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4 pp.455-463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4.455

Accuracy of Axial Length Calculation Using Schematic Eyes in Ametropia

Hyeong-Su Kim, Hyun-Gug Cho, Byeong-Yeon Moon, Dong-Sik Yu*
Dept. of Optome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amcheok, Korea

Address reprint requests to Dong-Sik Yu Dept. of Optome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amcheok TEL: 033-540-3415, E-mail: yds@kangwon.ac.kr
October 27, 2016 November 23, 2016 December 6, 2016

Abstract

Purpose:

To derive axial length(AL) calculation formulas for ametropia using measured corneal radius and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 and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formulas.


Methods:

This study comprised 524 ametropic subjects(1048 eyes) with a mean age of 47.17±13.01 years. The formulas for calculation of ALs were obtained using Gullstrand’s exact schematic eye, Gullstrand’s simplified schematic eye, Gullstrand-Emsley’s schematic eye, Le Grand’s schematic eye, and Bennett and Rabbetts’ schematic eye, respectively. ALs were calculated from each formula by using measured corneal radius and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 by auto-refractometer. The calculated AL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ALs by IOL-master, and the agreement between ALs were evaluated.


Results:

The differences between measured AL and calculated AL of ametropia(myopic and hyperopic eyes) were small in the order of Gullstrand-Emsley’s schematic eye, Gullstrand’s simplified schematic eye, Bennett and Rabbetts’ schematic eye, Le Grand’s schematic eye, and Gullstrand’s exact schematic eye.


Conclusions:

The accuracy calculation of axial length using the formula could be applied usefully to design of individual ophthalmic lenses.



비정시안에서 모형안을 이용한 안축길이 계산의 정확성

김 형수, 조 현국, 문 병연, 유 동식*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삼척

    Ⅰ. 서 론

    비정시는 정시와 달리 눈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 의 부조화로 인해 발생한다.1) 즉, 상대적으로 안축길 이가 눈의 전체 굴절력으로 형성되는 결상점보다 길 면 근시가 되고 더 짧으면 원시가 된다. 안축길이는 근시와 원시를 결정하는 가장 주된 요소이기 때문에 비정시 연구에 있어서 매우 큰 주제가 되어 왔다.2-5)

    안축길이의 측정에는 다양한 눈 구성성분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의 신호를 사용하는 각막 접촉식 측 정 장비인 A-scan6)과 레이저의 간섭현상 (interference phenomenon)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측정 장비인 IOL-Master(IOL master 500, Carl Zeiss Meditec Inc., Germany)가 주로 사용하고 있 다. 두 가지 측정 장비 중 A-scan은 각막에 접촉된 상태로 측정하기 때문에 각막 압박으로 인해 비접촉 식 광학 측정 장비인 IOL-Master보다 정확도가 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7) 하지만 안축길이 측정 장 비의 정확성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임상현장에서 안경사가 개인 맞춤형 안경렌즈를 처방하기 위해서 이러한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본 연구 자들은 이전 연구8)에서 정시안의 각막곡률반경과 등 가구면 굴절이상도를 활용하여 안축길이를 산출할 수 있도록 계산식을 유도하고 그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하지만 비정시안의 경우 정시안과는 다른 각막곡률반 경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를 가지고 있어 정시안에서 적용한 공식을 비정시안에 적용하면 오차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만약 표준 정시안의 안축길이인 24.00 mm에 맞추 어 설계된 안경렌즈의 경우 이와 다른 안축길이를 가 진 사람이 그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안축길이의 오차 로 인해 더 많은 비점수차를 유발하게 된다.9) 더불어 누진굴절력렌즈에서 안축길이가 10% 증가한다면 원 용부 주시시야의 폭을 5% 만큼 증가시켜야 하며 근용 부변위(inset) 양도 더 크게 해주어야 하고 만약 이러 한 주시시야의 불일치가 발생한다면 단안 시야가 좁 아지는 것뿐만 아니라 양안에서 더 큰 주시시야의 감 소를 초래하게 된다.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맞춤형 안경렌즈의 설 계와 처방을 개선하기 위해 모형안을 이용하여 비정 시안의 각막곡률반경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를 적용 한 안축길이 계산식을 유도하고, IOL-Master로 측 정된 실측값과 비교하여 가장 유용한 계산식을 제시 코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평균 나이는 47.17±13.01세인 비정시안 524명(1048안)을 대상으 로 하였고, 안과적 질환 및 수술 과거력이 있거나 최 대 교정시력이 0.9 미만인 대상자는 제외시켰다. 비 정시안의 기준으로 등가구면굴절력이 ±0.50 D 이상 인 경우를 적용하였다.11)

    2. 연구 방법

    각 모형안에 따라 비정시안의 각막곡률반경과 등 가구면 굴절이상도를 적용해 안축길이를 계산할 수 있는 식을 유도하였고, 임상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 는 각막곡률반경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수치를 각 식에 대입하여 안축길이를 계산한 다음 측정된 안축 길이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판단하였다.

    1) 각막곡률반경, 굴절이상도, 그리고 안축길이의 측정

    타각적 굴절검사 장비인 자동굴절력계(HRK-7000, Huvitz, Korea)를 사용해 각막곡률반경과 굴절이상도 를 측정하였으며, 자동포롭터(DHR-7000, Huvitz, Korea)를 사용한 자각적굴절검사를 통해서 나안시력 및 최대 교정시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안축길이의 측 정을 위해 안구생체계측장비인 IOL Master(IOL master 500, Carl Zeiss Meditec Inc., Germany)를 사용하였다.

    2) 안축길이 계산을 위한 계산식의 유도

    안축길이 계산을 위해 Gullstrand의 정식 모형안,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 Gullstrand-Emsley의 약식 모형안, Le Grand의 이론적 모형안, Bennett- Rabbetts의 약식 모형안을 이용하였으며 여러 가지 눈 수치 중 각막곡률반경과 안축길이를 사용해 계산 식을 유도하였다. 예를 들어 정시안의 각막곡률반경 은 7.80 mm이고 안축길이는 24.00 mm인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의 경우, 비례식으로 전개 하여 ‘24.00 : 7.80 = calAL : CR’을 이용하여 ‘calAL = (24.39 × CR / 7.70)’의 관계식을 얻었다.

    이 관계식에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에 의해 변화되 는 안축길이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회귀분석(Fig. 1) 을 통해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에 의해 변화되는 안축 길이의 변화를 구하여 대입하였다. 그 결과 근시안의 경우 ‘calAL = (24.00 × CR / 7.80) - (SE × 0.36)’의 식이 얻어진다. 즉, 1.00 D의 등가구면 굴절 이상도의 변화에 따라서 안축길이는 0.36 mm 씩 변 하게 되는 것이다. 원시안의 경우 ‘calAL = (24.00 × CR / 7.80) - (SE × 0.39)’로써 1.00 D의 등가구 면 굴절이상도의 변화에 따른 안축길이 변화는 0.39 mm가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모형안12,13)에 따라 유 도된 식은 다음과 같다.

    Gullstrand의 정식 모형안을 사용한 경우 근시안:

    c a l A L = 24.39 × C R / 7.70 S E × 0.36
    식 (1-1)

    원시안:

    c a l A L = 24.39 × C R / 7.70 S E × 0.39
    식 (1-2)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을 사용한 경우 근시안:

    c a l A L = 24.00 × C R / 7.80 S E × 0.36
    식 (2-1)

    원시안:

    c a l A L = 24.00 × C R / 7.80 S E × 0.39
    식 (2-2)

    Gullstrand-Emsley의 약식 모형안을 사용한 경우 근시안:

    c a l A L = 23.90 × C R / 7.80 S E × 0.36
    식 (3-1)

    원시안:

    c a l A L = 23.90 × C R / 7.80 S E × 0.39
    식 (3-2)

    Le Grand의 이론적 모형안을 사용한 경우 근시안:

    c a l A L = 24.20 × C R / 7.80 S E × 0.36
    식 (4-1)

    원시안:

    c a l A L = 24.20 × C R / 7.80 S E × 0.39
    식 (4-2)

    Bennett와 Rabbetts의 약식 모형안을 사용한 경우 근시안:

    c a l A L = 24.10 × C R / 7.80 S E × 0.36
    식 (5-1)

    원시안:

    c a l A L = 24.10 × C R / 7.80 S E × 0.39
    식 (5-2)

    여기서 calAL은 계산된 안축길이(calculated AL), CR은 각막곡률반경(corneal radius of curvature) 그리고 SE는 등가구면 굴절이상도(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이다.

    3) 연구 자료 처리 방법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으며, 각 모형안을 사용해 계산된 안축길이와 측 정된 안축길이에 대해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유 의성을 검증하였다. 안광학 상수 중 안축길이 사이와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유의수 준 α=0.05로 두고 유의확률 p<0.05일 때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Ⅲ. 결 과

    본 연구의 전체 대상자 524명(1048안) 중 남자는 204명(408안), 여자는 320명(640안)이었고, 평균 나 이는 47.17±13.01세(범위: 8 ~ 78세)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에 대한 원거리 나안시력은 0.28±0.27, 원거리 최대 교정시력은 1.07±0.06이었으며, 등가 구면 굴절이상도는 -2.71±4.05D였다. 또한 각막곡 률반경은 7.67±0.26 mm이었으며, 안축길이는 24.48±1.73 mm로 나타났다(Table 1).

    근시안 380명(760안)의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4.31±3.56 D(범위: -0.50 ~ -13.00 D), 각막곡률 반경은 7.68±0.26 mm(범위: 6.81 ~ 8.62 mm), 그 리고 안축길이는 25.08±1.59 mm(범위: 21.77 ~ 30.27 mm)이었다. 또한 원시안 144명(288안)의 등가 구면 굴절이상도는 +1.57±1.35 D(범위: +0.50 ~ +6.50 D), 각막곡률반경은 7.66±0.27 mm(범위: 6.98 ~ 8.55 mm), 그리고 안축길이는 22.91±0.90 mm(범위: 20.19 ~ 25.74 mm)이었다(Table 1).

    모형안을 사용한 유도식을 통해 계산된 안축길이 는 근시안에서 Gullstrand-Emsley의 약식 모형안을 제외한 모든 모형안에서 측정된 안축길이보다 길게 계산되었다(Table 2). 측정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 축길이와의 차이는 근시안과 원시안 모두 Gullstrand -Emsley의 약식 모형안,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 Bennett-Rabbetts의 약식 모형안, Le Grand의 이 론적 모형안, Gullstrand의 정식 모형안 순으로 작았 으며, Gullstrand-Emsley의 약식 모형안으로 계산 된 안축길이만이 측정된 안축길이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근시안 p=0.620, 원시안 p=0.703). 즉, Gullstrand-Emsley의 약식 모형안만 측정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 사이의 유의성을 보였다.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와 안축길이 사이의 상관관계 (r)는 -0.845(p=0.000)이었으며, 등가구면 굴절이상 도와 AL/CR비(axial length/corneal radius ratio) 사이의 상관관계는 -0.935(p=0.000)로 나타나 등가 구면 굴절이상도와의 상관관계는 AL/CR비가 더 높 은 것으로 평가되었다(Fig. 2, Table 3).

    Ⅳ. 고찰 및 결론

    안경렌즈는 눈과 결합된 하나의 광학작용을 하기 때문에 약간 특별한 이미지 시스템을 가진다. 하지만 과거의 렌즈 디자인은 단순화된 모형안을 기준으로 그 설계되었지만 근래의 렌즈들은 개인이 가지고 있 는 눈의 복잡성과 안경테의 변수를 모두 고려하여 설 계되고 있다.10,19,20) 특히 안구회선점의 위치는 이러 한 설계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안구회선점은 눈 회전운동의 기준이 되는데, 표준 정시안의 경우 제 1 안위에서 안구회선점은 주시선 위에서 각막 정점의 뒤쪽으로 13.5 mm(근시안은 14.5 mm) 지점에 위치한다.21) 하지만 이러한 안구회 선점의 위치는 정시든 비정시든 일률적으로 그 위치 를 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눈의 안축길이에 따라 서 달라진다. 안경렌즈를 눈앞에 착용했을 때 렌즈면 은 눈의 회전곡률반경과 일치하여야만 시선(시축)이 렌즈면을 수직으로 지나게 되어 안경렌즈로부터 유발 될 수 있는 수차(특히 비점수차)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9) 이렇게 되면 렌즈를 통과해 눈으로 입사한 광선은 망막에 정확하게 결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안경렌즈의 수차를 최소화 하려면 이 안구회선점을 기준으로 한 원점구면(far point sphere)의 위치와 그 곡률반경을 알아야 한다.22) 그리고 그 값을 구하 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안축길이를 실제로 측정하여 안구회선점의 위치를 구하고 그것의 위치에 따른 안 경렌즈의 곡률반경을 계산해야 한다. 본 연구자들의 이전 연구에서도 언급했듯이 같은 정시라고 해도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각막의 곡률반경에 따라서 안축 길이는 다양하며8)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근시의 경우, 안축길이는 21.77 ~ 30.27 mm이고 원 시의 경우에도, 20.19 ~ 25.74 mm로 아주 다양하였 다. 따라서 표준 정시안의 안축길이인 24.00 mm와 안구회선점의 위치 13.5 mm 값으로 안경렌즈를 설계 하게 되면 일부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최적의 망막 이미지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대부분의 개인맞춤형 누진렌즈 및 단초점렌즈의 경 우 렌즈 설계를 위해 굴절이상도, 동공중심간거리, 광 학중심점높이, 경사각, 앞수평면휨각과 같이 안경사라 면 누구나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변수들을 적용해 왔다. 근래에 들어 파면수차(wavefront aberrations)의 제 어23-25)와 안축길이를 적용14,15)한 누진렌즈의 설계에 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다른 변수와는 달리 안축길이 의 측정은 안경사가 직접 할 수 없는 영역으로, 현재의 누진렌즈 설계에 안축길이를 적용한 제품은 모두 주문 되는 렌즈의 굴절력을 토대로 평균화된 안축길이를 적 용하고 있다. 하지만 안축길이와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만의 상관성을 평가한 연구들보다 등가구면 굴절이상 도와 더불어 각막곡률반경을 함께 적용한 경우에 그 상관성이 더 높게 평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Table 3).14-18) 따라서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만을 가지고 안축 길이를 예측하는 것보다 안축길이와 각막곡률반경을 모두 적용하면 안축길이 계산하는 것이 더 정확해질 것이다. 비록 안축길이를 측정하는 IOL-Master와 같 은 장비를 안경사가 사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개인 변수를 적용하는 개인맞춤형 안경렌즈를 주문하기 위 해 사용하기에는 너무나도 큰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안축길이 계산법이 이러한 어 려움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본 연구는 눈의 각막굴절교정수술과 백내장 수술로 인해 눈 굴절력계가 바뀐 경우는 제외하였기 때문에 추가적 인 연구가 더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제시된 안축길이 계산공식에 서 굴절이상도의 변화에 따른 안축길이 변화량을 계 산하기 위해 대상자들의 데이터를 통한 회귀분석을 사용해 근시안의 경우에는 1 D의 굴절이상도 변화 당 0.36 mm의 안축길이 변화, 원시안의 경우에는 1 D 변화 당 0.39 mm의 변화를 적용하였다. 이렇게 근시 와 원시에 대해 다른 상수를 적용한 이유는 근시와 원시를 구분하여 굴절이상도 변화에 따른 안축길이 변화량을 제시한 연구가 없으며 연구마다 전체 대상 자들의 데이터를 통틀어 1 D의 굴절이상도 변화 당 안축길이의 변화량을 0.33 mm ~ 0.40 mm로 다양 하게 제시26-28)하였기 때문에 더 정확하게 안축길이 를 계산하기 위함이다.

    저자들은 이전 연구8)에서 정시안의 경우 Gullstrand 약식 모형안이 가장 적합하였던 것에 반해 근시안과 원 시안 모두 Gullstrand-Emsley 약식 모형안이 가장 적 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시와 비정시의 안축길이 계산법은 안축길이 가 적용된 안경렌즈를 설계할 때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안축길이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JMBI-18-4-455_F1.gif

    Linear regression between refractive error with spherical equivalent and axial length(A: myopic eye, B: hyperopic eye).

    JMBI-18-4-455_F2.gif

    Linear regression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axial length (A), and refractive error and axial length/corneal radius ratio (B) in ametropia.

    Table

    Refractiv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Refractiv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Pearson’s correlation of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with axial length(AL) and axial length/corneal radius ratio(AL/CR)

    Reference

    1. Meng W, Butterworth J et al.: Axial length of myopia: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Ophthalmologica. 225(3), 127-134, 2011.
    2. Young TL, Metlapally R et al.: Complex trait genetics of refractive error. Arch Ophthalmol. 125(1), 38-48, 2007.
    3. Sorsby A, Leary GA et al.: Correlation ametropia and component ametropia. Vision Res. 2(9-10), 309-313, 1962.
    4. Jansson F: Measurements of intraocular distances by ultrasound and comparison between optical and ultrasonic determinations of the depth of the anterior chamber. Acta Ophthalmol(Copenh). 41, 25-61, 1963.
    5. Curtin BJ, Karlin DB: Axial length measurements and fundus changes of the myopic eye. I. The posterior fundus. Trans Am Ophthalmol Soc. 68, 312-334, 1970.
    6. Nakhli FR: Comparison of optical biometry and applanation ultrasound measurements of the axial length of the eye. Saudi J Ophthalmol. 28(4), 287-291, 2014.
    7. Shen P, Zheng Y et al.: Biometric measurements in highly myopic eyes. J Cataract Refract Surg. 39(2), 180-187, 2013.
    8. Kim HS, Cho HG et al.: Prediction of axial length using schematic eyes in emmetropia. Korean J Vis Sci. 18(2), 149-156, 2016.
    9. Atchison DA, Tame SA: Sensitivity of off-axis performance of aspheric spectacle lenses to tilt and decentration. Ophthalmic Physiol Opt. 13(4), 415-421, 1993.
    10. Berthezene MA, Carimalo C et 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US Patent, 7637614, 2009.
    11. Lee KC, Kim SY et al.: Effect of accommodation control by applying fogging method in subjective refraction and auto-refraction in ametropi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1(2), 119-126, 2016.
    12. Atchison DA, Smith G: Optics of the human eye, 1st ed., Oxford, Butterworth-Heinemann, pp. 39-47, 2000.
    13. Smith G: Schematic eyes: history, description and applications. Clin Exp Optom. 78(5), 176–189, 1995.
    14. Scheiman M, Gwiazda J et al.: Longitudinal changes in corneal curvature and its relationship to axial length in the Correction of Myopia Evaluation Trial (COMET) cohort. J Optom. 9(1), 13-21, 2016.
    15. Mah KC, Lee HJ et al.: Measurements of ocular dimensions and its intercorrelations in Koreans. Korean J Vis Sci. 2(2), 145-159, 2000.
    16. Ojaimi E, Rose KA et al.: Distribution of ocular biometric parameters and refraction in a population-based study of Australian children. Invest Ophthalmol Vis Sci. 46(8), 2748-2754, 2005.
    17. Kim JH, Lee H et al.: Correlation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ocular parameters in adults and children. Korean J Vis Sci. 16(3), 385-395, 2014.
    18. Ip JM, Huynh SC et al.: Variation of the contribution from axial length and other oculometric parameters to refraction by age and ethnicity. Invest Ophthalmol Vis Sci. 48(10), 4846-4853, 2007.
    19. Yamakaji T, Hatanaka T: Spectacle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 Patent, 6637880, 2003.
    20. Hof A, Hanssen A: Spectacle lens with spherical front side and multifocal back sid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 Patent, 6089713, 2000.
    21. Tabernero J, Vazquez D et al.: Effects of myopic spectacle correction and radial refractive gradient spectacles on peripheral refraction. Vision Res. 49(17), 2176-2186, 2009.
    22. Ahmed K, Khan AN et al.: Correcting aberration in aspheric surfaces. 2014 IOP Conf. Ser.: Mater. Sci. Eng. 60, 012039, 2014.
    23. Meister D, Kratzer T et al.: Method for optimizing a spectacle lens for the wavefront aberrations of an eye and lens. US Patent, 8205987, 2012.
    24. Abitbol M: Aberration correction spectacle lens. US Patent, 6786602, 2004.
    25. Kim JM, Lee KJ: Comparison of higher-order aberrations and visual quality in eyes wearing aspheric and spherical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Korean J Vis Sci. 17(3), 343-354, 2015.
    26. Nassaralla JJ, Nassaralla BR: Refractive changes after scleral buckling surgery. Arq Bras Oftalmol. 66(5), 575-578, 2003.
    27. Hartwig A, Charman WN et al.: Baseline peripheral refractive error and changes in axial refraction during one year in a young adult population. J Optom. 9(1), 32-39, 2016.
    28. Kato K, Miyake Y et al.: Axial length and refractive error in X-linked retinoschisis. Am J Ophthalmol. 131(6):812-814, 2001.