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5 No.4 pp.347-35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3.25.4.347

Self-Assessment of Soft Contact Lens Wear and Care among University Students

Jae-Sun Choi1), Jeong-Mee Kim2)
1)Dep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Far East University, Professor, Eumseong
2)Dep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Professor, Eumseong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eong-Mee Kim (http://orcid.org/0000-0002-9199-7357) Dep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Eumseong TEL: +82-43-880-3826, E-mail: kijeme@hanmail.net
November 20, 2023 December 14, 2023 December 20, 2023

Abstract


Purpose : To determine the perceptions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regarding contact lens wear and care, and their knowledge of adverse effects of contact lens wear by self-assessment.



Methods : An online survey using smartphone was conducted by Naver and Google questionnaires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wearing soft contact lenses.



Results : Two hundred twenty-eight soft lens wear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average age was 20.9±1.7 years (female 72.8%; male 27.2%) were university students. Approximately 25.4% of respondents did not receive training and practices for safe soft lens wear and 14.1% evaluated themselves as poor at wearing and caring for soft lenses. The most uncomfortable symptom of soft lens wear was dryness at 76.3%, and 36.0% experienced soft lens-related adverse events. The higher type of adverse event was conjunctivitis, and the most common self-reported cause of contact lens-related adverse events was improper lens care and non-compliance to lens wear regimens.



Conclusion : Based on the self-assessment of soft lens care that resulted from this survey, we believe that a more proactive approach to intervention by contact lens practitioners is still needed to prevent the risk of adverse events and improve soft lens wearer behavior.



대학생 대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에 대한 자가 평가

최재선1), 김정미2)
1)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교수, 음성
2)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음성

    Ⅰ. 서 론

    전 세계적으로 근시 유병률의 증가는 글로벌 콘택트 렌즈 시장 성장으로 이어져 2023년 콘택트렌즈 산업은 약 13%의 양적 성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 다.1) 매년 글로벌 콘택트렌즈 처방 경향을 발표하는 보 고서에 따르면, 2022년도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피팅은 전체 콘택트렌즈의 86%를 차지하였다.2) 소프트렌즈의 착용은 안경으로 인한 불편함을 덜어주고 시력 교정과 미용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 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소프트렌즈 착용의 성공과 안전 성은 잠재적인 부작용과 감염에 대한 적절하고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데 소프트렌즈 착용자의 일부는 부 적절한 렌즈 착용과 잘못된 렌즈 관리로 인해 눈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3-6) 콘택트렌즈는 안경과 달리 각막과 결막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렌즈의 종류 및 재 질의 차이, 관리용액의 부작용, 사용자의 부적절한 위생 상태 및 렌즈 관리에 의해 각막염, 각막 궤양, 거대유두 결막염 등 염증 및 감염 관련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7-9) 콘택트렌즈 착용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 나는 미생물에 의한 각막염으로 시력 저하는 물론이고 심각하게는 실명을 초래할 수도 있다.10,11)

    소비자보호원은 2020년 11월에 콘택트렌즈 착용 시 주의사항을 준수하지 않아 부작용의 사례가 늘고 있으므 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하였다.12) 국내에서 콘택트렌즈 사용은 안경사의 처방에 따라 손쉽 게 안경원에서 콘택트렌즈 구매가 가능하여 부작용 및 사후 관리가 이슈화될 때 콘택트렌즈 전문가의 처방 및 부작용 진단 그리고 사후 관리가 철저히 요구되는 선진 국의 시스템과 비교된다. 또한, 최근에는 콘택트렌즈 착 용 후보자의 나이가 점점 어려지고 있어 콘택트렌즈 실 무자들은 렌즈 사용 및 부작용 발생에 대한 교육에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소프트렌즈 착용 및 관리에 대한 인식과 콘택 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부작용 관련 지식을 자가 평가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눈 건강 예방과 눈 건강 증진에 좀 더 기여할 수 있는 계기 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자 선정

    본 연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네이버와 구글 설문지를 이용하여 스 마트폰 온라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학생 249명이 설 문지에 응답하였고, 그 중에서 228명의 설문 내용을 분 석하였다. 설문 참여에 동의한 경우만 설문이 진행되도 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자료 분석

    1) 소프트 콘택트렌즈 사용 현황과 콘택트렌즈 관리 및 부작용 인식 관련 설문 항목

    본 설문 내용에는 소프트렌즈 종류, 렌즈 재질, 렌즈 교체 주기, 렌즈와 렌즈 관리용액 구매 장소 등을 포함 하는 콘택트렌즈의 구매 실태와 소프트렌즈 일일 착용 시간, 렌즈 착용 및 관리 방법의 준수 사항을 교육받고 이행을 잘하고 있는지 그리고 렌즈 관리의 교육 방법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소프트렌즈 착용 시 나타나는 주된 불편한 증상들도 조 사하였고, 소프트렌즈 착용과 렌즈 관리의 연관성을 고 려하여 부작용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는지 부작용 종류 및 발생 시기, 부작용 원인의 자기 평가 등을 포함하여 평가하였다.

    2) 데이터 분석

    데이터 입력, 코팅 및 분석은 SPSS Version 21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 다. 데이터 설명을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기술통 계는 빈도 분석을 통하여 각 문항의 빈도를 제시하고, 평균(Mean)±표준편차(SD)로 나타냈다. 범주형 데이터 에 대한 서로 다른 두 그룹의 변수 비교는 카이제곱 검 정(Chi-square test), 나머지 변수 비교에는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 석 결과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0로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경험이 있 는 대상자(평균 20.93±1.72세)는 총 228명으로 여성 과 남성은 각각 166명(72.8%)과 62명(27.2%)으로 여성 의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남성보다 거의 3배 많았다. 소 프트렌즈 착용 목적은 시력교정이 23.7%, 미용을 위한 착용이 32.5%, 안경보다 활동의 편리성 때문에 착용한 다는 응답이 43.8%를 차지하였다. 소프트렌즈 착용 기 간은 평균 4.71±2.57년으로 가장 적은 기간은 6개월에 서 가장 오래 착용한 대상자는 13년 차로 나타났다. 또 한, 소프트렌즈를 처음 착용한 시기를 조사한 결과, 초 등학교 시절 응답자는 1.8%, 중학생 시절 40.8%, 고등 학생 시절 32.9%, 대학생이 된 후 착용이 24.6%로 중 학생 때 콘택트렌즈를 처음 착용하는 경우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소프트렌즈 하루 착용 시간은 평균 9.76 시간 으로 1-5시간 착용은 2.6%, 6-12시간 착용은 86.0%, 13시간 이상 착용은 11.4%로 조사되었고, 1주일에 평 균적으로 4.88일 착용하며 매일 착용 스케줄로 1일 착 용자부터 일주일 내내 착용하는 다양한 착용 스케줄을 나타냈다. 또한, 착용하고 있는 소프트렌즈 종류는 일반 소프트렌즈와 미용 컬러렌즈가 각각 53.1%와 37.7%를 차지하였고, 두 종류 모두 이용한다는 응답자도 9.2%였 다. 현재 착용하고 있는 소프트렌즈의 재질을 알고 있는 지 조사한 내용에서는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자는 23.7%,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는 41.7%로 산소 투과율이 좋은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의 선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 으나 착용하는 렌즈의 재질을 모른다는 응답자도 34.6% 로 나타났다. 가장 선호하는 렌즈의 교체 주기는 한 달 착용 렌즈로 53.1%를 차지하였고, 하루 착용 일회용 렌즈는 32.0%로 그 뒤를 이었다. 1-2주 착용 렌즈와 3-6달 착용 렌즈는 각각 6.6%와 8.3%로 나타났다 (Table 1).

    소프트렌즈의 구매 경로는 안경원, 콘택트렌즈 전문 점, 안과, 온라인 등이 있으나 안경원과 콘택트렌즈 전 문점에서 구매가 95.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안과, 온라인 및 기타 경로에서는 각각 2.2%로 나타났다. 콘 택트렌즈 관리용액의 구매도 안경원과 콘택트렌즈 전문 점이 71.7%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편의점이나 마트에서도 구매 가능하여 콘택트렌즈 구매 비중보다는 다소 감소하고 있었다. 또한, 관리용액의 경우 안과 및 약국, 온라인 등을 이용한 구매는 각각 7.0%, 10.5%로 이용하였다(Fig. 1).

    소프트렌즈 구매 후 안전한 렌즈 착용을 위해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자는 74.6%였고, 교육 접근방법으로는 구 두로 설명하면서 렌즈 착용 및 제거 연습은 50.9%, 브 로셔를 이용한 정보 제공과 렌즈 착용 및 제거 연습은 11.4%, 영상을 이용한 정보 제공과 렌즈 착용 및 제거 연습은 7.9%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실무자에게 교육 을 받지 못한 경우이거나 부족하다고 생각한 렌즈 착용 자가 스스로 인터넷이나 유튜브를 통하여 정보를 얻은 경우도 29.8%나 되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실무자에게 교육을 받았을 때 안전한 콘택트렌즈 착용에 매우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자는 18.4%, 일반적으로 도 움이 되었다는 응답자는 43.9%,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자도 12.3%나 되었다. 정해진 소프트렌즈 교체 주 기를 잘 지켰다는 응답자는 73.7%였고, 정해진 기간보 다 좀 더 오래 착용했다는 응답자는 26.3%로 나타났다. 소프트렌즈를 사용할 때 손을 씻고서 렌즈를 다루는 등 위생 수칙과 올바른 렌즈 관리에 잘 순응해서 사용했다 는 응답자는 21.9%, 보통 수준으로 준수했다는 응답자 는 64.0%로 가장 높았고, 불량한 순응자는 14.0%였다. 소프트렌즈 착용과 관련하여 부작용을 경험한 응답자 는 36.0%였고, 현재까지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소프 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64.0%로 나타났다 (Table 2).

    본 연구에서 소프트렌즈를 착용하면서 경험하는 불편 한 증상을 중복 응답한 결과 건조감이 76.3%로 가장 높 게 나타났고, 이물감과 충혈은 각각, 46.9%와 39.9%, 쓰라림/자극감, 가려움, 눈물 흘림, 시력 저하 그리고 쑤시는 듯한 아픔 등의 증상은 순서대로 26.8%, 22.8%, 19.7%, 18.4%, 15.8%로 나타났다(Fig. 2).

    소프트렌즈 착용과 관련하여 부작용을 경험한 36.0% 의 응답자 중에서 결막염이 69.5%로 가장 많이 발생하 였고, 각막염은 9.8%, 안구건조증을 포함하는 기타 부 작용 경험 응답자는 20.7%였다. 이러한 부작용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는 소프트렌즈 착용이 1년 이상인 경우 가 31.7%를 차지하였다. 렌즈 착용 후 1달 미만에 부작 용을 경험한 경우는 19.5%, 6개월~1년 사이는 19.5%, 1~3달 사이는 14.6%, 3~6개월 사이는 14.6%로 나타 났다. 부작용 치료 후에도 콘택트렌즈를 계속 착용하겠 다는 응답자는 92.7%로 나타났다. 각막굴절수술을 고려 해 보겠다는 응답자도 70.7%를 차지했다(Table 3).

    소프트렌즈 착용 후 부작용을 경험한 응답자는 부작 용의 위험 원인으로 부주의한 렌즈 관리 및 장시간 렌즈 착용 등을 포함하는 렌즈 착용 관련 주의사항을 준수하 지 않았다는 대답이 56.1%로 가장 많았고, 적절하지 않 은 피팅 및 처방이나 렌즈 재질 및 관리용액에 대한 알 러지 등을 포함하여 나의 눈에 맞지 않는 렌즈 사용이 부작용 요인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는 23.2%였다. 렌즈 관리용액의 잘못된 사용 또는 유효기간을 지키지 않는 등 관리용액 관리가 적절하지 않아 발생한 경우가 7.3% 였고, 찢어진 렌즈를 착용하는 등 렌즈에 결함이 있어 부작용이 발생하였다고 응답한 경우도 7.3%로 자가진단 을 하였다(Table 4).

    Table 5는 일반렌즈와 컬러렌즈 두 그룹으로 분류하 였고, 일반렌즈와 컬러렌즈 모두 착용한다고 응답한 착 용자는 두 그룹 각각에 포함되지 않았다. 컬러렌즈 그룹 에 남학생은 없었고, 초등학생 포함 중학생 때부터 소프 트렌즈를 처음 착용한 경우는 컬러렌즈(45.4%)의 비율 이 일반렌즈(33.9%)보다 높았다. 일반렌즈 착용자의 경 우 실리콘 하이드로겔은 49.6%였고, 렌즈 교체 주기는 하루 착용 일회용 렌즈(42.1%)를 제일 선호하였다. 반 면에 컬러렌즈 착용자의 경우는 실리콘 하이드로겔은 32.6%를 차지하였고, 렌즈 교체 주기는 한 달 착용 렌 즈(68.6%)를 더 선호하였다. 소프트렌즈를 처음 착용 시 렌즈 착용 및 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은 일반렌즈 착용자(82.6%)의 비율이 컬러렌즈(61.6%)보 다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렌즈 착용 후 부작용 유병률은 컬러렌즈 착용자 그룹에서 높게 나왔으 나 일반렌즈와 컬러렌즈 착용자의 두 그룹 사이에 유의 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195).

    Ⅳ. 고 찰

    본 연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소 프트렌즈 착용 및 관리에 대한 인식과 부작용 관련 지식 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2000년 부터 2020년까지 콘택트렌즈 처방 데이터를 기반으로 Morgan과 Efron에 의해 주요 20개국의 콘택트렌즈 피 팅 경향을 분석한 결과, 소프트렌즈 재질인 실리콘 하이 드로겔과 하이드로겔 중에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피팅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하루 착용 일회용 렌 즈의 피팅 비율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 또한, 콘택트렌즈 피팅의 65~70%가 여성에게 피 팅된 것으로 나타났다.13) 선진국의 여러 자료 및 조사에 서도 하루 착용 일회용 렌즈는 전체 피팅의 절반에 가까 운 수준으로 급증하면서 교체 주기 측면에서 선두를 유 지하고 있었으며, 우리와는 대조적으로 온라인에서 소프 트렌즈 구매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14,15) 우리나라에서도 하루 착용 일회용 렌즈의 사 용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본 설문조사에서는 한 달 착용 렌즈의 사용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 트렌즈의 사용 현황은 본 연구의 조사 결과도 글로벌 데 이터의 경향과 비슷한 추세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의 소프트렌즈는 하이드로겔 재질의 특성으로 착 용감의 편안함을 추구하였으나 연속 착용 및 저산소증 등의 문제를 지니면서 눈 건강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 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택트렌즈 재질 개 발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였고 그 결과 산소 투과성이 우수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이 출시되고 보다 유연한 착용 방식을 선택하면서 저산소증에 의한 눈 건강 문제 를 개선시켜 왔다.16,17)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택트렌즈 착 용의 보편화에 따른 부작용은 여전히 남아있어 렌즈 사 용에 대한 관리가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눈의 감 염 위험성은 증가하게 된다. 과거에는 세균에 의한 각막 염의 부작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나, 콘택트렌즈와 관련하여 발생된 각막염은 경미한 각막 손상으로 시작하 여 심각한 합병증인 각막 궤양으로까지 진행되면서 실명 으로 이어질 수 있어 콘택트렌즈 전문가들은 콘택트렌즈 관련 합병증의 원인에 주목하기 시작했다.11,18,19)

    본 연구에서 소프트렌즈 착용자의 36%가 부작용을 경험했으며, 이는 전반적으로 다른 연구의 결과와 유사 하다.15,20,21) 이번 설문 응답자인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은 콘택트렌즈 관련 부작용으로 결막염과 각막염을 잘 인식 하고 있는 반면에, 안구건조는 안질환이라는 인식보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서 경험하는 불편한 증상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 조사에서 소프트렌즈 를 착용하면서 경험하는 불편한 증상 중 건조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구건조증은 건성각결막염으로도 알려 져 있는 눈물막과 안구표면에 영향을 미치는 다인자성 안질환으로 안구표면의 질환 위험성을 증가시켜 각막상 피 손상, 각막염, 각결막염 등으로 시력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2,23) 안구건조증의 위험 요인 중 하나인 콘택트렌즈의 장시간 착용은 안구건조 증상이 더 빈번하 고 심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24-26) 본 조사에서도 하루 13시간 이상 렌즈를 착용한다는 응답 자가 11.4%로 나타났다. 소프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대 학생들의 안구건조 유병률 조사에서,27-29) 유병률이 50%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콘택트렌즈의 장시간 착용과 안구건조의 관련 위험성에 대한 교육이 더욱 강조될 필 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아시아 국가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인구 중 컬러렌즈 착용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커지면서, 컬러렌즈 착 용자의 감염은 아시아에서 콘택트렌즈 관련 감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0) 컬러렌즈는 착색제 사용으로 렌즈표면이 거칠어질 수밖에 없어 컬러 렌즈 착용은 감염에 더욱 취약할 수 있다.31.32) Stapleton 등33)에 의해 아시아 8개국 11개 센터에서 12개월 동안 미용 목적의 콘택트렌즈 착용자와 시력교정을 위한 착용 자의 감염률을 비교한 연구에서 각막 감염이 있는 컬러 렌즈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젊은 여성이며 하이드로겔 재 질의 렌즈를 착용하고 있었고, 미용 컬러렌즈 착용자 (9%)가 시력교정 렌즈 착용자(1%)보다 가시아메바 각막 염 발생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33) 여기에 더 우려스러운 점은 각막염이 있는 컬러렌즈 사용자는 일반 투명렌즈 사용자보다 각막염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 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33) 한국의 경우, Kim 등7)에 의한 연구에서도 미용 목적의 컬러렌즈 착용으로 인하여 합병증의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는데, 특히 나이가 어린 10대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컬러렌즈 착용이 증가하고 있어 부작용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 다.7) 미용 컬러렌즈의 안전성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 조사에서는 현재 착용하고 있는 소프트렌 즈 종류는 컬러렌즈보다 일반렌즈의 착용 비율이 더 높 았다. 그러나 컬러렌즈 착용자가 일반 소프트렌즈 착용 자보다 부작용 발생 비율이 다소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 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최근 일본 여성을 대상 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서도 일반 소프트렌즈와 컬러렌 즈 착용자 그룹 사이에서 부작용 발생 비율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15) 이러한 결과는 컬러렌즈 재질의 변화 및 교체 주기가 짧아지는 추세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소프트렌즈를 처음 착용하는 시기가 중학생 시 절의 비중이 제일 높은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렌즈 착 용자의 나이가 점점 어려지고 있고 이 시기에 일반렌즈 착용보다 컬러렌즈의 착용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반렌즈와 컬러렌즈 착용자의 콘택트렌즈 착용 현황을 비교해 보면, 일반렌즈 그룹에서 실리콘하이드로겔 재질 의 사용 비율이 더 높았고, 교체 주기도 하루 착용 일회 용과 한 달 착용의 비율이 비슷한 반면, 컬러렌즈 그룹 에서 한 달 착용 교체 주기가 하루 착용 일회용 렌즈보 다는 거의 3.5배 많았고, 렌즈 착용 및 관리에 관한 교 육도 컬러렌즈 착용자가 일반렌즈 착용자보다 낮게 나타 났다.

    렌즈의 교체 주기 일정 준수 여부는 눈 합병증 위험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 구에서 교체 주기가 서로 다른 렌즈에 대하여 각각 교체 주기의 준수 사항을 조사하지 않았으나 전체적으로 권장 시기에 맞게 렌즈를 교체하여 사용한다는 응답자는 약 74%로 나타났다. 렌즈의 교체 주기가 짧을수록 눈의 부 작용 위험이 낮아져 특히, 하루 착용 일회용 렌즈의 사용 은 다른 어떤 유형의 콘택트렌즈보다 부작용 위험이 이론 적으로 낮다. 그러나 소프트렌즈 착용자들은 권장된 렌 즈 교체 주기보다 더 오래 착용하면서 콘택트렌즈 관련 문제의 발생률이 더 높아지고 있다.21,34-36) Cope 등21) 은 하루 착용 일회용 렌즈의 착용자 중에서 약 60%가 하루 이상 렌즈 케이스에 보관하고, 이 중 80% 이상이 수돗물에 보관하여 일회용 렌즈를 연장하여 사용한다고 보고했다.21)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심각성을 인식한 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는 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 다음 세 가 지 위생 수칙을 준수할 것을 권고하였다: 첫째, 수돗물 을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를 보관 또는 헹구지 않기, 둘 째, 렌즈 소독액을 올바르게 사용하기, 셋째, 렌즈 케이 스 사용 시 올바르게 관리하기.21) 렌즈 재사용의 주된 이유는 비용적인 측면이 60%를 차지하였고, 특히 하루 착용 일회용 렌즈의 재사용은 렌즈 삽입 시의 착용감과 렌즈 제거 전의 편안함을 감소시킨다고 밝혔다.36) 또한 2주 교체 렌즈가 1달 교체 렌즈보다 권장 시기에 렌즈를 교체하지 않고 더 길게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4)

    본 연구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를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이행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86%로 나타났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이전 연구에 따르면, 콘 택트렌즈 착용자의 렌즈 관리 및 위생에 대한 이행 수준 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5,37-39) 중동 지역의 대학생 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렌즈 착용 및 관 리 행동에 대한 평가에서 75% 정도의 높은 순응도를 보 인 반면,37) 스페인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콘택트렌즈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는 응답자가 65%, 렌즈를 착용하고 물에 자주 노출되는 경 우가 42%로 나타났다.38) 태국의 대학생을 조사한 연구 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행동을 양호하게 이행 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보통 수준의 57%로 나타났다.39) 이들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콘택트렌즈 관리의 순응도가 낮은 경우는 사후 관리를 위한 방문이 낮고, 렌즈를 권장 시간 및 권장 교체 주기보다 더 오래 착용 하고, 렌즈를 착용하고 샤워/수영 및 잠자기, 특히 온라 인에서 렌즈를 구매한 경우 적절한 렌즈 관리 수준이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의 낮은 순응도는 렌즈 착용의 불편함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증상 이 악화되어 각막 궤양 및 각막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 에 이르게 하는 위험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8-11,40,41) 본 연구에서도 소프트렌즈 관련 부작용을 경험한 착용자 는 부주의한 렌즈 관리 및 렌즈 착용 관련 주의사항의 미준수가 부작용의 위험 원인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56.1%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관련 부작용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렌즈 착용자에게 모호하지 않은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는 교육이 정기적인 사후 관리 방문을 통하여 반 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렌즈 착 용자에게 관리지침 이행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고 렌즈 착용자의 행동을 개선시키며 보다 안전한 렌즈 착용 방 식, 착용 스케줄, 위생 관리의 준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하는 것은 콘택트렌즈 실무자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소 프트렌즈 착용 및 관리에 대한 인식과 콘택트렌즈 착용 으로 인한 부작용의 위험에 대한 지식을 자가 평가를 통 해 확인하였다.

    1.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처음 착용하는 시기는 중학 생일 때 4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반 소프 트렌즈와 미용 컬러렌즈가 각각 53.1%와 37.7% 를 차지하였다. 실리콘하이드로겔 재질이 하이드 로겔 재질보다 더 많이 선택되고 있으며, 렌즈의 교체주기는 한 달 착용렌즈가 53.1%로 가장 높게 선호되었다. 소프트렌즈를 하루 13시간 이상 착용 하는 비율은 11.4%로 나타났다.

    2. 소프트렌즈 구매 후 안전한 렌즈 착용을 위해 교육 을 받았다는 응답자는 74.6%였고, 말로 설명하는 교육방법이 50.9%로 차지하였다. 교육 내용이 전 반적으로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자는 62.3%였다. 또한 소프트렌즈를 사용할 때 위생 수칙 및 올바른 렌즈 관리지침에 전반적으로 준수하여 사용한다는 응답자는 85.9%로 나타났다.

    3. 소프트렌즈 착용으로 가장 불편한 증상은 건조감 으로 76.3%를 차지하였고, 콘택트렌즈 착용과 관 련하여 부작용을 경험한 응답자는 36.0%로 나타 났다. 부작용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부적절한 렌즈 관리와 렌즈 착용 관련지침을 잘 따르지 않았다는 대답이 5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나타난 소프트렌즈 관리에 대한 자가 평 가에 따르면,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의 순응도는 평균 85.9%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좀 더 안전한 콘택트 렌즈 착용을 위해서 사후 관리 방문의 필요성과 좀 더 효과적인 교육 접근방법으로 렌즈 착용자의 교육이 중요 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또한 본 저자들은 콘택트렌 즈 부작용의 위험을 예방하고 합병증 발생 위험을 줄이 기 위한 렌즈 착용자의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콘택 트렌즈 실무자가 더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을 제안한다.

    Figure

    KJVS-25-4-347_F1.gif

    Purchase place of soft contact lenses (A) and lens care solutions (B).

    KJVS-25-4-347_F2.gif

    Shows the main symptoms of discomfort reported by soft contact lens wearers.

    Table

    Characteristics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included in this study

    SCL*: soft contact lens

    Strategies for safe soft contact lens wear

    SCL*: soft contact lens

    The types of adverse events type and when they appeared, as self-reported by soft lens wearers who experienced contact lens-related adverse events

    Self-reported causes of adverse events among soft lens wearers who experienced contact lens-related adverse events

    Show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gular and colored soft lens groups by lens type

    SCL*: soft contact lens

    Reference

    1. Research Nester: Global contact lenses market overview, 2023, Available at https://www.researchnester.com/. Accessed September 10, 2023. https://www.researchnester.com/reports/contact-lens-market/223
    2. Morgan PB, Woods CA et al.: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in 2022, 2023, Available at https://www.clspectrum.com/. Accessed September 25, 2023. https://www.clspectrum.com/issues/2023/january-2023/internaional-contact-lens-prescribing-in-2022
    3. Stapleton F, Keay L et al.: The epidemiology of contact lens related infiltrates. Optom Vis Sci. 84(4), 257–272, 2007.
    4. Chalmers RL, McNALLY JJ et al.: Risk factors for corneal infiltrates with continuous wear of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84(7), 573-579, 2007.
    5. Beshtawi IM, Qaddumi J et al.: Compliance of soft contact lens care and bacterial contamin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Palestine. Clin Ophthalmol. 16, 4121-4134, 2022.
    6. Yee A, Walsh K et al.: The impact of patient behaviour and care system compliance on reusable soft contact lens complications. Cont Lens Anterior Eye 44(5), 101432, 2021.
    7. Kim JH, Song JS et al.: A Survey of contact lens-related complications in Korea: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J Korean Ophthalmol Soc. 55(1), 20-31, 2014.
    8. Beshtawi IM, Qaddomi J et al.: Ocular surface response and subjective symptoms associated to lens care solutions in Palestine. J Optom. 12(4), 248-255, 2019.
    9. Garofalo RJ, Dassanayake N et al.: Corneal staining and subjective symptoms with multipurpose solutions as a function of time. Eye Contact Lens 31(4), 166-174, 2005.
    10. Wagner H, Richdale K et al.: Age, behavior, environment, and health factors in the soft contact lens risk survey. Optom Vis Sci. 91(3), 252–261, 2014.
    11. Stapleton F, Keay L et al.: The incidence of contact lens-related microbial keratitis in Australia. Ophthalmology 115(10), 1655-1662, 2008.
    12. Korean Consumer Agency: Beware of side effects due to misuse or carelessness of contact lenses, 2020, Available at https://www.kca.go.kr/home/main.do. Accessed September 5, 2023. https://www.kca.go.kr/home/sub.do?menukey=4006&mode=view&no=1003043966
    13. Morgan PB, Efron N: Global contact lens prescribing 2000-2020. Clin Exp Optom. 105(3), 298-312, 2022.
    14. Nichols JJ: Contact lenses 2022. Contact Lens Spectrum, 2023. Available at https://www.clspectrum.com/. Accessed September 25, 2023. https://www.clspectrum.com/issues/2023/january-2023/contact-lenses-2022
    15. Ono K, Murakami A et al.: A web-based survey of contact lens-related adverse events among the Japanese female population. Sci Rep. 11(1), 15939, 2021.
    16. Jacob JT: Biocompatibility in the development of silicone-hydrogel lenses. Eye Contact Lens 39(1), 13-19, 2013.
    17. Holden BA, Sweeney DF et al.: Microbial keratitis and vision loss with contact lenses. Eye Contact Lens 29(1), S131-S134, 2003.
    18. Green M, Apel A et al.: Risk factors and causative organisms in microbial keratitis. Cornea 27(1), 22-27, 2008.
    19. Alfonso E, Mandelbaum S et al.: Ulcerative keratitis associated with contact lens wear. Am J Ophthalmol. 101(4), 429-433, 1986.
    20. Ibrahim NK, Seraj H et al.: Prevalence, habits and outcomes of using contact lenses among medical students. Pak J Med Sci. 34(6), 1429-1434, 2018.
    21. Cope JR, Collier SA et al.: Contact lens wearer demographics and risk behaviors for contact lens-related eye infections-United States, 2014. MMWR Morb Mortal Wkly Rep. 64(32), 865–870, 2015.
    22. Craig JP, Nichols KK et al.: TFOS DEWS II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report. Ocul Surf. 15(3), 276-283, 2017.
    23.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Ocul Surf. 5(2), 75-92, 2007.
    24. Begley CG, Chalmers RL et al.: Characterization of ocular surface symptoms from optometric practices in North America. Cornea 20(6), 610-618, 2001.
    25. Guillon M, Maissa C: Dry eye symptomatology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and nonwearers. Optom Vis Sci. 82(9), 829-834, 2005.
    26. Ramamoorthy P, Sinnott LT et al.: Treatment, material, care, and patient-related factors in contact lens-related dry eye. Optom Vis Sci. 85(8), 764–772, 2008.
    27. Kim JM: Comparison of the prevalence of dry eye in soft contact lens wear and corneal refractive Surgery. Korean J Vis Sci. 23(4), 431-439, 2021.
    28. Choi JH, Kim KS et al.: Factors influencing on dry eye symptom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smartphone. Int J Pure App Math. 118(24), 1-13, 2018.
    29. Yun CM, Kang SY et al.: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Ophthalmol Soc. 53(4), 505-509, 2012.
    30. Lim CHL, Stapleton F et al.: A review of cosmetic contact lens infections. Eye (Lond) 33(1), 78-86, 2019.
    31. Jung JW, Han SH et al.: Evaluation of pigment location in tinted soft contact lenses. Cont Lens Anterior Eye. 39(3), 210-216, 2016.
    32. Hotta F, Eguchi H et 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ndings with energy- dispersive x-ray investigations of cosmetically tinted contact lenses. Eye Contact Lens 41(5), 291-296, 2015.
    33. Stapleton F, Lim CHL et al.: Cosmetic contact lens-related corneal infections in Asia. Am J Ophthalmol. 229, 176-183, 2021.
    34. Dumbleton KA, Woods CA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iance with lens replacement and contact lens-related problems in silicone hydrogel wearers. Cont Lens Anterior Eye 34(5), 216-222, 2011.
    35. Efron N, Morgan PB: Rethinking contact lens aftercare. Clin Exp Optom. 100(5), 411-431, 2017.
    36. Dumbleton KA, Richter D et al.: A multicountry assessment of compliance with daily disposable contact lens wear. Cont Lens Anterior Eye 36(6), 304-312, 2013.
    37. Bakkar MM, Alzghoul EA: Assessment of compliance with contact lens wear and care among university-based population in Jordan. Cont Lens Anterior Eye. 43(4), 395-401, 2020.
    38. García-Ayuso D, Moya-Rodríguez E et al.: University students fail to comply with contact lens care. Cont Lens Anterior Eye 45(2),101411, 2021.
    39. Supiyaphun C, Jongkhajornpong P: Contact lens use patterns, behavior and knowledg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ailand. Clin Ophthalmol. 15, 1249-1258, 2021.
    40. Lim CHL, Stapleton F et al.: Review of contact lens–related complications. Eye Contact Lens 44, S1-S10, 2018.
    41. Dart JKG, Radford CF et al.: Risk factors for microbial keratitis with contemporary contact lenses: A case-control study. Ophthalmology 115(10), 1647-165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