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5 No.4 pp.339-346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3.25.4.339

Effects of Cataracts on Quality of Life

Wan-Kee Kim1), Eun-Hee Lee2)
1)Dept. of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Ansan University, Professor, Ansan
2)Dep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Professor, Eumseong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Eun-Hee Lee (https://orcid.org/0000-0003-0892-3144) Dep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Eumseong TEL: +82-43-879-3701, E-mail: ehlee@kdu.ac.kr
November 10, 2023 December 12, 2023 December 12, 2023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taracts on quality of life in adults over 40 years of age using raw data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6-2018).



Methods :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ge, depression, and illness-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4,394 adults aged 40 years and older who responded to a diagnosis of cataract in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Dichotomized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X2). Relationships between catarac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sub-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djusting for the effects of age and gender. A value of p<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rrected for age and gender, catarac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ataracts in terms of motor ability (walking activity), pain and discomfort, anxiety and depression. In terms of restrictions on motor ability (walking activity), cataract disease patients were 1.37 times (95% CI: 1.14-1.65), pain and discomfort were 1.3 times (95% CI: 1.11-1.51), and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1.38 times (95% CI: 1.10-3.75) at increased risk, confirming that cataracts significantly lower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However, in terms of self-care (bath or dressing) and daily life, after correcting age and gender,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taracts could not be confirmed.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cataracts affect exercise ability, pain/comfort, anxiety/ depression, etc., which can also reduce the quality of life.



백내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완기1), 이은희2)
1)안산대학교 보건의료정보학과, 교수, 경기
2)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충북

    Ⅰ. 서 론

    건강 관련 삶의 질(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이란 건강 수준(생물학적 기능, 증상, 기능 상태, 일반적 건강지각 등)이나 질병 정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삶의 질을 말하는데, 일상생활에서의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다 면적 개념으로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의 기능을 포함하는 건강과 안녕을 말한다.1,2)

    최근 인구 고령화가 사회의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3) 여러 가지 사회문제 중 대표적인 것이 노인들 의 경제력 상실과 삶의 질 저하 그리고 각종 노인성 질 환의 발병이다.4-6) 노인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4) 또한, 사회적인 고립 도 노인층의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지지 부족으로 삶의 질 저하를 일으키게 되는 것 이다.4-7) 이와 같은 문제들은 건강실천 행위의 부족으로 이어져 노인 관련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계기가 만들어 지게 된다.5)

    노인 관련 질환 중에서 눈 관련 질환들도 사회적 문제 로 인식되고 있는데, 60대 이상 노인에서 가장 발생빈도 가 높은 안질환은 백내장이다.8-10) 백내장은 선행연구 결과들처럼 나이와 깊은 관계가 있는 질병이다.11-14) 나 이가 높아질수록 신체활동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 적 지지를 못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삶의 질 도 떨어지게 된다고 한다.15-18) 노년백내장은 노화로 인 한 후천적 수정체 혼탁질환으로 시력장애와 실명의 주된 원인이다.11-14,19,20) 이런 백내장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보통 백내장 초음파유화흡인술과 인공수정체삽입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11,12) 백내장 관련 수술비용은 매 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5년 대비 2030년에 백 내장 관련 의료비용이 30%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등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2)

    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일부 한정적인 병원과 지역 에서의 백내장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심으로 시행되어, 대규모의 넓은 나 이대의 백내장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부족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의 자료를 이용 하여 40세 이상의 백내장 환자들을 대상으로 백내장 유 무에 따른 우울증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 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제7기 (2016-2018)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한국의 국민건강증진법에 근거하 여 시행하는 국민의 건강형태, 만성질환 유병현황, 식품 및 영양섭취실태에 관한 법정조사이며, 한국의 통계법에 근거한 정부지정통계이다. 조사 대상자는 10,453명으 로, 참여가구는 3,518가구, 참여자는 7,992명으로 조사 지표에는 건강행태(흡연, 음주, 신체활동), 영양섭취, 만 성질환 등 약 500개의 지표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체 응답자 중 40세 이상의 성인 으로 백내장에 대한 진단 여부에 응답한 4,394명을 대상 으로 하였으며, 관련 변수와의 관계를 보는 분석에서 일 부 미응답 대상자들이 있어 결측값도 존재하게 된다.

    2. 연구방법

    백내장 진단여부에 따른 성별, 나이 등의 건강면접조 사는 자기기입식 설문작성 내용을 참고하였다. 백내장이 삶의 질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EuroQol-5 (EQ-5D) 조사표를 본 조사에 사용하였다. EQ-5D 조 사표 항목은 운동능력(걷는데 지장이 없는지), 자기관리 (목욕을 하거나 옷을 입는데 지장이 없는지), 일상생활 을 하는데 지장이 없는지, 통증/불편감이 없는지, 불안 하거나 우울하지 않은지 등의 5가지 문항에서 오늘 본인 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것이다. 이 5가지 차원의 기술 체계를 계산한 효용값이 삶의 질 지수(EQ-5D index) 인데, 이미 선행연구에서 대부분 사용되고 발표되어진 경우가 많아 본 조사에서는 활용하지 않았다.

    3. 통계분석

    본 연구를 위한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0(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해 진행하 였으며 모든 통계를 분석할 때 p<0.050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대상자들 가운데 백내장 진단 여부 에 따른 성별, 나이, 삶의 질 등의 분포 차이는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 X2)을 하였다. 또한, 백내장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나이와 성별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이용 해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Model 1은 보정 전, Model 2 는 나이와 성별에 따른 보정을 이용해 유의성을 확인하 였다.

    Ⅲ. 결 과

    1. 성별과 나이에 따른 백내장의 관계 분석

    전체 대상자 4,394명 중 남성이 1,867명, 여성은 2,527명이었다. 남성 대상자 중에서 백내장을 진단받은 경우는 344명으로 남성 전체의 18.4%에 불과했다. 하지 만, 여성 대상자 중에서 백내장을 진단받은 경우는 616 명으로 여성 전체의 24.4%로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백내장과 나이와의 관계를 분석한 자료에서도 유의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40대에서 백내장을 진 단받은 대상자는 1.5%, 50대에서는 7.1%, 60대에서는 23.4%, 70대에서는 56.3%가 백내장을 진단받았다고 응답하여 나이가 증가할수록 백내장 유병률이 높아졌다 (Table 1).

    2. 우울증과 백내장의 관계 분석

    백내장과 우울증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우울증 유병 자의 백내장 진단 여부를 분석하였다. 우울증이 없는 사람 들 내에서 백내장 진단받은 사람은 20.3%였으나, 우울증 을 진단받은 사람 내에서 백내장을 함께 가지고 있는 대상 자는 36.9%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2).

    나이와 성별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 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보정된 결과에서는 우 울증의 경우 나이와 성별에 따른 보정을 하더라도 백내 장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정 전에는 백내장 환자가 우울증에 걸릴 위험도가 2.29배 였으나, 나이와 성별을 보정한 뒤에는 1.95배로 감소하 였다(Table 3).

    3. 삶의 질과 백내장의 관계 분석

    백내장이 삶의 질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각 질 환에 따른 백내장 진단 여부를 분석하였다. 삶의 질을 묻는 질문에서 백내장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에서 현저 하게 삶의 질이 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 동능력에서는 걷는 활동에 지장이 없다는 대상자 중 백 내장에 걸린 대상자는 15.9%였는데, 종일 누워 있다고 답한 대상자 중에서 백내장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는 66.7%였다. 자기관리 면에서는 목욕과 옷 입기에 지장 이 없다고 대상자 중 백내장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는 19.8%이었지만, 역시 혼자 할 수 없다고 답한 대상자 중에서는 53.3%가 백내장을 진단받은 경우였다. 일상생 활 면에서도 지장이 없다고 답한 대상자 중 백내장을 가 지고 있는 대상자는 18.7%, 일상생활을 할 수 없다고 답한 대상자 중 백내장을 진단받은 대상자는 48.0%였 다. 또한, 통증과 불편한 부분을 묻는 질문에서도 건강 하다고 답한 대상자 중 백내장 환자는 17.3%였고, 반대 로 통증과 불편이 매우 심하다고 답한 대상자 중에 백내 장 환자는 47.9%나 되었다. 불안과 우울 면에서도 없다 고 답한 대상자 중 백내장 환자는 19.9%에 머물렀지만, 불안과 우울이 매우 심하다고 답한 대상자 중 백내장 환 자는 57.6%로 높아 백내장의 발병과 삶의 질 사이에 유 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4).

    또한, 백내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나이와 성별에 의 한 삶의 질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 을 하였다. 보정된 결과에서는 운동능력(걷는 활동), 통 증과 불편, 불안과 우울 면에서 나이와 성별에 따른 보 정을 하더라고 백내장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보정 후 에는 운동능력의 경우 위험도가 3.76배에서 1.37배로 감소하였고, 통증과 불편은 2.05배에서 1.30배로 그리 고 불안과 우울은 1.88배에서 1.38배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다. 그러나 자기관리(목욕 또는 옷 입기), 일 상생활 면에서는 나이와 성별을 보정한 뒤 백내장과 유 의한 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Table 5).

    Ⅳ. 고찰 및 결론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 원 시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성인에서 백내장이 우울 증 그리고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보면, 백내장은 나이와 깊은 관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4)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 백내장은 나이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대상자보다 백내장 유병률이 50대에서는 5배, 60 대는 15배 그리고 70대 이상에서는 38배가량 높은 것으 로 조사되어, 나이와 백내장의 관련성은 기존 연구 결과 와 일치하였다.

    백내장 질환은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의학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는데 우리의 연구 결과 백내장 진단을 받은 대상자는 우울증에 대한 위험도가 1.95배나 높은 것으 로 조사되었다. 삶의 질에서도 운동능력(걷는 활동), 자 기관리(목욕 또는 옷 입기), 일상생활, 통증/불편, 불안/ 우울 등의 5가지 항목 모두 백내장과 유의한 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나이와 성별에 따른 보정을 한 결과 자기관리와 일상생활에서는 백내장과 유의한 관계 를 확인할 수 없었다. 삶의 질을 나타내는 운동능력(걷 는 활동)에 대한 제한에서는 백내장 질환자가 1.37배나 그 위험도가 높았으며, 통증과 불편함은 1.3배 그리고 불안과 우울한 증상은 위험도가 1.38배나 높게 나타나 백내장이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현저하게 낮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내장의 주 위험군인 노인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 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한다. 즉, 신체적, 사 회적으로 수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노인에게 건강상태는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의미라고 볼 수 있다.21-23) 그러나 백내장으로 인해 각종 질환에 대한 위험도가 높 아지고 결국, 노인들의 삶의 질도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 는 것이다.24-26)

    다만, 본 연구는 단면연구로 인해 백내장과 다른 위험 요인들 간의 시간적 선·후 관계를 고려할 수 없다는 제 한점이 있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 였기 때문에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그런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백내장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Figure

    Table

    Presence of cataract according to gender, age (Unit: number, %)

    Presence of cataracts according to depression (Unit: number, %)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taracts according to depression

    Presence of cataracts according to quality of life (Unit: number, %)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taracts according to quality of life

    Reference

    1. Ju YJ: A path analysis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Kongju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pp. 8-9, 2013.
    2. Kim SJ, Jeon MJ: Adul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National big data utilization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KEIA 14(8), 455-465, 2020.
    3. Lee SY: The 2023 outlook for population policy. Health Welfare Policy Forum 315, 63-76, 2023.
    4. Choi YH: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solitary elderly in rural area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ion 21(2), 87-100 2004.
    5. Lee SE: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with chronic illness. Mental Health Soc Work 40(1), 234-262, 2012.
    6. Kim SN, Lee SB: Spiritual well-being,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 East-West Nurs Res. 19(2), 196-204, 2023.
    7. Choi HS: A study on the senior quality of life factors. JKAIS 20(12), 314-321, 2019.
    8. Pak HY, Lee EH et 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ataract and macular degeneration by in Korean aged 60 years and over. J Korea Converg Soc. 8(10), 273-279, 2017.
    9. Park JH: Prevalence and odds ratio analysis of cataract related with age, sex, resions and social status. Korean J Vis Sci. 15(1), 83-92, 2013.
    10. Han SH, Kim BH et al.: A study on ocular disease by ages in Ulsan. J Korean Oph Opt Soc. 19(3), 403-406, 2014.
    11. Park SY, Choi SK: The effect of cataract surgery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adults. J Korean Ophthalmol Soc. 60(1), 25-31, 2019.
    12. Rim HT, Woo YJ et al.: Current status and future expectations of cataract surgery in Korea: KNHANES Ⅳ. J Korean Ophthalmol Soc. 55(12), 1772-1778, 2014.
    13. Ryu SY, Kim JW et al.: Estimated incidence and cost projections of cataract surgery in the Republic of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60(9), 829-834, 2019.
    14. Liu YC, Wilkins M et al.: Cataracts. The Lancet 390(10094), 600-612, 2017.
    15. Lee DH, Bin SO: Structure relationships for diseased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 Korea Contents Assoc. 11(1), 216-224, 2011.
    16. Kim SA, Jung HS: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in different age group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70, 95-104, 2019.
    17. Kim BJ, Lee MJ: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Koreans-Focus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come sources-. Korea Assoc Comm Welfare Stud. 75, 1-27, 2020.
    18. Kim SK, Cho DH et al.: Factors affecting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KSSS 22(3), 129-141, 2019.
    19. Kim HJ: Prevalence of cataract with different type of lens opacity in the Korean population. J Korean Oph Opt Soc. 18(1), 53-59, 2013.
    20. Ye KH, Lee WS: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cataract patients (By the EQ-5D(Euro quality of life-5 dimension standard)). J Korean Oph Opt Soc. 22(1), 89-95, 2017.
    21. Nam YH, Nam JR: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in Korea. Korean J Family Welfare 16(4), 145-162, 2011.
    22. Mo F, Choi BCK et al.: Using health utility index (HUI) for measuring the impa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L) among individuals with chronic diseases. Scientific World J. 4, 746–757, 2004.
    23. Peña ME, García RJ et al.: Impact of the most frequent chronic health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aged >15 years in Madrid. Eur J Public Health. 20(1), 78-84, 2009.
    24. Morris D, Fraser SG et al.: Cataract surgery and quality of life implications. Clin Interv Aging. 2(1), 105-108, 2022.
    25. Datta S, Foss AJE et al.: The importance of acuity, stereopsis, and contrast sensitivity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with cataracts. Invest Ophthalmol Vis Sci. 49(1), 1-6, 2008.
    26. Lee JE, Fos PJ et al.: Assess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ataract pati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util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ment. Qual Life Res. 9(10), 1127-1135,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