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6 No.2 pp.99-10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4.26.2.99

A Study on Self-Leadership,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of Optometry Students

Ki-Hun Ye
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Authors ORCID:

*https://orcid.org/0000-0002-0029-1237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i-Hun Ye (https://orcid.org/0000-0002-0029-1237) 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Cheonan TEL: +82-41-550-2180, E-mail: eyelovebaekseok@bu.ac.kr
May 27, 2024 June 26, 2024 June 27, 2024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lf-leadership,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of optometry students with the aim of rasing awareness about their significance.



Methods : This study surveyed 180 optometry students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in April 2022. Data from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PSS Inc., Chicago, IL, US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p-values was set at 0.050.



Results : The mean scores for self-leadership,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optometry students were 3.46, 3.61, 3.98, and 3.71, respectively. All variables exhibit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Female students, those with leadership experience, those from better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those with higher academic performance showed higher levels of self-leadership,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Conclusion : It is believed that high self-leadership,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will improve students' capabilities and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ism and development of optometrists.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일상적 창의성, 사회적지지,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예기훈
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Ⅰ. 서 론

    셀프리더십은 개인의 동기 부여를 통해 자신을 규제하고 목표를 설정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자율적 리더십 또는 자기 리더십이라고도 불리며, 개인의 내적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대학생활은 학업, 진로, 인간관계 등 다양한 변화와 도전이 가득한 시기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해서는 스스로를 이끌어갈 수 있는 셀프리더십 능력이 필수적이다.

    대학생활에서 셀프리더십이 높은 학생은 자신의 삶에 대한 올바른 비전을 가지고 목표를 설정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원동력이 되기도 하고, 스스로를 규제하고 통제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학업, 과외 활동, 인간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그리고 셀프리더 십은 스스로가 바람직한 사고와 행동 방식을 갖도록 하며, 동기부여와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긍정적이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관한 선행 연구는 창의적 행동, 리더십 교육 경험,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 등으로 연구되었다.3-8)

    사회생활에서의 셀프리더십은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스스로를 관리하는 능력을 향상하고, 목표를 설정과 노력을 통해 업무 성과를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그리고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경험을 통해 직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이 스스로를 이끌 수 있는 능력을 바탕으로 타인을 이끌 수 있는 리더십 능력을 발달 시킬 수 있다.

    셀프리더십은 성공을 위한 중요한 역량으로 안경사의 업무 수행 능력, 성과 및 직무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안경사는 안경원, 병원, 회사 등 다양한 곳에서 자신의 일을 하게 되며, 자신의 역량을 잘 발휘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의 통제와 규제 그리고 자신 스스로가 생각과 행동하는 힘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공동체 조직이 잘 운영되려면 조직 구성원들 자신들이 자율적인 리더십의 발휘도 필요하다. 이러한 셀프리더십이 서비스직의 직무향상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가 있으며, 호텔과 병원 등의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되었다.9)

    셀프리더십과 관련된 요소 중 첫째, 일상적 창의성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안경사의 경우 고객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는 최적의 안경 처방을 위해 창의적인 사고방식과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하다.10) 둘째, 사회적 지지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는 지지와 격려는 셀프리더십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경사의 경우, 동료 안경사, 가족, 친구 등으로부터 받는 지지와 격려는 자신감을 높이고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셋째, 의사소통 능력은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하며, 셀프리더십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안경사는 고객과의 상담과정에서 명확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고객의 의견을 경청하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신뢰 관계를 구축하게 된다.6)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이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2년 4월 비대면 온라인 설문에 응한 안경광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에 응하지 않은 대상자 5명을 제외한 180명 대상자가 응답한 결과 값을 분석하였다.

    2. 연구방법

    • 1) 일반적 특성에 대한 설문지는 성별, 학년, 학점, 가족 경제력, 아르바이트 유무, 리더 경험 등을 조사하였다.

    • 2) 자신이 생각하는 주관적인 리더십, 일상적 창의성,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지지에 대해 설문하였다.

    • 3) Houghton과 Neck(2002)의 RSLQ(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문항에서 사용된 설문을 사용 하였다. 셀프 리더십 인지적 전략 셀프리더십 5문항과 행동적 전략 셀프리더십(자기목표설정, 자기보상, 자기관찰, 자기단서, 자기처벌) 10문항으로 구분하여 설문하였다.11)

      셀프 리더십 신뢰도분석 결과 Cronbach의 알파값 0.785, 요인분석의 KMO검정을 통해 나온 값에 따라서 상관관계 0.803으로 나왔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에서 근사 카이 제곱값이 952.68이고 유의 확률은 p<0.001로 유의수준 0.050보다 작게 나타났다.

    • 4) Jeong12)의 연구에서 신뢰도가 검증된 일상적 창의성 문항을 토대로 설문 사용하였다. 일상적 창의성(독창적 유연성, 대안적 해결력, 모험적 자유추구, 이타적 자아확신, 관계적 개방성, 개성적 독립성, 탐구적 몰입) 21문항으로 구분하여 설문하여 질문하였다.

      일상적 창의성 신뢰도분석 결과 Cronbach의 알파값 0.851, 요인분석의 KMO검정을 통해 나온 값에 따라서 상관관계 0.815가 나왔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에서 근사 카이 제곱값이 1454.68이고 유의 확률은 p<0.001로 유의수준 0.050보다 작게 나타났다.

    • 5) 타당도가 검정된 Douglas외(1996)의 SSQT((Social Support Questionnaire for Transactions)를 설문을 사용하여 사회적 지지(일상관련 정서적지지, 문제관련 정서적지지, 사회적 지지, 일상관련 도구적지지, 문제관련 도구적지지) 23문항으로 구분하여 설문하였다.13)

      사회적 지지 능력 신뢰도분석 결과 Cronbach의 알파 값 0.941, 요인분석의 KMO검정을 통해 나온 값에 따라서 상관관계 0.922로 나왔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에서 근사 카이 제곱값이 2589.89이고 유의 확률은 p<0.001로 유의수준 0.050보다 작게 나타나 이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6) Choi14)의 연구에서 신뢰도가 검증된 의사소통 능력 15문항으로 구분하여 설문하였다. 의사소통 능력 신뢰도분석 결과 Cronbach의 알파값 0.880, 요인분석의 KMO검정을 통해 나온 값에 따라서 상관관계 0.873으로 나왔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에서 근사 카이 제 곱값이 1059.99이고 유의 확률은 p<0.001로 유의수준 0.050보다 작게 나타났다.

    3. 자료처리 및 분석

    도구에 사용된 질문의 응답은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그리고 “매우 그렇지 않다.”로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결과를 측정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 version(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 기술통계, 평균분석, 상관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모든 p-value의 유의수준은 0.050을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일반적 특성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성별은 남성 69명(38.8%) 그리고 여성 111명(61.7%)이었다. 남성 중 ‘군 복무자’는 33명(47.8%) 그리고 ‘현역’ 36명(52.2%)이었다. 1학년은 57명(31.7%), 2학년 41명(22.8%), 3학년 40명(22.2%) 그리고 4학년 42명(23.3%)이었다. 학업수준은 2.0미만 1명(0.8%), 2.0~3.0미만 27명(21.6%), 3.0~ 4.0미만 83명(66.4%)그리고 4.0이상 14명(11.2%)이었다. 경제수준은 ‘좋은 편이다’ 26명(14.4%), ‘보통이다’ 134 명(74.4%) 그리고 ‘어려운 편이다’ 20명(11.1%)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의 경험 ‘있다’154명(85.6%) 그리고 ‘없다’ 26명(14.4%)로 나타났다. 리더의 경험 ‘있다’82명(45.6%) 그리고 ‘없다’98명(54.4%)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은 인지적 전략 셀프리더십 2가지 요소와 행동적 전략 셀프리더십 5가지 하위 요소로 구분 하였다. 인지적 전략 셀프리더십은 자연보상전략과 건설적사고 유형 전략으로 구분되며 자신의 사고패턴을 변화시키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어려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는 전략이다. 그리고 행동적 전략 셀프리더십은 자기 목표설정, 자기보상, 가지관찰, 자기단서, 자기처벌로 구분되며, 스스로가 과업을 수행을 위한 행동 전략이다.

    셀프리더십의 하위 요소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안경광학과 셀프리더십 전체 점수는 3.46으로 나타났다. 간호대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셀프리더십은 3.48- 3.56으로 안경광학과 학생들 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5-16)

    인지적 전략 셀프리더십 중 건설적 사고 유형 전략에 서 3.74로 그리고 행동적 전략 셀프리더십 중 자기반성/ 처벌 그리고 자기단서에서 각각 3.84와 3.80으로 높은 셀프리더십을 나타냈다. 그리고 행동적 전략 셀프리더십에서 자기관찰의 리더십이 가장 낮은 2.45로 나타났다. Song17) 등의 연구에서 간호학과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은 전체 3.81이었으며, 자연적 보상전략 3.77 그리고 건설적 사고전략 3.77로 나타났다.

    자기관찰은 자신의 행동과 결과에 대한 인지적으로 관심을 두는 것으로 “일의 결과가 좋지 않을 때 스스로가 실망스럽다.”와 “일이 잘 되지 않았을 때 스스로를 자책한다.”에 대한 설문에 대해 학생들이 자신의 결과에 대해 다소 엄격하고 냉정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창의성은 성장 발전을 지속시키려는 동기와 관련되어 셀프리더십에도 영향을 주며, 일상생활의 다양한 맥락에서 유용한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사고와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을 말한다.18-20) 그리고 개인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일반적 창의성은 총 7가지의 하위 요소로 구분된다. 어떠한 일에 대해 융통성 있는 사고와 참신하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으로 기존의 사고방식이나 관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능력과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다양한 해결책을 생각하는 능력인 독창적 유연성은 안경사에게는 고객의 개인적인 특성과 요구에 맞는 맞춤형 안경 제작 및 선택에 있어 필요한 요소이다.

    일상적 창의성과 관련된 요소들을 Table 3에 나타내었다. 전체 일상적 창의성은 3.61로 나타났다. 일상적 창의성 항목 중 관계적 개방성, 이타적 자아확신, 개성적 독립성 순으로 4.01, 3.88, 3.70로 나타났다. 정등 의 연구에서 간호 대학생들의 창의성은 3.66으로 안경 광학과 학생들 모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소에서 이타적 자아확인 3.94, 탐구적 몰입3.88, 모험적 자유 추구 3.80, 개성적 독립성 3.76, 관계적 개방성 3.75, 대안적 해결력 3.56, 독창적 유연성 3.24 순으로 나타났다.21)

    “직접 무언가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것들을 만들어 보는걸 좋아한다.”, “나는 하나의 사건이나 사물을 보고 여러 가지 상상을 한다.”, 그리고 “나는 남들이 생각해 내지 못하는 기발하고 특이한 발상을 할 때가 있다.”에 대한 설문 문항의 독창적 유연성은 3.18로 가장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일상에서 융통성 있는 사고와 참신하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에 대해 자신의 능력을 다소 낮게 평가하였다.

    사회적 지지란 사회적 관계인 개인과 관계된 모든 대인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인 지원을 의미하는 것이며, 사회적 지지는 물질적 지원, 실무 적 지원, 정보 제공 등의 도구적 지지와 경청, 격려, 위로, 조언 등의 사회 정서적 지지로 크게 분류된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사람들은 우울증, 불안 등의 정신 건강 문제가 예방되고 스트레스의 효과적인 관리로 개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도 영향을 준다. 도구적 지지는 일상관련 정서적 지지와 문제관련 정서적 지지 2가지 요소와 사회 정서적 지지는 문제관련 도구적지지, 일상관련 도구적 지지, 사회관련 도구적 지지 3가지 요소로 사회적 지지는 총 5가지 하위 요소로 구분하였다.22-23)

    사회적 지지와 그 요소들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전체 사회적 지지는 3.98로 나타났다. 사회관련 지지가 4.06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상관련 정서적 지지가 3.89 로 다소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그리고 셀프리더십과 관련된 모든 요소 중 사회적 지지가 3.98로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능력은 3.71의 수치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의사소통 능력이며,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은 안경사가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고, 동기 부여를 유지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자기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안경사와 고객, 동료, 상사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업무 협력을 증진시키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조직의 성과를 향상하는 데 기여한다.

    의사소통 능력을 Table 5에 나타내었다. 의사소통 능력은 3.71 수치로 나타났다. Song17) 등의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대학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은 3.99로 나타나 간호학과 대학생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 일상적 창의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의소 소통 능력으로 구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병렬식으로 투입하여 각각의 상관성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모든 요소 간 매우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 연구에서도 셀프리더십과 일상적 창의성, 사회적지지, 의사소통이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연구 되었다.4,14)

    성별에 따른 셀프리더십, 일상적 창의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Table 7에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른 각각의 요소들의 수치는 모든 영역에서 남성 보다는 여성에서 다소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과 일상적 창의성은 여성이 남성의 평균보다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사회적 지지에서 여성 4.08로 남성 3.82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는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의사소통에서 여성 3.77로 남성 3.6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여성이 남성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더 우수하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Choi14) 의 연구에서도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높은 셀프리더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 경험에 따른 셀프리더십, 일상적 창의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Table 8에 나타내었다. 모든 영역에서 리더 경험이 있는 군에서 다소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사회적 지지에서 리더 경험이 있는 82명이 4.1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리더 경험은 개인에게 목표 설정, 계획 수립, 실행, 문제 해결, 의사소통, 협력 등 다양한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러한 능력들은 셀프리더십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행 연구에서 리더 경험이 있는 군이 더 높은 셀프 리더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1,4,14,16)

    가정 경제 상황에 따른 셀프리더십, 일상적 창의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Table 9에 나타내었다. 모든 영역에서 가정 경제가 있는 좋은 군에서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의사소통능력에서는 각각 0.008과 0.05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점에 따른 셀프리더십, 일상적 창의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의사소통과에 대해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모든 영역에서 학점이 좋을수록 다소 높은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에서 각각 0.017과 0.0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Ⅳ. 결 론

    안경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시력 교정 및 안경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적인 안보건전문가이다. 업무의 특성상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지속적인 학습 노력, 세심함이 요구되며, 고객과의 소통 능력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충족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셀프리더십 능력이 필수적이다.

    셀프리더십은 개인이 스스로를 이끌어가는 능력을 의미하며, 목표 설정, 동기 부여, 문제 해결, 자기 관리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한다. 안경사의 셀프리더십은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고객과의 효과적인 소통을 이루며, 업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셀프리더십은 외부의 영향력보다는 내부의 동기와 능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리고 안경사의 셀프리더십은 일반적 창의성과도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높은 일반적 창의성은 안경 제작과 시력검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실현 가능한 대안을 생각하게 하고 올바른 해결책과 대안적 해결책을 잘 발휘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안경 기술과 트렌드를 탐구하고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것이다. 안경사는 고객과의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처음 겪는 일에 대한 경험이나 생각을 수용하려는 경향을 나타내는 관계적 개방성은 안경사가 고객의 다양한 의견과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렴하 직무 능력에 적용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안경사의 셀프리더십을 향상하는 것은 일상적 창의성을 발휘하여 전문성을 더욱 높이고 고객 만족도를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안경사는 업무의 특성상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와 압박감을 경험하게 된다. 사회적 지지는 안경사가 고객과의 소통 과정에서 갈등이나 어려움에 처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고 대처에 도움을 주며, 주변 사람들로부터의 조언과 지원은 안경사가 새로운 해결책을 찾고 문제를 극복하도록 도와주어 안경사가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정신 건강을 유지하며, 전문성을 발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안경사의 의사소통은 고객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경청하고, 고객의 요구와 필요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 상품지식 전달, 검진 결과 등을 설명하는 능력, 고객의 감정을 이해하는 공감 능력, 긍정적이고 친절한 태도로 전달하는 능력, 그리고 고객과의 갈등 상황에서 침착하게 대처하고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능력 등을 필요로 한다.

    셀프리더십이란 스스로가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자기 생각과 행동을 관리하는 것으로 자기 스스로 동기부여를 통해 긍정적인 마음과 발전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변화시키는 것이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안경광학과 학생의 셀프리더십 3.46, 일상적 창의성 3.61, 사회적 지지 3.98,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 3.71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소는 상관성이 매우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요소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이, 리더 경험이 있는 군에서, 가정 경제가 좋은 군에서 그리고 학점이 높은 군에서 셀프리더십, 일상적 창의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높은 셀프리더십, 일상적 창의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의사소통은 학생들의 역량을 향상하고 안경사의 전문성과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셀프리더십 역량 향상을 위한 제안 점으로 목표 설정, 동기 부여, 문제 해결, 자기 관리를 향상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멘토링 프로그램, 학생 상담, 봉사, 사회적 행사 등 서로를 지지하고 격려할 수 있는 행사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 경청, 명확한 설명, 공감 능력, 비언어적 의사소통, 갈등 해결을 위해 팀별 프로젝트와 발표 수업 등은 셀프리더십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안경광학과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핵심 역량 강화와 더불어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전문성을 함양할 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셀프리더십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학생들의 전문성을 향상하고 안경사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This paper was supported by Baekseok University in 2024.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verage value of self-leadership factors

    SD<sup>*</sup>: standard deviation

    Average values of everyday creativity factors

    SD<sup>*</sup>: standard deviation

    Average value of social support factors

    SD<sup>*</sup>: standard deviation

    Average valu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factor

    SD<sup>*</sup>: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SD<sup>*</sup>: standard deviation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ccording to leader experience

    SD<sup>*</sup>: standard deviation

    Relationship between self- leadership,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communication competence according to family economic situation

    SD<sup>*</sup>: standard deviation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credit

    SD<sup>*</sup>: standard deviation

    Reference

    1. Kim MJ: An inquiry into learner factors influencing the self-leadership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Ewha Womans University MS Thesis, pp.1-30, 2007.
    2. Jeon SJ, Jeon J et al.: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the career plan. TMRO 17(3), 319-42, 2013.
    3. Shin MG, Kim MS et al.: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KJSP 6(3), 313- 340, 2009.
    4. Kim HG: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e Behaviors and Nursing Services on Self-Leadership among Nurses in Hospitals. J Korean Clin Nurs Res. 13(1), 25-36, 2007.
    5. Koh MS, Suk JW et al.: The Influence of Creative Action and Locus of Control on Selfleadership among RN-BSN students. JKAIS 14(10), 5059-5068, 2013.
    6. Song HJ: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MS Thesis, pp.1-25, 2014.
    7. An JE: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career,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leadership of hospital nurses, Yonsei University MS Thesis, pp.1-15, 2013.
    8. Lee Y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youth keadership kife skills: Focused on the scout activity, Myongji University MS Thesis, pp.1-28, 2012.
    9. Shin KB: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of service employees. JHRMR 17(1), 91-104, 2010.
    10. Yoon JM: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adults' self-leadership, Chung-Ang University MS Thesis, pp.1-38, 2011.
    11. Houghton JD, Neck CP: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2002.
    12. Jung DI: A study on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and everyday creativ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hung-Ang University MS Thesis, pp.1-18, 2023.
    13. Douglas D, Suurmeijer T et al.: An international study on measuring social support interactions and satisfaction. Soc Sci Med. 43(9), 1389-1397, 1996.
    14. Choi JY: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Eulji University MS Thesis, pp.1-33, 2016.
    15. Lee O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 leadership among nursing students. JKAIS 16(9), 6036-6043, 2015.
    16. Lee YS, Pack SH et al.: Nursing students' self– 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tion. J Korea Contents Assoc. 14(6), 229-240, 2014.
    17. Song MS, Lee IS: The effects of club activities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JKAIS 21(8), 485-494, 2020.
    18. Park JY: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Kwondong University MS Thesis, pp.1-29, 2013.
    19. Jeong EI: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vocational interest, everyday creativity, and personality. AJE 7(3), 77-100, 2006.
    20. Jeong EI: Stress and everyday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decision-making, Korean J Educ Methodol Studi. 19(2), 43-162, 2007.
    21. Jeong H, Go YH: Creativit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innovative behaviors. J of the Korea Converg Soc. 11(1), 317-325, 2020.
    22. SO YH: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on creativity. Korean J Child Educ. 18(4), 21-33, 2009.
    23. You, SB: Effects of career barrier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students'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hungbok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pp.1-3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