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7 No.1 pp.65-7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5.27.1.65

A Study on the Refractive State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in Gangneung, Gangwon-do

Hun-Taek Na, Hong-Seon Kim
Dept. of Optometry, Gangneung Yeongdong University, Professor, Gangneung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un-Taek Na (https://orcid.org/0000-0002-4826-3067) Dept. of Optometry, Gangneung Yeongdong University, Gangneung TEL: +82-33-610-0151, E-mall: nht0227@naver.com
January 21, 2025 March 27, 2025 March 29, 2025

Abstract


Purpose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fractive status of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Gangneung, Gangwon-do and used it as regional basic data.



Methods :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325 eyes, 208 male students and 117 female students, and the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 was classified into –0.25 D to +0.25 D for emmetropia, -0.50 D to –2.75 D for mild myopia, -3.00 D to -5.75 D for moderate myopia, and –6.00 D or more for high myopia, and the refractive status was analyzed.



Results : The average refractive power of 291 myopic eyes was –2.94±1.91 D, -2.85±1.89 D for male students, and –3.11±1.94 D for female students. The classification of myopia showed that mild myopia –1.40±0.75 D, moderate myopia was –4.06±0.87 D, and high myopia was – 6.78±0.89 D, and the average refractive power of a total of 325 eyes was –2.63±2.03 D. The average refractive power of myopia by gender was –1.37±0.71 D for males and –1.47±0.82 D for females for mild myopia, -4.03±0.86 D for males and –4.11±0.89 D for females for moderate myopia, and –6.63±0.86 D for males and –7.09±0.94 D for females for high myopia.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refractive power of astigmatism, it was –1.43±1.00 D for males and –1.34±0.98 D for females, mild myopia was –1.24±0.97 D for males and –0.92±0.41 D for females (t=-2.10, p<0.050), and high myopia was –1.44±0.49 D for males and –2.50±1.76 D for females (t=2.34, p<0.050).



Conclusion : Student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moderate myopia among the myopia rang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refractive power in both mild moderate and high myopia ranges, and in the comparison of astigmatism,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stigmatism only in the high myopia range. It is thought that research that can help with vision management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강원도 강릉지역의 중학교 3학년에 대한 굴절상태 연구

나훈택, 김홍선
강릉영동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강릉

    Ⅰ. 서 론

    사람의 시력은 출생 시에는 원시 상태지만 성장하면 서 정시 혹은 더 진행해 근시가 되고 안구의 성장은 20 세까지 계속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굴절이상은 근시가 가장 많고 원시와 난시가 다음 순이라고 보고되었다.1) 근시의 경우에는 7~8세에 시작되어 9~11세부터 증가 속도가 본격적으로 빨라지며 20세 전후에서는 근시의 발생률이 가장 높아진다고 한다.2)

    연구 보고에 의하면 근시의 발생 원인은 선천적인 유 전적 원인보다 후천적인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3-5) 교육부가 2015년도에 보고 한 시력 이상에 관한 학교 건강검사 조사에서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26.7%, 초등학교 4학년에서는 48.7%의 시력 이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중·고등학교로 갈수록 눈 의 시력 건강 상태는 더욱 심각해지는데 중학생의 66.6% 가 시력 교정 대상자이고 고등학생의 비율은 71.4%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한다.6) 이런 결과가 중고 등학교로 올라갈수록 더 많은 근거리 학업 시간과 디지 털 매체 사용 시간이 근시를 진행시켜 시력 교정 대상자 가 늘어나고 있는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근시의 진행 비율은 증가하지만 상대적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굴절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 로 한 연구보다 많이 적었다. 또한 다른 지역의 중학생 들의 굴절 상태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었지만,7) 강원도 지역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강릉지역의 중학 교 3학년들의 굴절 및 시력 상태를 분석하여 학업 및 스마트폰 등 근거리에 많이 노출된 중학생들의 시력 관 리에 도움이 될 만한 지역적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 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강원도 강릉지역에 위치한 모 중학교 3학년 325 안을 대상으로 2019년도에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선천성 녹내 장을 앓은 1안은 제외하였다. 나머지 안은 굴절이상 외 에 안과 질환이 없는 남학생 208 안, 여학생 117 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Table 1).

    2. 연구 방법

    굴절 상태 정도는 구면 굴절력 처방 값과 난시 굴절력 처방 값을 등가구면 굴절력으로 환산하여 연구하였다. 굴절이상 정도의 분류는 정시 기준은 –0.25 D ~ +0.25 D로 30안, 경도 근시 –0.50 D ~ -2.75 D로 148안, 중등도 근시 –3.00 D ~ -5.75 D로 118안, 고도 근시 –6.00 D 이상 25안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Table 2).

    검사 장비로는 ARK 자동굴절검사기 (RK-5, Canon, Tokyo, Japan)를 3회 반복하여 사용해 평균값으로 하 였고, 나안시력 및 교정시력에 사용된 시력표는 5 m 용 한천석시시력표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version 22.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굴절검 사의 비교는 t-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모든 결과의 유의수준이 p<0.050 나타났을 때가 통계적으로 도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굴절 분포

    중학교 3학년 325안의 등가구면 굴절력의 이상도를 기준으로 정시안은 전체 30안, 남학생 11안 여학생 19 안이었으며, 비정시는 나머지 295안으로 근시는 291안, 원시는 4안으로 조사되었다. 그중 남학생의 근시안은 193안 여학생은 98안이며, 원시안은 남학생만 4안이었 다(Table 1).

    2. 정시 및 비정시의 굴절이상도

    등가구면 굴절력을 기준으로 정시 30안의 평균 굴절 력은 –0.07±0.18 D 비정시인 295안 중 근시 291안 평 균 굴절력은 –2.94±1.91 D 조사되었으며, 남학생은 –2.85±1.89 D, 여학생은 –3.11±1.93 D로 조사되었 다. 그리고 원시안 4안은 0.81±0.44 D으로 조사되었다.

    근시안 297안에 대한 근시 정도의 분류를 비교했을 때 경도 근시의 평균 굴절력은 –1.40±0.75 D, 중등도 근시 의 평균 굴절력은 –4.06±0.87 D, 고도 근시의 평균 굴절 력은 –6.78±0.89 D로 나타났다. 정시 30안과 근시안 291안 그리고 원시안 4안을 포함한 총 325안의 평균 굴절 력은 –2.63±2.03 D로 나타났다(Table 2)(Fig. 1).

    난시 굴절력의 평균값을 비교해 본 결과 정시 범위에 해당되며 난시가 있는 27안의 평균 굴절력은 –1.03± 0.58 D이고, 경도 근시 범위에 해당되며 난시가 있는 140안의 평균 굴절력은 –1.14±0.85 D, 중등도 근시 범위에 해당되는 117안 난시 평균 굴절력은 –1.63± 1.05 D, 고도 근시 범위에 해당되는 25안 난시 평균 굴 절력은 –1.78±1.15 D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시 범위에 해당되는 4안의 난시 평균 굴절력은 –0.75±0.20 D으로 나타났다. 정시 범위 27안과 근시 범위에 해당되는 302 안 그리고 원시 범위의 4안을 포함한 총 313안의 난시 평균 굴절력은 –1.36±0.97 D로 나타났다(Table 3) (Fig. 2). 정시뿐만 아니라 근시가 심해질수록 난시 굴 절도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 성별에 따른 비정시의 굴절이상도 비교

    성별에 따른 비정시인 근시의 평균 굴절력은 남학생 –2.85±1.89 D, 여학생은 –3.11±1.94 D로 조사되었 다. 굴절이상 정도 분류에서는 경도 근시의 평균 굴절력 은 남학생 –1.37±0.71 D, 여학생 –1.47±0.82 D으로 여학생이 약간 높게 나왔으며, 중등도 근시의 평균 굴절 력은 남학생 –4.03±0.86 D, 여학생 –4.11±0.89 D으 로 여학생이 약간 높게 나왔다. 마지막으로 고도 근시의 평균 굴절력은 남학생 –6.63±0.86 D, 여학생 –7.09± 0.94 D으로 나타났다. 굴절이상도 비교에 따른 분류에 서 경도, 중등도 그리고 고도 근시 모두 여학생이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Table 4)(Fig. 3).

    성별에 따라 근시 정도의 분류를 기준으로 난시의 전체의 평균 굴절력을 비교해본 결과 남학생 –1.43± 1.00 D, 여학생은 –1.34±0.98 D로 조사되었다. 굴절이 상 정도 분류에서는 경도 근시에 해당되는 난시 평균 굴 절력은 남학생 –1.24±0.97 D, 여학생 –0.92±0.41 D (t=-2.10, p<0.050)로 나왔으며, 중등도 근시에 해당 되는 난시 평균 굴절력은 남학생 –1.68±1.09 D, 여학 생 –1.55±0.98 D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고도 근시에 해당되는 평균 굴절력은 남학생 –1.44±0.49 D, 여학생 –2.50±1.76 D(t=2.34, p<0.050)으로 나타났다. 경도, 중등도 근시 범위에서는 남학생의 난시 정도가 약간 높 게 나타났으며, 고도 근시 범위에서는 여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Table 5)(Fig. 4).

    이번 연구에서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등가구면 굴 절력의 정도를 비교한 결과 –0.25 D ~ +0.25 D 범위에 해당되는 정시안은 거의 정시에 가까운 –0.07±0.18 D 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많은 범위를 차지하고 있는 굴 절이상 범위는 140 안구가 해당되는 근시의 중등도 범 위였으며 굴절검사의 평균 결과값은 –4.06±0.87 D으로 나왔고, 근시 291안의 전체 평균 굴절력은 –2.94± 1.91 D 조사되었으며, 성별에 따른 등가구면 굴절이상 도 비교에서는 경도, 중등도 그리고 고도 근시 모두 여 학생이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난시안의 범위에서도 중 등도의 평균값이 –1.14±0.85 D로 나왔으며 근시처럼 난시안도 중등도 범위에서 안구 수가 가장 많이 해당되 었다. 양등의 연구에서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특히 중 학교 2학년에서 3학년 사이에 근시도가 갑작스런 증가 를 보인다고 하였다.8) 다른 연구에서 중학교 2학년의 근시 평균값은 –2.95±2.11 D로 본 연구의 평균값인 –2.94±1.91 D와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7) 본 연 구에서의 중학교 3학년의 평균 굴절값과 중학교 2학년 의 평균 굴절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근시 평균값은 거의 차이가 없게 조사되었다.7) 김등의 연구에서는 초중고 학 생을 대상으로 1년간 관찰하여 측정한 결과 근시 진행이 중학생은 67.19%에서 71.35%로, 고등학생은 77.08% 에서 84.37%로 전체적으로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였다.9)

    난시 평균 굴절력은 –1.36±0.97 D로 나타났으며 정 시에서 고도 근시까지 근시가 심해질수록 난시 굴절력도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성별에 따른 난시 비교에서는 경도, 중등도 근시 범위에서는 남 학생의 난시 정도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고도 근시 범위에서는 여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평 균에서는 –1.43±1.00 D으로 남학생의 난시 값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난시의 변화에 관한 다른 연구에서는 출생 후 50% 이상에서 1.00 D 이상의 난시를 보이며 나 이가 비교적 어릴 때는 직난시의 비율이 높고 나이가 증 가할수록 도난시로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10-12)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강원도 강릉지역 중학교 3학년 의 전반적인 굴절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장시간의 근거리 학업 및 디지털 매체 등에 노출된 청소년들을 대 상으로 시력 관리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가 앞으로도 계 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Ⅳ. 결 론

    강원도 강릉지역의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굴절검 사를 진행하였더니 근시 중에서 중등도 근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굴절이상 정도에 따른 구면 굴절력을 남 학생과 여학생을 비교하였더니 여학생에서 경도 중등도 그리고 고도 근시 모두 더 높은 굴절력이 나타났고, 난 시 굴절력 비교에서는 고도 근시 범위에 해당되는 난시 에서만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본 굴절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굴절이상 정도가 평균 중 등도 근시 이상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도 시 력 관리에 도움이 될 만한 지속적인 굴절검사와 체계적 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KJVS-27-1-65_F1.gif

    Comparisons of spherical equivalent pow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on.

    KJVS-27-1-65_F2.gif

    Comparisons of cylindrical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on.

    KJVS-27-1-65_F3.gif

    Spherical equivalent power degree of refraction according to gender.

    KJVS-27-1-65_F4.gif

    Comparisons of cylindrical refractive power degree of refraction according to gender.

    Table

    Eye number of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on

    Spherical Equivalent of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on

    Cylindrical refractive power of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on

    Spherical Equivalent of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on

    Cylindrical refractive power of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on

    Reference

    1. Park EK: Relationship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Oph Opt Soc. 13(4), 141-143, 2008.
    2. Payman GA, Sanders DR et al.: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1st Ed., Philadelphia, Saunders, p. 198, 1980.
    3. Kim HJ, Leem HS et al.: Degree of myopia according to lifestyle behavior in an uppergrade of elementary school. Korean J Vis Sci. 13(4), 261-268, 2011.
    4. Doo HY, Sim SH et al.: A study of myopia progression status for a divers school group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Vis Sci. 10(3), 189-195, 2008.
    5. Quek TP, Chua CG et al.: Prevalnece of refractive errors in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in Singapore. Ophthalmic Physiol Opt. 24(1), 47- 55, 2004.
    6.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health examination sample results, 2015, Available at https://www.data.go.kr/dataset/3038854/fileData.do. Accessed January 30, 2019.
    7. Jung JW: Analysis on refractive error and glasses correction of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Korean J Vis Sci. 22(2), 201-207, 2020.
    8. Koo BS, Kim JC et al.: A survery of the visual impairment and the refractive errors in urban school children in Korea. JKSS 1(1), 103-113, 1988.
    9. Kim JM, Jang BS et al.: The analysis of myopic progression in students who live in Ilsan. Korean J Vis Sci. 8(1), 35-51, 2006.
    10. Park JH, Chun JS et al.: The correlates analysis between parental socioecono mic factors and eye health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 Korean J Vis Sci. 13(1), 11-19, 2011.
    11. Gwiazda J, Scheiman M et al.: Astigmatism in children: changes in axis and amount from birth to six years. Invest Ophthalmol Vis Sci. 25(1), 88-92, 1984.
    12. Baldwin WR, Mills D: A longitudinal study of corneal astigmatism and total astigmatism. Am J Optom Physiol Opt. 58(3), 206-211,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