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6 No.4 pp.225-23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4.26.4.225

A Study of the Frame Size and Physical Discomfort in Progressive Addition Spectacle Wearers

Jeong-Hyeon Jeon1), Min-Ji Lee2), Koon-Ja Lee3)
1)KE Optical Clinic, Optometrist, Seoul
2)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Student, Uijeongbu
3)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oon-Ja Lee (https://orcid.org/0000-0001-5867-5615)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ungnam TEL: +82-31-740-7182, E-mail: koonja58@gmail.com
August 26, 2024 December 25, 2024 December 26, 2024

Abstract


Purpose :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spectacle worn by progressive addition spectacle (PAS) wearers and frame design suitable for the facial morph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spectacle and the physical discomfort was investigated.



Methods : A total of 71 subjects (37 males, 34 females, mean 54.52±8.78 years) wearing PAS with appropriate fitting condit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Physical discomfort was investigated using a questionnaire. The size of the spectacle was confirmed by the total FHD (front horizontal dimension), FTB (front to bend), LOD (length of drop), and TL (temple length). After measuring the facial morphology, the size of the spectacle suitable for the fac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spectacle in use.



Results : The severity of physical discomfort was highest in the order of temporal head pressure, slipping forward, nasal pressure, and ear pressure. The proportion of subjects experiencing discomfort was highest in the order of slipping forward, nosal pressure, ear pressure, and temporal head pressure. The FHD of the spectacle worn was smaller that of the frame design calculated(p<0.001). The FTB of the spectacle worn was smaller that of the frame design values calculated by face measurement for both men and women, and the LOD of the spectacle worn was larger for women than for men, and was also larger that of the frame design calculated (all, p<0.001).



Conclusion : The FHD of the male and female spectacle wearers were small compared to the facial morphology, which could be the cause of temporal head pressure. The LOD of the lateral was large compared to the face, which could be the cause of forward slipping and nasal pressure. In order to select a spectacle size suitable for the facial morphology, the FHD and the lateral length (FTB+LOD) of the spectacle frame will have to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누진 가입도 안경 착용자의 안경테 크기와 신체적 불편감에 관한 연구

전정현1), 이민지2), 이군자3)
1)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대학원생, 의정부
2)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대학원생, 의정부
3)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Ⅰ. 서 론

    눈의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안경은 광학적으로 우수하더라도, 얼굴에 물리적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성인 안경 착용자의 경우 안경 착용에 있어 불편함과 관련된 요인으로 코와 귀 및 관자놀이의 압박감, 흘러내림과 같은 안경에 의한 신체적(역학적) 불편감이 가장 크다고 보고되었고, 시력 저하와 안정피로 등 시각적 불편감은 드물었다.1) 남자 중학생의 경우에는 안경테의 피팅 상태가 적합한 경우에도 흘러내림으로 인한 신체적 불편함과 함께 어지러움, 상의 크기 변화 등의 시각적 불편함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2) 초등학생 어린이의 경우에는 코받침의 간격이 넓거나 측면부 다리의 꺾임 길이가 길게 조정되는 등 부적절한 피팅 상태가 불편감을 유발하였는데,3) 이는 어린이 안경테가 어린이의 얼굴 형태를 반영하지 못하여 발생한 결과였다.4) 온라인 안경 구매가 허용된 외국 사례를 보면 안경 처방전을 가지고 온라인에서 구매한 안경렌즈가 오프라인 안경원과 동일한 품질이라고 할지라도 안경테의 크기와 피팅 상태는 착용 자에게 적합하지 않았으며, 특히 누진 가입도 안경의 경우 안경테의 피팅 상태가 적합하지 않으면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경렌즈의 광학적 중심이 눈에 부적 절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시각적 불편감과 낙상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5)

    누진 가입도 안경을 처음 착용할 때 단초점 안경과 비교하여 적응 과정이 좀 더 빈번하고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성별, 노안 가입도, 누진렌즈 디자인 등을 주된 관련 요인으로 고려할 수 있고,6) 누진 가입도 안경 피팅에 이용하는 상하 이동식 코받침이 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7) 단초점 안경과 달리 누진 가입도 안경의 불편함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누진렌즈 디자인에 따른 원·근 및 중간 거리의 시야 폭 차이 뿐만 아니라 노년층의 얼굴 형태가 젊은 성인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8) 노년층의 경우 안경테 피팅과 연관된 코퍼짐 각, 코귀 거리, 귀 높이가 얼굴의 오른쪽과 왼쪽에서 미세하게 다르며, 노화에 의한 피부 탄력성의 저하9)가 원인이 될 수 있어 코 눌림과 흘러내림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안경 착용 자의 얼굴 계측값을 기반으로 제조한 안경테를 착용하면 부적절한 피팅에 의한 불편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제안되었다.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제가공 및 피팅 상태가 양호한 누진 가입도 안경 착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얼굴 형태를 기반으로 계산한 안경테 설계값과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의 크기를 비교하고, 착용한 누진 가입도 안경테의 크기와 신체적 불편감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자

    본 연구는 2022년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서울시 서초구에 있는 OO안경원에 방문한 40세 이상 고객을 대상으로 안질환, 안과수술, 안외상 및 안와질환이 없는 누진 가입도 안경 착용자 중에서 굴절상태(원용도수와 가입도수), 조제가공 및 피팅 상태가 양호한 71명(남성 37명, 여성 34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번호 EU22-19)의 승인을 받아 실 시하였으며, 연구 목적과 검사 방법에 대하여 참여 대상자에게 구두와 서면으로 설명한 후 동의받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2. 연구 방법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피팅 상태를 평가하였다. 안경테와 관련된 얼굴과 머리의 주요 부위를 실제 계측하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조사 하였다. 계측값을 이용하여 안경테를 설계한 후 현재 착용한 안경테의 크기와 비교하였다. 현재 착용하고 있는 누진 가입도 안경의 불편 증상을 설문조사하였다.

    1) 착용 안경테의 크기 측정

    안경테의 다리 길이는 전면부의 후면부터 경첩까지의 길이(평균 7.07 mm)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안경테의 옆면을 다리부 대신에 측면부로 표현하였다.

    (1) 전면부 전체 길이(front horizontal dimension, FHD)

    굴곡 있는 전면부의 수평방향 전체 길이를 유연한 재질의 PD 자로 실측하였다(Fig. 1).

    (2) 측면부 꺾임 거리(front to bend, FTB)

    줄자를 이용하여 전면부의 후면부터 측면부 꺾임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두꺼운 플라스틱 안경다리의 경우 피부에 접촉하는 아랫면에서 꺾이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였다(Fig. 2).

    (3) 꺾임 후 길이(length of drop, LOD)

    측면부 꺾임 위치부터 이후의 다리 끝까지 내려온 길이를 측정하였다(Fig. 2).

    (4) 다리 길이(temple length, TL)

    다리 길이는 경첩부터 다리 끝까지의 길이다. 이 값을 측정한 후 안경테에 표기된 다리 길이와 비교하였고, 전 면부의 후면과 다리 경첩 사이의 길이를 포함한 측면부 전체 길이(=FTB+LOD)와 구분하였다(Fig. 2).

    2) 착용 안경의 피팅(조정) 상태 평가

    피팅 상태는 각막 반사점과 수평 기준선의 높이, 누진 대 길이를 평가하였고,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정면을 바라보는 수평 주시 자세에서 진행하였다. 안경의 전면 부에서는 안면각, 경사각, 정점 간 거리를 평가하였고, 다리부에서는 여러 길이와 각도를 실제 측정하였다.

    (1) 안면각(face form angle)

    5D 측정자(ruler, Nikon, Japan)를 이용하여 좌우 상부림에서 가장 돌출된 곳의 두 접선이 이루는 앞쪽 각도(앞수평면 휨각)를 측정하였다(Fig. 3).

    (2) 경사각(pantoscopic angle)

    안경테의 측면 림이 연직선(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Fig. 3).

    (3) 정점 간 거리(vertex distance)

    정점 간 거리 측정 기준은 얇은 금속테 및 (반)무테 경우에는 안경렌즈의 후면부터 각막 정점까지의 거리를, 두꺼운 플라스틱 안경테 경우에는 테 전면부의 후면부터 각막 정점까지의 거리를 좌우 측면에서 측정하였다(Fig. 3).

    (4) 다리 벌림각(angle of let back, ALB)

    안경다리가 전면부의 후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선을 0° 로 기준 삼아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Fig. 1).

    (5) 측면부 꺾임 거리(front to bend, FTB)

    안경테 전면부의 후면부터 측면부 꺾임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고, 꺾임 위치가 귓바퀴 윗뿌리점에 비해 길거나 짧은 정도를 ±5 mm 간격으로 ±10 mm 이상까지 평가하였다. 앞의 네 가지 항목은 해당 길이 및 각도를 실측한 것이며, 여기서부터 나머지 항목들은 실측과 동시에 피팅 상태를 수치화하는 과정에서 검사자가 안경다리와 피부의 접촉 정도를 확인하면서 피팅 상태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Fig. 2). 귓바퀴 윗뿌리점을 기준 값 3점으로 정하였고, 측면부 꺾임 거리가 귓바퀴 윗뿌리점에 비해 5~9 mm 길면 4점으로, 10 mm 이상 길면 5점으로 계산하였다. 5~9 mm 짧으면 2점으로, 10 mm 이상 짧으면 1점으로 계산하였다.

    (6) 꺾임 후 길이(length of drop, LOD)

    측면부 꺾임 위치부터 이후의 다리 끝까지 내려온 길이가 귀 너비의 계측값으로부터 계산한 설계값보다 길거나 짧은 정도를 ±5 mm 간격으로 ±10 mm 이상까지 평가하였다(Fig. 2). 귀 너비의 2/3를 기준값 3점으로 정했고, 꺾임 후 길이가 기준값에 비해 5~9 mm 길면 4점으로, 10 mm 이상 길면 5점으로 계산하였다. 5~9 mm 짧으면 2점으로, 10 mm 이상 짧으면 1점으로 계산하였다.

    (7) 내방 꺾임각(inward angle of drop, IAOD)

    안경테의 귀받침 내방 꺾임각을 각도기로 측정하고, 뒤통수 피부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는 정도를 ±5° 간격으로 ±10° 이상까지 평가하였다(Fig. 1). 뒤통수 피부와 접촉하는 평균 각도 20°를 기준값 3점으로 하였고, 기준값에 비해 5~9° 크면 4점으로, 10° 이상 크면 5점으로 계산하였다. 5~9° 작으면 2점으로, 10° 이상 작으면 1점으로 계산하였다.

    (8) 하방 꺾임각(downward angle of drop, DAOD)

    안경테의 귀받침 하방 꺾임각을 각도기로 측정하고, 귓바퀴 뒷면 피부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는 정도를 ±5° 간격으로 ±10° 이상까지 평가하였다(Fig. 2). 귓 바퀴 뒷면 피부와 접촉하는 평균 각도 45°를 기준값 3점으로 하였고, 기준값에 비해 5~9° 크면 4점으로, 10° 이상 크면 5점으로 계산하였다. 5~9° 작으면 2점으로, 10° 이상 작으면 1점으로 계산하였다.

    3) 안경테 설계를 위한 얼굴 크기 계측

    얼굴 너비, 머리 너비, 귀 너비, 코귀 거리 등 주요 얼 굴 및 머리 크기를 계측한 후 적합한 안경테 크기를 설계하였다.

    (1) 얼굴 너비(face width)

    캘리퍼(calliper, carbon fiber composite digital caliper 300 mm, China)를 이용하여 양쪽 광대 외측 사이의 직선거리(zygion, ZY)를 측정하였다(Fig. 4, 5).

    (2) 머리 최대 돌출점 너비(head breadth projected)

    선행 연구와 비교하기 위해 캘리퍼를 이용하여 안면 상의 수평면에서 머리 좌우 측면에 있는 최대 돌출점(euryon, EU) 사이의 직선거리를 측정하였다(Fig. 5).

    (3) 머리 너비(head width)

    일반적인 머리 계측에서의 머리 너비는 머리 최대 돌출점 너비를 의미하지만, 안경테 설계를 위한 계측에서의 머리 너비는 귀구슬 최고점(tragion) 사이의 직선 거리를 의미하고,11) 측면부의 꺾임 위치가 접촉하는 좌우 귓바퀴 윗뿌리점(otobasion superius, OBS) 사이의 거리와 같다. 피팅 메저(fitting measure, Hasegawa Bicoh, Japan)를 이용하여 양쪽 OBS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Fig. 5, 7).

    (4) 코귀 거리(SE-OBS)

    코와 귀 사이의 거리는 코뿌리점(sellion, SE)부터 귓 바퀴 윗뿌리점(OBS)까지의 직선거리를 측정하였다(Fig. 6, 8).

    (5) 귀 너비(OBS-OBI)

    귓바퀴가 머리 피부에 붙는 점(otobasion superius, OBS)과 광대 피부에 붙는 점(otobasion inferius, OBI) 사이의 직선거리를 PD 자로 측정하였다.

    4) 착용 안경의 불편감에 대한 설문조사

    안경 착용으로 인한 신체적 불편함으로 흘러내림, 코 눌림, 귀 눌림, 관자놀이 눌림과 같은 증상을 정도와 빈도로 나타내어 설문조사하였다. 각 항목의 점수는 5점 척도를 이용하여 “거의 없다(0점)”, “가끔 있다(1점)”, “보통이다(2점)”, “자주 있다(3점)”, “항상 있다(4점)”로 구성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부록>에 제시하였다.

    5) 통계분석

    데이터 분석은 SPSS version 20.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얼굴 크기의 차이를 기반으로 계산한 안경테 설계 값과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 크기, 두 그룹의 비교는 독립표본 T-test를 시행하였고, 신뢰구간은 95%로 p<0.050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 71명 중에서 남성 37명(52.1%), 여성 34명(47.9%)이었고, 평균 연령은 54.52±8.78세(남성 53.51± 7.93세, 여성 55.62±9.62세)였다. 또한 대상자의 누진 가입도 안경의 착용 기간은 평균 2.80±1.25년으로 나타났고, 구면굴절력은 평균 –2.08±2.42 D, 원주굴절력은 평균 –0.69±0.63 D, 근용가입도는 평균 +1.60± 0.50 D 였다(Table 1).

    2. 착용한 안경의 조정(피팅) 상태

    1) 안경테 전면부

    전면부의 안면각(face form angle)은 평균 3.94± 3.35°(남성 4.78±3.75°, 여성 3.03±2.60°)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26), 경사각(pantoscopic angle)은 평균 7.23±3.10°(남성 7.49±3.00°, 여성 6.96±3.20°)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310). 정점 간 거리(vertex distance)는 평균 12.42±2.70 mm(남성 11.81±2.89 mm, 여성 13.07±2.33 mm)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05), 다리 벌림각(angle of let back)도 평균 5.10±4.45°(남성 6.31± 4.18°, 여성 3.78±4.38°)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p=0.001) (Table 2).

    2) 안경테 측면부

    측면부 꺾임 거리(FTB)는 귓바퀴 윗뿌리점(귀구슬 최고점, OBS)을 약간 지나서 귓바퀴 뒤쪽에서 느슨하게 피팅되었고, 꺾임 후 길이(LOD)는 평균 3.75±1.03점 (남성 3.23±0.96점, 여성 4.32±0.76 점)으로 귀 너비의 2/3인 기준값(3점)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하방 꺾임각(DAOD)은 여성 3.51±1.11점, 남성 2.97±1.12점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컸다(p= 0.005)(Table 3).

    3. 착용한 안경테 크기

    1) 전면부 전체 길이(FHD)

    전면부 수평 방향의 전체 길이는 평균 133.92±4.34 mm (남성 135.11±4.35 mm, 여성 132.62±4.01 mm)로 남성 안경테의 전면부 가로 폭이 여성보다 더 길었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5)(Table 4).

    2) 측면부 전체 길이(=FTB+LOD)

    측면부 꺾임 거리(FTB)는 평균 103.56±6.10 mm(남성 106.45±6.08 mm, 여성 100.41±4.32 mm)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길었다(p<0.001)(Table 4). 꺾임 후 길이(LOD)는 평균 46.95±5.72 mm(남성 43.91± 5.00 mm, 여성 50.26±4.50 mm)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길었다(p<0.001). 그리고 경첩부터 다리 끝까지의 실제 다리 길이(TL)는 평균 143.63±5.61 mm(남성 144.41±6.12 mm, 여성 142.79±4.95 mm)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p=0.229), 측면부 전체 길이(=FTB+ LOD)에 비해 6.88 mm 짧았다.

    4. 얼굴 계측값을 활용한 안경테 설계

    1) 얼굴 계측값

    머리 최대 돌출점 너비와 귀 너비를 제외한 얼굴 크기와 관련 있는 계측값인 얼굴 너비, 머리 너비, 코귀 거리의 남녀 차이를 비교하면, 남성의 얼굴 크기는 여성의 1.06배(얼굴 너비 1.08배, 머리 너비 1.06배, 코귀 거리 1.05배)로 나타났다(Table 5).

    (1) 얼굴 너비(face width)

    얼굴 너비는 평균 143.56±7.79 mm(남성 147.57± 7.01 mm, 여성 139.21±6.13 mm)로 계측되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8.36 mm 길었고,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머리 너비(head width)

    머리 너비는 평균 146.90±6.77 mm(남성 150.84± 5.34 mm, 여성 142.62±5.47 mm)로 남성이 여성보다 8.22 mm 길었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1).

    (3) 머리 최대 돌출점 너비(head breadth projected)

    머리 최대 돌출점 너비는 평균 160.20±8.09 mm (남성 165.00±6.81 mm, 여성 154.97±5.85 mm)로 남성이 여성보다 10.03 mm 길었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4) 코귀 거리(SE-OBS)

    코와 귀 사이의 거리는 평균 93.54±3.97 mm(남성 95.95±3.95 mm, 여성 90.93±1.70 mm)로 남성이 여성보다 5.02 mm 길었고,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5) 귀 너비(OBS-OBI)

    평균 57.07±5.35 mm(남성 58.59±5.95 mm, 여성 55.41±4.10 mm)로 남성이 여성보다 3.18 mm 길었고,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1).

    2) 계측값을 이용한 안경테 크기 설계값

    (1) 전면부 전체 길이

    얼굴 너비와 머리 너비의 계측값으로부터 식 (1)을 이용하여 얻은 전면부의 전체 길이(FHD)는 남성 148.66± 5.86 mm, 여성 140.34±5.35 mm로 계산되었고,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1)(Table 6).

    F H D = F W + H W F W 3
    (1)

    (2) 측면부 전체 길이

    측면부의 전체 길이는 FTB와 LOD로 구성된다.

    ① FTB(front to bend)

    식 (2)를 이용하여 코뿌리점부터 귓바퀴 윗뿌리점까지의 직선거리와 귀 너비의 1/2값으로부터 구한 FTB는 남성 126.00±5.05 mm, 여성 118.85±2.63 mm로 계산되었고,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Table 6).

    F T B = ( S E O B S ) + E W 2
    (2)

    ② LOD(length of drop)

    귓바퀴가 머리 피부에 붙는 점(OBS)과 광대 피부에 붙는 점(OBI) 사이의 직선거리인 귀 너비의 2/3값을 LOD로 적용한 결과, 남성 39.06±3.97 mm, 여성 36.94±2.74 mm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1)(Table 6).

    5. 현재 안경 착용 시 불편감에 대한 설문조사

    안경 착용으로 인한 신체적 불편함의 항목에 따른 정도 차이를 비교하면, 관자놀이 눌림(2.88±1.36점)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흘러내림(2.50±1.05점)이었다. 불편감의 빈도는 흘러내림 67.61%, 코 눌림 56.34%, 귀 눌림 23.94%, 관자놀이 눌림 11.27%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7).

    6. 착용한 안경테와 설계한 안경테의 비교

    현재 착용하는 안경테의 전면부 전체 길이 FHD는 남성 135.11±4.35 mm, 여성 132.62±4.01 mm이었고, 얼굴 너비와 머리 너비의 계측값으로부터 계산한 설계값 FHD는 남성 148.66±5.86 mm, 여성 140.34±5.35 mm 이었다. 착용한 안경테의 FHD 길이가 설계값에 비해 남성 13.55 mm, 여성 8.32 mm 각각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Table 8).

    안경테의 측면부 꺾임 거리 FTB는 남성 106.45± 6.08 mm, 여성 100.41±4.32 mm이었고, 귀 너비의 절반값을 코뿌리점-귓바퀴 윗뿌리점 사이의 거리(코귀 거리: SE-OBS)에 보탠 설계값 FTB는 남성 126.00± 5.05 mm, 여성 118.85±2.63 mm이었다. 착용하는 안경테의 FTB 길이가 설계값에 비해 남성 19.55 mm, 여성 18.44 mm 각각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남성이 착용한 안경테의 FTB(106.45±6.08 mm)는 설계값(126.00±5.05 mm)에 비해 19.55 mm 작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안경테 설계를 위한 얼굴 계측값 중에서 정점 간 거리(11.81±2.89 mm)를 코귀 거리(95.95±4.20 mm)에 보탠 값과 비교하면, 남성이 착용하는 FTB 길이가 1.31 mm 작았다. 여성이 착용한 안경테의 FTB(100.41±4.32 mm)는 설계값 (118.85±2.63 mm)에 비해 18.44 mm 작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안경테 설계를 위한 얼굴 계측값 중에서 정점 간 거리(13.07±2.33 mm)를 코귀 거리(90.93±1.80 mm)에 보탠 값과 비교하면, 여성이 착용하는 FTB 길이가 3.59 mm 작았다.

    꺾임 후 길이 LOD는 남성 43.91±5.00 mm, 여성 50.26±4.50 mm이었고, 귓바퀴가 머리 피부에 붙는 점(OBS)과 광대 피부에 붙는 점(OBI) 사이의 직선거리인 귀 너비의 계측값으로부터 계산한 설계값 LOD는 남성 39.06±3.97 mm, 여성 36.94±2.74 mm로 나타났다. 착용하는 안경테의 LOD가 설계값에 비해 남성 4.85 mm, 여성 13.32 mm 각각 큰 것으로 나타났고,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남성이 착용한 안경테의 LOD(43.91±5.00 mm)는 설계값(39.06± 3.97 mm)에 비해 4.85 mm 큰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여성이 착용한 안경테의 LOD(50.26±4.50 mm)는 설계값(36.94±2.74 mm)에 비해 13.32 mm 큰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Ⅳ. 고 찰

    최근 10여 년간 원형 안경테의 유행으로 인하여 전면부의 상하 폭이 평균 40.2 mm로 커지면서 원용부 시야가 15 mm 이상 확보되고 중간거리부와 근용부 시야도 적절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누진가입도렌즈의 품질 또한 개선됨에 따라 누진 가입도 안경의 시각적 불편감이 점점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무 현장의 경험을 보면 누진 가입도 안경 착용자 중에서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례가 단초점 안경 착용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굴절이상의 교정과 조제가공 상태가 적합하여 시각적 불편감을 느끼지 않는 누진 가입도 안경 착용자를 대상으로 안경 착용 시 나타나는 신체적(역학적) 불편감을 조사하고, 이 원인을 확인하고자 얼굴 크기에 따라 계산한 안경테 설계값과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 크기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착용하고 있는 누진 가입도 안경의 피팅 상태를 확인한 결과, 경사각은 7.2°로 원용 안경의 평균값 10∼12° 에 비해 작았는데, 이는 원형 안경테의 하부림과 얼굴 의 물리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함으로 보이며, 광학적 요소 중의 하나인 경사각이 일반적인 각도보다 작게 조정된 또 다른 이유는 실무 현장에서 시각적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최적의 피팅 상태를 찾아낸 결과로 보인다. 경사각이 작아지면 정점 간 거리가 근용부에서만 멀어지는데, 이는 원거리 울렁거림을 억제하면서 근거리 시야를 높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정점 간 거리가 1 mm 변하면 시야각(angle of visual field)은 각 방향으로 약 1°씩 증감하여 상하좌우 방향 전체로는 약 2°의 증감이 생긴다.12) 누진 가입도 안경 피팅에서 정점 간 거리가 부적절할 때 시야각 변화와 함께 시각적 불편감을 유발하는데, 만약 정점 간 거리가 너무 작으면 피팅 높이가 낮아지므로 독서를 할 때 턱을 들거나 시선을 많이 내려야 하고, 정점 간 거리가 크면 근거리는 잘 보이나 원거리는 어지러움(주변부 수차)을 느낄 수 있다.13)

    본 연구에서 안경 착용으로 느끼는 신체적 불편함의 강도는 관자놀이 눌림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흘러내림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편함의 빈도는 흘러내림 67.61%, 코 눌림 56.34%, 귀 눌림 23.94%, 관자놀이 눌림 11.27% 순으로 나타났다.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는 측면부 꺾임 위치가 귓바퀴 윗뿌리점(귀구슬 최고점)을 조금 지나서 귓바퀴 뒤쪽에서 약간 느슨하게 피팅되었고, 꺾임 이후에 내려온 귀받침 길이는 기준값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더 길었다. Kim 등1)은 안경 착용 중 코 눌림과 귀 눌림, 흘러내림과 같은 신체적 불편함의 원인은 부적절한 피팅 상태와 부정확한 조제가공이라고 보고하였고, 누진 가입도 안경의 경우 코와 귀 부위를 압박하거나 흘러내림은 광학적 및 물리적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어 얼굴 형태 및 얼굴 크기에 맞는 정확한 조정이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14)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피팅 상태와 조제가공 상태가 적합한 누진 가입도 안경 착용자에게서도 신체적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그 불편함의 원인은 피팅 상태 이 외에 다른 원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누진 가입도 안경 착용자에서 나타난 불편함이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 크기와 관련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얼굴 형태를 측정한 결과, 얼굴 너비는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넓었고, 선행 연구의 결과보다 큰 값으로 측정 되었다.8,11) 얼굴 너비의 측정값과 관련이 있는 동공 간 거리는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길었고 선행 연구의 결과와 비슷하였다. 또한 코귀 거리(SE-OBS)는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본 연구에서 계측된 귀 너비는 남성(58.59±5.95 mm)이 여성(55.41±4.10 mm)보다 길게 나타났다. Chae 등8)이 보고한 한국 노안 연령 층의 귀 너비는 남성(57.59±5.71 mm)과 여성(55.20± 4.94 mm)이 비슷하였고, Lee 등11)이 보고한 한국 성인의 귀 너비는 남성(52.65±5.57 mm)이 여성(46.98± 5.97 mm)보다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얼굴을 실측한 항목을 보면 선행 연구8,11)에 비해 머리 너비는 작은 값으로 나왔고 얼굴 너비는 큰 값으로 나왔는데, 선행 연구는 사진 계측 방법을 사용하였고 본 연구는 실제 계측을 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안면 계측 방법의 차이에 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얼굴 측정값을 통해 계산한 안경테 설계값과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 크기를 비교한 결과, 전면부 전체 길이 FHD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착용한 안경테의 FHD는 설계값과 비교하여 남성은 13.55 mm, 여성은 8.32 mm 작게 나타났고, 이것은 관자놀이 눌림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착용한 안경테의 FTB는 설계값과 비교하여 남성은 19.55 mm, 여성은 18.44 mm로 작게 나타났다.

    얼굴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안구 돌출증을 제외하고 코뿌리점(SE)에서 출발하여 귓바퀴 윗뿌리점(OBS)까지 도착한 거리(코귀 거리: SE-OBS)는 각막 정점부터 OBS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길었다. 안경테 전면부의 후 면부터 각막 정점까지의 거리(정점 간 거리)를 코귀 거리(SE-OBS)에 더하면, 실제 착용한 안경테의 FTB값에 가까워질 것이다. 귀 너비의 절반값을 대신하여 정점 간 거리를 코귀 거리에 더함으로써, 새롭게 설계한 FTB는 남성 107.76 mm, 여성 104.00 mm로 착용한 안경테의 FTB에 비해 남성은 1.31 mm, 여성은 3.59 mm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귀 너비의 2/3값을 LOD로 적용한 결과값은 남성 39.06±3.97 mm, 여성 36.94±2.74 mm로 유의한 차 이를 보였고, 착용한 안경테의 LOD는 설계값에 비해 남성은 4.85 mm, 여성은 13.32 mm만큼 각각 크게 나타났다. 얼굴 크기에 비해 LOD가 큰 여성용 안경테의 경우에는 불편함을 더 유발할 것으로 추정된다.

    안경테의 전면부 전체 길이(FHD)가 짧을 때 측면부가 관자놀이를 누르고 전면부가 흘러내릴 수 있다. 측면부 꺾임 위치가 귓바퀴 윗뿌리점(OBS)에 비해 길어도 흘러내림이 발생하고, 이는 코 눌림의 주된 원인이 된다. 측면부 꺾임 위치가 짧거나 하방 꺾임각이 클 때에는 흘러내림 없이 코 눌림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는 데,15) 본 연구 대상자들이 착용한 안경테의 경우 FHD는 작았고, 측면부 FTB는 컸으며, LOD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누진 가입도 안경의 피팅과 조제가 적합하더라도 안경테의 크기가 얼굴에 적합하지 않으면 신체적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피부 탄력성이 저하된 중노년층이 착용하는 안경테의 경우에는 신체적 불편함이 더 클 것으로 생각한다.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신체적 불편함은 얼굴에 적합하지 않은 안경테가 원인일 수 있는데, 2000년대에는 안경테가 성별과 나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조되었으나, 최근에는 남녀 공용의 원형 디자인과 중간 크기 위주로 생산되어 나오기 때문에, 얼굴이 크거나 작은 경우 얼굴 형태에 맞는 안경테를 선택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안경 실무에서는 안경테의 피팅 과정에서 다리 벌림각을 넓게 조정하여 관자놀이 눌림을 개선하며, 다리 폭을 머리 너비에 비해 10 mm 정도 좁히거나,16) 하방 꺾임각과 내방 꺾임각을 크게 조정하여 흘러내림과 코 눌림을 줄이고, 안경테 재질의 탄력성을 고려하여 안면각과 다리폭을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안경테를 조정할수록 원래 형태와 다르게 변형되므로, 조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면부 전체 길이(FHD)와 측면부 전체 길이(FTB+LOD)를 다양한 크기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얼굴 크기에 적합한 안경테 크기를 선택하고 안경테를 좌우 대칭 상태로 사전 피팅(prefitting)한 후, 본 피팅에서 안면 비대칭을 확인하면서 편안한 상태로 미세 조정하면 안경 착용 중에 나타나는 신체적 불편감을 더욱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누진 가입도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남녀 안경테의 크기는 얼굴 형태와 비교하여 전면부 FHD는 대부분 얼굴에 비해 작고, 측면부 LOD는 큰 상태였고, 특히 여성 안경테의 측면부 전체 길이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착용한 남녀 안경테의 FHD는 얼굴 형태에 비해 작아 관자놀이 눌림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측면부 LOD는 얼굴에 비해 커서 흘러내림과 코 눌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개인마다 서로 다른 얼굴 형태에 적합한 안경테 크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전면부 전체 길이(FHD)와 측면부 전체 길이(=FTB+LOD)를 다양하게 구성한다면 누진 가입도 안경 착용자의 신체적 불편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Figure

    KJVS-26-4-225_F1.gif

    Spectacle frame design pararmeters of the front and temple side (FHD: front horizontal dimension, FTB: front to bend, LOD: length of drop, IAOD: inward angle of drop, ALB: angle of let back).

    KJVS-26-4-225_F2.gif

    Length and angle of spectacle frame design of the temple (DAOD: downward angle of drop).

    KJVS-26-4-225_F3.gif

    5D ruler: Interpupillary distance, vertex distance, optical center height, face form angle and pantoscopic angle can be measured with the 5D ruler.

    KJVS-26-4-225_F4.gif

    Calliper used for measurement in this study.

    KJVS-26-4-225_F5.gif

    Facial measurement spots on the front side of the face (ZY: zygion, EU: euryon OBS: otobasior superius).

    KJVS-26-4-225_F6.gif

    Lateral measurement spots on face (SE: sellion, GA: glabella, OP:opisthocranion, OBS: otobasion superius, OBI: otobasion inferius, GN: gnathion).

    KJVS-26-4-225_F7.gif

    Front side view of fitting measure.

    KJVS-26-4-225_F8.gif

    Temple side view of fitting meas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djustment status of the front part of the wearing spectacle frame

    Evaluation of the fitting condition of the templ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worn

    FTB†: front to bend, LOD: length of drop, DAOD*: downward angle of drop, IAOD#: inward angle of drop

    Dimensional measurements of wearing spectacle frame

    FHD: front horizontal dimension, FTB: front to bend, LOD*: length of drop, TL**: temple length

    Facial measurements related to frame design

    SE-OBS#: sellion-otobasion superius, OBS-OBI: otobasion superius-inferius

    Spectacle frame design parameters derived from measured facial features

    FHD: front horizontal dimension, FTB: front to bend, LOD#: length of drop

    Physical discomfort of progressive addition spectacle wearers

    Differences in size between the spectacle frame designed according to the facial size and spectacle frame worn

    FHD: front horizontal dimension, FTB: front to bend, LOD#: length of drop

    1. 아래의 빈칸을 작성해 주십시오.

    2. 안경의 착용감에 대한 불편 사항이 있다면, √ 로 표시해 주십시오(중복체크 가능).

    3. 불편 사항이 있다면, 얼마나 자주 느끼시나요? (2번에서 선택하신 부분만 √ 해 주십시오)

    4. 안경을 착용하면서 느끼는 시력과 관련된 불편 사항에 √로 표시해 주십시오(중복체크 가능).

    5. 불편 사항이 있다면 얼마나 자주 느끼시나요? (4번에서 선택하신 부분만 √ 해 주십시오)

    1. 누진 가입도 렌즈 종류와 도수를 확인해 주십시오.

    2. 누진 가입도 렌즈 설계점과 5가지 변수를 측정해 주십시오.

    3. 안경테 사이즈와 얼굴 폭을 측정해 주십시오.

    4. 다리부 조정 상태 4가지 요소를 길이와 각도로 측정하고, 접촉 상태를 √ 로 표시해 주세요.

    Reference

    1. Kim HJ, Lee KJ et al.: A study on the complaints of spectacle wearers. Korean J Vis Sci. 2(2), 197-203, 2000.
    2. Kim HJ, Lee KJ et al.: A study on the complaints of spectacle wearer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Vis Sci. 5(2), 1-7, 2003.
    3. Kim HJ, Lee KJ et al.: A study on the complaints of children spectacle wearers. Korean J Vis Sci. 3(2), 105-112, 2001.
    4. Kaye J, Obstfeld H: Anthropometry for children's spectacle frames. Ophthal Physiolog Opt. 9(3), 293-298, 1989.
    5. Alderson AJ, Green A et al.: A comparison of spectacles purchased online and in UK optometry practice. Optom Vis Sci. 93(10), 1196-1202, 2016.
    6. Shim JB, Shim HS: Analysis of adaptation for the first-time progressive lenses glasses wearers. J Korean Oph Opt Soc. 16(2), 117-122, 2011.
    7. Kim SJ, Lee HJ et al.: The evaluation of clinical performance of moving nose pad for progressive addition lenses. Korean J Vis Sci. 11(3), 219-237, 2009.
    8. Chae KS, Lee KJ et al.: Ophthalmic anthropometry for dimension of spectacle frame for Korean presbyopia. Korean J Vis Sci. 14(4), 303-312, 2012.
    9. Lee JH, Chae MJ et al.: Photo-protective effect of AP Collagen Peptides on UV-induced skin 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50(2), 119-127, 2021.
    10. Tang CY, Tang N et al.: Facial measurements for frame design. Optom Vis Sci. 75(4), 288- 292, 1998.
    11. Lee KJ, Mah KC et al.: Ophthalmic anthropometry for dimensions of spectacle frame in Korean adults. Korean J Vis Sci. 2(2), 185-195, 2000.
    12. Sung PJ: Optometry, 7th ed., Seoul, Daihaks, pp. 345, 1990.
    13. Lee KJ, Mah KC et al.: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th ed., Seoul, Hanmi Medical, pp. 187, 2016.
    14. Sullivan CM, Fowler CW: Investigation of progressive addition lens patient tolerance to dispensing anomalies. Ophthal Physiol Opt. 10(1), 16-20, 1990.
    15. Sung PJ: Optometric dispensing, 3th ed., Seoul, Daihaks, pp. 394, 1987.
    16. Kim HS, Doo HY et al.: Optometric dispensing. Seoul, Daihaks, pp. 15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