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7 No.2 pp.73-82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25.27.2.73

The Impact of Non-disabled Students’ Contact Experiences with Disabled Students at School on Their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and the Evaluation of the Benefits of a Visual Impairment Experience Program

Ji-Young Choi1), Min-Jae Lee2), Yun-Young Song3)
1)Dept. of Optometry, Jeju Tourism University, Professor, Jeju
2)Dept. of Optometry, Jeju Tourism University, Professor, Jeju
3)Dept. of Optometry,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Professor, Yeoju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i-Young Choi (https://orcid.org/0000-0002-7517-4596) Dept. of Optometry, Jeju Tourism University, Jeju TEL: +82-64-750-3528, E-mail: chemji@hanmail.net
December 26, 2024 June 26, 2025 June 26, 2025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of contact with the disabled students at school on their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disabled and the impact on the evaluation of the benefits of a visual impairment experience program.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non-disabled high school students (176 students) regarding their awareness and interest i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contact experiences in school life. After conducting an experience program using visual impairment experience equipment, an additional survey regarding disability experience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were used through IBM SPSS Statistics 21.0.



Results :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overall positive perception in the detailed items related to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disabled’ and ‘evaluation of the benefit of the visual impairment experience program’. The higher the respondent's grade and the respondent's experience of living with disabled students in class, the more positive their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wa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the higher the interest in the disabled. The older the respondent's age and grade, the more positive the evalu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experience program, and the more positive the evalu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experience program was for respondents who had no experience living in a class with a disabled students.



Conclusion : Non-disabled students' awareness of and interest in the disabled was overall positive, and applying the visual impairment experience program to students with little experience of contact with the visual impairment helps to increase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disabled.



학교에서 비장애인 학생의 장애 학생과의 접촉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최지영1), 이민재2), 송윤영3)
1)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제주
2)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제주
3)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여주

    Ⅰ. 서 론

    헌법 제34조 5항에 의거하여 신체장애자 및 질병·노령 기타의 사유로 생활 능력이 없는 국민은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그러나 명확하게 보장되어 있는 보호 법령에도 불구하고 2023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장애인들의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률, 자살생각 경험률, 전반적 행복감과 같은 삶에 대한 만족도와 연관된 조사항목에서 전체 인구 대비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있다고 인식하는 비율도 80.1%로 2020년 63.5%보다 높아졌다.1) 이러한 사회적 차별에 대한 경험은 학교생활, 결혼, 취업, 의료기관 이용 등 일상생활과 관련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인식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차별을 가장 많이 경험하게 되는 분야가 ‘학교생활 중 또래로 부터 차별(50.7%)’인 것으로 나타났다.2) 장애인의 학교 생활 중 경험하게 되는 차별을 줄이고 긍정적인 학교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또래 비장애 학생들의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장애•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이 장애인 인식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3-5),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 간 교류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6)가 진행되어 왔으며 이들 연구에 따르면 통합교육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에 한 걸음 더 나아가 비장애 학생들의 장애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식에 대한 연구도 진행 되었다.7) 이와 같은 장애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은 진행방식에 따라 효과의 정도는 다르나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8)

    또한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교육부가 통합교육 시행을 정책적으로 지향해 가면서 학교 교육에서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2003년도부터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에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실시를 권장해왔으며 2013년 4차 특수교육 5개년 개발 계획에 따르면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연 2회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7)

    장애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는 건강한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권리와 복지를 제도와 법제로 규정,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비장애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개선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이 등9)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교류 확대, 정부의 관련 정책 확대, 언론의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 학계의 장애인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이의 제언처럼 학교에서의 장애인식개선 교육과 정부 정책과 같은 부분에서 이전에 비해 눈에 띄는 긍정적인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장애학생과의 생활을 모든 학생들이 경험하지는 못하며 장애 유형별 비장애 학생들의 인식 정도도 다르기에 이에 따른 반응도 다를 것이다. 장애 인식에 대한 높은 이해가 편견을 줄이고 장애인을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구성원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 인식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 중 하나가 장애를 간접적으로 체험해 보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간호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 유사 프로그램 체험에 관한 연구10,11)들이 보고된 것은 있으나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장애 체험과 관련된 논문들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중 장애인 학생과의 접촉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장애 체험의 유익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Ⅱ. 대상과 방법

    1. 연구 문제 및 가설설정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1) 가설 1

    • 영가설 :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 방식”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을 것이다.

    • 연구가설 :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 방식”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가설 2

    • 영가설 :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 방식”이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을 것이다.

    • 연구가설 :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 방식”이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대상

    연구대상자는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비장애학생(176명)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 및 검사 진행 방법에 대해 대면으로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를 얻고 설문조사 및 시각장애 체험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3.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방법

    설문조사는 연구에 대해 사전 교육을 받은 대학생 도우미가 연구 대상자 옆에서 일대일로 도와 주면서 수행하였으며,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은 시각장애 관련 체험장비 2종(저시력 체험기: 모델명 SD-LVS-101, 제조사 실버디바이스, 노안체험안경안경 SET: 모델명 -1006, 제조사 Myounmon Medical CO., Ltd.)을 활용하여 실시한 후 장애체험 관련 설문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21.0을 통한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4. 측정항목 및 신뢰성, 타당성 검토

    본 연구에서 수립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측정항목을 선정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학년, 종교를 선 정하였고,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 방식, 장애인에 대한 인식, 장애인에 대한 관심, 시각 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를 변수로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Table 1).

    특히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수의 활용과 관련해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KMO값 0.766, Bartett 구형성 검증 근사 카이제곱값 21.8929(df=10), 유의도는 99.9% 수준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전체 측정항목의 신뢰성 계수는 0.731로 나타났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에서도 고유값이 1을 상회하고, 요인 적재 값 역시 전반적으로 0.7 이상으로 나타나 이를 수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Ⅲ. 결 과

    1. 인구통계학적 및 응답 자료 분석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 중 설문에 충실히 응답한 176명의 표본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이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가설 검증을 위한 활용 변수 측정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성별은 여성이 71.0%(125명), 남성이 29.0%(51명)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16세 4.0%(7명), 17세 37.5%(66명), 18세 10.2%(18명), 19세 48.3%(85명)으로 나타나 17세와 19세 연령의 응답자가 상당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년은 1학년 40.9%(72명), 2학년 8.0% (14명), 3학년 51.1%(90명)으로 나타났고, 종교가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73.3%(129명)로 종교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 26.7%(47명)보다 많았다. 특히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 방식과 관련한 응답에서는 반에서 함께 생활한다는 응답이 61.3%(95명), 반에서 함께 생활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38.7%(60명)로 나타났다(무응답 21명).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 항목과 관련한 응답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세부 요인들을 살펴보면, 장애인에 대한 막연한 부정적 감정(90.3%), 장애인은 공부/일상생활을 잘할 수 없다는 인식(86.4%), 장애인이 고집이 세고 공격적이라는 인식(89.2%), 장애인이 타인에게 의존적이라는 인식(71.6%)에서 70% 이상의 비율로 그렇지 않다 이상의 긍정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인이 인식 개선과 사회적 지원에 따라 자립과 재활이 가능하다는 인식은 65.9%의 비율로 그렇다 이상의 긍정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인구통계학적 특성, 학교에서 장애학생과 접촉 방식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에 미치는 영향(가설 1)

    1) 인구통계학적 특성, 학교에서 장애학생과 접촉 방식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설 1의 검증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연령, 성별, 종교, 학년,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 방식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가 Table 5와 같다.

    종속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독립변수로는 학년,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방식으로 나타났는데, 응답자의 학년이 높을수록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β =0.661), 장애인과 반에서 함께 생활 경험이 있는 응답자일수록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 =0.145).

    R2값은 0.364(AdjR2 =0.285)로 독립변수의 종속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36.4%로 나타나 어느 정도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VIF 값을 확인해 본 결과, 모든 변수에서 10 이하로 나타나 이를 수용하는 것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인구통계학적 특성, 학교에서 장애학생과 접촉 방식,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장애인에 대한 관심에 미치는 영향

    가설 1의 검증을 위한 두 번째 단계로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연령, 성별, 종교, 학년,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 방식,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장애인에 대한 관심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실시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종속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독립변수로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는데, 응답자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 =0.213).

    R2값은 0.405(AdjR2 =0.303)로 독립변수의 종속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40.5%로 나타나 어느 정도의 상 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VIF 값을 확인해 본 결과, 모든 변수에서 10 이하로 나타나 이를 수용하는 것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설 1 검증을 위한 두 단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년→장애인에 대한 인식→장애인에 대한 관심’ 및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 방식→장애인에 대한 인식→장애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는 영향 경로를 파악할 수 있었는데, 학년 및 학교에서 장애학생 접촉 방식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직접 효과를, 장애인에 대한 관심에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인구통계학적 특성, 학교에서 장애학생과의 접촉 방식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1은 부분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이 등12) 및 최와 유13)의 잠재변수를 다중회귀 모형의 종속변수나 설명변수로 가정하고 분석할 경우 측정변수들의 측정 오차 및 구조 오차를 간과하여 다소 편향된 결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에 따라 본 분석 결과에서도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3. 인구통계학적 특성, 학교에서 장애학생과의 접촉 방식이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가설 2)

    가설 2의 검증을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연령, 성별, 종교, 학년, 학교에서 장애인 접촉 방식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를 종 속변수로 설정하여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종속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독립변수로는 연령, 학년, 학교에서 장애학생과의 접촉 방식으로 나타났는데, 응답자의 연령이 높을수록(β = 0.394), 응답자의 학년이 높을수록(β =0.238), 장애인과 반에서 함께 생활 경험이 없는 응답자일수록 함께 생활을 한 응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β =-0.416).

    R2값은 0.381(AdjR2 =0.325)로 독립변수의 종속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38.1%로 나타나 어느 정도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VIF 값을 확인해 본 결과, 모든 변수에서 10 이하로 나타나 이를 수용하는 것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인구통계학적 특성, 학교에서 장애학생과의 접촉 방식이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Ⅳ. 고찰 및 결론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자료 분석 결과, 성별은 여성이 71.0%(125명), 남성이 29.0%(51명)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16세 4.0%(7명), 17세 37.5%(66명), 18세 10.2%(18명), 19세 48.3%(85명)으로 나타나 17세와 19세 연령의 응답자가 상당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학교에서 장애 학생 접촉 방식과 관련한 응답에서는 반에서 함께 생활한다는 응답이 61.3%(95명), 반에서 함께 생활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38.7%(60명)로 나타났다(무응답 21명).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과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와 관련된 세부 항목들에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가설 1과 가설 2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의 유익성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학교에서 장애 학생과의 접촉 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에서 장애 학생과 함께 생활한 경험이 없다는 응답자에 대한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난 점과 반에서 장애 학생과 함께 생활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의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고려하였을 때, 장애인과의 일상생활을 경험해 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관심 제고를 위한 방법으로 장애 체험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선행 연구들7,10,11)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이 시각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이 부족하거나 전무한 사람들에게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관심을 제고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훌륭하게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이에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을 일반학생들에게도 적용하여 시각장애인들의 겪게 되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더불어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의 긍정적 인식 전환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더구나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는 경우 시각장애에 대한 이해도 및 긍정적 인식을 높이고 나아가 현장에서 경험하게 될 시각장애인들의 다양한 애로사항에 대한 빠른 이해와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국민의 안보건 지킴이로서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주요 한계점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수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잠재변수를 다중회귀모형의 종속변수나 설명변수로 가정하고 분석할 경우에 측정변수들의 측정 오차 및 구조 오차를 간과하여 다소 편향된 결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분석 결과에서도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주 지역 학생들을 연구대상자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도출된 연구 결과에 대한 광범위한 일반화는 다소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 항목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다른 종류의 장애 체험 프로그램 유익성 평가에 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장애체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광범위한 학술적 평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Figure

    Table

    Statu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manner of contact to the disabled people in school

    Cronbach’s Alpha=0.73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wareness of the disabled people

    KMO=0.766 Bartlett’s Sphericity Verification χ2 =218.929 df=10 p<0.001***

    Statu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manner of contact to the disabled people in school

    Status of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disabled people, evaluation of the benefit of the visual impairment experience program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manner of contact to disabled people in school on awareness of disabled people

    R2 = 0.364, AdjR2 = 0.285
    *: p<0.050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erience of living together with the disabled students in school and awareness of the disabled people on interest in the disabled people

    R2 = 0.405, AdjR2 = 0.303
    *: p<0.050

    Reference

    1. 2023 Survey on the statu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vailable at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00000&bid=0027&list_no=1481225&act=view. Accessed November 1, 2024.
    2. 2017 Report on the Surve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ublication registration number 11-1352000-000568-12, Available at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100&bid=0019&tag=&act=view&list_no=345972. Accessed October 10, 2024.
    3. Oh YS: Influence of integrated education on the attitude toward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handicapp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1- 39, 2001.
    4. Kim JY: An attitude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integr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1-36, 2002.
    5. Shim MY: Research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experiencing of the inclusive education. DaeJin University MS Thesis, pp.1-44, 2007.
    6. Seo DK: Influence of sighted children's interchange education experiences upon their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Daegu University MS Thesis, pp.1-37, 2006.
    7. Seung-Mu, Baek. The effects of a disability awareness improvement education on accepting attitudes of the same age group about disabled student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3, 2021.
    8. Baek SS, Park YK: The effect analysis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using meta-analysi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20(4), 1-24, 2018.
    9. Lee WS, Park SY, et al: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3(3), 203-212, 2018.
    10. Song NH: Nursing students’ lived experience of blind person.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8(1), 50-60, 2004.
    11. Kim IK, Wang MS: A study on patient experience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20), 397-404, 2018.
    12. Lee JY, Chung JH, et al: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size for Korean highwa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Accid Anal Prev. 40(6), 1955- 1963, 2008.
    13. Choi CH, You YY: The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ame data through regression analysis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167-175,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