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5 No.2 pp.157-167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3.25.2.157

Investigation of Aging Awareness and Eye Health Care of Early Presbyopia

Ka-Ul Choi, Myoung-hee Lee, Youngju An
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oungju An (https://orcid.org/0000-0003-1084-6395) 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Cheonan TEL: +82-41-550-2906, E-mail: yjan@bscu.ac.kr
May 31, 2023 June 28, 2023 June 28, 2023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levels of aging perception and eye health care in individuals with presbyopia.



Methods : An online survey was used targeting 171 middle-aged adults in their 40’s or older suffering from early presbyopia, and the 6 questions on aging awareness and 11 questions on eye health care awareness ranged from 'not at all' to 'very much'. Responses were made on a 5-point scale. Independent t-tests and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ging perception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based on age groups (early, mid, and late 40‘s) and gender.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perception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Results :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3.92±2.42 years, and 95 were male (55.6%) and 96 were female (44.4%).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ging awareness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according to age group. In aging perception, it was found that males (3.40±0.97)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ging awareness than females (3.87±0.93) in one question (question no. 4). In eye health care awarenes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higher health care awareness than men in three questions (questions 1, 6, and 7) (female: 4.05±0.67, male: 3.52±0.81, female: 3.83±0.77, male: 3.51±0.99, female: 4.01±0.70, male: 3.77±0.83). The higher the aging awareness, the higher the eye health care awareness(r=0.161, p=0.035).



Conclusion : There were differences in aging awareness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based on gender, and higher levels of aging percep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ye health care awareness.



초기 노안의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 조사

최가을, 이명희, 안영주
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Ⅰ. 서 론

    인간의 평균 수명의 증가와 출산율의 감소로 인하여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 시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에 따라 인구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1) 특히 2020년부터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에 출생한 베이비부머(baby boomer)세대가 고령화 인구로 진입하였다. 2021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율 은 약 16%를 차지하였다.2,3) 노령 인구 비중이 증가하면 서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이슈들이 발생하고 있 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 고령화 사회에 대처하기에 부족한 상황이다.4)

    노화는 인간의 생애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일어나는 현상으로, 노화에 의해 많은 신체적 변화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주름, 건조함, 탄력 감소 등의 변화 를 경험하며, 근육량이 감소하고 근력이 약해지며, 뼈는 밀도가 감소하여 골다공증의 위험이 증가한다. 이와 함 께 심혈과 질환이 증가한다. 또한 감각 기간 역시 노화 로 인하여 기능이 저하된다.5-7) 눈의 경우 노화가 진행 되어 조절력이 4D 이하로 저하되는 40세 전후를 초기 노안이라고 하며,8) 조절능력 저하로 인하여 근거리 시력 이 저하된다. 눈물의 양이 감소하여 눈이 건조해지며 망 막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9)

    시력은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감각 중 하 나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디지털 기기의 사용 시 간 증가 및 환경 오염 등의 요인으로 인해 눈 건강에 대 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10,11) 노화에 따른 눈 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노화 인식은 개인이 자신의 노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건강 행동 및 건강 관리 방법에 영향을 줄 수 있다.2) 노화로 인한 시력 저하 현상은 초기 노안 을 느끼는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현상이다. 초기 노안 은 수정체의 탄성이 감소하여 가까운 거리에서의 선명한 상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12) 노화에 따른 시력 변화는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며, 이는 일상 생활과 생산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 라서 초기 노안의 노화인식과 눈 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 를 통하여 초기 개인이 시력 변화를 얼마나 인식하고 있 는지 파악하고 눈 건강관련 인식과 지식수준을 조사하여 적절한 눈 건강 관리 방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23년 3월 10일부터 4월 28일까지 40세 이상의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이용 하여 시행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총 1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는 노화 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 식의 두 가지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노화 인식과 관 련된 설문 문항은 Nam et al.13) 이 개발한 한국판 노화 인식 척도를 이용하여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느끼는 건 강영역의 손실인식 정도를 나타내는 6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5점 척도로 평가하 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노화인식 정도가 높음을 의미 한다. 눈 건강관리 인식은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14) 에서 제시하고 있는 눈 건 강과 관련된 전반적인 지식을 반영하는 11문항에 대한 대상자들의 인식정도를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 렇다’까지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눈 건강관리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노화 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에 대한 설문 문항의 크론 바하 알파계수는 각각 0.834와 0.771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18.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들 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표준편차와 빈도수(%)로 제시 하였다. 독립표본 t-검정과 ANOVA 분석 시행하여 노 화 인식 정도와 눈 건강관리 인식의 연령대(40대 초반: 40∼43세, 중반: 44∼46세, 후반: 47∼49세)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시행 하여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의 상관성을 알아보았 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p<0.050로 정의하 였다.

    Ⅲ. 결 과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Table 1). 171명의 평균나이는 43.92±2.42세로 남자는 95명 (55.6%), 여자는 96명(44.4%)이었다. 교육정도는 고졸 이 24명(14.0%), 대졸이 111명(64.9%), 그리고 대학원 졸 이상이 36명(21.1%)이었다. 직업은 기술직 26명 (15.2%), 사무직 61명(35.7%), 전문직 29명(17.0%), 자영업 15명(8.8%), 그리고 기타가 40명(23.3%)이었 다. 주관적 생활수준은 많이 힘들다 4명(2.3%), 약간 힘 들다 15명(8.8%), 먹고 살 정도이다 132명(77.2%), 잘 사는 편이다 19명(11.1%), 그리고 아주 잘 산다가 1명 (0.6%)이었다.

    대상자들의 노화 인식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 았다 (Table 2). 문항 1번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는 신체 적 능력이 예전 같지 않다고 느낀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않다, 전혀 그렇지 않 다’에서 각각 73(42.7%), 82(48.0%), 13(7.6%), 3(1.8%) 및 0명(0.0%)로 나타났다. 문항 2번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는 기운이 약해졌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 렇다, 보통이다, 그렇지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41(24.0%), 90(52.6%), 34(19.9%), 6(3.5%) 및 0명 (0.0%)로 나타났다. 문항 3번 ‘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는 몸이 더 자주 쑤시고 아프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 서 각각 37(21.6%), 79(46.2%), 44(25.7%), 9(5.3%) 및 2명(1.2%)로 나타났다. 문항 4번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 는 건망증이 더 심해졌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 각 31(18.1%), 69(40.4%), 47(27.5%), 21(12.3%) 및 3 명(1.8%)로 나타났다. 문항 5번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는 거동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신체적인 능력이 떨어졌다.’에 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13(7.6%), 59(34.5%), 51(29.8%), 38(22.2%) 및 10명(5.8%)로 나타났다. 문항 6번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는 내 몸에 예전보다 더 자주 휴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44(25.7%), 92(53.8%), 30(17.5%), 4(2.3%) 및 1명(0.6%)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노화 인식 정도는 6가지 문항 모두 어느 정도 그렇다고 느끼는 비율이 가장 많았다.

    대상자들의 눈 건강관리 인식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Table 3). 문항 1번 ‘당뇨병성 망막병증 은 실명의 주요 원인이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 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 서 각각 29(17.0%), 79(46.2%), 56(32.7%), 6(3.5%) 및 1명(0.6%)로 나타났다. 문항 2번 ‘시력을 포함한 안 과질환(녹내장, 황반변성 등)은 가족력과 관련이 있다.’ 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 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15(8.8%), 77(45.0%), 50(29.2%), 23(13.5%) 및 6명(3.5%)로 나 타났다. 문항 3번 ‘ 항산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채 소를 포함한 건강한 식단은 눈 건강에 도움이 된다.’에서 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않 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39(22.8%), 99(57.9%), 30(17.5%), 2(1.2%) 및 1명(0.6%)로 나타났다. 문항 4 번 ‘과체중 또는 비만은 전신질환 및 안과질환 발병위험 을 증가시킨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26 (15.2%), 83(48.5%), 45(26.3%), 15(8.8%) 및 2명 (1.2%)로 나타났다. 문항 5번 ‘작업과 운동 시 눈 손상 을 줄이기 위해 보호안경을 착용해야 한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64(37.4%), 81(47.4%), 20 (11.7%), 2(1.2%) 및 4명(2.3%)로 나타났다. 문항 6번 ‘흡연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황반변성, 백내장 및 시신경 손상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에서는 ‘매우 그 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28(16.4%), 74(43.3%), 54 (31.6%), 11(6.4%) 및 4명(2.3%)로 나타났다. 문항 7 번 ‘야외활동 시 자외선으로 인해 백내장이 유발될 수 있 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34(19.9%), 91(53.2%), 37(21.6%), 9(5.3%) 및 0명(0.0%)로 나타 났다. 문항 8번 ‘40대 이후 황반 변성으로 인해 시력을 상실할 수 있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25(14.6%), 85(49.7%), 50(29.2%), 10(5.8%) 및 1명 (0.6%)로 나타났다. 문항 9번 ‘나이가 들면 특정 색깔의 구별이 어려워진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 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 각 6(3.5%), 26(15.2%), 57(33.3%), 62(36.3%) 및 20 명(11.7%)로 나타났다. 문항 10번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을 나가거나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을 들어올 때 적응 하는 시간이 젊었을 때보다 오래 걸린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24(14.0%), 69(40.4%), 51 (29.8%), 21(12.3%) 및 6명(3.5%)로 나타났다. 문항 11번 ‘충분한 수면은 눈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에서는 ‘매우 그렇다, 어느 정도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각각 87(50.9%), 75(43.9%, 9(5.3%), 0(0.0%) 및 0명(0.0%)로 나타났다. 문항인 9 번 ‘나이가 들면 특정 색깔의 구별이 어려워진다.’를 제 외한 모든 영역에서 ‘어느 정도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 라고 대답한 응답자수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여 높 은 눈 건강관리 인식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와 성별에 따른 노화 인식 정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Table 4). 노화인식은 연령 대, 교육정도, 직업, 주관적 생활수준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 을 때 문항 4번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는 건망증이 더 심해졌다’에서 남자(3.40±0.97)가 여자(3.87±0.93)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노화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2).

    나이와 성별에 따른 눈 건강관리 인식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Table 5). 눈 건강관리 인식 은 연령대, 교육정도, 직업, 주관적 생활수준에 따른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문항 1번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실명의 주요 원인이 다.’, 문항 6번 ‘흡연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황반변 성, 백내장 및 시신경 손상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문항 7번 ‘야외활동 시 자외선으로 인해 백내장이 유발 될 수 있다.’ 의 경우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은 건강관리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여: 4.05± 0.67, 남: 3.52±0.81, 여: 3.83±0.77, 남: 3.51± .99, 여: 4.01±0.70, 남: 3.77±0.83).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의 상관성을 평가한 결 과 노화인식도가 높을수록 눈 건강관리 인식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Fig.1.)(r=0.161, p=0.035).

    Ⅳ. 고찰 및 결론

    본 연구는 초기 노안이 나타나는 시기인 40대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노화 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 보면, 총 171명으로 평균 나이는 43.92세이며, 남성이 55.6%, 여성이 44.4%였다. 교육 수준은 대졸자가 가장 많았으며, 직업은 사무직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 다. 대다수의 대상자들의 생활 수준은 ‘먹고 살 정도이다 ‘로 응답하였다.

    1.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는 신체적 노화는 중년기에 나타나기 시작하며,15)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노화 인식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들의 대부분 이 주어진 6가지 문항에서 어느 정도 그렇다고 느끼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 능력이 저하되고 신체적인 불편함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는 것을 보여준다.

    2. 눈 건강관리 인식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 면, 대다수의 대상자들이 주어진 9가지 문항 중 대부분 의 영역에서 ’어느 정도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응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상자들이 눈 건강을 유지 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에 대해 인식하고 있다 는 것을 나타낸다.

    3. 노화 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에서 성별에 따른 차 이가 나타났다. 노화 인식 문항의 건망증 부분에서는 남 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성들이 건망증을 더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눈 건강관리 인식은 1번 문항, 6번 문항, 7번 문항에서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높은 눈 건강관리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남녀 모두 3가지 문항에 대해 유의하게 나타났다. 눈 건 강관리 의식에 대한 Sim 등12)의 연구와 동일하게 남성 보다 여성의 눈 건강관리 인식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 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에 따른 눈 건강이 사회적 역활 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사회 적으로 여성은 외모에 대한 압박을 받으며 역할에 의해 자신보다 다른 사람의 건강을 우선시하는 기대를 받게 된다. 이는 자신의 건강 관리에 소홀하게 되며 눈 건강 의 불평등으로 나타나게 되고 건강에 염려 증가로 노화 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이 높다고 생각된다.16)

    4. 마지막으로, 노화 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의 상관 성을 평가한 결과, 노화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눈 건강 관리 인식 정도도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이 노화 현상을 인식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눈 건강에 대한 인식도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초기 노안과 눈 건강관리에 대한 사회 적인 관심과 개인의 인식정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나 며, 이를 통해 초기 노안을 위한 눈 건강 관련 정보와 교 육을 제공하여 눈 건강과 노화 현상에 대한 인식을 높일 필요성을 보여준다. 눈 건강인식의 향상은 개인의 눈 건 강 관리에 도움이 되며, 초기 노안으로 인한 시력 변화 가 나타나는 40대에게 전반적인 건강과 노화를 인식하 고 준비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Appendix

    다음은 귀하의 노화인식 및 눈 건강관리 인식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일치하는 경우를 선택해 주십시오.

    KJVS-25-2-157_A1.gif

    KJVS-25-2-157_A2.gif

    Figure

    KJVS-25-2-157_F1.gif

    Correlation between aging awareness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ging awareness level of subjects

    Awareness of eye health care of subjects

    Differences in aging perception according to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eye health car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Reference

    1. Ha EH, Lee YM et al.: Influence of midlife health condition and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on preparation for old age. Korean J Adult Nurs. 32(5), 472-481, 2020.
    2. Nam SH, Kim JY: Awareness of age-related change and health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t coping.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31(3), 355-366, 2022.
    3. Cho SH, Choi MK et al.: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and physical activity among middle aged adults in urban areas: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 Korean Acad Nurs. 45(1), 14-24, 2015.
    4. Lee SM: The Impact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middle age on successful aging. KSPA. 2, 197-224, 2021.
    5. Nam HJ, Kim YB: Aging and skin aging.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17(1), 16- 33, 2004.
    6. Kim JM, Jeon SW et al.: Study of preventing methods for skin aging and wrinkle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4(4), 533-542, 2010.
    7. Lim JH, Lee JO: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change and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depending on aging at the senescenc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1(2), 15-24, 2001.
    8. Kim HM, Son JS, Kim IS et al.: Comparison of accommodative amplitude based on occupation of initial presbyopia. J Korean Oph Opt Soc. 13(4), 135-139, 2008.
    9. Kim KS, Shin EY et al.: The effects of vision and hearing func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Korean J Vis Sci. 17(4), 415-429, 2015.
    10. Hwang SJ, Kim HJ: The effect of using digital devices on the eyes and musculoskeletal system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Vis Sci. 24(4), 461-472, 2022.
    11. Choi JS, Kim SM: Management of eye strain caused by digital devices use. J Korean Oph Opt Soc. 27(4), 269-280, 2022.
    12. Sim J, Ye KH et al.: Analysis of a survey of adults’ actual attitude and awareness of eye healthcare. J Korean Oph Opt Soc. 23(4), 265-275, 2018.
    13. Nam SH, Kim JY: A valid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of awareness of age-related change scale: Focusing on the elderly in Seoul. Jour of KoCon A. 21(11), 692-710, 2021.
    14.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ips to Prevent Vision Loss, 2021. https://www.cdc.gov/visionhealth/risk/tips.htm
    15. Kim SY, Lee JI: A study on aging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people. J Korean Acad Fundam Nurs. 14(1), 103, 2007.
    16. Aninye IO, Digre K et al.: The roles of sex and gender in women’s eye health disparities in the United States. Biol Sex Differ. 12(1), 57,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