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현대의 빠른 발전 속에서 사람들은 스마트폰, 이어폰, 헤드셋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 이 동 중이거나 혼자 있을 때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사용한 다. 음향기기에서 나오는 다양한 음악 소리는 감정을 느 끼게 하고, 생리적 반응을 유발한다.1) 한편, 물체 거리 에 따라 시각적 초점을 맞추기 위해 생기는 눈의 조절 과정에서 동공 크기의 감소와 두 눈의 폭주를 동반하게 되는데 동공 반응의 주요 기능은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 을 조절하는 것이다. 동공 크기는 작업 기억 부하, 정신 적 계산, 정서적 각성을 포함한 다양한 인지 요소에 의 해서도 영향을 받는다.2) 인간의 청각 시스템은 소리의 자극과 규칙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3) 동공 반응 또한 뚜렷하고 놀라운 청각적 자극을 반영한다는 것이 Liao 의 연구4)에 의해 입증되었다. 예를 들면, 반복적인 음조 로 구성된 청각 순서화(auditory sequence)를 들었을 때와 이상한 소리가 나타날 때 동공 크기가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났다. 템포(bpm)는 가장 널리 연구 된 특성 중 하나인데, Li의 연구5)에서 bpm이 중간(85~110 bpm) 템포 음악이 주의력을 유지하는데 적합했고, bpm이 느 린 노래일수록 일시적으로 주의력의 질을 높일 수 있지 만 주의력을 저하 시킨다고 했다. 음악의 가사 유무에서 는 Millet의 연구6)에서 성악이 기악보다 훨씬 더 산만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Weiss의 연구7)에서 동공 크기가 새로운 멜로디보다 익숙한 멜로디에서 동공 크기가 더 커졌고, 가사 유무에서 가사가 있는 경우 동공의 크기가 더 커졌다. Ersin의 연구8)에 따르면 청각적 자극이 시 각적 주의력을 감소시키고 많은 주의력이 요구해야 할 때 청각적 및 시각적 이중 작업 성능이 감소한다고 했 다. 시각 및 청각 시스템과 같은 감각 경로 간의 상호 작 용은 뇌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처음 발생하 는 위치는 불확실하다.9) 또한, 시각적 성능은 동공 크 기, 동공 중심 위치 및 조절 이 세 가지가 밀접하게 의존 하고 있으며 달라질 수 있다.10) 이전 연구에서 청각적 자극 시 노래 템포(bpm), 노래 데시벨(dB), 음악의 종 류에 따른 동공 크기 변화는 많이 다뤄졌지만, 조절에 관한 부분 고려되지 않았다. 청각적 자극이 동공 크기와 동적 조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비교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노래의 bpm 및 dB에 따른 동공 크기 및 동적 조절 변화를 비교 하고, 빛의 유무에 따라 동공 크기와 동적 조절 변화량 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교정시력 1.0 이상으로 완전 교정 하였으며, 양안 조절 부등이 2.00 D 이상인 경우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피검사자들은 모두 시력에 이상이 없었으며 안과적 질환이 없으며 청력 기 능의 이상이 없는 대상자들로 측정되었다. 성인 20명 대 상으로 평균 나이 24.25±3.99세, 남자 10명, 여자 10 명이 참가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전 모든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과 검사 방법을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히 설명 한 후, 동의를 얻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2. 연구 방법
1) 측정 장비
(1) 동공 크기 변화와 조절 유도 변화 측정
자동굴절검사기(WAM-5500, Grand Seiko, Hiroshima, Japan)의 HI-SPEED MODE로 변경한 후 WCS-1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동공 크기 및 동적 조절 변화를 측정하였다.
(2) 헤드셋과 데시벨 측정기
헤드셋(AriPods Max, Apple Inc., shantung, China) 을 사용하였으며(Fig. 2), 소리 크기 측정은 아이폰(iPhone 12 Mini, Apple Inc., Dongguan, China)의 기능 중에 듣기 지원 시스템을 사용하여 소리 크기를 실시간으로 보면 서 측정하였다(Fig. 3).
2) 검사 방법8
검사실에서 자동굴절검사기(Fig. 1)와 포롭터(VT-10, Topcon,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측정하였 고, 완전 교정 상태에서 조절력은 Push-up 테스트로 측정 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최대 조절력 기댓값은 hofstetter 공식을 이용하였고,11) 공식은 최소: 15-0.25×나이, 평균: 18.5-0.30×나이, 최대: 25-0.40×나이로 공식 범위에 양안 모두 포함되었을 때 hold in card를 사용하여 우위안을 선정하여 측정을 진행하였다. 조절 변화는 완전 교정 된 도수의 등가구면 값 D(Diopter)-조절력으로 계산했다. 청 력 테스트는 포낙보청기(http://www.phonak.com/kr/ ko.html?null) 사이트를 이용하여 헤드셋(Fig. 2)을 사용 하여 검사를 진행하였고, 측정 거리는 명소시에서 6m 거리 에 Snellen 시력표 20/50 크기를 보게 하여 측정하였고, 암소시에서는 타겟이 없는 무한대 거리로 측정하였다.
Partala의 연구12)에 따르면 동공 크기는 2~3초에 최 고점에 도달하고 6초 후부터 자극이 감소한다고 한다. 이를 기반으로 각 노래는 한 곡당 6초씩 측정하였다. 감 정이나 주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실은 물건이 보이지 않도록 깔끔하게 정리하였다. 측정은 오 전에 진행되었으며, 대상자들은 측정 전에 5분 동안 안 정을 취한 후, 주변 소음 없는 상태에서 실험을 시작하 였다. 측정을 시작할 때는 대상자들에게 타겟에만 집중 하고 다른 생각은 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하였다. 암소시 조건에서는 타겟이 없으므로 정면을 주시한 상태에서 측 정하였다. 각 음악 장르의 데시벨마다 한 번씩 측정한 후, 눈 상태와 집중력을 확인하면서 진행하였다. 대조군 의 경우, 자극 없이 동공 크기 및 조절유도 변화량을 측 정하였다. 대상자들의 기준 수치가 서로 다르므로 소리 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한 수치를 절댓값 0으로 설정하여 템포 및 데시벨에 따른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1) 두 가지의 환경 조건
동공 크기 변화 및 동적 조절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첫 번째 조건에서는 실내 조도 300 lx(명소시)로 설정하 여 측정하였으며(Fig 4(a)), 소요 시간은 약 20분 정도 였다. 첫 번째 실험이 끝난 후 10분간 휴식을 취하였다. 두 번째 조건에서는 실내조명을 모두 끄고 암막 천을 사 용하여 조도를 0 lx(암소시)로 만든 후, 대상자들을 10 분간 어둠에 적응시킨 후 측정을 진행하였다(Fig. 4(b)). 그 후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암순응 적응 시간 10분을 포함해 약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총 측정 시간은 약 1 시간이 걸렸고, 모든 측정은 두 번씩 실시하여 두 수치 를 평균화하였다.
(2) 연구에 사용한 노래
Babić의 연구17)에서 음악 장르를 클래식, 외국 팝, 메탈 장르로 나누어 운전 행동과 시각적으로 비교하였 다. 연구 결과, 템포가 빠를수록 속도가 증가하고 시각 적 오류도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 로, Liao의 연구3)에서 청각 시스템은 규칙성에 민감하 다는 점을 강조하며, 단일 소리로 규칙성을 만들어 총 네 가지의 음악 장르를 사용하였다(Table 1).
Zhang의 연구18)에서 40 dB보다 60 dB에서 감정 장 애와 심전도 및 뇌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하였다. do Amaral의 연구19)에서는 80 dB 이상의 소음 이나 헤비메탈 음악에 노출될 경우 교감 신경이 활성화 되고 심박수 간격이 빨라진다고 보고하였다. 세계보건기 구는 85 dB 소음에 노출되는 경우 8시간이 한계라고 권 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리를 세 가지로 40 dB 이하, 60 dB 이하, 80 ~ 85 dB 미만 크기로 구분하여 측정하 였다. 이렇게 구분된 소리와 소음이 없는 상태에서 동공 크기와 조절 변화를 비교하였다. 단일 소리는 아이폰의 기본 어플리케이션 GarageBand를 이용하여 드럼 소리 를 사용하였고, ED Sheeran은 55초 후렴부터 측정하 였으며, Metallica는 반복되는 전주로 변화를 보기 위해 25초부터 전주 부분만 측정하였다.
3. 통계분석
측정된 데이터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25(SPSS Inc., IL, Chicago, USA)를 사용 하여 분석하였다. 동공 크기와 동적 조절 변화량을 템포 와 데시벨에 따른 자극의 유무를 비교하기 위해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일한 데시벨에서 네 가지 음악 장르가 달라졌을 때 동공 크기와 동적 조 절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서 ANOVA 분석을 사용하였 다. 두 가지 환경 조건에서 동일한 음악 장르와 데시벨 일 때, 동공 크기와 동적 조절 변화량의 차이를 비교하 기 위해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정규 분 포 검증 후 분석하였으며, 결과 p<0.050일 때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명소시 조건에서 동공 크기 변화 비교
6 m 거리에 시표를 보며 템포와 데시벨에 따른 자극 의 유무가 동공 크기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다(Fig. 5). 자극이 없이 측정된 대조군의 수치를 절댓값 0으로 설정하고, 40 dB에서 드럼 장르 0.23± 0.25, 메탈 장르 0.25±0.24, 외국 팝 장르 0.23± 0.24, 클래식 장르 0.24±0.20 mm이었고, 60 dB에서 드럼 장르 0.26±0.22, 메탈 장르 0.30±0.27, 외국 팝 장르 0.33±0.37, 클래식 장르 0.26±0.27 mm이었고, 80 dB에서 드럼 장르 0.21±0.17, 메탈 장르 0.26± 0.18, 외국 팝 장르 0.32±0.23, 클래식 장르 0.29± 0.25 mm이었으며, 네 가지 템포와 세 가지 데시벨 수 준에서 자극이 있을 때, 모든 음악 장르에서 동공 크기 변화량이 자극이 없을 때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0).
동일한 데시벨에서 음악 템포가 달라졌을 때 동공 크기 변화량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40 dB에 서 드럼 장르 0.23±0.25, 메탈 장르 0.25±0.24, 외국 팝 장르 0.23±0.24, 클래식 장르 0.24±0.20 mm로 변화량은 차이가 있었지만,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p=0.993). 60 dB에서 드럼 장르 0.26±0.22, 메 탈 장르 0.30±0.27, 외국 팝 장르 0.33±0.37, 클래식 장르 0.26±0.27 mm로 변화량 차이가 나타났으나, 유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92). 80 dB에서 드럼 장르 0.21±0.17, 메탈 장르 0.26±0.18, 외국 팝 장르 0.32±0.23, 클래식 장르 0.29±0.25 mm로 변화량 차 이가 있었지만,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 다(p=0.121). 결론적으로 템포가 달라져도 동공 크기 변화량에는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ig. 6).
2. 명소시 조건에서 동적 조절 변화 비교
6 m 거리에 시표를 보며 템포와 데시벨에 따른 자극 의 유무가 동적 조절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다(Fig. 7). 자극이 없이 측정된 대조군의 수치를 절댓값 0으로 설정하고, 40 dB에서 드럼 장르 0.15± 0.18, 메탈 장르 0.21±0.34, 외국 팝 장르 0.21± 0.27, 클래식 장르 0.19±0.16 D이었고, 60 dB에서 드 럼 장르 0.19±0.19, 메탈 장르 0.24±0.34, 외국 팝 장르 0.24±0.30, 클래식 장르 0.20±0.28 D이었고, 80 dB에서 드럼 장르 0.22±0.18, 메탈 장르 0.25± 0.36, 외국 팝 장르 0.24±0.32, 클래식 장르 0.23± 0.22 D이었으며, 네 가지 템포와 세 가지 데시벨 수준에 서 자극이 있을 때, 모든 음악 장르에서 동공 크기 변화량 이 자극이 없을 때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0).
동일한 데시벨에서 음악 템포가 달라졌을 때 동적 조 절 변화량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40 dB에서 드럼 장르 0.15±0.18, 메탈 장르 0.21±0.34, 외국 팝 장르 0.21±0.27, 클래식 장르 0.19±0.16 D로 변화량 은 차이가 있었지만,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337). 60 dB에서 드럼 장르 0.19±0.19, 메탈 장 르 0.24±0.34, 외국 팝 장르 0.24±0.30, 클래식 장르 0.20±0.28 D로 역시 변화량 차이는 있지만,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16). 80 dB에서 드럼 장르 0.22±0.18, 메탈 장르 0.25±0.36, 외국 팝 장르 0.24±0.32, 클래식 장르 0.23±0.22 D로 변화량 차이 는 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47). 템포가 달 라져도 동적 조절 변화량 역시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ig. 8).
3. 암소시 조건에서 동공 크기 변화 비교
타겟이 없는 무한대 거리 조건으로 템포와 데시벨에 따른 자극의 유무가 동공 크기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다(Fig. 9). 위와 동일하게 자극이 없이 측 정된 대조군의 수치를 절댓값 0으로 설정하고, 40 dB에 서 드럼 장르 0.11±0.48, 메탈 장르 0.24±0.42, 외국 팝 장르 0.23±0.33, 클래식 장르 0.21±0.30 mm이 었고, 60 dB에서 드럼 장르 0.17±0.23, 메탈 장르 0.24±0.33, 외국 팝 장르 0.16±0.21, 클래식 장르 0.19±0.29 mm이었고, 80 dB에서 드럼 장르 0.22± 0.26, 메탈 장르 0.27±0.36, 외국 팝 장르 0.22± 0.31, 클래식 장르 0.20±0.30 mm이었으며, 네 가지 템포와 세 가지 데시벨 수준에서 자극이 있을 때, 모든 음악 장르에서 동공 크기 변화량이 자극이 없을 때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0).
동일한 데시벨에서 음악 템포가 달라졌을 때 동공 크 기 변화량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을 때, 40 dB에 서 드럼 장르 0.11±0.48, 메탈 장르 0.24±0.42, 외국 팝 장르 0.23±0.33, 클래식 장르 0.21±0.30 mm로 변화량 차이는 있었지만,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 다(p=0.110). 60 dB에서 드럼 장르 0.17±0.23, 메탈 장르 0.24±0.33, 외국 팝 장르 0.16±0.21, 클래식 장르 0.19±0.29 mm로 차이는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23). 80 dB에서 드럼 장르 0.22± 0.26, 메탈 장르 0.27±0.36, 외국 팝 장르 0.22± 0.31, 클래식 장르 0.20±0.30 mm로 변화량 차이는 보였지만,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224). 템포가 달라져도 동공 크기 변화량에는 서 로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ig. 10).
4. 암소시 조건에서 동적 조절 변화 비교
마찬가지로 타겟이 없는 상태에서 템포와 데시벨에 따른 자극의 유무가 동적 조절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다(Fig. 11). 자극이 없이 측정된 대조군의 수치를 절댓값 0으로 설정하고, 40 dB에서 드럼 장르 0.41±0.42, 메탈 장르 0.80±1.17, 외국 팝 장르 0.77±0.95, 클래식 장르 0.66±0.75 D이었고, 60 dB 에서 드럼 장르 0.52±0.49, 메탈 장르 0.79±0.96, 외국 팝 장르 0.75±0.82, 클래식 장르 0.74±0.91 D 이었고, 80 dB에서 드럼 장르 0.56±0.73, 메탈 장르 0.90±1.18, 외국 팝 장르 0.73±0.92, 클래식 장르 0.68±1.00 D이었으며, 네 가지 템포와 세 가지 데시벨 수준에서 자극이 있을 때, 모든 음악 장르에서 동공 크 기 변화량이 자극이 없을 때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0).
동일한 데시벨에서 음악 템포가 달라졌을 때 동공 크 기 변화량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을 때, 40 dB에 서 드럼 장르 0.41±0.42, 메탈 장르 0.80±1.17, 외국 팝 장르 0.77±0.95, 클래식 장르 0.66±0.75 D로 변 화량 차이는 있었지만,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66). 60 dB에서 드럼 장르 0.52±0.49, 메탈 장 르 0.79±0.96, 외국 팝 장르 0.75±0.82, 클래식 장르 0.74±0.91 D로 변화량 차이는 나타났지만, 서로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2). 80 dB에서 드럼 장르 0.56±0.73, 메탈 장르 0.90±1.18, 외국 팝 장르 0.73±0.92, 클래식 장르 0.68±1.00 D로 변화량 차이 가 나타났으나, 템포가 달라져도 동적 조절 변화량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ig. 12).
5. 명소시와 암소시 조건에서 동공 크기 및 동적 조절 변화량 비교
동일한 bpm 및 동일한 dB에서 빛의 유무에 따라 동공 크기 변화량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드럼 장르의 경우 40 dB에서는 명소시 0.23±0.25, 암소시 0.11± 0.14, 60 dB에서는 명소시 0.26±0.22, 암소시 0.17± 0.22, 80 dB에서는 명소시 0.21±0.17, 암소시 0.22± 0.26 mm로 측정되었다. 메탈 장르의 경우 40 dB에서는 명소시 0.25±0.24, 암소시 0.24±0.42, 60 dB에서는 명소시 0.30±0.27, 암소시 0.24±0.33, 80 dB에서는 명소시 0.26±0.18, 암소시 0.27±0.36 mm로 측정되 었다. 외국 팝 장르의 경우 40 dB에서는 명소시 0.23± 0.24, 암소시 0.23±0.33, 60 dB에서는 명소시 0.33± 0.37, 암소시 0.16±0.21, 80 dB에서는 명소시 0.32± 0.23, 암소시 0.22±0.31 mm로 측정되었다. 클래식 장르의 경우 40 dB에서는 명소시 0.24±0.20, 암소시 0.21±0.30, 60 dB에서는 명소시 0.26±0.27, 암소시 0.19±0.29, 80 dB에서는 명소시 0.29±0.25, 암소시 0.20±0.30 mm로 측정되었다. 조도 조건이 달라질 때, 드럼 장르에서 40 dB(p<0.050)과 외국 팝 장르에서 60 dB(p<0.050)에서 동공 크기 변화량 차이가 나타났다 (Fig. 13(a)와 Fig. 13(c)). 다른 음악 장르에서도 동공 크기 변화량 차이가 관찰되었지만, 서로 간의 차이는 나 타나지 않았다(Fig. 13).
빛의 유무에 따른 명소시와 암소시에서 동적 조절 변 화량을 비교해 보았다. 드럼 장르의 경우 40 dB에서는 명소시 0.15±0.18, 암소시 0.41±0.42, 60 dB에서는 명소시 0.19±0.19, 암소시 0.52±0.49, 80 dB에서는 명소시 0.22±0.18, 암소시 0.56±0.73 D로 측정되었 다. 메탈 장르의 경우 40 dB에서는 명소시 0.21±0.34, 암소시 0.80±1.17, 60 dB에서는 명소시 0.24±0.34, 암소시 0.79±0.96, 80 dB에서는 명소시 0.25±0.36, 암소시 0.90±1.18 D로 측정되었다. 외국 팝 장르의 경 우 40 dB에서는 명소시 0.21±0.27, 암소시 0.77± 0.95, 60 dB에서는 명소시 0.24±0.30, 암소시 0.75± 0.83, 80 dB에서는 명소시 0.24±0.32, 암소시 0.73± 0.92 D로 측정되었다. 클래식 장르의 경우 40 dB에서는 명소시 0.19±0.16, 암소시 0.66±0.75, 60 dB에서는 명소시 0.20±0.28, 암소시 0.74±0.91, 80 dB에서는 명소시 0.23±0.22, 암소시 0.68±1.00 D로 측정되었 다. 그림 14에서 모든 그룹 a), b), c), d)에서 암소시의 동적 조절 변화량이 명소시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두 조도 조건 사이에서 동적 조절 변화량에 유의한 차이가 (p<0.050) 있었다.
Ⅳ. 고 찰
최근 한국갤럽조사연구소의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성인의 무선 이어폰 사용률은 56%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참가자들이 헤드셋을 착용 하고, 노래 종류의 템포(bpm)와 데시벨(dB)에 따른 동 공 크기 변화량 및 동적 조절 변화량을 비교했으며, 빛 의 유무에 따른 변화량 차이도 분석해 보았다. 이전 많 은 연구에서 템포가 빠를수록, 자극이 낮을수록, 그리고 노래의 종류가 즐겁거나 불쾌할 때, 또는 보컬과 피아노 소리 등의 경우에 동공 크기 반응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 반복 소리, 템포 에 따른 노래, 피아노 음악, 보컬 음악을 비교하였다. 빛 의 유무에 따라 노래의 bpm 및 dB에 자극이 있을 때, 자극이 없을 때보다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명소시와 암소시 두 조건 모두에서 동일한 dB 에서 bpm이 달라질 때 자극량의 차이는 나타났지만, bpm 변화에 따른 동공 크기와 동적 조절 변화량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Weiss의 연구7)에서 피아노 소 리보다 보컬 소리가 동공 크기를 더 증가시킨다고 보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템포가 비슷한 외국 팝과 클래 식을 비교한 결과, 두 가지 조도 조건에서 이전 연구와 같은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빛의 유무에 따라 동일한 템포의 노래를 같은 데시벨로 비교한 결과, 빛이 있을 때 동공 크기 변화량이 증가했으며, 빛이 없 는 상태에서 동적 조절 변화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사 람이 물체를 볼 때, 눈에서 축동이 발생하여 초점 심도 가 깊어지므로 적은 힘으로도 선명한 시야를 확보하게 되고, 조도가 낮아지면 초점 심도가 더 깊어지면서 조절 유도 변화량이 증가하게 된다.13) 또한 암소시에는 조절 변화량이 증가하여 동공 크기 변화량이 적게 나타났을 수 있지만, Wang의 연구14)에 따르면 자극을 받을 때 동 공 크기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동공 크기는 대비 감 도가 높아질수록 자극이 강해져 부교감 신경이 억제되고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증가하게 된다. 이전 연구에 따 르면, 동공 반응의 자극은 노래 종류와 관계없이 정서적 각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으며,15) 참가자들 간의 자 극 반응 정도는 일관되지 않고 음향적 특징으로부터 예 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1) 동공 크기와 동적 조 절 변화량 차이는 빛의 유무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인 것으로 사료 된다. 동공 크기를 확대하고 수축시키는 두 가지 근육인 동공 확대근 및 동공 조임근은 자율 신경계 에 의해 조절되며, 동공의 조절은 중추 신경계의 중뇌에 서 담당한다. 따라서 동공 크기 변화와 조절의 기전이 다르므로 발생하는 결과도 달라질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음악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았고, 피실 험자가 많지 않았다는 점이다. 연령, 성별, 청력, 상태와 같은 관련 요인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시사하고 있지만, 많은 연구에서 이러한 요소를 평가하지 않았 다.16) 본 연구에서도 20대의 대상자만을 대상으로 자극 에 대한 부분을 비교하여 분석했으나, 보다 세밀한 분석 을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음악이나 소 리의 특성이 시각적 지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 는다는 결과는 흥미로울 수 있으나, 다른 변수나 조건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암순응(dark adaptation) 상태에서 자극이 동공 크기 변화량보다 조 절에서 더 큰 영향이 미치는지에 대한 관련 연구도 더 필요하며, 동공 크기와 조절과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Ⅴ. 결 론
본 실험의 결과, 대조군과 비교해 보았을 때 템포와 데시벨에 따라 자극을 받으면 동공 크기와 동적 조절 변 화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템포가 달라지 더라도 변화량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명소시와 암소시 조건에서 템포가 빠른 음악을 들을 때 동공 크기와 동적 조절 변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두 조도 조건을 비 교했을 때 명소시에서는 동공 크기에 더 자극을 주었고, 반대로 암소시에서는 동적 조절 변화에 더 큰 자극을 주 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