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6 No.4 pp.275-293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4.26.4.275

Analysis of Optical Properties of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Jae-Yeon Pyo1), Min-Cheul Kim2), Ki-Choong Mah3,4)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PhD, Seongnam
2)Dept. of Optometry, Sungwoon University, Professor, Yeongcheon
3)International College of Optometry, Jining Polytechnic, Professor, China
4)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i-Choong Mah (https://orcid.org/0000-0001-7762-2615) International College of Optometry, Jining Polytechnic, Jining, China TEL: +86-537-223-2873, E-mail: kcmah9927@gmail.com
November 14, 2024 December 23, 2024 December 24, 2024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ptical properties of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and present data helpful in understanding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Methods :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material method and coating method) and general lenses were classified into 0, 2, and 3 grades of luminous transmittance (10 types), and the spectral transmittance of 250∼1,400 nm was measured, and the blue light and nearinfrared blocking rates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he relative visual attenuation coefficient (Q) was analyzed to confirm the suitability for detecting traffic signals while driving.



Results : In luminous transmittance classification grades 0, 2, and 3, the transmittance of general lenses was higher than that of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blue light blocking ratio between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and general lenses in the 410–470 nm areas (p>0.05),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ades 0, 2, and 3 in the 470–500 nm areas (p<0.05). The blocking ratio in the near-infrared (780 nm–1,400 nm) areas was higher in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than in general lenses at grades 0, 2, and 3 (p<0.05), proving that near-infrared blocking performance was better. In the eye and skin areas affected by the penetration of near-infrared rays,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had a higher blocking rate than general lenses (p<0.05) and could reduce the penetration of near-infrared rays more than general lenses. In the 0 grade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with the same blocking ratio, the blocking performance of the coating method blocking lense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material method (p<0.05). In the case of luminous transmittance grades of 0, 2, and 3 grades,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were suitable for distinguishing colors to detect traffic signals while driving.



Conclusion : In the luminous transmittance classification grades 0, 2, and 3,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demonstrated higher blocking ratio than general lenses, proving their performance, and will also be able to reduce the penetration of near-infrared rays in the wavelength range of the eyes and skin affected by near-infrared rays. As a result, it provided helpful data for understand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near-infrared blocking ophthalmic lenses.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광학적 특성 분석

표재연1), 김민철2), 마기중3,4)
1)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박사, 성남
2)성원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영천
3)제녕직업기술대학 국제시광학원, 교수, 중국
4)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Ⅰ. 서 론

    태양 빛의 많은 부분을 근적외선이 차지하고, 인간은 자연광 이외에 인조 광원을 가진 디지털 기기의 근적외 선에 지속해서 노출되고 있다. 생물학적으로 긴 시간 동 안 근적외선에 노출되면 인체에 여러 부위에 영향을 받 을 수 있다. 최근 들어 화장품 및 피부미용, 의료계에서 는 노폐물 배출이나 세포재생 등에 대한 근적외선의 장 점을 활용하는 다양한 시술법이나 장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근적외선의 장점이 실제로 효과 를 줄 수도 있지만 근적외선의 양면성을 모른 채 장점만 이 강조되는 것은 성급하고 위험한 행동이 될 수 있다.

    일광(daylight)에서 인간의 눈은 자외선(ultraviolet rays), 가시광선(visible rays), 적외선(infrared rays) 에 노출되며, 이러한 파장대의 노출로 인해 안구 기관 특히, 수정체와 망막 등은 심각한 영향을 받기도 한다.

    태양광선은 280∼4,000 nm의 파장을 포함하는데 이 파장은 주요한 부분으로 자외선(100∼380 nm), 가시광선 (380∼780 nm), 적외선(780 nm∼1 mm)으로 분류되고 청색광(380∼500 nm)로 구분, 이 중 적외선은 다시 근적 외선(Infrared A, 780∼1,400 nm), 적외선(Infrared B, 1,400∼3,000 nm), 원적외선(Infrared C, 3,000 nm∼ 1 mm)으로 분류한다(ISO 8980-3, 13666).1)

    청색광 영역은 기본적으로 청 자색광(380∼455 nm)과 청 녹색광(455∼500 nm)의 두 가지 범위로 나눌 수 있 다.2) 이들은 안구 조직에 매우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00∼470 nm로 유도된 HEV(high energy visible light) 빛은 망막 손상, 세포 사멸을 유발하고 연령관련황 반변성(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을 유발할 수 있으며, 눈부심을 일으키고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한 다.3-5) 470∼500 nm는 인체에 도움이 되는 청색광으로 수면장애, 계절성 우울증 등 다양한 치료에 유용할 수 있 다.6-8)

    19세기부터 여러 연구에 걸쳐 태양으로부터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되면 수정체에 영향을 주어 백내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고,9,10) 추후 연구에서 실험 적으로 그 연관성을 증명하기도 했다.11-13) 적외선이 수 정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1739년에 최초로 보고되었 다.14,15)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여러 조사에서 높 은 복사 조도에서 적외선이 눈에 입사하면 손상이 즉시 발생하거나 장기간 노출되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16)

    적외선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의 눈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적외선에 노출되면 작열감, 따가움, 눈물, 충혈 등 의 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7) 근적외선의 침투로 인 해 일시적인 시각적 왜곡이 일어날 수 있고, 이것은 근 적외선의 열적 영향으로 인한 눈의 초점 능력이 일시적 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18) 또한, 자외선과 함께 적외선 에 노출되면 잠재적으로 수정체에 광화학적 또는 열적 손상이 유발되어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10) 일본의 Tanaka는19) 근적외선은 긍정적인 효과와 장기간 계속 하여 근적외선을 조사하면 예기치 않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빛의 침투는 인체의 피부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Schieke 등20)은 적외선의 피부 손상 기전에 대한 발표 에서 근적외선은 피부 깊숙이 침투해 피부를 손상하고, 인공 적외선도 같은 피부 손상을 주기 때문에 불필요한 노출은 조심해야 한다고 했다. 빛은 파장이 길수록 조직 으로 깊게 침투한다. 400 nm에서 1 mm 미만, 514 nm 에서 0.5∼2 mm, 630 nm에서 1∼6 mm까지, 700∼ 900 nm에서 최대로 투과하고,21) 파장마다 피부에 다르 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연구에서도 적외선은 열 선으로 피부 노화에 대한 영향이 크며 피부 깊숙이 침투 한다고 했다,.22,23) 파장대가 짧은 자외선 및 가시광선과 비교하여 근적외선은 피부 깊숙이 투과하여 피하 조직으 로 침투하는 비율이 높고(39∼41%), 65% 가 진피에 도 달할 수 있다.24-26)

    우리의 눈과 피부는 근적외선에 많이 노출되고 취약한 기관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근적외선에 대해 더 깊은 관심 을 가져야 하고, 그에 따른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국내에서도 각 업계와 학계에서 근적외선 차단을 위 한 소재에 관한 연구를 계속 진행해 왔다.27-29) 안경렌즈 는 유해 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많은 연구와 발전이 있어 왔고,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대부분 자외선이나 청색 광인 단파장 영역의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그에 비해 근적외선 차단 렌즈 연구는 많지 않다. 해외에서도 근적 외선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체와 연관된 연구들은 계속 연구되고 있지만,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관련된 연 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상용 화가 이루어진 현시점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올바른 정보 전달을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시감투과율 등급(0, 2, 3등급)별로 분석하여 일 반렌즈와의 차이점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근적 외선이 눈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차단 렌즈의 필요 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안경사들이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재료 및 방법

    1, 연구 대상

    국제표준화기구의 ISO 8980-3 기준에 따라 시감투과 율 분류 0등급의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Near infrared Blocking lens-monomer, NIBL(M)), 근적외선 차단 코팅 렌즈(Near infrared Blocking lens-coating, NIBL(C)),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와 시감투과율이 같은 근 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Near infrared Blocking lens tinted-coating, NIBLT(C)), 투명 렌즈(Clear lens, CLL) 투명 착색 렌즈(Clear lens tinted, CLT) 포함 5종(근적외 선 차단율 코팅 및 소재 30%), 시감투과율 분류 2등급의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와 시감투과 율이 같은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투명 착색 렌즈 포함 3종(근적외선 차단율 코팅 30%, 소재 95%), 시감투 과율 3등급의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투명 착색 렌즈 포함 2종(근적외선 차단율 코팅 30%) 총 10종을 대상 으로 했다(Table 1).

    안경렌즈는 시감투과율 기준으로 4등급으로 분류한다 (ISO 8980-3).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는 차단율에 따라 색의 농도(차단제 고유 색)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와 착색 렌즈는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와 동일한 시감투과율로 착색하였고 시감투 과율이 같지 않은 1등급과 시감투과율 8% 이하의 안경 렌즈는 운전 시 용할 수 없어서 4등급 안경렌즈는 제외 하였다.

    대상 렌즈는 모두 같은 굴절률(n=1.60)로 반사 방지 (Anti Reflection, UV420) 코팅과 구면 설계로 제작된 상측 정점굴절력이 0.00 D이고, 현재 상용화되어 판매 되고 있는 S사의 근적외선 차단 렌즈 및 투명 렌즈, 착 색 렌즈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2. 연구 방법

    시감투과율과 상대 시각 감쇄 계수(Q)는 스펙트럼 투 과율 측정기(Spectral Transmittance Meter TM-1, Top Con,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분광광도 계(Cary UV-Visible Spectrophoto meter, USA)를 이용하여 자외선(250∼380 nm), 가시광선(380~780 nm) 및 근적외선(780~1,400 nm) 영역인 250∼1,400 nm 의 분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차단율을 산출하였다. 모든 대상 렌즈의 측정값은 근적외선에 노출하지 않은 실온 (18~25℃)과 기상청 기준 우리나라 10년간 여름철 최 고온도 36℃와 안경렌즈 제조 업체들이 주의 사항으로 표시하는 온도보다 높은 60℃ 환경에서 근적외선에 60 분 동안 노출한 후 측정하였다. 온도와 습도 환경은 항 온, 항습기(Temperature & Humidity Chamber THPE- 100, KOREA)를 이용하여 제어하였고, 근적외선에 노출하지 않은 실온과 근적외선에 60분간 노출한 36℃ 와 60℃에서 측정값이 차이가 없어 평균값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시감투과율(Luminous Transmittance)

    시감투과율 τV 는 국제 표준화 기구 규정(ISO:13666)에 따라 아래의 공식으로 산출된다.

    τ V = 380 780 τ ( λ ) · V ( λ ) · S D 65 ( λ ) · d λ 380 780 V ( λ ) · S D 65 ( λ ) · d λ × 100 ( % )
    Equation 1

    식에서 τ(λ) 는 대상 렌즈의 분광 투과율이며 SD65 (λ) 는 CIE 표준광원 D65 복사선의 분광분포이고(ISO 11664-2 참조 ), V (λ)는 일광(daylight)에 대한 분광효율 함수이고(ISO 11664-1/CIE 10527 참조), SD65 (λ), V (λ)의 스펙트럼 값은 ISO13666-표 A.1 참조한다.

    2)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차단율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청색광과 근적외선 영역의 차단율을 분석하였다.

    (1) 청색광 차단율(Blue light Blocking Ratio)

    청색광 영역을 5 nm 단위로 세분화하여 평균적인 투 과율을 구한 후 다음 아래의 식으로 차단율을 산출하였 다. 청색광 투과율(Solar Blue light Transmittance) 은

    τ S B = 100 × 380 n m 500 n m τ ( λ ) · E S ( λ ) · B ( λ ) · d λ 380 n m 500 n m E S ( λ ) · B ( λ ) · d λ = 100 × 380 n m 500 n m τ ( λ ) · W B ( λ ) · d λ 380 n m 500 n m W B ( λ ) · d λ ( % )
    Equation 2

    식에서 λ는 나노미터 단위의 빛 파장이고, 는 파 장 간격, τ(λ) 는 스펙트럼 투과율, ES (λ) 는 태양 스 펙트럼 출력분포, B (λ)는 청색광 위험 함수, WB (λ) 는 가중치 함수이며WB (λ) = ES (λ) × B (λ)이다. 각 가중치 함수는 ISO 13666-표 A.1을 참조한다. 위에 식을 통해 청색광 차단율 BBL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 B L = 100 τ S B ( % )
    Equation 3

    청색광은 인간의 눈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 향을 주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이전보다 더 많은 디 지털 기기에 노출되는 현실에서는 그 특성이 더욱 주목 받는다.

    인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380∼470 nm 영역 과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470∼500 nm 영역으로 구분 하여 차단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 렌즈 모두 380∼410 nm에서 100% 차단율을 나타내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영역은 410∼470 nm로 구분하였다.

    (2) 근적외선 차단율(Near Infrared Ray Blocking Ratio)

    근적외선 영역의 차단율을 780∼1,400 nm의 파장 영역을 10 nm 단위로 세분화하여 평균적인 투과율을 구 한 후 다음 아래의 식으로 차단율을 산출하였다. 적외선 투과율(Solar Infrared ray Transmittance : τSIR)은

    τ S I R = 100 × 780 n m 2000 n m τ ( λ ) · E S ( λ ) · d λ 780 n m 2000 n m E S ( λ ) · d λ ( % )
    Equation 4

    식에서 λ는 나노미터 단위의 적외선 복사 파장이고, τ (λ) 스펙트럼 투과율, ES (λ)는 태양 스펙트럼 출력분 포이고 그 값은 ISO13666-표 A.3을 참조해서 구한다.

    근적외선 투과율(Solar Near-Infrared ray Transmittance : τIRA)

    τ I R A = 100 × 1 620 n m 780 n m 1400 n m τ ( λ ) · d λ ( % )
    Equation 5

    τ (λ) 스펙트럼 투과율, 파장 간격이고 전체식은 근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낸다.

    위에 식을 통해 근적외선 차단율(Near-infrared A Blocking Ratio) BIRA 는 780∼1,400 nm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 I R A = 100 τ I R A ( % )
    Equation 6

    국제 전기 기술 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30)는 과도한 빛으로 인한 눈과 피부의 병리학적 영향을 제시하고 있고, 국제비이온화방사선보호 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 Ionizing Radiation Protection, ICNIRP)31)는 각막은 근적외선 영 역을 지나 원적외선 영역, 홍채와 망막은 자외선부터 근적외 선 영역, 수정체는 적외선 전체 영역에 걸쳐 비전리 방사선으 로 인한 생물학적 위험 손상이 발생한다고 평가하고 있고, 눈의 생물학적 위험영역을 각막 1,400 nm∼1 mm, 홍채 손상 380∼1,400 nm, 수정체 손상 800∼3,000 mm, 망막 손상 380∼1,400 nm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근적외선은 피부에도 영향을 준다. 연구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근적외선 영역인 800∼1,200 nm에서 피부에 가장 많이 침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전체 근적외선 영역(780∼1,400 nm)의 차 단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근적외선이 눈에 침투하여 영향 을 주는 영역을 홍채와 망막 380∼1,400 nm, 수정체 800 ∼1,400 nm 영역으로 구분하고, 근적외선이 눈 주변 피부 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800∼1,200 nm의 피부 침투 영역에 대한 차단율을 함께 분석하였다.

    3) 상대 시각 감쇠 계수(Relative Visual Attenuation Coefficient) Q

    교통 신호등 감지를 위한 상대 시각 감쇠 계수 Q (quotient-Value)는 근적외선에 노출하지 않은 실온 (Room Temperature:18~25℃)과 기상청 기준 우리나 라 10년간 여름철 최고온도 36℃, 안경렌즈 제조 업체 들이 주의 사항으로 표시하는 온도보다 높은 60℃ 환경 에서 근적외선에 60분 동안 노출한 후 측정하였고 Q 값 분포는 그래프로 시각화했다.

    교통 신호등 감지를 위한 상대 시각 감쇠 계수 Q 값 은 국제 표준화 기구의 규정(ISO13666)에 따라 아래의 식으로 산출된다.

    τ S I G N = 380 n m 780 n m τ ( λ ) · τ S ( λ ) · S A λ ( λ ) · d λ 380 n m 780 n m τ S ( λ ) · V ( λ ) · S A λ ( λ ) · d λ × 100
    Equation 7

    Q = τ S I G N τ V
    Equation 8

    여기서 τsign 은 교통 신호등의 분광 복사에너지에 대한 렌즈의 시감투과율이다. Q-Value 값은 파란색, 녹색, 노란 색 및 빨간색 신호등에 각각 결정된다. 식에서 τS (λ) 신호등 의 분광 투과율이고 S (λ) 는 국제조명위원회(CIE)의 표준 광원 분광분포이다(ISO/CIE 10526).

    상대 시각 감쇠 계수(Q)는 적색 Q에 대해서 0.8, 노 란색 Q에 대해서 0.8, 녹색 Q에 대해서 0.6, 청색 Q에 대해서 0.4 보다 커야 대부분의 주행 조건에 적합하다고 판단한다 (ISO 8980-3-2022).

    4) 통계분석

    Origin 8.5 프로그램과 IBM SPSS Statistics 27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와 평균 분석(Means)으로 대 상 렌즈의 그룹별 평균과 개별 평균을 구한 후, 집단의 수 에 따라 정규성 검사를 통해 모수(Parametric Statistics) 와 비모수(Non-parametric Statistics)로 통계 검정을 결정했다. 비모수 검정은 두 집단일 경우 맨-위트니U (Mann-Whitney U test), 세 집단 이상일 경우 크루스 칼-왈리스(Kruskal Wallis Test) 검정을 시행하였다. 세 집단 이상일 경우 사후 검정(Post-hoc test) 을 통 해 그룹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모수 검정은 두 집단일 경우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Samples T-test) 을 시행하였고, 세 집단 이상일 경우 일원 배치 분산분 석(One way ANOVA)과 사후 검정(Post-hoc test)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 수준은 0.05 미만을 적용하였다.

    Ⅲ. 결 과

    1. 시감투과율(Luminous Transmittance)

    대상 렌즈의 평균 시감투과율은 0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90.65±1.04%, 근적외선 차단 코팅 렌즈 91.89±0.84%,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90.94± 0.42%, 투명 렌즈 93.22±0.51%, 투명 착색 렌즈 90.78±0.39%였다. 2등급은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22.67±1.00%,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19.44± 0.51%, 투명 착색 렌즈 20.83±1.04%였고, 3등급은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15.45±0.39%, 투명 착 색 렌즈 13.22±0.39%였다. 0등급과 3등급은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등급은 렌즈 간 비교에서 통 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나(χ2=6.118, p=0.047), 사 후검정 결과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Table 2).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 렌즈는 국제표준화 기구(ISO)의 시감투과율 분류 기준에 적합했다.

    2. 분광 투과율 분포(Spectral transmittance distribution)

    대상 렌즈의 분광 투과율은 시감투과율 분류 0등급에 서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64.37±29.47%, 근적외선 차 단 코팅 렌즈 55.35±30.44%,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55.31±30.16%, 투명 렌즈 71.32±32.06%, 투 명 착색 렌즈 69.68±31.55%였고, 2등급 근적외선 차 단제 렌즈 29.34±29.23%,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 즈 41.73±26.10%, 투명 착색 렌즈 57.63±34.14%였 다. 3등급은 근적외선 차단 코팅 착색 렌즈 41.16± 26.87%, 투명 착색 렌즈 55.19±36.10%였고, 0, 2, 3 등급에서 일반렌즈가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보다 투과 율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0) (Table 3). 스펙트럼 영역 중 가시광선 영역과 근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은 Table 4에 나타내었다.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 렌즈의 시감투과율 분류 평균 비교 파형을 보면 모든 분류에서 자외선 영역 은 투과율이 0%였다. 0등급은 410 nm부터 급격히 투과 율이 증가하여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750 nm부터 투과율이 낮아졌고, 투명 렌즈와 투명 착색 렌즈는 780 nm부터 투과율이 낮아지는 파형이 나타났다. 이후 투 명 렌즈와 투명 착색 렌즈는 비슷한 파형을 보이면서 진 행하지만,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1,250 nm까지 투 과율이 낮게 유지되며 진행했다. 2등급과 3등급은 410 nm부터 500 nm까지 투과율이 20~30%까지 약한 증가 를 나타냈지만, 600 nm까지 투과율이 20% 아래로 낮아 진 후 다시 800 nm까지 투과율이 올라가는 파형이 나타 났다. 0등급, 2등급, 3등급의 가시광선 영역의 파형은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렌즈가 같은 유형의 파형 이 나타났다. 근적외선 영역은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 의 투과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파형이 나타났고, 일반 렌 즈는 근적외선 차단 렌즈에 비해 1,400 nm까지 완만하 게 낮아지는 파형이 나타났다. 같은 차단율을 가진 0등 급의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코팅방식의 렌즈가 차단 제 방식의 렌즈보다 근적외선 영역에서 투과율이 낮은 파형이 나타났다(Fig. 1).

    3.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차단율

    1) 청색광 차단율(Blue Light Blocking Ratio)

    청색광 영역에서 인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380~ 470 nm 영역과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470~500 nm 영역 으로 구분하여 차단율을 비교하였다. 대상 렌즈 모두 380~405 nm에서 100% 차단율을 나타내어 긍정적인 영 향을 주는 영역은 다시 410~470 nm로 구분하였다.

    380~470 nm 영역 차단율에서 0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31.43±31.73%, 근적외선 차단 코팅 렌즈 31.73± 36.89%,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34.16±35.82%, 투명 렌즈 29.93±36.70%, 투명 착색 렌즈 34.06± 35.30%였고, 2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82.86± 9.06%,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88.12±7.97%, 투 명 착색 렌즈 86.72±8.53%였다. 3등급은 근적외선 차단 코팅 착색 렌즈 92.18±5.46%, 투명 착색 렌즈 94.10± 3.84%였다(Table 5).

    0, 2등급은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3등급은 투명 착색 렌즈가 가장 높았다. 0등급에서 가장 높은 차 단율을 보인 두 종류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와 투 명 착색 렌즈의 차단율은 0.10% 차이로 근적외선 차단 착색 코팅 렌즈의 차단율이 높았다. 2등급은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와 투명 착색 렌즈에서 1.40% 차이 로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의 차단율이 높았고, 3 등급은 투명 착색 렌즈의 차단율이 1.92%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시감투과율 분류 0, 2등급은 근적외선 차단착 색 코팅 렌즈가 투명 착색 렌즈보다 차단율이 높았고 차 단제 렌즈는 낮게 나타났다. 근적외선 차단 코팅 렌즈도 투명 렌즈보다 차단율이 높았다. 3등급은 투명 착색 렌 즈의 청색광 차단율이 높았다.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렌즈의 차단율은 시감 투과율 분류 0, 3등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고(p>0.050), 2등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었지만(F=3.967, p=0.022), 사후검정 결과 일반렌즈와 는 차이가 없었다(p>0.050)(Table 5).

    470∼500 nm 영역 차단율에서 0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10.22±0.65%, 근적외선 차단 코팅 렌즈 7.26± 1.95%,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7.95±1.30%, 투명 렌즈 4.65±0.57%, 투명 착색 렌즈 7.71±0.44%였고, 2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74.86±0.77%,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70.47±2.55%, 투명 착색 렌즈 68.55±2.51%였다. 3등급은 근적외선 차단 코팅 착색 렌 즈 78.41±2.39%, 투명 착색 렌즈 84.58±1.75%였다 (Table 6).

    0, 2등급은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3등급은 투명 착 색 렌즈의 차단율이 높았고, 0등급의 가장 높은 차단율 을 보인 두 종류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와 투명 착색 렌 즈의 차단율은 2.51% 차이로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의 차단율이 높았다. 2등급은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와 투명 착색 렌즈에서 6.31% 차이로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의 차단율이 높았으며, 3등급은 투명 착색 렌즈의 차단율이 6.17%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시감투과율 분류 0, 2등 급은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가 일반 렌즈보다 차단율이 높았고, 3등급은 일반 렌즈의 청색광 차단율이 높았다.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0, 2등급에서 코팅방식의 렌즈보다 소재 방식 렌즈의 차단율이 높았지만, 청색광 의 이점 면에서는 차단율이 낮은 코팅방식 렌즈가 더 선 호될 것으로 생각된다.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 렌즈의 차단율은 시 감투과율 분류 0, 2, 3등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다(p<0.050)(Table 6).

    2) 근적외선 차단율(Near Infrared Ray Blocking Ratio)

    근적외선 영역(780∼1,400 nm)의 차단율에서 0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28.06±7.91%, 근적외선 차단 코팅 렌즈 47.45±10.15%,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 즈 47.02±10.47%, 투명 렌즈 17.79±5.95%, 투명 착 색 렌즈 19.27±7.09%였고, 2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60.70±32.50%,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47.69± 10.52%, 투명 착색 렌즈 18.05±6.34%였고, 3등급은 근적외선 차단 코팅 착색 렌즈 47.06±10.57%, 투명 착색 렌즈 17.74±6.25%였다(Table 7).

    0등급은 근적외선 차단 코팅 렌즈, 2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3등급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차단 율이 높게 나타났다. 0등급의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와 차단착색 코팅 렌즈는 투명 착색 렌즈와 비교해 8.90%, 27.75% 높은 차단율을 보였고, 근적외선 차단 코팅 렌 즈는 투명 렌즈와 비교해 29.66% 높게 나타났다. 2등급 에서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와 차단착색 코팅 렌즈는 투 명 착색 렌즈와 비교해 42.65%, 29.64% 높은 차단율을 보였다. 3등급의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와 투명 착색 렌즈는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의 차단율이 29.32% 높게 나타났다. 2등급의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와 투명 착색 렌즈는 최대 3배 이상 차단율 차이가 나타 났다. 같은 차단율을 가진 0등급의 근적외선 차단 안경 렌즈는 소재 방식보다 코팅방식 차단 렌즈의 차단율이 18.96% 더 높게 나타났다.

    차단율은 시감투과율 분류 0, 2, 3등급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0)(Table 7).

    ICNIRP 지침 기준 근적외선이 눈에 침투하여 홍채와 망막에 영향을 주는 380∼1,400 nm 영역의 차단율은 0 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25.81±18.06%, 근적외선 차단 코팅 렌즈 36.14±24.40%,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 팅 렌즈 36.16±24.10%, 투명 렌즈 17.36±18.86%, 투명 착색 렌즈 19.13±18.81%였고, 2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70.10±28.61%,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54.06±24.59%, 투명 착색 렌즈 34.49±29.74% 였다. 3등급은 근적외선 차단 코팅 착색 렌즈 51.22± 5.69%, 투명 착색 렌즈 37.67±33.05%였다(Table 8).

    0, 2, 3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차단율이 일반렌즈보다 높았고, 같은 차단율을 가진 0등급의 근적외 선 차단 안경렌즈는 소재 방식보다 코팅방식 렌즈의 차단 율이 높았다. 380∼1,400 nm 차단율은 0, 2, 3등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0)(Table 8).

    근적외선이 눈에 침투하여 수정체에 영향을 주는 영역 800∼1,400 nm의 차단율은 0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 즈 36.62±19.33%, 근적외선 차단 코팅 렌즈 48.78± 8.95%,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48.83±9.16%, 투 명 렌즈 30.70±26.18%, 투명 착색 렌즈 30.11±24.64% 였고, 2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55.82±33.02%, 근적 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49.59±8.94%, 투명 착색 렌즈 31.28±26.12%였다. 3등급은 근적외선 차단 코팅 착색 렌즈 49.07±9.07%, 투명 착색 렌즈 30.80±26.30%였 다(Table 9).

    0, 2, 3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차단율이 일반렌즈보다 높았고, 같은 차단율을 가진 0등급의 근적 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소재 방식보다 코팅방식 렌즈의 차단율이 높았다. 800∼1,400 nm 영역의 차단율은 0, 2, 3등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0)(Table 9).

    피부 침투율이 높은 800~1,200 nm 영역의 차단율 은 0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30.57±8.41%, 근적외 선 차단 코팅 렌즈 48.66±10.26%,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 48.15±10.60%, 투명 렌즈 16.13±5.65%, 투명 착색 렌즈 17.29±6.62%였고, 2등급 근적외선 차 단제 렌즈 73.84±30.16%,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 즈 48.98±10.50%, 투명 착색 렌즈 16.25±5.89%였 다. 3등급은 근적외선 차단 코팅 착색 렌즈 48.23± 10.63%, 투명 착색 렌즈 15.94±5.86%였다(Table 10).

    0, 2, 3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차단율이 일반렌즈보다 높았고, 같은 차단율을 가진 0등급의 근적 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소재 방식보다 코팅방식 렌즈의 차단율이 높았다. 800~1,200 nm 영역 차단율은 0, 2, 3등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0) (Table 10).

    4. 상대 시각 감쇠 계수 Q (Visual attenuation coefficient Quotient)

    주행 시 교통 신호등 감지를 위한 상대 시각 감쇠 계 수 Q 값은 적색 Q에 대해서 0.8, 노란색 Q에 대해서 0.8, 녹색 Q 값에 대해서 0.6, 청색 Q에 대해서 0.4 보 다 커야 주행 조건에 적합할 수 있는데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시감투과율 0등급, 2등급, 3등급의 적색, 노 란색, 녹색, 청색에서 주행 시 교통 신호등 감지를 위한 색 구별에 적합하게 나타났다. 일반렌즈와 근적외선 차 단 안경렌즈는 상대 시각 감쇄 계수가 모든 환경에서 기 준범위 이상으로 나타났다(Fig. 2).

    Ⅳ. 고 찰

    현재 단파장 영역에 대한 광학적 차단제들은 많이 개 발되어 출시되고 있고, 그에 따른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 지만, 장파장 영역인 근적외선에 관한 내용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도 눈의 보호를 위해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지만, 실질적으 로 근적외선의 영향과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특성과 효과 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하지만, 근래 Kim 등32)과 Lee 등33)은 2등급의 근적 외선 소재 방식 렌즈의 열특성과 근적외선 차단 렌즈의 색 재현성에 관해 연구하였고, Seo 등34)은 근적외선 차 단 렌즈의 개발 방향에 대해 보고하였다. 안광학 분야에 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고 앞으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에 관 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펙트럼 영역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 경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 즈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려 한다. 연구 대상 렌즈를 시 감투과율로 분류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어하지 못한 주 변 환경 간섭을 최대한 배제했다.

    시감투과율은 2등급의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와 근적 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에서 차단제 렌즈의 평균 시감 투과율이 높은 차이가 있었지만(p<0.050), 일반렌즈와 는 차이가 없었다(p>0.050). 2등급 차단제 렌즈는 차단 율이 95% 렌즈로 차단제 성분의 특성으로 인해 시감투 과율이 다른 렌즈와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0 등급과 3등급은 사후검정 결과 대상 렌즈 간 차이는 없었다(p>0.050).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 렌즈 는 근적외선 차단율과 렌즈 종류 및 제작 방식에 상관없 이 국제표준화 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시감투과율 분류 기준에 적합 했다.

    분광 투과율(250~1,400 nm)에서 대상 렌즈들의 평 균 투과율은 0등급에서 투명 렌즈의 투과율이 71%로 높 았고,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가 55.31%로 낮게 나타났다. 2등급은 57.63%로 투명 착색 렌즈가 높았고,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가 29.34%로 낮게 나타났다. 3등 급은 투명 착색 렌즈가 55.19%로 높았고, 근적외선 차 단착색 코팅 렌즈가 41.16%로 낮게 나타났다. 0, 2, 3 등급에서 일반렌즈가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보다 투과 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0) 동일한 차단율을 가진 근 적외선 차단 렌즈에서 소재 방식의 투과율이 코팅방식보 다 높게 나타났다(p>0.050).

    가시광선 영역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 렌즈의 투과율 차이는 0등급에서 최대 5.78%, 2등급 25.53%, 3등급 3.88%였고, 0, 3등급에서 투과율은 차 이가 없었고(p>0.050), 2등급은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 와 다른 렌즈 간에 투과율 차이가 있었다(p<0.050). 근 적외선 영역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 렌즈의 투과율 차이는 0등급에서 최대 29.8%, 2등급 42.6%, 3 등급 29.46%로 일반 렌즈들의 투과율이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0)(Table 4).

    청색광 영역은 인간에게 눈부심과 망막 손상, 멜라토 닌 생성을 억제하고 연령 관련 황반 변성을 유발하는 부 정적인 영향의 410~470 nm 영역과 수면장애와 계절성 우울증 등 치료에 유용한 긍정적인 영향의 470~500 nm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410~470 nm 영역에서 0등급 29.93∼34.16%, 2등 급 82.86∼88.12% 3등급 92.18~94.10%의 청색광 차 단율을 보였다.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렌즈의 차단율은 시감투과율 분류 0, 3등급에서 차이가 없었고 (p>0.050), 2등급은 차이가 있었지만(p<0.050), 사후검 정에서 일반렌즈와 차이가 없었다. 망막에 광화학 및 열 적 손상 최대 민감도가 440 nm인 점을 고려하면,31) 0등 급의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 렌즈는 청색광을 더 많이 차단할 수 있는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0등급에서 제작 방 식에 따른 차이가 없었지만(p>0.050), 2등급은 근적외 선 차단율이 높은(95%) 소재 방식보다 근적외선 차단율 이 낮은(30%) 코팅방식 렌즈의 청색광 차단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0).

    470~500 nm 영역에서 0등급 4.65∼10.22%, 2등급 68.55∼74.86%, 3등급 78.41∼84.58% 청색광 차단율 을 보였다. 차단율이 낮은 0등급의 대상 렌즈가 2, 3등 급의 렌즈보다 청색광의 이점 면에서 더 유리하게 나타 났고, 0, 2, 3등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0). 0, 2등급에서는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가 일반렌즈보 다 차단율이 높았고, 3등급에서는 일반렌즈의 차단율이 높았기 때문에 0, 2등급에서 일반렌즈, 3등급에서 근적 외선 차단 안경렌즈가 청색광의 이점에 더 유리할 수 있 을 것으로 예측된다.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0, 2등 급에서 코팅방식의 렌즈보다 소재 방식 렌즈의 차단 성 능이 높았지만, 청색광의 긍정적인 측면에서 투과율이 높아야 하므로 차단율이 낮은 코팅방식 렌즈가 더 유리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근적외선 영역(780~1,400 nm)의 차단율은 0, 2, 3 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일반 렌즈와 비교하 여 차단율이 높게 나타났고(p<0.050), 2등급 근적외선 차단제 렌즈는 최대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p< 0.050). 근적외선 차단착색 코팅 렌즈는 0, 2, 3등급 모 두 일정하게 47% 이상의 차단율로 명시된 차단율 30% 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소재 방식의 차단제 렌즈 는 0등급 28.06%, 2등급 60.70%로 명시된 차단율(0등 급 30%, 2등급 95%)에 미치지 못했지만, 근적외선 차 단 안경렌즈는 제작 방식에 상관없이 일반 렌즈보다 차 단율이 높다는 것을 입증했다. 같은 차단율을 가진 0등 급의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소재 방식보다 코팅방식 차단 렌즈가 근적외선 차단율이 18.96% 더 높았고 (p<0.050), 코팅방식 차단 렌즈가 근적외선을 더 잘 차 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 생산되는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차 단율의 영역은 회사마다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근적외 선 차단 안경렌즈의 차단율을 나타낼 때 차단 파장 영역 을 어느 파장대까지 설정하느냐에 따라 차단율은 다르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잘못된 정보를 줄이기 위해 차단율에 대한 기준은 근적외선 전체 영역에 걸쳐서 결 정되어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CNIRP 지침 기준 근적외선의 침투로 인해 영향을 받는 홍채와 망막 380~1,400 nm, 수정체 800~1,400 nm 영역의 차단율은 0, 2, 3등급 모두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차단율이 일반 렌즈보다 높았다(p<0.050). 같은 차단율을 가진 0등급의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소재 방식보다 코팅방식 렌즈의 차단율이 10.36%, 12.21% 높게 나타났다(p<0.050).

    근적외선의 침투는 인체의 피부에도 많은 영향을 준 다. Zhao 등35)은 레이저 파장의 조사에서 1,064 nm 빛 이 조직에 가장 깊숙이 침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고, Barolet21)는 800~960 mm, Anderson 등36)은 백인 피 부에서 1,200 nm에서. Setchfield 등37)은 940~1,000 nm에서 광학 방사선이 피부에 가장 많이 침투한다고 했 다. 연구 결과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근적외선 영역 800~1,200 nm에서 피부 침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근적외선의 침투율이 높은 피부 800~1,200 nm 영 역에서 0, 2, 3등급의 일반 렌즈보다 근적외선 차단 안 경렌즈의 차단율이 높았다(p<0.050). 같은 차단율 가진 0등급의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코팅방식 렌즈가 소 재 방식 렌즈보다 차단율이 17.58% 높게 나타났다 (p<0.050). 근적외선 침투로 인해 영향을 받는 안구와 피부에 대한 차단 성능은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가 일 반렌즈보다 더 좋았고, 동일한 차단율을 가진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코팅방식 렌즈의 차단 성능이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근적외선 침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눈 주변 피 부에 침투하는 근적외선도 일부분 차단 할 수 있을 것 이다.

    상대 시각 감쇠 계수 Q 값은 시감투과율 0, 2, 3등급 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 렌즈 모두 실온 및 36℃, 60℃와 근적외선 노출 환경에 상관없이 적색, 노 란색, 녹색, 청색에서 주행 시 교통 신호등을 감지하기 위한 색 구별에 적합했다. Lee 등33)도 근적외선 차단 렌 즈와 일반 착색 렌즈의 색 재현성 분석에서 2등급의 근적 외선 차단 렌즈는 상대 시각 감쇠 계수가 적색, 노란색, 녹색에서 기준범위 이상이라고 했고, 본연구의 결과와 일 치했다. 결과적으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 렌 즈는 주행 중 함께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시감투과율 분류 기준 0, 2, 3등급에서 근적외선 차 단 안경렌즈는 국제표준화 기구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기준에 적합한 시 감투과율을 보였다.

    분광 투과율은 0, 2, 3등급에서 일반렌즈가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보다 투과율이 높게 나타났다. 동일한 차 단율을 가진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에서 소재 방식 렌 즈의 투과율이 코팅방식 렌즈보다 높게 나타났고, 근적 외선 차단율 높고, 시감투과율이 낮을수록 분광 투과율 은 낮았다.

    청색광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410~470 nm 영역 대상 렌즈 0, 2, 3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와 일반 렌즈의 차단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망막에 광화학 및 열적 손상 최대 민감도를 고려하여 0등급의 대상 렌즈는 청색광을 차단 할 수 있는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470~500 nm 영역 대상 렌즈는 0, 2, 3등급에서 차단 율의 차이가 있었고, 시감투과율 0, 2등급에서 일반렌 즈, 3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가 청색광 차단율 이 낮아 인체에 유익한 청색광을 더 많이 투과할 수 있 을 것으로 예측된다.

    근적외선(780~1,400 nm) 영역에서 시감투과율 분류 0, 2, 3등급 모두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가 일반 렌즈 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차단율을 보여 근적 외선 차단 안경렌즈의 성능을 입증하였다. 동일한 차단 율을 가진 0등급의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소재 방식 보다 코팅방식 차단 렌즈가 18.96% 차단율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나 근적외선을 더 잘 차단하였다. 근적외선의 침투로 인해 영향을 받는 눈과 피부 영역 홍채와 망막 380~1,400 nm, 수정체 800~1,400 nm, 피부 800~ 1,200 nm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일반 렌즈보 다 높은 차단 성능으로 근적외선 침투를 감소시킬 수 있 었고, 동일한 차단율의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코팅 방식 렌즈의 차단 성능이 더 좋았다.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일반 렌즈와 비교해 안구 의 광 화학적 손상으로부터 눈과 눈 주변 피부를 일부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감투 과율 0, 2, 3등급에서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는 교통 신호등 감지를 위한 색 구별에 적합했고 주행 중에 일반 렌즈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근적외선으로 인한 안구의 영향에 관해 지속 적인 연구를 통해 근적외선의 위험성을 체계적으로 확립 하고, 업계에서는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에 대한 특성 을 파악하여 명확한 기준에 따라 제작 생산하고, 안경사 들은 근적외선과 근적외선 차단 안경렌즈에 대한 실무적 인 지식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Figure

    KJVS-26-4-275_F1.gif

    Distribution of near-infrared blocking lenses and general lenses.

    KJVS-26-4-275_F2.gif

    Distribution of visual attenuation coefficient Q values at room temperature and 36℃, 60℃.

    Table

    Classification of subject lenses

    Luminous transmittance of subject lenses

    Spectral transmittance of subject lenses (250~1,400 nm)

    n/a*: not applicable

    Visible and Near infrared Spectral transmittance in the spectral area

    Visible*(380~780 nm), Near infrared*(780~1,400 nm)

    Comparison of blue light blocking ratio of subject lenses in 410~470 nm

    n/a*: not applicable

    Comparison of blue light blocking ratio of subject lenses in 470~500 nm

    n/a*: not applicable

    Comparison of near-infrared ray blocking ratio of subject lenses (780~1,400 nm)

    n/a*: not applicable

    Comparison of near-infrared blocking lenses and general lenses in areas of iris and retinal (380~1,400 nm)

    n/a*: not applicable

    Comparison of near-infrared blocking lenses and general lenses in areas of lens (800~1,400 nm)

    n/a*: not applicable

    Comparison of near-infrared blocking lenses and general lenses in the near-infrared areas with high skin penetration rate (800~1,200 nm).

    n/a*: not applicable

    Reference

    1. ISO: International standard. 13666, 1998. 8980-3, 2003.
    2. Hefner B: Warding off the Blues. Review of Optometry 155(6), 71-79, 2018.
    3. Tosini G, Ferguson I et al.: Effects of blue light on the circadian system and eye physiology. Mol Vis. 22, 61-72, 2016.
    4. La Morgia C, Ross-Cisneros FN et al.: Retinal ganglion cells and circadian rhythms in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and beyond. Front Neurol. 8, 162, 2017.
    5. Chang AM, Aeschbach D et al.: Evening use of light-emitting eReaders negatively affects sleep, circadian timing, and next-morning alertness. PNAS 112(4), 1232-1237, 2015.
    6. Rüger M, Hilaire M et al.: Human phase response curve to a single 6.5 h pulse of short-wavelength light. J Physiol. 591(1), 353-363, 2013.
    7. Iaccarino HF, Singer AC et al.: Gamma frequency entrainment attenuates amyloid load and modifies microglia. Nature 540(7632), 230-235, 2016.
    8. Rahman SA, Flynn-Evans EE et al.: Diurnal spectral sensitivity of the acute alerting effects of light. Sleep 37(2), 271-281. 2014.
    9. Taylor HR, West SK et al.: Effect of ultraviolet radiation on cataract formation. N Engl J Med. 319(22), 1429-1433, 1988.
    10. Söderberg PG, Talebizadeh N et al.: Does infrared or ultraviolet light damage the lens? Eye(London, England) 30(2), 241-246, 2016.
    11. McCarty CA, Nanjan MB et al.: Attributable risk estimates for cataract to prioritize medical and public. health ac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41(12), 3720-3725, 2000.
    12. Michael R, Söderberg PG et al.: Long-term development of lens opacities after exposure to ultraviolet radiation at 300nm. Ophthalmic Res. 28(4), 209-218, 1996.
    13. Galichanin K, Löfgren S et al.: Evolution of damage in the lens after in vivo close to threshold exposure to UV-B radiation: Cytomorphological study of apoptosis. Exp Eye Res. 91(3), 369-377, 2010.
    14. Pitts DG, Cullen AP: Determination of infrared radiation levels for acute ocula cataractogenesis. Albrecht Von Graefes Arch Klin Exp Ophthalmol. 217(4), 285-297, 1981.
    15. Lydahl E: Infrared radiation and cataract. Acta Ophthalmol Suppl. 166, 1-63, 1984.
    16. Verhoeff FH, Bell L et al.: The pathological effects of radiant energy on the eye. Proceed Am Acad Arts Sci. 51(13), 629-818, 1916.
    17. Köksal A, Dikmetaş C et al.: Exposure to Infrared Light: Case Series. Eurasian J Critical Care 1(3), 103-104, 2019.
    18. Towle EL, Garcia PV et al.: Visual disruption using the thermal lensing effect in the human eye: Pilot study. J Biomed Opt. 17(10), 105007. 2012.
    19. Tanaka Y: Impact of near-infrared radiation in dermatology. World J Dermatol. 1(3), 30-37. 2012.
    20. Schieke SM, Schroeder P et al.: Cutaneous effects of infrared radiation: From clinical observations to molecular response mechanisms.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19(5), 228-234, 2003.
    21. Barolet D: Light-emitting diodes (LEDs) in dermatology. Semin Cutan Med Surg. 27(4), 227-238, 2008.
    22. Driscoll CMH, Whillock MJ: The measurement and hazard assessment of sources of incoherent optical radiation. J Radiological Protection 10(4), 271-278, 1990.
    23. Slinely DH, Wolbarsht ML: Safety with Lasers and Other Optical Sources A Comprehensive Handbook. Scandinavian J Work Environ Health 7(1), 69-70, 1981.
    24. Horton L, Narla S et al.: Spectrum of virucidal activity from ultraviolet to infrared radiation. Photochem Photobiol Sci. 19(10), 1262-1270, 2020.
    25. Piazena H, Kelleher DK: Effects of infrared-A irradiation on skin: Discrepancies in published data highlight the need for an exact consideration of physical and Photobiological Laws and Appropriate experimental settings. Photochem Photobiol. 86(3), 687-705, 2010.
    26. Schroeder P, Calles C et al.: Photoprotection beyond ultraviolet radiation effective sun protection has to include protection against infrared a radiation-induced skin damage. Skin Pharmacol Physiol. 23(1), 15-17, 2010.
    27. KIM SR: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 TiO2/ Micron TiO2 Composit Particles for Protection from UV and IR Radiatio, Soongsil University PhD Thesis, pp.79-96, 2012.
    28. Park CB, Kim SH et al.: Near-infrared protection materials based on the multiple light scattering from highly refractive porous hybrid silica particles. Korea J POLYM. 47(1), 92-98, 2023.
    29. Yang HD, Lee JK: An ultra-thin IR cut-off filter based on nanostructures. Korean J Opt Photonics 35(1), 24-29, 2024.
    30.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60825-1 Safety of laser products-Part 1: Equipment classification and requirements. Int Stand. pp.97-98, 2001.
    31. ICNIRP: ICNIRP Guidelines on Limits of exposure to incoherent visible and infrared radiation. Health Phy Soc. 105(1), 74-96, 2013.
    32. Kim MC, Pyo JY et al.: Analysis on optical and heat blocking characteristics of nearinfrared absorbing lenses. Korean J Vis Sci. 21(4), 607-619, 2019.
    33. Lee GE, Pyo JY et al.: Analysis on the color reproduction of near infrared absorbing lenses and tinted lenses. Korean J Vis Sci. 22(1), 1-10, 2020.
    34. Seo GH, Jung MH et al.: Consideration on optical performanc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near-infrared blocking lens. Korean J Vis Sci. 26(3), 159-168, 2024.
    35. Zhao ZQ, Fairchild P: Dependence of light transmission through human skin on incident beam diameter at different wavelengths. SPIE Proceedings 3254, 354-360, 1998.
    36. Anderson RR, Parrish JA: The optics of human skin. J Invest Dermatol. 77(1), 13-19, 1981.
    37. Setchfield K, Gorman A et al.: Effect of skin color on optical properties and the implications for medical optical technologies: a review. J Biomed Opt. 29(1), 010901,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