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6 No.1 pp.23-33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4.26.1.23

The Analysis of Vision Training Effect according to Learning Personality Type

Ji-Hyeon Im1), Jung-Hee Kim2), Hyun-Sung Leem3)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Student, Uijeongbu
2)Dept. of Optometry &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University, Professor, Suwon
3)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Professor, Uijeongbu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un-Sung Leem (https://orcid.org/0000-0003-3430-6932) 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Uijeongbu TEL: +82-31-740-7155, E-mail: hsl@eulji.ac.kr
February 28, 2024 March 22, 2024 March 22, 2024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improvement pre and post vision training based on learning personality. The study utilized the U&I learning personality type test, which can diagnos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factors that may be seen in the learning process.



Methods : Personality types were determined for 34 adult men and women without ophthalmic and systemic diseases, and vision training was than conducted by selecting suitable vision training t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binocular vision examination.



Results :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earning personality type and vision training, the actual spontaneou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and the actual routin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ar BO vergence recovery point. The conceptual specific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the conceptual globa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and the Near BO vergence blur poi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vis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learning personality type, the effect of fusional facility before and after vision train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ctual routine than the conceptual global.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vis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ing personality, and it is believed that a more systematic vision training method can be applied if a training method is devised accordingly.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시기능훈련 효과 분석

임지현1), 김정희2), 임현성3)
1)을지대학교 대학원 옵토메트리학과, 대학원생, 의정부
2)동남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수원
3)을지대학교 대학원 옵토메트리학과, 교수, 의정부

    Ⅰ. 서 론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환경 요인과 학습자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환경 요인은 교사, 교육 방법, 교육 내용 및 교육 환경 등으로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학업성취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 요인은 학업 동기, 성격과 같은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으로 학습에 중요하게 작용한다.1,2)

    Moody3)은 성격은 학습과 매우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Lawrence4)는 성격유형에 따라 학습양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Myers5)는 학업성취는 학습의 결과로 성격 유형에 따라 좌우된다고 보고하였고 McCaulley6)는 성격유형에 따라 학업성취에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성격은 학습양식에 큰 차이가 있으므로 학습성격유형과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U&I 학습성격유형검사는 학습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행동 및 태도를 진단하는 부분과 학습과 관련된 성격양식을 진단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리적인 특성과 더불어 성격적인 요인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이며 학습하는 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행동 및 성격, 선호하는 학습 방식이나 교수 방식을 알아볼 수 있는 검사다.7-9) 기본 성격유형은 크게 행동형, 규범형, 탐구형, 이상형 4가지로 나눠진다.

    행동형(Actual spontaneous)은 활동하고 직접 체험 하면서 학습하는 것을 좋아하고 경쟁적이며 모험적이다. 전통적인 교육체계 안에서 억압을 받고 억제된다는 느낌을 받으며 지시나 통제를 받으면 반발하거나 적당히 넘어가려고 한다. 지속되는 과제나 학습을 싫어하고 반복과 훈련을 좋아하지 않는다. 규범형(Actual routine)은 성실하고 책임감이 강하며 부모나 교사로부터 받은 지시를 어기는 경우가 거의 없다. 반복, 훈련 그리고 단계적 제시를 통해 사실과 절차를 기억하고 구분함으로써 지식을 습득한다. 절차가 일관성 있고 명확하게 정해져 있을 때 학습을 잘한다. 탐구형(Conceptual specific)은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고 예측하고 통제하고 싶어 한다. 구체적인 사실보다는 이면에 있는 원리에 관심이 더 많다. 관심 분야만 추구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 아무리 중요한 과목일지라도 관심 없는 과목은 소홀히 하기도 한다. 이상형(Conceptual global)은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며 의사소통하는 것을 좋아하고 상호교류가 활발한 것을 선호한다. 비경쟁적이고 조화로운 관계를 선호하며 경쟁적인 상황이나 갈등적인 상황에 지나칠 정도로 민감하게 반응한다. 감정을 잘 이해해주고 인정해 줄 때 더 성장하고 큰 기쁨을 느낀다.

    시기능훈련 또한 학습과 목표의식이 요구되는 훈련임을 알 수 있으며 학업성취도와 유사하게 성격 특성을 고려한 훈련법이 시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 따라서 성격유형과 시기능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지만 학습성격을 분류하고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성격과 시기능훈련의 상 관성을 알아보고자 U&I 학습성격유형으로 성격으로 시기능훈련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안과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중 선별검사를 통해 억제가 있는 경우, U&I 학습성격유형 검사 척도가 모두 14점 이하이거나 3개 이상 동점인 경우를 제외한 34명을 선정하여 검사를 진행하였다.

    2. 연구 방법

    총 9회의 실험으로 1주 차에는 U&I 성격유형검사와 양안시검사를 실시하였다. Worth 4 dot검사를 통해 억제가 있는 경우 제외하였으며 양안시검사 결과에 따라서 적합한 시기능훈련 도구를 4가지 선정하였다. 2~8주 차에는 총 7번, 60분씩 시기능훈련을 실시하였으며 9주 차에는 시기능훈련 후 향상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양안시 검사를 재실시하였다.

    1) 양안시검사

    포롭터(CV-5000,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자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완전교정 후 원거리 검사는 5 m, 근거리 검사는 40 cm에서 양안시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안시검사 항목으로는 폭주근점 검사, 원거리 가림 검사, 근거리 가림검사, 원거리 사위검사, 근거리 사위 검사,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1.00 D 그래디언트 사위도, 그래디언트 A/C비,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융합용이성, 음성상대조절력, 양성상대조절력, 조절래그, 단안 조절력, 양안 조절용이성을 측정하였다.

    2) 시기능훈련

    시기능훈련은 미국의 Bernell사에서 제조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프리즘 플리퍼, 렌즈 플리퍼, 블록스트링, 배럴카드, 어퍼쳐룰, 트라나그래프, 거울입체경, 하트차트 중 4가지 훈련도구를 선정하였다.

    (1) 프리즘 플리퍼 훈련(Prism flipper training)

    융합용이성을 향상시키는 훈련으로 3 △ BI과 12 △ BO 프리즘 플리퍼를 이용하였다. 1분 동안 5번 반복하였으며 하나로 선명하게 보일 때 반전시키도록 하였다.

    (2) 렌즈 플리퍼 훈련(Lens flipper training)

    조절용이성을 향상시키는 훈련으로 ±2.00 D 렌즈 플리퍼를 이용하였다. 1분 동안 5번 반복하였으며 하나로 선명하게 보일 때 반전시키도록 하였다.

    (3) 블록스트링 훈련(Brock string training)

    폭주와 개산에 대한 운동감각의 인식능력을 개발시켜 주는 훈련으로 줄에 3가지의 구슬을 20 cm 간격으로 위치시켰다. 구슬을 주시할 때 다른 구슬은 생리적 복시에 의해 두 개로 보이는지 확인을 하였으며 10초 동안 융합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4) 배럴카드 훈련(Barrel card training)

    폭주와 개산에 대한 운동감각의 인식능력을 개발시켜 주는 훈련으로 술통을 주시할 때 다른 술통은 생리적 복시에 의해 두 개로 보이는지 확인하였으며 10초 동안 융합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총 3회씩 주시하도록 하였으며 배럴카드의 거리를 조정하면서 5번 반복하였다.

    (5) 어퍼처룰 훈련(Aperture rule training)

    융합버전스를 증가시키는 훈련으로 어퍼처룰을 코끝에 위치시킨 후 한 눈씩 차폐하여 시표가 구경 판을 통해 보이는지 확인을 하였다. 폭주훈련은 단일 구경판, 개산훈련은 이중 구경 판을 이용하여 양안 선명단일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6) 트라나그래프 훈련(Tranaglyph training)

    융합버전스를 증가시키는 훈련으로 적녹 안경을 착용 시킨 후 폭주훈련은 적색시표를 우측, 개산훈련은 녹색 시표를 우측에 위치시켜 융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두 시표를 최대한 분리시킨 후 10초 융합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폭주와 개산 5번씩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7) 거울입체경 훈련(Mirror stereoscope training)

    융합버전스를 증가시키는 훈련으로 개산훈련을 거울 입체경을 바깥쪽으로 벌리면서, 폭주훈련은 안쪽으로 모으면서 카드가 하나로 보이도록 융합하였다. 10초 동안 유지하였으며 폭주와 개산 5번씩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8) 하트차트 훈련(Hart chart training)

    조절용이성과 조절력을 증가시키는 훈련으로 원거리에 큰 하트차트를 위치시키고 근거리는 선명하게 보이는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작은 하트차트를 위치시킨 후 번갈아 가며 큰소리로 읽도록 하였다. 문자열을 읽는 순서를 바꿔가며 난이도를 조절하였다.

    3. 학습성격유형검사

    학습성격검사 측정도구 중 U&I 학습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64문항 중 학습성격에 해당되는 52문 항만 사용하였다. 행동형, 규범형, 탐구형, 이상형 4가지 성격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별 점수를 계산한 후 16점 이상이면 그 성격을 가진 것으로 간주하였다.

    4. 통계 분석

    시기능훈련 전, 후 양안시검사 결과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학습성격유형과 시기능훈련 효과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하였다.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시기능훈련 효과 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IBM SPSS 26.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p<0.050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하였다.

    Ⅲ. 결 과

    1. 연구 대상

    20대 남녀 3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균 23.91±2.52세이었다. 우안의 구면굴절력은 S-2.61± 2.58 D, 원주굴절력은 C-0.74±0.81 D, 등가구면굴절력은 -2.98±2.89 D이었다. 좌안의 구면굴절력은 S-2.43± 2.40 D, 원주굴절력은 C-0.78±0.82 D, 등가구면굴절력은 -2.82±2.68 D이었다(Table 1).

    1) 행동형

    우안의 구면굴절력은 S-3.42±2.78 D, 원주굴절력은 C-0.71±0.71 D, 등가구면굴절력은 -3.77±2.95 D이었다. 좌안의 구면굴절력은 S-3.08±2.42 D, 원주 굴절력은 C-0.88±0.70 D, 등가구면굴절력은 –3.52± 2.60 D이었다.

    2) 규범형

    우안의 구면굴절은 S-2.32±2.23 D, 원주굴절력은 C-0.65±0.64 D, 등가구면굴절력은 -2.64±2.49 D이 었다. 좌안의 구면굴절력은 S-2.02±1.90 D, 원주굴절력은 C-0.73±0.69 D, 등가구면굴절력은 -2.38±2.14 D 이었다.

    3) 탐구형

    우안의 구면굴절력은 S-2.88±3.23 D, 원주굴절력은 C-1.13±1.61 D, 우안 등가구면굴절력은 –3.43± 4.01 D이었다. 좌안의 구면굴절력은 S-2.81±2.79 D, 원주굴절력은 C-1.00±1.67 D, 좌안 등가구면굴절력은 -3.31±3.55 D이었다.

    4) 이상형

    우안의 구면굴절력은 S-2.44±3.04 D, 원주굴절력은 C-0.75±0.79 D, 등가구면굴절력은 -2.82±3.34 D이었다. 좌안의 구면굴절력은 S-2.50±3.19 D, 원주 굴절력은 C-0.69±0.75 D, 등가구면굴절력은 –2.85± 3.44 D이었다(Table 2).

    2. 시기능훈련 전, 후의 양안시검사 결과 비교

    폭주근점 분리점은 시기능 훈련 전 8.19±2.75 cm에서 훈련 후 5.78±1.79 cm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01). 폭주근점 회복점은 시기능훈련 전 11.01± 2.98 cm에서 훈련 후 8.32±2.35 cm로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p<0.001). 근거리 사위도는 시기능 훈련 전 -4.84±5.12 △에서 훈련 후 -2.53±4.97 △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4).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시기능훈련 전 9.74±3.12 △에서 훈련 후 11.68±4.34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흐린점은 시기능훈련 전 12.71 ±10.16 △에서 훈련 후 14.84±12.83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25).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시기능훈련 전 19.03±11.10 △에서 훈련 후 25.12± 14.15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은 시기능훈련 전 10.44±12.01 △에서 훈련 후 15.29±13.68 △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01). 그래디언트 사위도는 시기능훈련 전 -1.12± 5.88 △에서 훈련 후 0.88±5.85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5).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 흐린점은 시기능훈련 전 13.41±5.53 △에서 훈련 후 15.59±4.09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5).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시기능훈련 전 19.44 ±5.22 △에서 훈련 후 21.65±5.29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3).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흐린점은 시기능훈련 전 19.00±12.92 △에서 훈련 후 24.30± 14.45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2).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시기능훈련 전 23.74±13.40 △에서 훈련 후 31.32±14.84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은 시기 능훈련 전 15.18±12.70 △에서 훈련 후 21.21±14.15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융합용이성은 시기능훈련 전 16.26±5.88 cpm에서 훈련 후 19.38± 6.20 cpm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음성상 대조절력은 시기능훈련 전 2.24±0.79 D에서 훈련 후 2.65±0.66 D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양성 상대조절력은 시기능훈련 전 -2.68±1.50 D에서 훈련 후 -3.13±1.60 D로 유의하게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05). 조절용이성은 시기능훈련 전 13.84± 4.45 cpm에서 훈련 후 17.35±6.09 cpm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Table 3).

    3. 학습성격유형과 시기능훈련의 상관관계

    1) 행동형과 시기능훈련의 상관관계

    행동형은 음성상대조절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352, p=0.041)(Fig. 1).

    2) 규범형과 시기능훈련의 상관관계

    규범형은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79, p=0.027)(Fig. 2).

    3) 탐구형과 시기능훈련의 상관관계

    탐구형은 양성상대조절력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589, p<0.001)(Fig. 3).

    4) 이상형과 시기능훈련의 상관관계

    이상형은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흐린점과 음의 상관관계(r=-0.385, p=0.036)를 보였고 음성상대조절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66, p=0.033)(Fig. 4).

    4.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시기능훈련 효과 비교

    시기능훈련 전, 후 융합용이성 변화에서 성격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812, p=0.020)(Table 4). 사후 검정을 통해 4가지의 성격유형과 융합용이성 변화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규범형이 이상형보다 융합용이성 효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42)(Table 5).

    Ⅳ. 고 찰

    성격유형과 학습성취도, 학습동기 등 학습과 연계하여 비교한 논문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시기능훈련도 학습과 교육 등의 훈련법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유사하며 학습과 성취도를 도와주는 지침이 있는 것과 같이 수행의 한 과정으로 시기능훈련의 원리와 지침 사항에 준 거하여 학습과 교육을 포함한다.11) 이처럼 시기능훈련 또한 목표의식과 학습이 요구되는 훈련임을 알 수 있으 며 성격 특성을 고려한 훈련법이 시기능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에 특화된 성격측정도구로 학습과 관련된 개인의 성격 양식 과 학습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행동을 진단하는 U&I 학 습성격유형과 시기능훈련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시기능훈련 전, 후 양안시검사를 분석한 결과 폭주근점 분리점, 폭주근점 회복점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근거리 사위도, -1.00 D 그래디언트 사위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흐린점,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 점,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 근거리 음성융합버 전스 흐린점,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 근거리 양 성융합버전스 흐린점,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 융합용이성, 조절용이 성, 음성상대조절력, 양성상대조절력이 유의하게 증가하 였다. 유의한 증가와 감소로 시기능훈련 후 양안시기능 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Han12), Jang13)의 연구와 같았지만 근거리 사위도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시기능훈 련을 실시한 횟수가 더 많았으며 그로 인해 근거리 사위 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4) 의 연구에서 시기능훈련이 진행될수록 사위도가 줄어드 는 경향을 보였으며 Lee15)의 연구에서는 원, 근거리 사 위도가 모두 감소하였으나 근거리에서 더 많이 감소하였 다. Thiagarajan16)의 연구에서는 시기능훈련 후 원거리 외사위도는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으며 근거리 외사위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본 연구 결과와 동일하였다.

    학습성격유형과 시기능훈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행동형은 음성상대조절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행동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음성상대조절력이 증가하였다. 규범형은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규범형의 점수가 높을수 록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이 증가하였다. 탐구형 은 양성상대조절력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탐구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양성상대조절력이 감소하였 다. 이상형은 근거리 음성상대조절력과 유의한 양의 상 관관계를 보였으며 이상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음성상대 조절력은 증가하였고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흐린점은 감소하였다.

    Jang11)의 연구에서도 다섯 가지 성격요인과 시기능 훈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성격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ek17)의 연구에서는 학습성격과 수학 영역별 학업성취도간의 상관 분석에서 도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왔으며 학생들을 단 순히 학업성취도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성격유형 별로 분류하여 그에 적합한 수업을 제공해 주는 것이 필 요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 시기능훈련도 성격 유형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으며 성격유형에 맞는 적 합한 훈련 방법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시기능훈련 효과를 분석한 결과 융합용이성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규범형이 이상형보다 시기능훈련 전, 후 융합용이성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Jeong18)의 연구에서 학습성격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규범형이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Hwang19) 의 연구에서도 규범형, 행동형, 탐구형, 이상형 순으로 학업성취도 점수의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Hwang10) 의 연구에서 4가지 심리기질 간의 양안시기능 검사값 변 화량을 비교한 결과 SJ기질에서 조절래그 변화량의 유 의하게 나타났다. Suh20)의 연구에서도 MBTI 4가지 기 질 중 SJ기질이 NF기질보다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왔으 며 U&I 학습성격 규범형이 이상형보다 높은 학업성취도 를 보였다.

    U&I학습성격와 MBTI의 4가지 기질은 Kerisey의 기 질이론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유사하다. MBTI에서 SJ기질은 의무감, 책임감, 충성심이 뛰어나고 일을 정확하게 단계적으로 처리하며 근면하게 일한다. 반복과 훈련을 통해 절차나 사실을 기억하고 지식을 얻는다.21) U&I학습성격에서 규범형도 반복, 훈련 그리고 단계적 제시를 통해 사실과 절차를 기억하고 지식을 습득한다. 또한 절차가 일관성 있고 단계에 따라 순서대로 조금씩 천천히 익히며 배우는 것을 좋아하므로 다른 유형에 비 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대상자 수가 적었으며 한 가지의 성격검사를 이용하여 시기능훈련 효과를 비교하였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추후 더 많은 대상자로 다른 성격유형 검사를 추가하여 그에 맞는 훈련 방법을 고안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1. 시기능훈련 전, 후 양안시검사를 분석한 결과 폭주 근점 분리점, 폭주근점 회복점, 근거리 사위도,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흐린점,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 -1.00 D 그래디언트 사위도, 근거리 음성융합 버전스 흐린점,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흐린점,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 융합용이성, 음성상대조절력, 양성상대조절력, 조절용이성에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학습성격유형과 시기능훈련을 상관 분석한 결과 행동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음성상대조절력이 증가하였고 규범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이 증가하였다. 탐구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양성상대 조절력이 감소하였으며 이상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음성 상대조절력은 증가하였고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흐린 점은 감소하였다.

    3.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시기능훈련 효과를 분석한 결과 융합용이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규범형이 이상형보다 시기능 훈련 전, 후 융합용이성의 효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성격에 따라 시기능훈련 효과의 차이가 있었으며 학습성격이 시기능훈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기능훈련 도구 및 훈련 방법을 선정할 때 학습성격유형을 반영하여 그에 맞는 방식을 고안한다면 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시기능훈련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KJVS-26-1-23_F1.gif

    Correlation between actual spontaneous and vision training.

    KJVS-26-1-23_F2.gif

    Correlation between actual routine and vision training.

    KJVS-26-1-23_F3.gif

    Correlation between conceptual specific and vision training.

    KJVS-26-1-23_F4.gif

    Correlation between conceptual global and vision training.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E<sup>*</sup>: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power

    Characteristics of subjects learning personality type

    SE<sup>*</sup>: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power, AS<sup>**</sup>: actual spontaneous, AR<sup>#</sup>: actual routine, CS<sup>†</sup>: conceptual specific, CG<sup>£</sup>: conceptual global

    Binocular vision test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vision training

    NPC<sup>#</sup>: near point of convergence, NRA<sup>†</sup>: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PRA<sup>£</sup>: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i>p</i><0.050*
    <i>p</i><0.010**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change in fusional facility according to the learning personality type

    AS<sup>*</sup>: actual spontaneous, AR<sup>**</sup>: actual routine, CS<sup>#</sup>: conceptual specific, CG<sup>†</sup>: conceptual global

    Analysis of the change in fusional facility according to learning personality type

    AD<sup>*</sup>: average difference, SE<sup>**</sup>: standard error
    AS<sup>#</sup>: actual spontaneous, AR<sup>†</sup>: actual routine, CS<sup>£</sup>: conceptual specific, CG<sup>‡</sup>: conceptual global

    Reference

    1. Seo YK: The effect of learner's types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learning strategies, Yonsei University MS Thesis, pp. 1-3, 2002.
    2. Sa SJ: A study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BTI type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y,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MS Thesis, pp. 17-18, 2023.
    3. Moody R: Personality preferences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Modern Language Journal 72(4), 389-401, 1988.
    4. Lawrence GD: A synthesis of learning style research involving the MBTI. Journal of Psychological Type 8(1), 2-15, 1984.
    5. Myers IB, McCaully MH et al.: Manual: A guide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Myers-Briggs Type Indicater,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ists Press, 1985.
    6. McCaulley MH: The MBTI and individual parhways in engineering design. Engineering Education 82(1), 15-21, 1993.
    7. Park YC: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ersonality type and metacognition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Korea University MS Thesis, pp. 7-15, 2011.
    8. Um GR: Developing a parents-children 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U&I to improve learning strategy for middle school students, Dongduk Women's University PhD Thesis, pp. 5-26, 2023.
    9. Lee CS: A study on vision training for intermittent exotropia and binocular propriocep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PhD Thesis, pp. 9-11, 2014.
    10. Analysis of vision training effect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 Eulji University MS Thesis, pp. 3, 25-26, 2022.
    11. Jang HJ: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five personality traits and vision training, Eulji University MS Thesis, pp. 1, 18-22, 2017.
    12. Han YS: Analysis of effectiveness after vision training based on assessment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Eulji University MS Thesis, pp. 16-63, 2017.
    13. Jang HJ: The effects of vision training according to big5 personality type, Eulji University PhD Thesis, pp. 15-66, 2019.
    14. Kim RY: Effect of vision therapy on body balance in intermittent exotropi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 26, 2023.
    15. Lee YH: Effects of vision training in intermittent exotropia: Divergence excess, basic exo, convergence insufficiency, Baekseok University MS Thesis, pp. 31-32, 2019.
    16. Thiagarajan P, Lakshminarayanan V et al.: Effect of vergence adaptation and positive fusional vergence training on oculomotor parameters, Optom Vis Sci. 87(7), 487-493, 2010.
    17. Baek YJ: Research on the correlation of the type of studying personalit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for each math domain, Keimyung University MS Thesis, p. 26, 2005.
    18. Jeong EJ: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cademic personality type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 32-34, 2009.
    19. Hwang US: A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learning type and simultaneous equation according to learning types of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jou University MS Thesis, pp. 78, 2010.
    20. Suh GJ: An exploratory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MBTI personality preference and U&I learning type, Sogang University MS Thesis, pp. 36-38, 2016.
    21. Kim YB: Comparative analysis of personality typ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athematics gifted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Korea University MS Thesis, pp. 115- 123,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