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5 No.2 pp.181-193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3.25.2.181

The Analysis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Mobile app-Based Auto Refractometer

Beob Lee1), Hyun-Sung Leem2)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Student, Uijeongbu
2)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un-Sung Leem (https://orcid.org/0000-0003-3430-6932)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262, E-mail: hsl@eulji.ac.kr
June 8, 2023 June 28, 2023 June 29, 2023

Abstract


Purpose : The mobile app-based auto refractometerb (NETRA refraction mobilized, NR), developed by EYENETRA in the United States, is a device that measures refractive errors by operating the device directly by the test subject, and in order to confirm the clinical performance of NR, the measured values of subjective refraction (SR) and HRK-8000 were compared and analyzed.



Methods : This study recruited 124 patients (248 eyes) with myopia or myopic astigmatism, no systemic disease or eye disease under treatment, and no history of ophthalmic surgery from the customers of M optical store in Gyeonggi-do. The test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NR, HRK-8000, and SR to obtain a refractive error measurement result. The SPSS program (version 26)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 case of p<0.050 was judg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Spherical, cylindrical, and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powers were measured to have the highest myopia in NR measurements (p<0.01), and the average value compared to SR showed a lager difference in NR than HRK-8000, out of the standard deviation range. In the ±5° range, the astigmatic axis of NR was 41.4% concordant with the SR astigmatic axis, whereas HRK-8000 was 90.8% concordant. The 95% limits of agreement range of spherical, cylindrical, and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powers for SR were +2.01∼-2.72 D, +1.69∼-2.20 D, and +1.89∼-2.81 D in NR, +0.84∼-0.96 D, +0.42∼-0.73 D, and +0.81∼ -1.09 D in HRK-8000. Therefore, the range of agreement of NR was wider than that of HRK in all variables, resulting in low accuracy.



Conclusion : In light of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it is judged that NR will be difficult to replace the existing automatic refractometer, and it is believed that accuracy needs to be improved in order to be used as a preliminary test in clinical practice.



모바일 앱 기반 자동굴절력계의 임상성능 분석

이법1), 임현성2)
1)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의정부
2)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Ⅰ. 서 론

    굴절검사 방법은 검사과정에서 피검사자의 개입 여부 에 따라 자각적 굴절검사(subjective refraction)와 타 각적 굴절검사(objective refraction)로 분류한다. 자각 적 굴절검사는 검사자의 질문에 피검사자가 판단하고 응 답한 결과를 근거로 굴절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이고, 타 각적 굴절검사는 피검사자의 개입 없이 검사자가 측정한 결과를 근거로 굴절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조절마비제 점안 여부에 따라 현성굴절검사(manifest refraction)와 조절마비굴절검사 (cycloplegic refraction)로 분류한다. 조절마비굴절검사가 필요한 경 우를1) 제외한 일반적인 굴절검사 방법은 자동굴절력계 (auto refractometer)로 측정한 후, 자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조절마비굴절검사 측정값은 현성굴절검사와 비교할 때, 근시도는 낮게 측정되고, 원시도는 높게 측정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2-4) 자동 굴절력계 측정값도 조절마 비제 점안 후 근시도와 난시도가 모두 낮게 측정되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5) 위 연구의 결과를 볼 때, 현성굴절검 사와 자동굴절력계는 조절력의 개입으로부터 완전히 자 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동굴절력계는 자각적 굴절검사에 앞서 예비검사로 활 용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Justyna 등,6) Jeong7)과 Kim 등8)의 연구에서 자동굴절력계의 근시도는 자각적 굴절검사보다 유의하게 높게 측정된 것으로 보고하 였지만, Gwiazda,9) Elliot 등10)과 Chat 등11)은 자동굴절 력계 내부에 운무 기능이 적용되어 있어 정확도와 신뢰도 가 높아 예비검사 용도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하 였다.

    최근 미국의 EYENETRA는 모바일(Galaxy S4, SAMSUNG, Korea) 앱을 이용하여, 눈의 굴절이상도 를 측정할 수 있는 The NETRA refraction mobilized kit를 개발했다. 이 제품은 모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 으며, 자동굴절력계(auto refractometer), 자동렌즈미 터(auto lensmeter), 수동포롭터(phoropter)로 구성되 어 있다. 모바일 앱 기반 이동형 자동굴절력계는 검사자 의 개입 없이 피검사자 스스로 기기를 작동하고, 판단하 여 굴절이상도를 측정하므로 ‘자각적 자동굴절력계’, ‘자 가진단 자동굴절력계’라고 표현할 수 있다. 측정은 양안 동시에 이뤄지고, 피검사자가 2개 타깃의 막대선을 일치 시킨 후, 버튼을 누르는 방법으로 진행되며, 타깃의 방 향에 따라 18회 버튼을 누르면 측정이 완료된다. 측정값 은 구면, 원주굴절력, 난시축과 동공중심간거리(PD)를 표기하여 처방전 형태로 보여준다.

    모바일 앱 기반 이동형 자동굴절력계(NETRA refraction mobilized)를 포함한 이동형 자동굴절력계는 예비검사와 선별검사의 목적과 함께 접근이 어려운 지역, 학교, 병원 또는 요양원과 가정 방문을 통해 장소의 제약 없이 굴절검 사를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Jung 등12)은 개방형 자동굴절 력계 측정값이 자각적 굴절검사와 가장 유사하였고, 이동 형 자동굴절력계의 측정값은 근시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것으로 보고 하였으며, Choi 등13)은 이동형 자동굴절력계 로 측정할 때 조절 자극 및 측정 오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 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Guo 등14)은 유아를 대상으로 이동형 자동굴절력계로 검사한 결과, 1,672안 중 202안에 서 굴절이상이 의심되었고, 그중 172안이 실제로 굴절이 상으로 진단되어 진단율은 71.67%로 나타났으며, 영유아 의 시력발달을 모니터링 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 다. 그리고 Goos15)는 이동형 자동 굴절력계와 자각적 굴절 검사 측정값의 구면, 원주, 등가구면 굴절력은 ±0.25D 내의 오차범위에서 80% 일치하고, ±0.50 D 내의 오차범 위에서 95% 일치하여, 예비 굴절검사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동형 자동굴절력계에 대한 선행 연구12,14-16)가 있지만, 모바일 앱 기반 이동형 자동굴절력계(NETRA Refraction Mobilized, EYENETRA, USA)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여, 그 임상성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예비검 사와 선별검사의 용도로 가치가 있는지, 기존 타각적 굴절검 사 기기를 대체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M 안경원에 시력교정을 목적으 로 방문한 고객 중, 근시 또는 근시성 난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신 질환 또는 안질환을 치료 중이거나, 각막 굴절교정 수술, 백내장 등 안과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자는 연구 목적과 취지에 동의하고, 모든 검사과정에 끝까지 참여한 10대부터 50대까지 124명(248 안) 이었고, 남자 59명(118안 47.6%), 여자 65명(130안, 52.4%) 이었다.

    2. 연구 방법

    1) 검사의 순서

    모바일 앱 기반 이동형 자동굴절력계(NETRA Refraction Mobilized, EYENETRA, USA)를 먼저 측 정하고, 고정형 자동굴절력계 (HRK-8000, HUVITZ, Korea)를 측정한 후, 자각적 굴절검사(subjective refraction, SR)를 시행하였다. 모든 검사과정은 오차 를 최소화하기 위해 동일 환경에서 동일 검사자가 측정 을 진행하였다.

    2) 모바일 앱 기반 이동형 자동굴절력계 측정

    NR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HRK-8000이 설치 된 장소에서 앱이 설치된 모바일(Galaxy S4, SAMSUNG, Korea)을 기기 본체에 장착하고, 대상자에게 두 눈과 이마를 정확하게 고정한 후, 주시창을 주시하도록 하였다. 먼저 오른쪽 레버(lever)를 돌려 빨간색과 초록색 타깃(target) 이 가장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였고, 왼쪽 레버를 돌려 빨간색 과 초록색 타깃의 막대 선을 일치시키게 한 후, 오른쪽 버튼 (button)을 누르도록 하였다. 이후 주시창의 타깃의 방향이 바뀌어 나타나면 같은 방법으로 빨간색과 초록색 타깃의 막대선을 일치시켜 버튼을 누르도록 하였다. 그리고, NR의 종료 신호에 따라 측정을 종료하였다(Fig. 1, 2).

    3) 고정형 자동굴절력계 측정

    HRK-8000의 받침대에 턱과 이마를 정확히 고정하 고, 내부 타깃을 주시하도록 한 상태에서 5회 이상 측정 하고,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다.

    4) 자각적 굴절검사

    타각적 굴절검사를 진행한 후, 포롭터(HDR-7000, HUVITZ, Korea)와 시력표(CDC-4000, HUVITZ, Korea)를 이용하여 SR을 시행하였다. 단안 및 양안 개방 굴절검사 과정에서 포롭터(phoroptor)를 이용한 검사가 부정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17) 시험테와 시험렌즈 세트 (trial lens set)를 이용하여 SR을 시행하였다.18) 이후 검영 기기(REF 901024-Retinoscope, Welch Allyn, USA)를 이용해 정적 검영법(static retinoscopy)으로 확인한 측정 값을 SR 값으로 적용하였다.

    5) 난시안의 분류

    원주굴절력이 –0.75 D 이상인 대상자는 근시성 난시안으 로 구분하고, 약주경선의 방향(난시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80°±15 범위는 직난시(with-the-rule astigmatism), 90°±15 범위는 도난시(against-therule astigmatism), 16∼74 또는 106∼164° 범위는 사난 시(oblique astigmatism)로 분류하였다.19) 또, 원주굴절 력의 크기에 따라 경도난시(-1.00 D 이하), 중도난시 (-1.25∼-2.00 D), 고도난시(-2.25 D 이상)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20)

    KJVS-25-2-181_A1.gif

    • SE: spherical equivalent component

    • J0: astigmatism component in the direction of 90 or 180°

    • J45: astigmatism component in the direction of 45 or 135°

    6) Power vector 성분 분석

    NR, HRK-8000과 SR에 의한 굴절이상도는 구면굴 절력, 원주굴절력, 등가구면 굴절력으로 표기하여 분석 하였다. 이 세 종류의 굴절 이상도는 서로 독립적인 성 분이 아니므로, Thibos 등21)이 제시한 다음과 같은 공 식을 적용하여, power vector SE, J0와 J45성분으로 나 타내고 분석하였다.

    3. 통계 방법

    NR, HRK-8000과 SR에 의한 측정값을 비교하고,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measures ANOVA), T-검정(paired T-test)을 하였 다. NR, HRK-8000과 SR에 의한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Bland & Altman이 제시한 방법으로 95% 일치한 계(limits of agreement, LOA)를 구하여 비교 분석하 였다.22) 통계처리는 SPSS program(version 26)을 사 용하였고, p<0.050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연구 대상

    대상자 124명(248안) 중, 남자는 47.6%(59명, 118안), 여자는 52.4%(65명, 130안) 이었다. 연령별 분포는 10대 는 21.0%(26명, 52안), 20대는 25.0%(31명, 62안), 30 대는 17.7%(22명, 44안), 40대는 20.2%(25명, 50안), 50대는 16.1%(20명, 40안) 이었다(Table 1).

    자각적 굴절검사에 의한 남성 대상자 구면 굴절력은 – 3.13±1.79 D, 원주 굴절력은 –1.46±1.17 D, 등가구 면 굴절력은 –3.62±2.02 D로 나타났다. 여성 대상자 구면 굴절력은–3.37±1.80 D, 원주굴절력은 –1.07± 0.87 D, 등가구면 굴절력은 –3.79±1.92 D로 나타났 다. 구면 굴절력은 남성보다 여성의 근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p<0.001), 원주 굴절력은 여성보다 남성의 (-) 난시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등가구면 굴절 력은 남성보다 여성의 근시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Table2). 하지만 본 연구는 전체 대상자에 대해 검사 방법별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모바일 앱 기 반 이동형 자동굴절력계의 임상 성능을 분석하였다.

    2. NR, HRK-8000, SR에 의한 굴절이상도

    NR, HRK-8000과 SR에 의한 전체 대상자의 굴절이 상도를 비교한 결과, 구면굴절력은 NR –3.58±1.92 D, HRK-8000 –3.31±1.86 D와 SR –3.25±1.79 D로 나 타났고, 원주굴절력은 NR –1.51±1.02 D, HRK-8000 –1.41±1.15 D와 SR –1.25±1.03 D로 나타났으며, 등 가구면 굴절력은 NR –4.17±1.95 D, HRK-8000 – 3.85±2.03 D와 SR –3.71±1.93 D로 나타났다. NR의 굴절 이상도는 모든 변수에서 HRK-8000과 SR보다 근 시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Table 3).

    3. NR, HRK-8000, SR에 의한 측정값 비교 분석

    1) NR, HRK-8000, SR에 의한 구면굴절력 비교

    NR과 HRK-8000에서 NR –4.17±1.95 D, HRK- 8000 –3.85±2.03 D로 NR의 근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t=4.15, p<0.001), 표준오차와 차이는 –0.08±1.21 D였 다. NR과 SR에서 NR –3.58±1.92 D, SR –3.25±1.79 D로 NR의 근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t=4.16, p<0.001), 표준오차와 차이는 –0.08±1.22 D였다. HRK-8000과 SR에서 HRK-8000 –3.30±1.87 D, SR –3.24±1.80 D 로 HRK-8000의 근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t=2.06, p=0.040), 표준오차와 차이는 –0.03±0.46 D였다(Table 4). SR에 대한 구면굴절력의 차이는 NR에서 HRK-8000보 다 더 크게 나타났다.

    2) NR, HRK-8000, SR에 의한 원주굴절력 비교

    NR과 HRK-8000에서 NR –1.46±0.99 D, HRK- 8000 –1.30±1.14 D로 NR의 (-)난시도가 유의하게 높 았고(t=2.25, p=0.025), 표준오차와 차이는 –0.07± 1.04 D였다. NR과 SR에서 NR –1.50±1.02 D, SR – 1.25±1.03 D로 NR의 (-)난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t=3.63, p<0.001), 표준오차와 차이는 –0.07±0.99 D 였다. HRK-8000과 SR에서 HRK-8000 –1.36±1.12 D, SR –1.21±1.01 D로 HRK-8000의 (-)난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t=7.66, p=0.040), 표준오차와 차이 는 –0.02±0.29 D였다(Table 5). SR에 대한 원주굴절 력의 차이는 NR에서 HRK-8000보다 더 크게 나타 났다.

    3) NR, HRK-8000, SR에 의한 등가구면 굴절력 비교

    NR과 HRK-8000에서 NR –4.17±1.95 D, HRK- 8000 –3.85±2.03 D로 NR의 근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t=4.15, p<0.001), 표준오차와 차이는 –0.08±1.21 D 였다. NR과 SR에서 NR –4.17±1.95 D, SR – 3.71±1.93 D로 NR의 근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t=6.03, p<0.001), 표준오차와 차이는 –0.08±1.20 D 였다. HRK-8000과 SR에서 HRK-8000 –3.85±2.03 D, SR –3.71±1.93 D로 HRK-8000의 근시도가 유의하 게 높았고(t=4.53, p=0.040), 표준오차와 차이는 – 0.03±0.49 D였다(Table 6). SR에 대한 등가구면 굴절력 의 차이는 NR에서 HRK-8000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4) SR에 대한 NR, HRK-8000의 난시축 일치도

    SR의 원주굴절력이 –0.75 D 이상인 152안에 대해 난 시축을 ±5, ±10, ±15와 ±20° 범위로 구분하여, SR 에 대한 NR과 HRK-8000의 빈도수를 나타내고 비교하 였다.

    SR에 대한 NR의 난시축 일치도는 난시축의 범위에 따 라 41.4%(±5°), 57.2%(±10°), 68.4%(±15°)와 75.0% (±20°) 일치하였고, HRK-8000의 난시축 일치도는 90.8%(±5°), 96.7%(±10°), 98.0%(±15°)와 99.3% (±20°)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R의 SR에 대한 난시 축 일치도는 HRK-8000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Table 7).

    5) SR에 대한 NR, HRK-8000의 원주굴절력에 따른 난시축 일치도

    원주굴절력의 크기에 따라 경도난시(-1.00 D 이하), 중도난시 (-1.25∼-2.00 D)와 고도난시(-2.25 D 이 상)로 분류하고, 난시축을 ±5, ±10, ±15와 ±20° 범 위로 구분하여, SR에 대한 NR, HRK-8000의 빈도수 를 나타내고 비교하였다.

    SR에 대한 난시축 일치도를 비교한 결과, 원주굴절력 이 –1.00 D 이하일 때 ±5° 범위에서 NR은 41.8%, HRK-8000은 86.6% 일치하였고, 원주굴절력이 –1.25∼ -2.00 D일 때 ±10° 범위에서 NR은 51.9%, HRK- 8000은 100%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NR 의 난시축 일치도는 원주굴절력의 크기와 관계없이 모든 범위에서 HRK–8000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 NR, HRK-8000, SR에 의한 정확도 분석

    1) NR과 HRK-8000의 정확도

    NR과 HRK-8000의 선형회귀 분석값은 구면굴절력 (p<0.001), 원주굴절력(p<0.001), SE성분(p<0.001), J0 성분(p=0.001)과 J45성분(p=0.975)로 나타나 구면굴절 력, 원주굴절력, SE와 J0성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J45성분은 유의하지 않았다(p=0.975). 95% 일치 한계 (LOA)는 구면굴절력 +2.01∼-2.63 D, 원주굴절력 +1.88∼-2.20 D, SE성분 +2.06∼-2.67 D, J0성분 +1.67∼-1.72 D와 J45성분 +2.58∼-2.71 D로 나타났 다(Fig. 3).

    2) NR과 SR의 정확도

    NR과 SR의 선형회귀 분석값은 구면굴절력(p<0.001), 원주굴절력(p<0.001), SE성분(p<0.001), J0성분(p=0.251) 과 J45성분(p=0.551)로 나타나 구면굴절력, 원주굴절력과 SE성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J0와 J45성분은 유의하 지 않았다(p>0.050). 95% 일치 한계(LOA)는 구면굴절력 +2.01∼-2.72 D, 원주굴절력 +1.69∼-2.20 D, SE성분 +1.89∼-2.81 D, J0성분 +1.41∼-1.34 D와 J45성분 +1.60∼-1.88 D로 나타났다(Fig. 4).

    3) HRK-8000과 SR의 정확도

    SR과 HRK-8000의 선형회귀 분석값은 구면굴절력 (p<0.001), 원주굴절력(p<0.001), SE성분(p<0.001), J0성분(p=0.054)과 J45성분(p=0.133)으로 나타나 구면 굴절력, 원주굴절력과 SE성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고, J0와 J45성분은 유의하지 않았다(p>0.050). 95% 일 치 한계(LOA)는 구면굴절력 +0.84∼-0.96 D, 원주굴 절력 +0.42∼-0.73 D, SE성분 +0.81∼-1.09 D, J0 성분 +1.33∼-1.22 D와 J45성분 +2.45∼-2.59 D로 나타났다(Fig. 5).

    Ⅳ. 고 찰

    본 연구는 일관성을 위해 모든 검사과정을 동일 환경 에서 진행하였고, 한 명의 안경사가 모든 대상자에 대하 여 같은 방법과 순서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중 60 대 이상은 기기 작동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끝까지 검사 를 진행한 경우가 적어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 결과 구면굴절력은 NR –3.58±1.92 D, HRK- 8000 –3.31±1.86 D와 SR –3.25±1.79 D로 나타났고, 원주굴절력은 NR –1.51±1.02 D, HRK-8000 –1.41 ±1.15 D와 SR–1.25±1.03 D로 나타났다. 모든 변수에 서 SR보다 HRK-8000의 근시도가 높게 측정되었고, NR의 근시도는 HRK-8000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Jeong7), Jung 등12)의 연구 결과에서 SR보 다 고정형 자동굴절력계의 근시도가 더 높고, 이동형 자 동굴절력계의 근시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결과는 유사하 였다.

    SR에 대한 구면, 원주, 등가구면 굴절력의 차이는 NR에 서 각각 –0.08±1.22, –0.07±0.99와 –0.08±1.20 D로 나타났고, HRK-8000에서 각각 –0.03±0.46, –0.02 ±0.29와 –0.03±0.49 D로 나타나, 모든 변수에서 NR의 차이가 HRK-8000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SR에 대한 NR의 오차가 HRK-8000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 고, 이 결과는 이동형 자동굴절력계의 평균값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난 Jung 등,12) Ali 등16)의 연구와 유사하였다.

    SR에 대한 난시축의 일치도는 ±5° 범위에서 NR은 41.4%, HRK-8000은 90.8% 일치하였고, 원주굴절력 이–1.25 D 이상일 때 NR은 ±10° 범위에서 51.9% 일 치한 반면, HRK-8000은 100% 일치하여 차이가 있었 다. Justyna 등6)은 3종류 자동굴절력계의 난시축 일치 도에 대하여 ±5° 범위에서 58.3%, 54.2%와 76.6%로 보고하였다. HRK-8000의 일치도는 모든 범위에서 높 게 나타났고, NR의 일치도는 모든 범위에서 더 낮은 것 으로 확인됐으며, 이 결과는 Han23)의 연구와도 유사하 였다.

    Bland & Altman22)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측정 범위 에 따른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NR, HRK-8000과 SR 에 의한 구면, 원주굴절력과 SE 성분의 정확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하지만 SR에 대한 95% 일치 한계(LOA)에서 구면, 원주굴절력과 SE 성분 의 범위가 NR은 각각 +2.01∼-2.72, +1.69∼-2.20 와 +1.89∼2.81 D로 나타났고, HRK-8000은 각각 +0.84∼-0.96, +0.42∼-0.73와 +0.81∼-1.09 D로 나타났다. NR의 95% 일치 한계(LOA)는 HRK-8000보 다 넓게 나타났고, Jeong7), Mah 등24)과 Won 등25)의 연구 결과보다 모두 넓게 나타나 정확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NR은 피검사자의 기기 작동에만 의존하여 굴절이상 도를 측정하게 되므로 검사자가 측정 과정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없고, 기기 작동에 어려움을 느끼는 대상자가 있으며, 반복측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그 리고 SR에 대한 NR 측정값의 정확도와 난시축 일치도 가 HRK-8000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Ⅴ. 결 론

    모바일 앱 기반 이동형 자동굴절력계(NETRA Refraction Mobilized, EYENETRA, USA)의 임상성능을 분석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1. NR은 HRK-8000, SR과 비교했을 때, 구면, 원 주, 등가구면 굴절력의 근시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2. NR은 HRK-8000, SR보다 사난시로 측정된 비율 이 높았고, SR에 대한 난시축 일치도에서 HRK-8000 보다 낮았다.

    3. SR에 대한 NR의 구면, 원주, 등가구면 굴절력의 95% 일치 한계(LOA)는 HRK-8000보다 더 넓어 정확 도가 낮았다.

    따라서 NR은 SR에 대한 정확도와 난시축의 일치도 가 HRK-8000 보다 낮아, 기존의 자동굴절력계를 대체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고, 임상에서 예비검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정확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 된다.

    Figure

    KJVS-25-2-181_F1.gif

    Exterior structure of NETRA refraction mobilized.

    KJVS-25-2-181_F2.gif

    The appearance of the targets when measured by NETRA refraction mobilized. (a): The screen with no target visible in the gaze window when started measured by NETRA refraction mobilized, (b): The screen when the red and green targets begin to appear by turning the right lever slowly, (c): The screen when the targets are clearest by turning the right lever, (d): The screen when matched the bars of the red and green targets by turning the left lever.

    KJVS-25-2-181_F3.gif

    The agreement of NETRA refraction mobilized and HRK-8000 measured values. (a): Spherical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27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2.01∼-2.63 D), (b): Cylindrical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16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1.88∼-2.20 D), (c): SE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32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2.06∼-2.67 D), (d): J0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02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1.67∼-1.72 D), (e): J45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07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2.58∼-2.71 D).

    KJVS-25-2-181_F4.gif

    The agreement of NETRA refraction mobilized and subjective refraction measured values. (a): Spherical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33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2.01∼-2.72 D), (b): Cylindrical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26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1.69∼-2.20 D), (c): SE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46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1.89∼-2.81 D), (d): J0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03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1.41∼-1.34 D), (e): J45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14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1.60∼-1.88 D).

    KJVS-25-2-181_F5.gif

    The agreement of HRK-8000 and subjective refraction measured values. (a): Spherical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06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0.84∼-0.96 D), (b): Cylindrical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15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0.42∼-0.73 D), (c): SE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0.14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0.81∼-1.09 D), (d): J0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05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1.33∼-1.22 D), (e): J45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0.07 D)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2.45∼-2.59 D).

    Table

    Distribution by age and gender of all subjects

    Refractive power error according to gender of subjective refraction values

    Refractive errors measured by NETRA refraction mobilized, HRK-8000 and subjective refraction

    Mean difference of spherical refractive errors measured by NETRA refraction mobilized, HRK-8000 and subjective refraction

    Mean difference of cylindrical refractive errors measured by NETRA refraction mobilized, HRK-8000 and subjective refraction

    Mean difference of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s measured by NETRA refraction mobilized, HRK-8000 and subjective refraction

    Concordance of the astigmatic axis measured by NETRA refraction mobilized and HRK-8000 for subjective refraction

    Concordance of astigmatic axis according to cylindrical refractive errors measured by NETRA refraction mobilized and HRK-8000 for subjective refraction

    Reference

    1. Evans B: Pickwell’s binocular vision anomalies, 5th ed., Stoneham, Butterworth Heineman Elsevier, pp. 35-36, 2007.
    2. Kim HR, Choi SM: Comparison between manifest refraction and cycloplegic refraction for the first-time spectacle wearers. J Korean Oph Opt Soc. 13(4), 145-149, 2008.
    3. Jeong WJ, Kang JH et al.: Difference between manifest refraction(MR) and cycloplegic refraction(CR) with age and myopic value. J Korean Oph Opt Soc. 18(1), 85-91, 2013.
    4. Oh SY: Refraction by fogging and unfogging method for hyperoic refractive errors. Department of Optometry, Konyang University MS Thesis, pp. 27-37, 2014.
    5. Kim DY, Park SB et al.: Comparison of noncycloplegic autorefraction, manifest refraction and cycloplegic autorefraction in school-aged children. J Korean Oph Opt Soc. 15(2), 123-130, 2010.
    6. Wosik J, Patrzykont M et al.: Comparison of refractive error measurements by three different models of autorefractors and subjective refraction in young adults. J Opt Soc Am A Opt Image Sci Vis. 36(4), B1-B6, 2019.
    7. Jeong YH: Comparison of accuracy for autorefraction according to measuring methods. JKAIS 19(8), 353-359, 2018.
    8. Kim HS, Kim HS et al.: A comparison of subjective refraction and autorefraction. Korean J Vis Sci. 12(4), 283-290, 2010.
    9. Gwiazda J, Weber C: Comparison of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and astigmatism measured with three different models of autorefractors. Optom Vis Sci. 81(1), 56-61, 2004.
    10. Elliott M, Simpson T et al.: Repeatability and accuracy of automated refraction: A comparison of the Nikon MRK-8000, the Nidek AR-1000, and subjective refraction. Optom Vis Sci. 74(6), 434-438, 1997.
    11. Chat SW, Edwards MH: Clinical evaluation of the Shin-Nippon SRW-5000 autorefractor in children. Ophthalmic Physiol Opt. 21(2), 87-100, 2001.
    12. Jung YR, Park IJ et al.: Comparison of different types of objective auto refractors with subjective refraction. Korean J Vis Sci. 23(2), 147-158, 2021.
    13. Choi JG, Kim BY et al.: Effect of visual acuity for change of astigmatism axis in myopic astigmatism. J Digital Converg. 18(5), 391-397, 2020.
    14. Guo LH, Cui P: Application of suresight handheld auto refractometer in refraction screening for infants in community health service center. DOAJ 14(8), 1548-1549, 2014.
    15. Goss DA, Grosvenor T et al.: Reliability of refraction a literature review. J Am Optom Assoc. 67(10), 619-630, 1996.
    16. Mirzajani A, Qasemi F et al.: Are the results of andheld auto-refractometer as valid as the result of table-mounted refractometer? J Curr Ophthalmol. 31(3), 305-311, 2019.
    17. Lee HK: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of subjective refraction test using auto phoroptor and trial frame, Seoul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 48-58, 2015.
    18. Lee JW, Lee KS et al.: Research of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powers by autorefractometer and the prescription using phoropter. J Korean Oph Opt Soc. 19(2), 231-237, 2014.
    19. You SA: Refractivec changes in ametropia as a function of age. Eulji University MS Thesis, pp. 6-7, 2014.
    20. Shim HS, Lee SW et al.: Accommodative response measurement using both eyes openview autorefractormeter. J Korean Oph Opt Soc. 10(4), 323-328, 2005.
    21. Thibos LN, Wheeler W et al.: Power vectors: An application of fourier analysis to the descrip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refractive error. Optom Vis Sci. 74(6), 367-375, 1997.
    22. Bland JM, Altman DG: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ing agreement between two methods of clinical measurement. Int J Nurs Stud. 47(8), 931-936, 2009.
    23. Han DK, Kim JM et al.: Analyzing performance of autorefractors with different measurement principl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2016(5), 12-12, 2016.
    24. Mah KJ, Kim SJ et al.: The analysis of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URK-700 autorefractor. Korean J Vis Sci. 8(2), 87-96, 2006.
    25. Won CH, Jung MA et al.: A study on clinical performance analysis of PRK-5000 auto ref-keratometer. Korean J Vis Sci. 7(1), 13-25,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