을 측정하였다. 렌즈의 표면거칠기를 측정한 결과, Ref는 2.63 nm, P10은 1.29 nm으로 각각 나타나 Propyl gallate의 첨가에 따 라 표면거칠기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Propyl gallate의 첨가는 렌즈의 표면을 개선 시켜 표면 거칠기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습윤성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접촉각 측정 그래프 및 AFM 측정 이 미지를 Fig. 3과 Fig. 4에 각각 나타내었다.
3. 기능성 컬러 콘택트렌즈 제조
RY-MCC으로 합성한 안료 중합체 및 P10 시료의 소 재를 각각 적용하여 인쇄 및 공중합하였다. 제조된 렌즈 인 Sample를 렌즈 분석기를 통해 외관검사를 측정한 결 과, 전체 직경 약 14.2 mm, 곡률반경 약 8.6 mm의 스 펙을 확인하였다. 렌즈 Sample에 적용된 패턴 디자인을 Fig. 5에 나타내었으며,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광학적, 물리적 특성을 각각 평가하였다.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분광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Ref는 UV-B 68.15%, UV-A 88.15% 그리고 VIS.의 경우 91.72%으로 각각 나타나 투명한 형상을 확인하였다. 안료 및 P10 소재가 적용된 렌즈 Sample은 UV-B 8.88%, UV-A 35.65% 및 VIS. 88.71%로 각각 나타났으며, 청색광 영역인 380~500 nm에서는 약 20%의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의료기기 콘택트렌즈의 표준화 규격에 의하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88% 이상이 되어야 적합하므로, 이를 충족하 였음을 확인하였다.15) 또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외선 및 청색광의 20% 이하의 투과도는 차단성이 높은 것으 로 확인하였다.16,17) 따라서 제조된 Sample은 자외선 및 청광 차단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SO₃Na기 를 포함하는 황색을 띠는 반응성 염료인 RY-86 및 propyl gallate의 영향 때문으로 판단된다.18,19) 제조된 모든 시료의 분광투과율 측정결과를 Table 4에 나타내 었다. 또한, 물리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기존 P10의 물 성과 모두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 큰 변화 없이 렌즈의 기본적인 물성을 모두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 론
본 연구는 청광 차단용 안료 중합체 및 propyl gallate 를 활용하여 실리콘 하이드로겔 소재가 포함된 컬러 콘택 트렌즈를 제조한 후, 물리적 및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안료 중합체 및 propyl gallate로 구성된 하이드 로젤 콘택트렌즈 소재는 제조된 렌즈의 산소투과성과 습윤 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자외선 및 청광 차단 기능을 나타 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첨가된 RY-86 염료와 MCC 기반의 안료중합체 및 propyl gallate는 실리콘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다양한 기능 성 향상에 효과적이므로 안의료용 재료로써 다양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